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슬픈 랩스타”: 머니 스웨거와 진정성의 맥락화

        김수아(Kim, Sooah),홍종윤(Hong, Jong-Yoon) 한국대중음악학회 2015 대중음악 Vol.- No.15

        이 글의 목적은 한국 사회의 맥락에서 힙합 음악의 머니 스웨거가 갖는 문화적 의미를 일리네어 레코즈의 음악과 그를 둘러싼 논란들을 통해 알아보 고자 하는 것이다. 이 글의 주요 분석 대상은 첫째는 일리네어 레코즈의 음악이 만들어내는 내러티브이며, 둘째는 힙합 플레이야 및 힙합 엘이와 같은 공개된 힙합 음악 취향 커뮤니티의 게시글과 리뷰에서 드러나는 힙합 소비층의 정서적 표현들이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머니 스웨거를 진정성과 접합시켜 이해하는 힙합 음악 소비층의 정서는 어떠한 특정을 갖는지를 드러내었다. 신자유주의의 심화 속에서 이미 불평등한 구조가 굳건한 현실에서, 대중문화 물에서라도 불평등한 위치에 있던 자가 성공하기를 바라는 이 정서는 한편으 로는 성공한 자가 소비를 통해 대중과 평등한 위치에 있지 않다는 것을 보이는 데에 대한 혐오와 동전의 양면처럼 붙어 있다. 일리네어 레코즈가 구성하는 내러티브는 이러한 한국 사회의 정서 구조 맥락 속에서 특정한 힙합 소비 층을 대상으로 하는 소구 지점을 만들고 있다고 파악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ltural significance of money swagger that hiphop music has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through the music of Illionaire Records and controversies around it. What are to be analyzed mainly here in this article are first, the narratives that Illionaire Records’ music produces, and second, the emotional expressions of hiphop consumers found in the posts and reviews of open communities oriented to hiphop music like HiphopPlaya or HiphopLE. Through this, the research has revealed how hiphop music consumers’ emotion is characterized by combining the money swagger with authenticity. In the reality that the unequal structure firmly exists already within deepened neo-liberalism, this emotion expects that those in the unequal position can succeed even in public culture. In the meantime, it is like a double-sided coin that also shows those successful are not at the equal status with the public through consumption. The narratives that Illionaire Records forms can be understood that they produce an appealing point for certain hiphop consumers within the context of the emotional structure in this Korean society.

      • 한국 힙합에 나타난 루저 남성성 담론과 여성 혐오: 블랙넛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아(Sooah Kim),홍종윤(Jong-Yoon Hong) 한국대중음악학회 2016 대중음악 Vol.- No.18

        이 글에서 필자들은 블랙넛의 가사를 통해, 한국 남성 청년의 남성성 구성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를 드러내고자 한다. 블랙넛은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스타는 아니지만, 힙합 장르 내에서는 특정한 한 수용층과 교감 하며 그 정서를 대변한다. 필자들은 블랙넛이 노래해온 곡들이 남성성을 어떻게 표현하고 또 구성해내는지를 살펴보는 한편, 수용층은 이를 어떻게 이해하며 받아들이는지를 고찰하였다. 경제 위기에 대응하는 주체들은 자학이나 혐오를 선택한다는 것이 현재 온라인 중심의 남성 청년 담론에 대한 진단이다.이러한 경향은 한국 힙합 가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며, 특히 블랙넛과 같이 자기 스스로를 찌질이, 루저로 정체화하는 래퍼들의 가사에서는 극적으로 표현된다. 진정성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매개로 하나의 단일한 헤게모니적 남성 성을 찬양하면서 그에 도달하기 위한 고통을, 그리고 그 고통의 잘못된 원인 으로 소수자를 지목하는 비-헤게모니적 남성성과, 돈과 여성을 자랑하는 헤게 모니적 남성성 사이의 대비가 존재하는 현재 한국 힙합의 남성성 표상은 사실상 동일 기준의 하나만이 존재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문제가 된다. This paper tries to reveal how the masculinity of male Korean youth is constructed though the analysis of Blacknut and his music. Blacknut is not a popular star but he communicates with certain consumers of hip-hop and represents their emotion and sentiment. This paper examines how the songs of Black Nut express and construct masculinity and how consumers understand and accept it. The fact that those who respond to economic crisis in these days choose self-torture or hatred is the diagnosis about the current discourse on online-centered male youth. This tendency appears similarly in the lyrics of Korean hip-hop and is expressed dramatically in the lyrics of rappers such as Blacknut, who identify himself as underdog or loser. In the current circumstances where there is a contrast between the non-hegemonic masculinity that admires a singular, hegemonic masculinity and points out the pain to gain that and the minority as the wrong cause of the pain and the hegemonic masculinity that boasts of money and women, the symbol of masculinity in Korean hip-hop has a problem in that it has only one identical standard.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셜 웹 시대 팬덤 문화의 변화

        김수아(Kim, Sooah)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1 No.1

        이 연구는 소셜 웹을 통한 문화 소비의 사례로 한국 대중 음악 팬덤 활동을 분석하였다. 또한 주로 여성 이용자가 소셜 웹을 통해 문화 소비와 관련된 담론을 생산하고 있다고 보았다. 이 연구는 소셜 웹을 통한 문화 소비가 어떠한 방식으로 생성되고 유통되는지, 그리고 그 문화적 특성은 무엇이며 기존의 커뮤니티 문화에서의 팬덤 활동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박재범의 팬덤을 사례로 진행한 본 연구에서, 팬덤의 소셜 미디어 활용은 기존의 팬덤 문화를 확장하고 사회적 기술을 신장시키는 데 있어 큰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또한 소셜 미디어 활용을 통해 기존의 팬덤 내 권력 관계를 해체하거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시도하는 등 기존의 미디어 산물을 넘어서는 디지털 문화의 실천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하지만 팬덤에 대한 논의는 팬들의 자발적 행위가 미디어 산업에 의해 재전유되는 과정이나 그 결과에 대한 주의깊은 해석이 필요하다. 소셜 미디어의 경우 산업이 직접적으로 이를 활용하기보다는 팬들의 자발적 생산에 의한 콘텐츠들을 재활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는 차이점이 있다. 이는 소셜 미디어가 미디어를 통한 소비를 용이하게 해주는 전파성과 트랜스미디어 링크 도구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되었다. This research regarded the fandom of Korean pop music as an example of cultural consumption through the social web. Female consumers formed the core group to produce a discourse of cultural consumpt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ways in which the cultural consumption is produced and distributed through the social web,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m, and the differences that distinguish them from the preexisting fandom activities of communities. A case study of musician Park Jaebum’s fandom revealed that the fandom’s use of social media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xpanding the pre-existing fandom culture and increasing their social functions. Furthermore, the use of social media dissolved the power structure within the pre-established fandom to a certain degree and transmedia storytelling surpassed the products of previous media to display practice of digital culture. However, a discussion of fandom requires a detailed interpretation of the re-appropriation process of voluntary acts of fans through the media industry and its results. The social media is different in that the industry does not utilize the twitter directly, but reuses the contents produced freely by the fan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social media such as the twitter has the ability to spread news quickly facilitating the consumption of media itself and has transmedia link tools.

      • KCI등재

        지식의 편향 구조와 혐오: 국내 위키 서비스 ‘여성혐오’ 논란을 중심으로

        김수아(Sooah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20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5 No.1

        이 연구는 국내 이용량이 많은 위키와 같은 집단지성 시스템이 여성혐오적 온라인 문화 속에서 특정한 형태로 지식을 생산하고 유통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것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대표적 위키 서비스인 ‘나무위키’에서 생산되는 페미니즘 관련 문서의 담론과 논증 구조를 분석하였다. 단순 귀납 논증에 의존하는 나무위키의 논증 방식, 양측 입장을 모두 게시하는 객관성을 강제하지 않는 시스템, 유머 표현으로 용인되는 주관적 서술에 기입된 안티-페미니즘적 시각 등을 통해 해당 사이트는 여성혐오적 온라인 문화를 정당화할 수 있는 근거를 구성하고 제시하고 있었다. 지식의 형태로 유통되는 해당 위키 서비스의 정보들은 어떤 경우 안티-페미니즘 주장을 강화하기 위한 반달리즘이나 편집 · 수정 전쟁을 통해 구성되기도 했다. 이러한 지식 구성 방식은 해당 서비스에서는 페미니즘 영역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만, 정치적 올바름 관련 논의나 하위문화에서의 특정한 담론 관련해서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정치적 올바름과 혐오차별의 논리에 위키 서비스는 어떤 역할을 하게 되는지, 그리고 자유로운 편집이 가능한 집단지성 형태의 지식 구성은 어떤 지식의 문제를 제기하는지 등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collective intelligence systems such as wiki which are actively serviced in Korea come to have a structure of producing and confirming knowledge in a particular from within misogynic online culture. To address the goal, this author analyzed the structure of demonstration and discourse found in feminism-related documents produced by ‘namu wiki’, one of the representative wiki services in Korea. Through the method of demonstration employed by namu wiki relying on simple inductive demonstration, refusal of the objective perspective, or anti-feministic viewpoint included in subjective statements accepted as humorous expressions, the website has been forming and presenting the grounds to justify misogynic online culture. Either vandalism or battles for edition and correction did occur at times in order to solidify anti-feministic insistence. This is the most distinctly shown in the area of feminism, but regarding political righteousness or particular discourse within subculture, similar phenomena take place sometimes. This study here aims to discuss what roles wiki service plays in Korean society concerning political righteousness or the logic of hatred and discrimination and also what problems of knowledge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in the form of collective intelligence can possibly create.

      • KCI등재

        홍대 공간의 문화적 의미 변화

        김수아(Sooah Kim)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5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0 No.4

        이 연구는 ‘홍대앞’에 대한 사회적 담론과 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해당 공간에 대해 현재와 같은 문화적 의미가 구성된 과정과 그 내용을 이용자들의 기억을 통해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이를 위해 총 16명의 다양한 홍대 문화 공간 이용자들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분석 결과, 이들은 1990년대를 생산의 시기로 기억하고, 홍대의 인디 문화가 자생적으로 발생하던 공간으로 개념화하고 있었다. 또한 소비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냈고, 이는 ‘관광자’ 즉 어떤 공간을 점유하여 잘나가는 사람이라는 정체성을 획득하기 위해 소비를 하는 사람들에 대한 반감으로 나타 났다. 임대료 상승에 대한 불만은 예술가의 문화 공간 구성의 가치가 퇴색된다는 것에 근거를 두고 있었다. 또한 2000년대 이후 홍대 공간의 문화가 여성적, 낮의 문화로 변모하는 것 같다는 진단을 내리고 있었다. 앞으로도 홍대 앞 및 다양한 공간의 변화와 관련하여 문화적 실천을 수행하는 사람들의 목소리가 어떻게 대표되고 들리게 되는가에 대한 학술적 기록과 질문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다. This study aims at describing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current cultural meaning of the ‘Hongdae’ has formed through the memories of those who have used the area and the place, based on relevant social discussions and research.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6 people who have used the ‘Hongdae’ cultural place in various ways.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y remember the 1990s as a time of production and they conceptualized the ‘Hongdae’ as a place where indie culture naturally grew. Resistance of consumption culture emerged, and this was displayed as animosity towards ‘tourists’, in other words, people who consume to occupy a certain space and to acquire fake identities as people who are successful. Discontent towards increases in rental fees were based on arguments that it can lead to devalue cultural meaning for artists. Also, they argue that the culture of the ‘Hongdae’ was transforming into a feminine day culture after the year 2000. In the future, more academic research and inquiries will be needed, into how the voices of those who are carrying out cultural practices are being represented regarding changes in various spaces including ‘Hongdae’

      • KCI등재

        가상현실 상담치료의 출력장치별 특성과 국내현황

        김수아 ( Sooah Kim ),주종우 ( Joo Jongwoo ) 현대사진영상학회 2018 현대사진영상학회논문집 Vol.21 No.2

        Virtual reality is one of the best technologies that will lead our lives in the future, and is the technology with the greatest ripple effect at present. These technologies are now used for various purposes in many parts of the world. It is also used in the field of counseling therapy. The reason it is used here is that the client is easy to engage with the content and can easily reveal the inside of the client. Also, depending on how you run a virtual reality consulting system, maintenance costs are also very low. For example, by modularizing content and rearranging the content to make various edits to the content, you can save a lot of money and create the program that is most suitable for you. Proper content creation must precede this. Image professionals should participate in content creation for these tasks. If you know the current technology, how to use various output devices, and the current state of psychotherapy using domestic virtual reality, you will be able to make great contents and use it for counseling treatment. The development of diverse and appropriate contents will be the best way for futur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therapy and it will be an active basis for applying virtual reality therapy to counseling.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urvey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and level of production of these contents.

      • KCI등재

        남성 중심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페미니즘 주제 토론 가능성

        김수아(Kim, Sooah)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미디어, 젠더 & 문화 Vol.32 No.3

        이 글은 온라인상의 성평등 관련 논의가 남성 주체에 의해 수행되면서, 성차별을 부인하고 남성 약자를 확증하는 담론으로 귀결되는 과정 및, 그 담론의 형식과 내용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페미니즘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문제는 남성 중심적인 지식과 경험의 문제 설정, 그리고 다른 경험의 배제성에 있다. ‘역차별’ 담론의 성공은 현행 한국 온라인 공간에서 합리적 토론이 어려운 이유를 보여주는데, 팩트주의로 특징되는 다른 경험을 인정하지 않는 경직된 태도, 온라인상의 선택적 접속 문제가 이에 관련된다. 결론적으로 현재 온라인 공간의 문제 중 하나는 남성 경험을 절대화하는 사고방식과 그에 대한 성찰성의 부재에 있다는 점을 이 연구는 보이고자 한다. 소통, 대화가 가능한 게시판 토론 문화, 윤리적 이상을 실현하는 토론이 가능하려면 여성을 시민으로 인정하고 여성의 경험 역시 인정하는 전제가 성립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d the process that the online discussions on gender equality are carried out by men and end up with ‘misogynistic’ discour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and contents of the discourse. The problem that arises when discussing feminism in the online community is the problem-setting centered on men’s world and the exclusion of women. The success of the discourse on ‘reverse discrimination’ shows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make reasonable discussions in the current online community in Korea. This is related to the rigid anti-intellectualistic attitude characterized by ‘factism’ which does not acknowledge different experiences, and the problem of confirmation bias online. In conclusion, this study tries to suggest that one of the problems of online community discussion is the male-centered way of thinking and the lack of reflection on such tendency. In order to reach the ethical ideals of the public sphere, it claims that we should establish the premise of recognizing women as citizens and accepting women’s experiences as facts.

      • KCI등재

        젠더 기반 온라인 폭력의 개념화와 규제 패러다임의 전환

        김수아(Sooah Kim)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3 다문화사회연구 Vol.16 No.1

        이 글은 젠더 기반 온라인 폭력 개념을 검토하고, 한국 사회에서 젠더 기반 온라인 폭력을 다루는 인식 틀의 전환이 필요함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한국의 현행 법규제 체계는 여성혐오에 기반을 둔 젠더 기반 온라인 폭력 문제를 다루기에 한계가 있다. 명예훼손과 음란 등에 제한되어 온라인 공간의 성차별 문제를 다루지 못하고 있으며, 온라인 피해와 해악을 개념화하지 못하고 있다. 젠더 기반 온라인 폭력에 대한 학술적 논의 및 호주와 영국의 온라인 안전법 관련 논의를 바탕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공간의 차별이 상호연결되고 확산되는 효과를 주목하여야 함을 강조하였다. 성차별과 여성혐오에 근거한 젠더 기반 온라인 폭력을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행 규제와 교육의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idea of gender-based online violence and highlights the need for a shift in how it is perceived by addressing the realities of Korea. The legal and regulatory framework in Korea has restrictions when it comes to addressing gender-based online violence caused by misogyny. It does not address the problem of gender discrimination in online spaces and does not comprehend online harm and damage because it is restricted to offline defamation and obscenity. Academic discussions on gender-based online violence and discussions on online safety laws in Australia and the United Kingdom, emphasized that the effect of interconnecting and spreading discrimination between online and offline spaces should be addressed. It was recommended that gender-based online violence motivated by misogyny be taken seriously. Considering this, there needs to be a paradigm shift in both education and existing l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