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철저함과 온건함’ (Severitas et Clementia) : 칼빈의 교회 권징(Church Discipline)의 두 원리와 교회론적 배경 연구

        김요섭(Kim, Yo-sep) 한국개혁신학회 2009 개혁논총 Vol.12 No.-

        This study examines the principles of John Calvin's idea of church discipline and the ecclesiological foundation of his principles. For Calvin, while the true doctrine is the "soul" of the church, discipline is "sinew" without which the whole body of the church cannot be maintained. It is his first principle that church discipline should be practiced strictly and rightly according to the ordination of God. Calvin himself proposed to establish the Consistory, an ecclesiastical court, when he returned to Geneva in 1541, and endeavored to enforce church discipline strictly according to the Word. Second, Calvin stresses that discipline should be executed with moderation. For Calvin, church discipline is not an eternal anathema of a sinner, and he does not attempt to build a theocracy by means of strict discipline in Geneva. Contrary to this, he considers church discipline as the provision of an opportunity for repenting one's misbehaviors and the prevention of the further contamination. Between the two principles of strictness and moderation, Calvin argues that the ultimate aim of church discipline is to serve to realize and expand Christ's Kingdom through the ministry of the church in an eschatological way. For Calvin, discipline does not aim to achieve perfect holiness of the church, because the visible church in this world cannot attain the perfection holiness until Christ comes again and judges the hypocrite in this church. Until that day, therefore, discipline ought not to be executed eternally and finally like the anathema of God. It is thus probable that Calvin does not include discipline in his external marks of the true church because of his eschatological idea of the holiness of the church. Compared to the two marks of the true church, the right preaching of the Word and the pure administration of sacraments, discipline cannot be regarded as the element of the esse of the church. However, Calvin also insists the importance of church discipline that the church cannot carry out its role of preaching and teaching the Word as the agent of Christ's Kingdom without order and correction through discipline. Calvin's two principles of strictness and moderation, and his idea of the church as the eschatological agent of the Kingdom of Christ are still useful for the present Korean church to maintain order and holiness by recovering the "reformed principle and practice" of church discipline.

      • KCI등재후보

        개선과 개혁: 에라스무스와 루터의 종교개혁 이해 비교

        김요섭(Kim, Yo Sep) 개혁신학회 2017 개혁논총 Vol.42 No.-

        기독교 인문주의는 여러 가지 면에서 종교개혁에 기여했고 16세기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문주의를 대표하는 에라스무스와 종교개혁을 대표하는 루터가 협력적 관계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1524년 에라스무스가 발표한『자유의지에 관하여』(De Libero Arbitrio, Diatribe seu Collatio)에 맞서 루터가 이듬해『노예의지에 관하여』(De Servo Arbitrio)를 발표하자 그들의 종교 개혁에 대한 이해 차이가 명확히 드러났다. 본 연구는 자유 의지와 관련한 에라스무스와 루터의 논쟁을 검토하여 두 신학자가 다르게 생각했던 종교 개혁에 대한 이해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두 신학자의 서로 다른 결론을 말 하게 된 상이한 성경관과 해석의 방법론을 비교한다. 이어서 자유 의지의 가능성에 대한 인간론의 쟁점들을 통해 그들이 그렸던 인간 구원의 지향점 임 무엇이었는지 살핀다. 이와 같은 성경관과 인간론의 비교는 두 사람이 가지고 있던 기독교“종교”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와 당시 기독교 신앙의 개혁의 목적이 무엇이었는지 분명히 보여준다. 두 신학자는 당시 로마 가톨릭이 보여주고 있는 신앙의 행태에 대해 비판하고 성경을 최고의 권위로 삼고 개혁의 대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동일했다. 그리고 성경의 핵심 주제를 예수 그리스도로 생각했다는 점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에라스무스는“그리스도 철학”(Philosophia Christi)의 이상을 따라 인간의 가능성에 대한 긍정을 바탕으로 공동체 전체의 조화 가운데 이루어지는 영적 변화를 추구했다. 에라스무스와 같은 기독교 인문주의자들에게 종교개혁은 선한 문서로서의 성경의 탐구와 그 도덕적 실천 프로그램의 평화스러운 도입을 통한 개인의 삶과 기독교 사회의 개선이었다. 이에 반해 루터는 그의“십자가 신학”(Theologia Crucis)이 대변하는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에서 성취된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에 대한 확신과 그 확신에 근거한 종교개혁을 추구했다. 그는 성경 전체가 이 구원 진리를 명확하게 가르친다고 주장하면서 구원을 위한 어떤 가능성도 인간에게 없다고 강조했다. 루터와 같은 종교개혁자들에게 종교개혁은 성경 전체가 명확히 증거하는 구원의 진리를 재확인함으로써 이에 따라 신자들의 삶과 기독교회 전체가 회복되는 근본적인 회복이었다. In sixteenth century, Christian humanism contributed the protestant reformation in many ways. Many contemporary people regarded Erasmus and Luther shared the same vision for the religious reformation. However Erasmus’ De Libero Arbitrio (1524) and Luther’s counter publication of De Servo Arbitrio in the next year made it clear that two theologians held different views. This study analyzes the debate on the free will between Erasmus and Luther in order to manifest the different ideas of the religious reformation between Christian humanism and the protestant reformation. In the first place, this study compares the different understandings of Scripture and hermeneutics from which Erasmus and Luther proposed the different ideas of the reformation. Their different anthropological ideas for God’s grace of salvation will be examined in the following chapter. These comparisons of the hermeneutic and the anthropological ideas of Erasmus and Luther show their different ideas of the Christian “religion” and the reformation of the sixteenth-century Christianity. Both Erasmus and Luther took the same position in criticizing the Roman Catholic religion and pursuing the reformation of the Christian religion under the supreme authority of Scripture. They also agreed that the foremost essential theme of the bible was Jesus Christ. Yet Erasmus, with the vision of “Philosophia Christi”, affirmed the capability of human efforts in order to realize the spiritual enhancement in the harmony of the ecclesiastical authority. Erasmus and other renaissance Christian humanists considered the religious reformation as the improvement of the spiritual life and the Christian society by meditating the ethical teachings of Scripture and introducing the practical program for moral progress in a peaceful manner. On the contrary, Luther understood the religious reformation from the soteriological perspective that emphasized the conviction of God’s grace for salvation in Christ’s redemptive works. He argued that the whole Scripture, teaching this truth, denied any human ability for their salvation. For Luther and other protestant reformers, therefore, the religious reformation was the fundamental recovery of the Christian life and the religious community by reaffirming the biblical truth of salvation declared in Scripture.

      • KCI등재

        그리스도와의 연합: 칼빈과 테레사의 기독교 영성에 대한 이해 비교 연구

        김요섭 ( Yo Sep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1 성경과신학 Vol.58 No.-

        본 연구는 16세기 종교개혁자들이 주장했던 기독교 신앙의 영적인 체계에 대한 설명을 대표적인 종교개혁자인 존 칼빈의 기독교 영성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6세기 가톨릭 영성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인 아빌라의 테레사의 『영혼의 성』에 나타난 "하나님과의 연합"(Union with God)의 개념을 존 칼빈의 『기독교 강요』 3권과 다른 저술들에 나타난 "그리스도와의 연합"(Union with Christ) 개념과 비교할 것이다. 신비적 연합이라는 개념은 중세 이래 기독교의 영적인 부분과 관련해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졌던 주제들 가운데 하였으며, 16세기 가톨릭 영성가들뿐 아니라 종교개혁자들에게도 이 신비적 연합의 개념은 그들의 기독교 영성에 대한 설명을 위한 중요한 기초였다. 이 연구를 통해 칼빈이 말하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두 가지 측면에서 종교개혁 신학의 중요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음이 밝혀질 것이다. 첫째,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인간의 노력이 요구되는 수도의 열매가 아니라 전적으로 값없이 주어지는 하나님의 은혜이다. 둘째,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신자들에게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구원의 확신과 역동성을 제공한다. 그리스도의 연합에 대한 칼빈의 이해는 아빌라의 테레사를 비롯한 가톨릭 영성가들의 입장과는 달리 오직 은혜로만 구원의 얻는다는 종교개혁의 신학과 일관되어 있다.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중심으로 한 칼빈의 기독교 영성에 대한 이해는 16세기 당시의 영적인 요구에 대응해 구원의 확실한 기초 위에서 역동적이며 실제적인 기독교 영성의 새로운 체계를 제시하려한 시도 가운데 하나였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sixteenth century European Reformers` understand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by analyzing John Calvin`s ideas of the mysticial union with Christ, focusing on his explanations in the 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 book III. For this purpose, this study will compare Calvin`s ideas of "union with Christ" with Teresa of Avila`s, one of the representatives of Roman Catholic spiritulalits in the sixteenth century, ideas of "union with God", which is presented in her Interior Castle. The concept of mystical union had been one of the most significant themes in the explanations of Christian spirituality since middle ages. In the Reformation period, not only the Roman Catholic spiritualists but also the Portestant Reformers took this concept as the central theme in their teachings of Christian spirituality. This study will show that Calvin`s ideas of union with Christ reflect the characteristic Reformation theology in two points. First, believers` spiritual life, which starts from their union with Christ does not result from human efforts, but it is the God`s gratuitous gift. Second, believers` can find the firmest foundation of their salvation as well as the ceaseless motif for their dynamic Christian life. These two points make it clear that Calvin`s understanding of Christian spirituality is consistent with his Reformation theology, sola gratia. Furthermore, Calvin`s teaching of spirituality can be regarded as the one of the important attempts to provide his generation with the dynamic and practical program of Christian spirituality.

      • KCI등재

        스코틀랜드 신앙고백 교회론의 구조적 특징과 신학적 의미 연구

        김요섭 ( Yo Sep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3 성경과신학 Vol.68 No.-

        스코틀랜드 신앙고백(Scottish Confession of Faith, 1560)은 최초로 개혁주의 신앙을 국가의 신앙을 선언한 문서이며 이후 다른 개혁파 교회들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출현한 신앙고백들에게 많은 영향을 준 문서로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본 논문의 목적은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에 나타난 교회론 조항들의 구조와 내용의 특징들을 분석하여 이 신앙고백이 보여주고 있는 개혁파 교회론의 신학적 요점을 밝히는 것이다. 본문에서는 우선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의 제정 과정, 저자, 그리고 자료 등 역사적 배경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앙고백의 전체 구조 가운데 교회론적 조항들이 차지하는 위치와 진술상의 특징을 분석한다. 그리고 교회의 정의, 교회의 표지, 교회의 제도라는세 가지 핵심적 교회론의 주제와 관련한 해석상의 쟁점과 관련하여 스코틀 랜드 신앙고백의 본문을 다른 관련된 자료들과 비교 분석하여 이 신앙고백이 강조하는 신학적 기초를 드러낸다. 그리고 이 분석들을 통해 발견할 수있는 결과는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이 취하는 삼위일체적이며 동시에 구속사적 구조가 당시 종교개혁의 상황에서 교회론적 쟁점들을 대한 개혁주의의 요점을 효과를 진술하는데 기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은 교회론의 쟁점들과 관련하여 그리스도께서 교회의 “유일한 머리”이시라는 신학적 원리를 일관되게 주장하면서 이 교회론적 원리 위에서 그리스도의 통치를 실질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교회 정의와 개혁적 제도를 제안하고 있다는 점이다. 스코틀랜드 신앙고백이 강조하는 교회론적 원리와 개혁의 지향점은 이후 스코틀랜드 장로교회 발전의 원리와 목적이 되었을 뿐 아니라 이후 각 지역의 개혁파 교회가 발전하는 과정에서도 끊임없이 기억하고 추구해야 할 교회론적 가치였다. The Scottish Confession of Faith (1560) has historical importance as the document by which Scotland was declared as the first state of the reformed faith in Christian history. This confession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for the development of reformed churches in the other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theological focal points of reformed ecclesiology by examining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s of ecclesiological articles in this Confess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reviews historical backgrounds, such as the process of composition and approval, the authors, and the possible sources of this confession. After this review, position and features of presentation of the ecclesiological articles in this confession are examined. This examination is the comparative investigation on the three ecclesiological themes: definition, marks of the church, and institution of the church. This investigation aims to point out theological principle of the Scottish Confession of Faith and tries to find answers to the questions concerning how to interpret ecclesiological ideas in this confession. It is argued as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that the Scottish confession of Faith takes a trinitarian structure and a salvation history structure in harmony, and this dual structure serves to defend the reformed ideas of the church in the context of 16th century religious reformation. It is also argued that this confession consistently emphasizes the principle of “Christ as the sole head of the Church” throughout its articles, and it proposes the definition and the institution of the church with the intention of reformation to realize Christ`s rule over the church. As the conclusive evaluation, it is noted that this theological principle and the ultimate goal of church reformation in the Scottish Confession of Faith became an essential ecclesiological value not only for the Scottish reformed church, but also for the development of the entire reformed churches afterwards.

      • KCI등재후보

        도르트 신조의 역사적 배경과 개혁주의적 교회론 연구

        김요섭 ( Yo Sep Kim ) 개혁신학회 2014 개혁논총 Vol.30 No.-

        본 연구의 목적은 17세기 네덜란드 개혁파 교회의 일치를 위해 각국의 개혁파 지도자들이 제정한 도르트 신조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개혁주의적 교회론의 특징과 그 의의를 밝히는 것이다. 물론 도르트 신조는 당시 알미니우스로부터 시작된 예정론 논쟁에 관련된 신학적 논의에 집중했기 때문에 교회론을 비롯한 다른 신학적 주제들을 상세히 다루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르트 신조의 각 조항들은 교회에 대한 개혁주의적 이해를 전제로 삼아 진술되고 있는데 이는 도르트 회의가 당시 네덜란드 개혁 교회 내에서 발생한 분열 문제의 해결이라는 교회론적인 목적을 위해 소집되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도르트신조가 전제하는 개혁주의적 교회론의 특징을 밝히기 위해 먼저 도르트 회의의 역사적 배경을 검토한다. 그리고 이 검토를 바탕으로 도르트 신조의 교회론적 의미를 설명한 후, 신조의 각 해당 조항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일관된 개혁주의적 특징들을 분석한다. 그리고 이 분석의 결론으로 도르트 신조에서 발견할수 있는 보편적인 개혁주의 교회론의 가치와 의미를 평가한다. 도르트 신조가 보여주는 개혁주의 교회론의 강조점은 하나님의 영원한 선택 위에 세워진 영적인 교회의 영속성과 완성의 약속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진정한 위로와 소망이며, 그리고 이 구원의 완성을 향한 종말론적 과정에서 하나님께서 제정하신교회 사역들의 중요성과 그 교회 안에서의 일치의 중요성이다. 도르트 신조는이처럼 추상적인 논의에 그칠 수 있는 하나님의 예정에 대한 신학적 진술을 도리어 가장 어려운 고난의 상황 속에서 사역하는 교회의 현장에서 함께 재확인하고 선포해야 할 살아있는 진리로 인식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e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reformed ecclesiology in the Canons of Dort. The Canons of Dort, enacted by the leaders from many reformed churches in the sixteenth-century Europe, does not deal with every detail of all theological loci. This document is a “Canon” which mainly intend to offer a theological standard for the controversial issues. However, the Canons of Dort had to presuppose ecclesiological ideas in its articles because the Synod of Dort was convened and formulated this Canons for unity of the Dutch Reformed Church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church reform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investigates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Synod of Dort, 1618-1619, and then examines ecclesiological statements in each related article. As a conclusion of this examination, this study discusses practical significances of the universal reformed ecclesiology which are manifested in the Canons of Dort. It is argu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reformed ecclesiological in this Canons are genuine comfort and hope only in God``s eternal promise of preservation and progress of His church on the ground of His will of predestination. It will also be argued that the Canons also secures the necessity of church ministries and importance of church unity for God``s work for the eschatological progress of His people toward the final perfection. Confirming those focal points of reformed ecclesiology, the Canons of Dort tried to make the abstract doctrine of predestination a living truth, which should be confessed and proclaimed in the ministerial field.

      • KCI등재후보

        벨기에 신앙고백의 역사적 배경과 개혁주의 교회론의 특징 연구

        김요섭 ( Yo Sep Kim ) 개혁신학회 2013 개혁논총 Vol.25 No.-

        1561년 저지대 지방에서 드 브레가 저술한 벨기에 신앙고백(Confessio Belgica)은 개혁주의 교회론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는 벨기에 신앙고백 가운데 교회론을 다루는 장들의 내용을 그 역사적 배경과 함께 분석하여 이 신앙고백이 보여주는 개혁주의의 일관된 교회 이해와 더불어 이 신앙고백이 갖는 발전적 특징들을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벨기에 신앙고백에 저술된 16세기 저지대 지방 개혁주의 교회의 상황과 저자인 드 브레의 삶과 신학적 배경, 그리고 이 신앙고백의 직접적 자료들을 검토한다. 이어 벨기에 신앙고백의 28장부터 32장까지 나타난 교회의 정의, 교회의 표지, 교회의 제도라는 세 가지 주제를 갈리아 신앙고백과 베자의 신앙고백의 관련 조항들을 비교하여 이 신앙고백에 나타난 개혁주의 교회론의 일관성과 발전성을 드러내려고 한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구원의 은혜로부터 교회를 정의하고, 하나님의 말씀의 바른 선포라는 사명을 중심으로 참 교회의 표지를 이해하며, 그리스도의 머리이심이라는 원리로부터 교회의 제도를 세우려 한 점이 벨기에 신앙고백이 가지고 있는 일관된 개혁주의 교회론의 강조점들이다. 벨기에 신앙고백은 그 발전적인 특징으로서 교회의 정의나 제도를 설명할 때 기존의 자료들을 사용하면서도 체계적으로 발전시킨 신학적 진술을 사용한다. 또 권징의 시행을 참 교회의 표지에 명시하여 그리스도의 통치를 교회 가운데 실질적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개혁주의의 적극적인 교회론을 보여준다. 벨기에 신앙고백의 교회론이 보여주는 이와 같은 개혁주의적 일관성과 발전적 특징들은 새로운 시대적 과제를 맞이하면서 개혁주의 교회론의 가치를 지키고자 하는 한국 개혁주의교회가 기억해야 할 가치 있는 역사적 유산이다. The Belgic Confession, which was written by Guido de Bres in 1561, has been one of the important sources to understand the ecclesiology of the sixteenth-century reformed church in the Low Coun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nifest both consistent reformed ideas of the church and developing characteristics of the Belgic Confession by analysing the ecclesiological articles in this confession together with its historical background. For this purpos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Reformed church in the sixteenth-century Low Countries, de Bres` life and theology, and the direct sources of the Belgic Confession will be reviewed. Then 5 articles from 28 to32 of this confession will be examined in comparison with the Gallican Confession (1559) and Beza`s Confession of Faith (1560). This comparative examination aims to show the consistent and developing characters of the Belgic Confession in three main ecclsiological themes: definition, marks and government of the church. On the one hand, the Belgic Confession maintains consistent reformed ecclesiological foci in these themes. They are to define the church on the basis of the salvation grace of the triune God, to signify the marks of the true church according to its ministry of proper teaching of God`s word, and to establish church government from the theological principle of Christ`s sole headship. On the other hand, the Belgic Confession has developing features in presenting a more theologically systematized articles about definition and government of the church. Furthermore, this confession includes ecclesiastical discipline in three marks of the true church to reflect the positive aspect of the reformed ecclesiology that endeavors to realize Christ`s rule in the church. Such consistent and developing features of the reformed ecclesiology manifested in the Belgic Confession are both important heritage from which the Korea reformed church can learn how to face various challenges in this time while keep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the reformed idea of the church.

      • KCI등재

        참 경건에 대한 칼빈의 이해와 실천

        김요섭(Yo Sep Kim)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0 갱신과 부흥 Vol.25 No.-

        칼빈은 종교개혁자로서 중세 말 로마 가톨릭의 종교 체계를 불경건이라고 비판하고 성경에 근거한 기독교의 참 경건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칼빈의 참 경건의 이해와 그 실현을 위한 시도 모두가 공동체적인 측면에서 제시되었으며 율법의 규범적 기준을 따라 추구되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칼빈이 그가 견지한 적극적이며 실천적인 율법의 제3용도에 대한 이해로부터 참된 경건의 개념을 주장했을 뿐 아니라 율법의 규범을 일반적 기준으로 삼아 경건의 공동체적 구현을 추구했음을 논증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장 먼저 칼빈이 당시 로마 가톨릭의 불경건을 비판하면서 제시한 기독교 신앙의 참 경건의 개념과 그 원리를 검토할 것이다. 그 후 참 경건의 표현의 현장인 예배와 경건의 훈련의 장인 그리스도인의 공동체적 삶에 대해 칼빈이 어떤 실천적 제안을 제시했는지 검토할 것이다. 결론에서는 칼빈의 경건이해와 실천의 노력이 오늘날 교회를 위해 가질 수 있는 현대적 의의를 간략하게 제안할 것이다. 칼빈은 로마 가톨릭이 만들어 놓은 외형중심의경건 체계의 오류를 비판하고 참 경건은 하나님의 사랑에 대한 깨달음에 의한 내면적 변화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칼빈은 참 경건이 공동체적 실천으로 나타나야 하며 율법이 대표하는 성경의 가르침에 따라 지속적으로 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1세기 한국 교회의 상황 속에서도 칼빈의 경건 이해와 그 실천을 위한 시도들은 의미 있는 역사적 교훈을 던져준다. 특히 그가 강조한 참 경건의 공동체적인 성격과, 경건의 구체적 실천에 있어 율법의 가르침을 신적 규범으로 삼은 해석은 특정한 시대와 지역을 차이를 넘어서 성경의 권위를 존중하는 모든 기독교 공동체에게 보편적이며 유효한 경건 추구의 교훈을 제공한다. As a protestant reformer, John Calvin criticized the Roman Catholic religious system as impiety, and endeavored to recover the true piety from the biblical point of view. This paper aims to argue that Calvin’s idea of true piety and his practical proposal of piety are presented with the universal and definitive standard of God’s Words for the Christian community. In particular, it is argued that Calvin’s positive and covenantal interpretation of the third use of the law is an essential foundation upon which he suggested the right meaning of true piety and pursued its realization in Christian lif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Calvin’s idea of true piety and its principles, which are contrasted with wrong teaching and practice of the Roman Catholic impiety. After this review, this study deals with Calvin’s suggestions of reforming worship service and Christian life, For Calvin, worship service is the expressive field of true piety, and Christian life is the disciplinal field of piety. In conclusion, significance of Calvin’s idea and practice of true piety for the Christian communities today is briefly mentioned. Criticizing the errors of the Roman Catholic rituals and teachings of Christian life, Calvin consistently argued that true piety had to start with the inner change which arises from the recognition of God’s sincere love. However, he never forget to emphasize that true piety should be manifested in the communal dimension and continuously exercised faithful to the God’s commandment. His emphasis on the communal character of piety,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as the divine standard of practicing piety provide a general and effective lesson for every Christian community which has a high sense of the authority of scripture.

      • KCI등재후보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김요섭(Kim, Yo-Sep) 개혁신학회 2010 개혁논총 Vol.15 N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alvin's interpretation of the biblical metaphor of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in order to explain how his interpretation provides theological foundation of his practical proposal of the reformation of the ecclesiastical government. Calvin argues that the biblical metaphor of "the body of Christ" teaches the spiritual identity of the invisible church. He then emphasizes three important ecclesiological points in this metaphor: Christ's headship, communication of the diverse gifts, and mutual love among members. These three points, furthermore, are theological foundations of Calvin's proposal of the reformation of the visible church government. This reflects Calvin's ecclesiological conviction that the spiritual characteristics of the invisible church should be the standards of the continuous reformation of the visible church. The headship of Christ, the first ecclesiological point of Calvin's interpretation of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is the theological foundation upon which he rejects the papacy of the Roman Church and proposes the new idea of pastors. In particular, Calvin suggests the multistaged election of pastors, including the consent of the congregation, because he thinks this methods as the most suitable method to realize Christ's sole headship in the ecclesiastical government. The second point of communication of diverse gifts is the theological foundation for Calvin to refute the hierarchical system of Roman Church and propose the fourfold office as the new ecclesiastical government. The ecclesiastical offices should be determined and understood not by the status of the members, but by Gods' inner calling which can be testified by the proper gifts. Calvin finds the third point of mutual love as the theological foundation of his idea that social welfare is one of the essential roles of the church. For this idea Calvin tried to recover the office of deacons and suggest the various ministries of pastoral care. If the reformed theology believes that the church should continuously be reformed according to the Word of God, Calvin's theological standards of the church as "the body of Christ" still have meanings for the present Korean Church.

      • KCI등재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교회 정의와 그 역사적 의의

        김요섭 ( Yo Sep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3 한국개혁신학 Vol.40 No.-

        본 논문의 목적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25장의 교회 정의에 대한 진술들을 분석해 이 신앙고백이 보여주는 역사적 상황을 반영한 진술의 특징과 더불어 이 신앙고백이 견지하는 일관된 개혁주의 교회론의 신학적 요점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먼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역사적 배경과 교회론과 관련한 논의의 전개 과정, 그리고 이 신앙고백에 사용된 자료들에 대해 다룬다. 3장은 이런 역사적 배경 위에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25장이 교회를 정의할 때 시대적인 상황으로부터 나타난 두 가지 특징적인 진술들을 분석한다. 그것은 가시적 교회의 보편성을 명시한 것과 교회의 표지를 교회의 순수성에 대한 평가적 표지라고 진술한 점이다. 4장에서는 진술상의 특징과 관련해 칼빈과 이후 개혁파 신앙고백들을 비교 분석하여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이 견지한 두 가지 개혁주의적 교회론으로서의 신학적 요점을 규명한다. 이 두 가지 신학적 요점은 하나님의 주권 아래 유지되는 교회의 영속성에 대한 확신과 교회의 머리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절대적 주권을 교회 안에서 구현하려는 헌신이다. 개혁파 교회는 그 교회가 처해 있는 독특한 시대적 상황에 맞추어 그들의 신앙을 진술하여 채택해 왔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교회 정의 역시 이런 다양성을 잘 보여준다. 그러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은 이전의 개혁파 신앙고백들과 함께 교회 안의 인간적 요소들이 갖는 한계를 강조함으로써 교회를 세우시고 사용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강조하고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통치를 구현하려는 일관된 신학적 요점들을 포기하지 않고 고백해 왔다.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definition of the Church which are resulted from the historical situation, and the consistent theological points of reformed ecclesiological in chapter 25 of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deals with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Westminster Assembly, the process of discussion concerning church government in this Assembly, and the sources of the Confession. After this background review, two characteristic statements in the definition of the Church in 25 chapter of the Westminster Confession are analysed: the Catholicity of the visible Church, and the description of the evaluative marks of the purity of the Church. In the next part, the paper examines two consistent theological points in the definition of the Church Westminster Confession by comparing it with the other reformed confessions: assurance of the permanence of the Church in the sovereign grace of God, and commitment to realize the authority of Christ, the sole head of the Church, in church government. Reformed churches have written and established their own confessions according to their specific historical situations. Definition of the Church in the Westminster Confession also shares this features of variety in the reformed tradition. However, the Westminster Confession never fails to confess the consistent focal points of reformed ecclesiology. These theological points are everlasting grace of God for His Church, and absolute authority of Christ, the head of the Church. Reformed confessions have stressed these points with the idea of weakness of human elements in the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