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원상(W.S. Kim),김영신(Y.S. Kim),김정중(J.J. Kim),강윤종(Y.J. Kang),정우창(W.C. Jung),정병창(B.C. Jeong),홍정기(J.K. Hong),서인영(I.Y. Suh) 전력전자학회 2010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본 논문은 2㎿급 풍력시스템의 이중여자유도형 발전기(DFIG)를 제어하기 위한 PCS의 전력변환장치와 주변장치 및 제어기술에 대해서 기술한다. 최근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 전력회사에서는 계통전원 사고 시 풍력시스템이 계통연계를 유지하면서 계통의 전력품질에 기여할 수 있는 기능(FRT)을 요구하고 있다. FRT기능 구현을 위한 H/W와 제어 시퀀스를 소개한다.
김원일(W. I. Kim),김명숙(M. S. Kim),노기안(K. A. Roh),이종식(J. S. Lee),윤순강(S. G. Yun),박병준(B. J. Park),정구복(G. B. Jung),강창성(C. S. Kang),조광래(K. R. Cho),안문섭(M. S. Ahn),최승출(S. C. Choi),김현주(H. J. Kim),김영상(Y. S. Kim),남 한국토양비료학회 2008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1 No.3
토양환경보전법(1996)에 의해 농경지의 중금속 함량에 대한 토양오염 우려 및 대책기준과 2000년 식품의 약품안전청 고시에 따른 쌀의 카드뮴 함량의 허용기 준 0.2 mg/kg의 설정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논토양과 이들 포장에서 생산되는 쌀의 중금속 함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전국 도 농업기술원과 공동으로 전국 논토양의 중금속 함량의 현황과 장기적인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4년 1주기로 모니터링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3주기의 조사 결과를 검토하였다. 2007년에 조사한 전국 논토양 2,010 지점의 비소, 카드뮴, 구리, 니켈, 납, 아연의 평균함량은 각각 0.87, 0.08, 3.33, 1.19, 4.95 and 4.67 mg kg<SUP>-1</SUP>이었고, 조사 논토양의 몇 지점을 제외하고는 토양오염 우려기준을 초과하지 않았다. 비소의 경우 2003년 및 2007년 조사에서 니켈의 경우 1999년과 2007년 조사에서 토양오염 우려기준 초과지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기적인 변화에서는 비소, 니켈, 아연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카드뮴과 구리의 함량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납의 함량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토양내 침출성 중금속의 함량별 분포양상은 중금속별로 최빈수가 토양내 평균함량과 유사하였다. 구리를 제외한 모든 논토양의 중금속 함량의 평균값이 중간값보다 높음으로 논토양의 중금속이 정규분포보다 하향으로 편중된 분포를 보였다. There is an increasing concern over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paddy soils and the subsequent translocation of heavy metals to rice. Objective is to monitor the status and long-term trend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paddy soils, periodically. In 2007 survey,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As(arsenic), Cd(cadmium), Cu(copper), Ni(nickel), Pb(lead), and Zn(zinc) in 2,010 paddy soils nationwide were 0.87, 0.08, 3.33, 1.19, 4.95 and 4.67 mg kg<SUP>-1</SUP>, respectively. Few sites, which were contaminated by As in 2003 and 2007 survey and by Ni in 1999 and 2007 survey, were over the threshold level for soil contamination designated by the Soil Environmental Conservation Act in Korea. Long-term change was shown that As, Ni, and Zn were gradually increased whereas Cd and Cu were decreased. In the distribution of extractable heavy metal contents, the modes of each heavy metal content were similar with the average contents of each heavy metals. Mean value of heavy metals except copper in paddy soils was higher than median value. It means that the downward distribution of heavy metal content in paddy rice was shown against normal distribution.
홍윤성(Y. S. Hong),이만 카림자데간(I. Karimzadegan),김원모(W. M. Kim),류시형(S. H. Ryu)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21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월
영구자석의 자기력으로 강자성체 구형 전극을 위치제어하여 전해 가공 공정으로 금속 내부에 자유 형상 곡선 구멍을 가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공작물 외부에 위치하는 영구 자석이 강자성체 전극에 작용하는 자기력의 세기를 계산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영구자석을 표면전류밀도가 일정한 물체로 가정하여 비오-사바르 법칙으로부터 임의 위치에서의 자기장의 세기를 구하고, 자기 쌍극자 모멘트에 관한 앙페르 법칙과 길버트 모형을 적용하여 영구자석 양단의 자기장 세기에 해당하는 자극의 자하량을 계산하였다. 영구자석의 자기장 안에 놓인 구형쇠구슬 전극의 경우 자기화가 전극의 내부 영역에서 일정하고 자하가 양극단에 위치한다는 가정하에 원통형 영구자석과 유사한 방법으로 구형 전극의 자극 자하량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쿨롱 법칙을 적용하여 영구자석과 구형 강자성체 자하들 사이에 작용하는 각각의 자기력을 합산하여 최종 자기력을 구하였다. 구형 전극을 미소 원판으로 분할하여 수치적인 방법으로 계산한 자기력의 세기와 해석적으로 구한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영구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구형 전극의 위치제어 측면에서 영구자석 전극이 쇠구슬 전극에 비해 원거리 제어가 가능하며, 이는 쇠구슬 전극의 높은 자기화율에도 불구하고 영구자석과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인가 자기장의 세기가 급감하여 쇠구슬이 자기포화 상태에 이르지 못하기 때문이다.
Magnetic Position Control of a Spherical Electrode by Permanent Magnets
I. Karimzadegan(이만 카림자데간),Y. S. Hong(홍윤성),W. M. Kim(김원모),S. H. Ryu(류시형)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2021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월
We develop an electrochemical drilling technology producing curved holes inside metals by position control of a spherical electrode based on magnetic force. Precise position control of the electrode is essential for the improving machining quality and the technology settlement. In this research, investigated are the effects of geometric shapes, numbers, material properties, and relative locations of permanent magnets on the magnetic force variation acting on the spherical electrode. Also, we take into account the size of the spherical electrode and its material properties in calculating magnetic force together with gravity effect. Through an analytical approach based on the magnetostatics an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using ANSYS Maxwell software, the magnetic force acting between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spherical electrode was investigated an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analytic model was verifi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relation between important parameters and magnetic force variation was quantitatively analyzed, and from this, we suggest an effective method to control the electrode position such as a two-magne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