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산업재생법과 국내 시사점

        김용춘 ( Yong Choon Kim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一鑑法學 Vol.16 No.-

        "Act on Special Measures for Industrial Revitalization(hereinafter referr ed to as ``ASMIR``)" was legislated in Japan in 1999,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1990s` long recession called ``lost 10 years``. The main purpose of this act is to improve a industrial constitution and to strengthen a national competitiveness, by attracting active and voluntary revitalization (including M&A, establishment of company, spin off, business transfer, equipment investment, R&D investment, etc.) of companies with the government offer ing companies various incentives. The major feature of this ac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MIR is applied to not only insolvent enterprise but also a norma l enterprise. Second, various incentives are offered to companies in the method of a package (so-called ``one stop service``), For example, the corpor ation approved by government on ASMIR may be given the benefits of tax cut, financial support, simplification of procedure, etc. at once, Third, an effect and side effect of the various exceptions may be tested by applying to a particular corporation selectively (so-called ``Pilot Test``). Forth, this act may be a new solution to achieve the national agenda, for example, resource saving, low carbon, green growth. ASMIR as above has been estimated to contribute to overcome 1990s` long recession in Japan. But it seems that there is no act like ASMIR in Republic of Korea. For this reason, I made an attempt to seek for desirabl e policy direction to overcome a global financial crisis early and to achieve a long-term stable economic growth, by researching concrete cases and contents of Japanese ASMIR in this thesis.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의 유연성에 대한 소고 - OECD 논의를 중심으로 -

        김용춘(Kim Yong Choon)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4 No.2

        우리나라에서도 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관련 법제도에 많은 변화가 있어왔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는 기업 지배구조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보다는 대주주의 권한을 제한하는데 초첨이 맞추어져 있었다. 그리고 현재 주장되고 있는 기업 지배구조 개선 요구들도 기업 지배구조의 유연성과는 거리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18년 OECD에서 기업 지배구조의 유연성에 대한 의미 있는 보고서가 나왔다. OECD는 기업 지배구조의 유연성(Flexibility)의 개념을 계약적 자유(contractual freedom)를 누릴 수 있도록 다양한 선택권(many options)을 부여하고, 현실성을 충분히 갖춘 제도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OECD는 39개국의 기업 지배구조의 유연성에 대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그 보고서를 발간했다. 유연성과 관련해서는 이사회에 관한 규정, 경영진 보수에 관한 규정, 관련 당사자간 거래에 관한 규정, 정기적인 재무정보 및 특별 정보의 공개, 주요주주의 공개, 기업 인수합병에 대한 규정, 신주인수권에 관한 규정 등 총 7개 분야로 나누어 분석했다. 또 유연성 판단 기준으로는 상장 여부, 기업의 규모, 기업의 법적 형태에 따른 다양한 선택권이 있는지를 조사했다. 이 보고서는 유연성 여부에 대한 비교만 했을 뿐, 얼마나 유연한 지에 대한 분석까지 이루어지진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유연성이라는 개념을 전면에 내세워 국제적 논의를 시작했으며, 구체적 기준에 따라 각국의 제도를 비교 분석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OECD 보고서를 바탕으로 이 글은 우리나라 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던지고 있다. 첫째 연성규범의 활용을 확대할 것, 둘째 기업 지배구조에 관한 다양한 선택지를 도입할 것, 셋째 현실과 맞지않는 사외이사 결격사유와 같은 규정의 개선이 그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업 지배구조의 유연성에 대한 논의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인데, 향후 관련 논의를 활발히 하고, 나아가 국제적 비교를 통한 기업 지배구조 개선 논의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In Korea, as interest in corporate governance has increased,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related legislation. However, these changes focused on limiting the rights of major shareholders rather than securing flexibility in corporate governance. In addition, the demands for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currently being argued are far from the flexibility of corporate governance. In this regard, a meaningful report on the flexibility of corporate governance was released in the OECD in 2018. The OECD see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flexibility in corporate governance as a system that gives various options and meets reality to have contractual freedom. According to these standards, the OECD conducted a survey on the flexibility of corporate governance in 39 countries and published the report. As for flexibility, it was analyzed in seven areas: Board composition, Disclosure of information, Major shareholding disclosure, Preemptive rights, Related party transactions, Say on pay, Takeovers. In addition,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flexibility, it was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various options depending on Size, Ownership/control structure, Listing/publicly traded, Maturity of the firm, Accounting standards used, Legal form.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is report only compares flexibility and has not been able to analyze how flexible it is. However,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started international discussions with the concept of flexibility at the forefront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systems of each country according to specific standards. Based on these OECD reports, this article has several implications for Korea"s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First, expanding the use of soft law, secondly, introducing various corporate governance options, and thirdly, improving regulations such as reasons for disqualification of independent directors that do not fit our reality. In Korea, there are relatively few discussions on the flexibility of corporate governance, and we hope that related discussions will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future and further discussions on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s.

      • KCI등재

        어업피해보상액 산정의 문제: 어업제한기간을 중심으로

        김용춘 ( Kim¸ Yong Choon ) 한국감정평가학회 2021 감정평가학논집 Vol.20 No.2

        본 연구는 어업피해보상액 산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 중에서 어업피해액 산정 과정 중 어업피해기간은 실무에서 많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보상 관련 법령을 해석할 때 합리적으로 해석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업시행자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법을 유리하게 해석 한다. 또한, 어업인들도 자신의 이익을 위해 법을 유리하게 해석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년동안 어업보상 현장에서는 당사자 간에 합의가 이루어져 왔다. 관련법 내용이 명확하지 않아 많은 혼란이 있었으나 사업시행자와 어업인은 서로 합의하여 어업보상 합의서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준으로 어업보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법원 판례는 이런 합의를 무시하고 관련법 해석을 잘못 적용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어업피해보상액 산정 과정 중 어업피해기간에 대한 문제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researches the problem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damage in the fishing industry. In practice, the period of damage in the fishing industry has had many problems. Even though interpretation of the compensation-related laws and regulations should be conducted reasonably, the business operator interprets the laws to his advantage. In addition, fishermen also interpret the laws to their advantage. Nevertheless, over the years, agreements have been made between the parties at the site of fishing compensation. Even if there has been confusion regarding the content of the law which is unclear, the business owner and the fishermen agreed to prepare a fishery compensation agreement in the end, and based on this, fishing compensation is made de facto. However, recent court precedents have ignored this agreement and in some parts, there has been incorrect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related laws.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problems related to the period of damage to fisheries during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damage to fishing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 KCI등재

        어업의 간접손실보상에 관한 연구

        김용춘(Yong-Choon Kim),박상희(Sang-Hee Park) 한국해사법학회 2012 해사법연구 Vol.24 No.1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연안해역 주변으로 수산동식물을 포획․ 채취하면서 생계를 유지해 나갈 수 있도록 어업인들에게 마을어업권 등을 설정해 주고 있다. 그러나 협소한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개발을 위하여 많은 연안 해역이 개발되고 있거나 개발 예정인 것으로 되어 있다. 특히 공유수면 매립 및 교량건설 사업 등 대규모 공익사업의 경우 사업시행지구 안의 어업인들의 어업피해뿐만 아니라 인근 주변의 어업인들에게도 많은 피해를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사업시행지구 밖의 어업인들의 어업피해에 대하여 사업시행자는 매우 소극적으로 접근하고 있어 인근의 어업인들과 많은 마찰과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이는 현행 어업의 간접손실보상에 관한 법제도가 비체계적이고 매우 추상적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행 어업의 간접손실보상에 대한 법제도상의 문제점을 검토하고 이러한 문제들이 현실에서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현행 어업의 간접손실보상에 대한 문제점을 검토한 후 제도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서 사업시행자가 원활한 공익사업을 수행하고 어업인이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re are three seas which touch Korea and the Korean government have established fishery right in village for fishermen in order for them to make their livings by fishing, catching and picking marine products at coast and in coastal waters. However, many coastal areas are being developed and have been scheduled to b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use of small territory. Especially, it is true that large scale public utility projects such as reclamation of public water surface and construction of bridges are damaging neighboring fishermen as well as the fishermen in the project areas. But the undertakers of the development project are making very negative approach to damages to fishery of the neighboring fishermen, which is causing much trouble and civil appeal. It is considered that such circumstances have been resulted from regulations in connection with compensation against indirect loss or damages to fishery, which provide unsystematically and very abstractly. Thus, I intend to review points of issue of the regulations in connection with compensation against indirect loss or damages to fishery and to examine various cases how such problems are being expressed realistically. In conculsion, I intend to present a device for improvement in the compensation regime with examining points of issue in current regulations in connection with compensation against indirect loss or damages to fishery, and hope which contribute in the undertakers' progressing smoothly public utility projects and for fair compensation to fishermen.

      • KCI등재

        공익사업에 따른 어업 손실보상액 산정방법과 문제점

        김용춘(Kim, Yong choon) 한국토지공법학회 2013 土地公法硏究 Vol.63 No.-

        1976년 경북 월성군의 원자력발전소가 건설되면서 주변해역의 1종 공동어업권에 대해 어업 피해 조사가 처음으로 실시된 이래, 최근까지 수백건의 어업보상 관련 조사가 수행되어 왔다. 또한 현재까지 어업 손실보상금으로 지급된 금액은 경상가격으로 약 1조원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용역비만 하여도 수백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러한 어업 손실보상금은 공익사업에 따른 것으로 사업주체가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국민의 세금으로 어업 손실보상금이 대부분 지급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보상금을 지급하는 사업시행자는 어업인들에게 지급되는 보상금이 과다하게 산정되어 지급되고 있다고 인식하는 반면 어업인들은 과소 보상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의 차이는 어업 손실보상액 산정방법의 문제점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In 1976, when construction of a nuclear power plant was completed in WolSung-Goon, Gyeongsangbuk-Do, fishery loss compensation investigations on the first class of common fishery rights in the nearby ocean have also began its progress and have reported that hundreds of investigations related to fishery loss compensation recently has been in progress.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 fishery loss compensations paid to fishermen in current price are more than one trillion Won. In addition, it was also estimated that the service costs will be up to multibillion Won. Since these fishery loss compensations are derived from public services, the main body of businesses generally are the nations or the local governments organization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fishery loss compensations are mostly paid by national taxes. But problems arise because business operators tend to believe fishery loss compensations are oversupplied to the fishermen while fishermen tend to believe the compensations are underpaid. These problems can be viewed to root from the calculation methods of fishery loss compensations. The basis law of the Republic of Korea about fishery loss compensations are regulated by individual laws in each public services, and are encountering numerous difficulties because they are abstract and unsystematic. But calculation method of fishery loss compensations are still regulated to follow fishery enforcement ordinance of la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