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뒤샹의 사차원에 대한 고찰_2

        김예경(Yea Gyung KIM) 프랑스학회 2018 프랑스학연구 Vol.0 No.85

        Cet article est une recherche suivie de l’ Étude sur la quatrième dimension de Duchamp_1 de l’auteur. Concernant la quatrième dimension de Duchamp, au moins quatre personnes ont été discutés comme clés : le mathématicien et le physicien Henri Poincaré, les géomètres Pascale Jouffret et Maurice Princet, et l écrivain de science-fiction Gaston de Pawlowski. Si l’étude antérieure se penche sur l influence de la philosophie de la science de Poincaré, cet article traite de l influence de Pawlowski, notamment celle de son roman de science-fiction le Voyage au pays de la quatrième dimension(1912) au grand oeuvre de Duchamp le <Grand verre>(1915-1923). Au sujet de l’enquête de la géométrie non-euclidienne et des quatrième dimensions de Duchamp, le <Grand verre> sera exemplaire. Malgré l’influence de Pawlowski, qui est fait mention par Duchamp lui-même, celle-ci est peu connu sans raison convenable, et n’est étudiée que par rare chercheurs français. A notre grand regret, ceci a longtemps voilé l’importance de l’ifluence de Pawlowski. Cet article étudie donc ce sujet, pour étudier e rapport étroit de deux personnes ou de deux oeuvres, le Voyage au pays de la quatrième dimension et le <Grand verre>. Pour cette étude, l’article se concentre sur la question comme suivante: quelle est la conception de la quatrième dimension de Pawlowski, et comment elle influence Duchamp à l’établissement de l’idée de la quatrième dimension. Et concernant l’examen de l’idée de ce dernier la « Mariée », mise à la deuxième étage de « Grand verre », et le livre Notes seront nos références principales. Duchamp, en préparent et en développant le « Grand verre », a laissé ses notes de réflexion puis les a insérées dans « La boîte verte » fabriquée en 1934. Et ces notes - contenant les écrits importants sur son voyage en voiture entre Jura-Paris en 1912 dans lesquelles se trouve l’histoire ‘des cinq nus’ et ‘l’enfant-phare’ et devenant ainsi un des éléments principaux de l’analyse - nous aideront à dévoiler le mystère de l’origine de « Grand verre » et à expliquer les idées fondamentales de la quatrième dimension de Duchamp. L’étude de ces données nous permettrons à rétablir la relation étroite de Pawlowski et Duchamp, et aussi à voir le principe spirituel et libérateur de la quatrième dimension.

      • KCI등재

        『프랑켄슈타인』, 숭고와 그로테스크

        김예경 ( Kim Yea-gyung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2 No.-

        본 논문은 고딕소설이자 낭만주의 소설인 『프랑켄슈타인』(1818)에 ‘숭고’가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한다. 숭고에 대해서는 『판단력 비판』에 담긴 칸트의 숭고에 대한 이론을 활용하고자 한다. 버크의 『숭고와 미의 관념적 기원에 관한 철학적 탐구』는 우리의 논의를 도울 것이다. 칸트는 숭고를 ‘수학적 숭고’와 ‘역학적 숭고’의 두 큰 축으로 다루고자 했으며, 본 연구는 특히 수학적 숭고를 중심으로 프랑켄슈타인이 창조한 무명(無名)의 ‘괴물’과 숭고의 문제를 질문한다. 한편, 칸트는 수학적 숭고에서 ‘거대한(colossal) 것’과 ‘괴대한(monstrous, 怪大) 것’을 구분하여, 괴대한 것을 숭고의 영역에서 제외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프랑켄슈타인의 괴물과 관련해 우리를 당혹스럽게 한다. 칸트의 이러한 구분에 대하여, 숭고를 연구하는 여러 학자 또한 문제의식을 제기하게도 되었다.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은 칸트가 제기한 문제의 중심에 있다. 그가 창조한 익명의 피조물은 괴물일 뿐만 아니라, 거대하며 또한 그로테스크하기 때문이다. 죽은 수많은 ‘타자’들의 신체를 조합하여 얻어진 일종의 혼종의 신체이자 고색창연한 신생아. 괴물의 신체에 혼종의 ‘폐허’가 내재함은 필연적이다. 이 괴물의 신체가 담고 있는 미학적인 문제와 새로운 신체성(혼종성, 파편성 등)은 근대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한다. The interest of this study is to see how the idea of the ‘sublime’ appears in the Gothic novel Frankenstein. For the theory of the sublime, this article use Kant's sublime theory in the Critique of Judgment. Burke's A Philosophical Enquiry into The Origin of our Ideas of the Sub lime and Beautiful will help our discussion. Kant wanted to treat the sublime as two major axes of “mathematical sublime” and “dynamic sublime”, and the ‘monster’ of Frankenstein reveals various aspects of mathematical sublime in particular. Kant, on the other hand, distinguishes between “colossal” and “monstrous” in mathematical sublime and excluded the ‘monstrous’ from the sublime. This is a frustrating thing about the Frankenstein’s monster. Therefore, scholars studying the sublime formed a common problematic centering on this problem, and the monster of Frankenstein seems to be going against Kant's sublime. On the other hand, the aspect of the grotesque which dominates the body of the monster presents the modern vision of the body. A hybrid body and a newborn in ruins, the monster carved in its body the ruins(collapse, disappearance, demolition, fragmentation, death), and the ruins are inevitable for a new birth. The monster's body with its trace of decomposition and hybridity functions like a question posed toward the modern body. And the question remains still valid.

      • KCI등재

        보는 것과 만지는 것

        김예경 ( Yea Gyung Kim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4 No.-

        본 논문에선 고대 그리스에서 근대 17세기에 형성된 시각과 촉각에 대한 이론들을 특정한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고대 그리스의 시각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고대의 ‘시각 광선’에 대한 생각, 13세기 이븐 알-헤이탐의 시각 이론의 도입에 의한 고대 시각 광선 이론의 필연적 전환을 본다. 그리고 그에 따른 데카르트에 의한 근대 시각론의 형성을 살펴본다. 특히 <굴절광학>에서 나타난 데카르트의 근대적 시각 이론의 구상이 어떻게 전통과의 결렬을 불러일으키며, 그 과정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촉각의 문제가 개입되는지를 본다. 이어서 본 논문은 데카르트의 이해와는 대조적인 중세 신비주의자들의 촉각에 대한 입장을 불러옴으로써, 중세와 근대 간에 형성된 시각의 문제 그리고 촉각을 둘러싸고 형성된 두 개의 상대적 이해를 조명해보고자 한다. Cet article concerne une etude des theories de la vision et du toucher. Pour cela nous approchons d’abord a la theorie du ‘rayon visuel’ antique puis a l’optique de Ibn al-Haytham, ainsi qu’a la theorie mordern de la vision chez Descartes formee en reference a cette derniere. Et avec Descartes nous essayons de voir, a l’aide de <La Dioptrique>, comment s’operer le processus de la separation avec l’idee traditionelle de la vision, et aussi comments’introduire l’experience du toucher au sein de sa theorie de la vision. Puis on va introduire le sens du toucher chez certains mystiques du moyen age, afin de le voir parallement ou de pouvoir comparer avec celui de Descartes. Tout ceci ayant pour but de voir le rapport etroit entre la theorie de la vision et du toucher dans un certain context, et la differente approche a propos du toucher.

      • KCI등재

        그로테스크의 미학 - 영화 <조커>와 ‘검은 웃음’의 문제

        김예경 ( Kim Yea-gyung ) 한국기호학회 2020 기호학연구 Vol.62 No.-

        본 논문은 토드 필립스(Todd Phillips) 감독의 2019년도 <조커>에 나타난 ‘검은 웃음(le rire noir)’을 미학적 관점에서 탐구한다. 감독 필립스의 <조커>는 낭만주의 계열의 독일 감독 폴 레니(Paul Leni)가 만든 흑백의 무성영화인 < 웃는 남자(The man who laughs) >(1928)에서 직접 영감을 얻었고, 이 영화는 빅토르 위고의 소설 『웃는 남자(L’homme qui rit)』(1869)를 영화화한 것이다. 이것은 <조커>의 탄생이 위고의 소설 및 낭만주의 미학에 근본적으로 빚지고 있음을 말한다. 『웃는 남자』는 위고가 전 문학을 통해 탐구해온 그로테스크 미학을 가장 심도 있게 담아낸 소설이다. 그리고 <조커>는 희극과 비극, 웃음과 잔인함 내지는 공포, 고귀한 것과 낮고 버려진 것 등, 상반된 것의 단단한 엮임, 강렬한 신체성, 광대, 광장의 축제를 표출하면서 그로테스크 미학을 명료히 표방한다. 위고의 본격적인 그로테스크 이론이 담긴 것은 낭만주의 미학의 선언서인 『크롬웰』(Cromwell)(1827)의 <서문>이다. 이 <서문>에는 위고의 새로운 ‘희극 형식’에 관한 근대적 논의가 담겨있다. 위고의 새로운 희극 이론은 ‘검은 웃음’으로 대변되며 소설 『웃는 남자』에서 가장 완숙한 형태를 발한다. 영화 <조커>는 이 ‘검은 웃음’에 관한 21세기의 탐구를 담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위고 그로테스크 이론의 핵심인 ‘검은 웃음’에 관한 탐구를 앞서 다루며, 이어 <조커>의 ‘검은 웃음’, ‘강요된 웃음’과 그것에 연결된 그로테스크한 신체의 문제를 다룬다. This article studies ‘le rire noir’(the black comedy) in Todd Phillips’ Joker (2019), from an aesthetic point of view. Joker was inspired directly by Paul Leni’s The Man Who Laughs (1928), which is founded on Victor Hugo’s novel L’homme qui rit (1869). This means that the birth of Joker is fundamentally based on Hugo’s novels and romantic aesthetics. L’homme qui rit is the most in-depth novel of the grotesque aesthetics that Hugo explored throughout literature. Joker clearly expresses the grotesque aesthetics by expressing the tight bindings of contradictory elements such as comedy and tragedy, laughter and cruelty, nobility and lowliness, etc., by including intense physicality, clowns, and carnivals. Hugo’s full-fledged grotesque theory is included in the preface of the play Cromwell (1827), that contains the discussions on Hugo’s new form of comedy: ‘le rire noir’, which climaxes in maturity in his L’homme qui rit. Joker is a 21<sup>st</sup> century quest for this ‘rire noir’. Thu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quest for ‘rire noir’, the core of Hugo’s grotesque theory, and then delves into Joker’s ‘forced laughter’ and the grotesque physicality of it.

      • KCI등재

        마르셀 뒤샹의 <큰 유리>와 기계에 대한 소론_1 - 뒤샹, 자리, 파브로프스키를 중심으로 본 그로테스크한 기계 인간

        김예경(Yea Gyung KIM) 프랑스학회 2018 프랑스학연구 Vol.0 No.87

        Cet article commence par discuter combien la ‘Roue de bicyclette’ de Duchamp est lié à la questions de la machine. Alors pourquoi le vélo? Les théoriciens ont longtemps négligé cette question vis-à-vis de cette oeuvre modest de Duchamp. Elle est d’ailleurs une oeuvre périphérieque du “Grand verre” et un objet clé qui relie les trois personages comme Duchamp, Jarry et Pawlowski. Au début du XXe siècle, ils sont tous préoccupés du vélos et ont partagé le même intérêt profond pour la vitesse et le dynamisme de la machine. Pour eux, la bicyclette était une machine favorable pour développer l’idée de ‘l’homme machine’. Alors cet article se mène à étudier d’abord l’idée de homme machine chez Alfred Jarry tel qu’elle apparraît dans le roman “Surmâle”, et cela nous permettra aussi à savoir celle de Duchamp exprimée surtout dans le <Grand Verre>. Pour cela un petit dessein de lui, “Avoir l’apprenti dans le soleil” viendra à l’aide, car ceci étant une oeuvre périphérique du “Grand Verre” relie de façon allusive “Surmâle” et “Grand Verre”. A l’intérieur de ce processus d’étude, l’article éxaminera aussi la question de la quatrième dimensions, et convoquera à nouveau Duchamp, Jarry et Pawlowski au tour de leur même préoccupation qui est la quatrième dimensions. Ce hyper-espace est aussi liée à la question de “l’homme machine” mais cette fois-ci elle est plus philosophique et idéale.

      • KCI등재

        그로테스크 미학 - 19세기 대중예술의 팬터마임과 파국의 피에로

        김예경 ( Kim Yea-gyung ) 한국기호학회 2021 기호학연구 Vol.68 No.-

        19세기의 부활 이후 근대 그로테스크에 관한 주요 논의는 대문학과 시각예술을 대상으로 해왔다. 이러한 학문적 관습은 특정 시기(특히 19세기 초)를 중심으로 주목해야만 할 대중적 팬터마임과 그로테스크와의 관계성을 쉽게 간과하도록 하였다. 이것은 우리 시대에 들어 연구 범위의 확장 필요성을 환기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19세기 초 혁명의 시대에 프랑스에서 부활한 전통의 팬터마임과 낭만적 피에로가 프랑스 문학계와 맺는 관계 및 근대 그로테스크 미학의 대전환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팬터마임에 관한 연구의 대상은 파리 퓌낭뷜극장(Theatre des Funambules)과 그 무대의 별 가스파르 드뷔로(Gaspard Debureau, 1796-1846)이다. 그의 전통적 피에로에 대한 재해석과 혁신은 그로테스크 미학을 지지하는 낭만주의와 상징주의 대문호들을 사로잡았다. 이 새로운 형상의 드뷔로/피에로는 부동의 차가운 감성(sang-froid)과 공포-희극이 결합한 공포스런 희극광대이자, 기존의 질서를 해체하고 파국을 연출하는 충격의 피에로이다. 논문은 드뷔로에 의한 피에로의 변형과 이 기이한 드뷔로/피에로가 어떻게 문학가들을 자극하며 이들의 수사학을 통해 근대 민중의 표상이자 “민중의 의식”으로까지 부상하는지, 또 어떻게 19세기 그로테스크 미학의 전환에 중요한 기폭제가 되는지를 해명한다. While the development of modern grotesque aesthetics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the discussion have been limited to its effects on literature and art. Unfortunately, this narrow focus has undermined the contribution of public pantomimes to grotesque aesthetics. Thus, this paper studies the Pierrot which was resurrected on the French pantomime stage in the early 19th century;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this so called romantic Pierrot on the grand literature and theoretical grandeur is studied in depth. The specific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star of the Paris Theatre des Funambules, the legend of modern pantomime: Jean B. Gaspard Deburau(1796-1846). During his time, the Pierrot of Deburau, through the fascination of contemporary romantists and symbolists, rose as the “Pierrot of the people”, or the “conscience du people.” This paper discusses how Deburau achieved such a status by radical reinterpreting the traditional Pierrot into the romantic Pierrot, a cold-blooded mixture of horror and laughter. Also discussed is the process which the romantic Pierrot, with a deconstructive and catastrophic power, brought grotesque aesthetics into a new phase.

      • KCI등재

        죤 케이지의 우연에 대한 소고

        김예경(KIM Yea-Gyung) 현대미술학회 2016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0 No.1

        본 논문은 케이지의 우연에 대한 문제를 다룬다. 이를 위해 케이지의 우연의 기법의 변화를 앞서 살피며 50년대 역경과 선불교를 접하며 생겨난 음악의 변화를 다루게 된다. 케이지의 음악의 중요한 전환기라 할 수 있는 1946-50년대에 일어난 미국에서의 D.T. 스즈키와의 만남과 역경의 발견, 이후 (선)불교와 무아(無我) 사상을 음악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부각된 우연성의 음악과 역경의 활용에 대한 문제는 본 논문 후반 부분의 주요 논의가 되겠다. 우연성의 음악을 위해 케이지가 고안한 역경의 활용법은 불교의 무아의 실천과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우연성을 위한 케이지의 역경의 활용 방식은 종종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비판적 시각에 대한 논의와 케이지의 입장과 태도들을 비교적으로 살펴본다.

      • KCI등재

        침묵의 변화, 존 케이지 감정의 표현과 비 표현 사이에서

        김예경 ( Kim Yea-gyung ) 한국기호학회 2017 기호학연구 Vol.50 No.-

        케이지의 음악에서 전후 46-51년의 시기는 매우 중요한 사유의 `전환`기이다. 이 시기 케이지는 힌두교 라사미학에 이어 불교철학의 영향을 바탕으로 침묵의 미학으로 나간다. 케이지의 침묵에 대한 초기 사유는 힌두교 사상의 영향으로 형성되며, 이후 그는 선불교를 접하면서 침묵의 사유를 보다 심화시켜 나아간다. 한편 라사 미학에서 선불교로의 사유의 축을 이동은, 케이지의 침묵의 미학에 변화를 불러오면서 내부적으로 하나의 단층을 만들어내게 된다. 이러한 침묵의 변화 내부에는 감성의 문제가 자리 잡고 있으며, 이 주제로 인해(감정의 표출인가, 감성의 비표출인가?) 케이지는 갈등을 겪게 된다.. 이것은 정서의 문제가 케이지의 침묵의 미학에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감정의 문제는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케이지의 연구에서 불모지로 남아 있다. 그와 더불어 침묵의 변화에 대한 문제 또한 기존 연구의 관심영역 밖에 머물러 있게 되었다. 본 본문은 힌두교사상에서 불교사상으로의 전환기에 생겨난 침묵의 감정의 문제를 탐구함으로써 케이지의 침묵에 대한 이해를 보다 선명히 하고자 한다. 1946-51 is a period of significant change of the music of John Cage and the formation of his aesthetics of the silence. During this period he was influenced by the Hindu aesthetics and then by Buddhist philosophy, both offering him the bases of his aesthetic of silence. But these two systems of thoughts do not come to him without causing intellectual difficulties, in fact Cage envisages a significant conflict between `expression or non-expression of feeling`. This eventually brings a kind of dislocation inside the evolution of its aesthetic silence. This article deals with this evolution (or transition) of silence as well as with the problem of feeling, especially in the period of the emergence of aesthetic of silence based on the hindu aesthetic of and Buddhist philosophy.

      • KCI등재

        〈골목안 풍경〉, 김기찬 소론-‘이야기꾼’으로서 사진가-

        조일수(Cho, Il-soo),김예경(Kim, Yea-gyung) 동서미술문화학회 2021 미술문화연구 Vol.21 No.21

        김기찬(1938~2005)의 작품 세계를 새롭게 접근하는 일은 여러모로 시의적절하고 또 필요한 일로 보인다. 예술계에선 〈골목안 풍경(The World of Alleys)〉(1968년~2001년에 걸친 장기 프로젝트)의 가치를 특별하게 여긴다. 문제의식이 동일하진 않을지라도, 우리 시대에 본격적으로 화두가 된 대도시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의 문제와 골목길의 점진적 상실 문제 등을 직시하며, 김기찬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는 근대화와 대도시의 문제를 예술적 화두로 삼았으며, "골목"을 작업의 대상으로 삼았다. 30년 장기 프로젝트로 진행된 그의 작업은 한국의 사진사 전체를 보아도 특별함을 지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기찬의 작업에 관한 학술적인 연구는 매우 부족하고, 그의 작업 중심축인 〈골목안 풍경〉의 사진 미학에 대한 탐구는 더욱이 그러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의 〈골목안 풍경〉을 연구하며 작가론과 작품론 구축을 위한 일차적인 탐구를 진행한다. 중점을 두는 부분은 한편으론 ‘사진가-이야기꾼’으로서의 김기찬이며, 다른 한편으론 ‘김기찬-이야기꾼’이 전하는 골목 안의 유희적이고, 변신 가능하며, 축제적인 삶에 관한 것이다. 전자는 벤야민의 ‘이야기꾼(storyteller)’을 토대로 접근하며, 후자에 관하여선 바흐친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grotesque realism)’을 토대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Photographer Kim Ki-chan stayed in the alley all his life and worked on it. The art society praised his perseverance in working for a long time and paid attention to the alley image where memories of the past were alive. However, research on Kim Ki-chan"s work itself is insufficient.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theoretically build the world of Kim Ki-chan"s artwork. This paper conducts basic research on his 〈The World of the Alleys〉 series. Kim Ki-chan"s work has a distinct point from other photographers in his working attitude and photographic image. By intensively exploring this part, he reveals the specificity and value of his work world. Two concepts were used as an interpretation framework for exploration. One is Walter Benjamin"s storyteller, and the other is Mikhail Bakhtin"s grotesque realism. Through interviews with Kim Ki-chan"s artist note, an attitude of rejecting the norms of ‘photographer-hunter’ is derived. He embodies a "photographer-storyteller" who inherits the oral tradition. The oral tradition imprints the attributes of grotesque realism such as polyphony, hybridity, and totality in 〈The World of the Alleys〉. Kim Ki-chan"s work is a story that is not exhausted and a world of totality.

      • KCI등재

        Wonderful Night, Merry Christmas! : 사적 카메라 그리고 침묵의 미학

        김예경 고려대학교 응용문화연구소 2010 에피스테메 Vol.- No.4

        This article concerns about the short film <Wonderful Nigh, Merry Christams !> (2004, 16'47) realized by Ieggi. It studies the later in relation with the underground film which comes into the world in earnest in sixty, or the personal films produced in America. The term ‘personal film' is used in two sens in its context: same as underground, film which tells personal life. This later in sixty took as base of its mind the early avant-garde movement. As anti-culture or counter-culture these avant-garde and underground movement raze in profound relation with the modernism. How the problem of the subject or individual in modernism has something with these new movements of art? Suzan Sontag says, in every time, it has to newly create the aim of spirituality suited for the time. In modernism, the desire of ‘new man' produced in cultural movement the desire of ‘new art'. What this later advocate against the established culture is ‘aesthetic of silence'. This study, as its first step, is given to the problem of subject and silence implicated in the underground film and finally in <Wonderful Night, Merry Christmas!>. 본 논문은 단편 영화 <Wonderful Nigh, Merry Christams!> (예기, 2004, 16'47)에 관한 것이며, 그것을 60년대에 본격적으로 탄생한 언더그라운드영화, 또는 미국을 중심으로 제작된 사적영화 personal film와의 관계 속에서 탐구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사적영화란 용어는 문맥에 따라 언더그라운드와 개인적 소사를 담은 영화라는 두 가지 의미로 쓰였다. 60년대의 사적 영화는 언더그라운드영화로서 앞선 전위예술운동을 정신적 기반으로 삼았다. 반문화 또는 저항문화로써의 이들 전후 전위예술운동, 언더그라운드는 모더니즘과 깊은 관계하여 일어난다. 모더니즘이 갖는 주체 또는 개체 indiviual문제는 이 새롭게 등장한 예술운동과 어떠한 관계를 맺는가? 수잔 손탁은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그 시대에 적합한 ‘정신성'의 목표를 새롭게 재창조해야 한다”고 말한다. 모더니즘 안에서의 ‘새로운 인간'에 관한 욕구는 문화운동에서의 ‘새로운 예술'에의 욕구 또한 낳았다. 이 새로운 예술이 제창하는 것은 기존의 예술에 관한 ‘침묵의 미학'이다. 본 논문은 언더그라운드를 통해,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Wonderful Night…>을 통해 드러나는 주체와 침묵의 문제를 탐구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