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색상 차이와 탐색 범위 제한을 사용한 표본 기반 인페인팅

        김보성(Bo-Sung Kim),박종승(Jong-Seung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14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41 No.2

        본 논문에서는 기존 인페인팅 방법에서 발생하는 탐색순서 의존성 문제와 패치 간 유사도 연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방법에서는 두 패치의 유사도를 판정할 때 패치 내의 일부 화소만 비교하는 특성과 탐색 방향 및 순서에 따라 인페인팅 결과가 크게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적인 판정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탐색 범위를 제한하고, 복원 대상 패치의 화소 값 평균과 비교대상 패치의 화소 값 평균의 차를 이용하여 유사도를 판정하도록 개선하였다. 또한, 신뢰도 항이 급격히 감소하는 급감 효과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신뢰도 항 수식을 제안한다. 여러 개의 정지 영상에서 네 종류의 복원 실험을 진행한 결과, 손상 범위가 클수록 제안하는 방법의 결과가 기존 방법보다 원본 대비 더 작은 오차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방법에서는 오차 수준이 줄어들어 시각적인 자연스러움이 증대되었다. 또한 일상생활에서 촬영한 사진에서 불필요한 물체를 제거하는 능력을 실용적인 수준으로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to resolve the dependency problem of search sequence and the similarity calculation problem in the Criminisi"s inpainting algorithm. Previous methods have two problems: they partially compare two patches and they give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 search sequence. To solve the problem, we propose a new method that restricts the search area and compares two patches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n of RGB values in the patch. We improved the problem by using the difference of pixel mean values in the similarity computation. Also, we proposed a new equation for confidence term to solve the "dropping effect" problem. In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our four test data sets, we verified that our method gives more similarity degree between original images and result images even when the damaged area is wider and bigger. Our method shows the potential of the image inpainting in practical use to remove unnecessary objects in pictures that captured in daily life.

      • KCI등재

        『동시총화(東詩叢話)』(규장각본)의 저자 및 저본 고찰

        김보성 ( Kim Bo-sung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8

        현재『東詩叢話』는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본과 일본의 東洋文庫에 소장된 본이 존재한다. 모두 필사본인데 서명만 같을 뿐 내용이 판이하여 별개의 본으로 간주된다. 본고에서 주목한 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동시총화』(이하 규장각본)이다. 최근에 조선말기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鄭萬朝(1858~1936)의 비평서인 『榕燈詩話』가 『每日申報』에서 발굴되었다. 이를 계기로 『매일신보』에 연재된 또 다른 詩話를 유의 깊게 살펴본 결과, 1915년 3월 19일부터 1918년 8월 20일까지 3년 남짓 1면에 연재된 安宅重(1858~1929)의 『東詩叢話』(이하 『매일신보』 연재본)가 규장각본과 내용이 일치함을 확인했다. 따라서 『한국시화총편』 해제가 나온 이후 未詳으로 처리된 규장각본의 작자를 ‘安宅重’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규장각본은 『매일신보』 연재본을 저본으로 한 축약본이다. 두 본을 비교 검토했을 때, ① 1915년 3월 19일부터 같은 해 5월 5일까지 게재된 『동시총화』 본편과 규장각본 본집 1권, ② 1916년 1월 7일부터 이듬해 8월 10일까지 게재된 『동시총화』속편과 규장각본 속집이 편차와 내용 면에서 크게 차이 났다. 예컨대, 『매일신보』 연재본에는 규장각본 본집 1권에 없는 序文 및 崔致遠·朴仁範·朴寅亮 등의 고려 문인에 관한 비평이 존재한다. 또 규장각본 속집에 李尙迪과 王士禎(초명 王士?)에 관한 항목만 있는 것과 달리, 『매일신보』 연재본에는 李晩用과 같은 근대 문인이나 『姑婦奇譚』과 같은 근대 간행물을 주목한 항목이 다수 보인다. 일제강점기에 기관지 지면을 통해 적극적으로 비평했던 문인들의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고 역시 『동시총화』(규장각본)의 저자를 밝히고 이본간의 편차 및 내용의 차이를 추적하는 데 중점을 두어 안택중의 비평에 관해서는 충분히 논의하지 못했다. 『동시총화』에 빈번히 등장하는 핵심어를 중심으로 비평의 실체를 분석하는 작업은, 『동시총화』를 뒤이어 『매일신보』에 장기 연재된 梅下山人 崔永年의 『詩家叢話』와의 비교를 통해 진행할 예정이다. Currently, DongShi-CongHua(東詩叢話) has two editions. One is a collection of the books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奎章閣 韓國學硏究院)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other is a collection of the books in Japan’s Toyo Bunko(東洋文庫). Both editions are hand- written manuscripts, but they are regarded as different versions because although the names of the books are identical, the contents are very different. The focus of the current research is the collection of KyuJangGak(奎章閣). Recently, YongDeng-ShiHua(榕燈詩話) by Maeil-Shinbo(每日申報), a critique of Jeong Man-jo(鄭萬朝) who was activ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unearthed. Based on this new finding, I examined another ShiHua(詩話) series published by Maeil- Shinbo(每日申報), and found out the following. Between March 19, 1915 and August 20, 1918, DongShi-CongHua(東詩叢話) by Ahn Taek-Jung(安宅重, 1858~1929, pen name is Gueng-rae(肯來)) which was published on the first page for more than 3 years was identical with the content in the collection of KyuJangGak(奎章閣). In fact, DongShi-CongHua(東詩叢話) at KyuJangGak(奎章閣) is a brief version of DongShi-CongHua(東詩叢話) published by Maeil-Shinbo(每日申報).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two editions, I also found out that the two parts were very different in terms of their contents as well as the order of the contents. In particular, ① ‘the main compilation(本編) published by Maeil-Shinbo(每日申報) between March 19, 1915 and May 5, 1915’ and ‘the main compilation(本集), Volume 1, in the collection of KyuJangGak(奎章閣)’ and ② ‘the sequel(續編) published by Maeil-Shinbo(每日申報) between January 7, 1916 and August 10, 1917’ and the ‘sequel(續集) in the collection of KyuJangGak(奎章閣)’ are quite different in terms of their contents and the order of the contents. For example, the criticisms about the writers of KoRyo(高麗) such as Choi Chi-won(崔致遠), Park In-beom(朴仁範), and Park In-ryang(樸寅亮) are found only in Maeil-Shinbo(每日申報). Also, a number of items that reviewed modern Korean writers such as Lee Man-yong(李晩用) and modern publications such as KoBuGiDam(姑婦奇譚) are found only in Maeil-Shinbo(每日申報).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writers who actively criticized through newspap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paper focuses on the investigation about the authors of DongShi-CongHua(東詩叢話) at KyuJangGak(奎章閣)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ersions. Thus, the paper relatively lacks detailed discussion about Ahn Taek-Jung(安宅重)’s criticism. The work of analyzing the criticism itself, focusing on the frequently appearing key words in DongShi-CongHua(東詩叢話), will be conducted through comparing with Choi Yeong-neon(崔永年)'s ShiGa-CongHua(詩家叢話), which also had been published in Maeil-Shinbo(每日申報) for a long period of time.

      • 서비스철학 기반 조직의 직무만족 및 몰입에 관한 연구

        김보성(Kim, Bo Sung) 한국경영학회 2018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8

        본 연구는 의료기관인 치과병원의 서비스철학이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최근 치과 병원이 의료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가하면서 신설과 확장을 통해 다양한 경쟁상황에 직면하고 있어 치과병원의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치과병원의 서비스철학은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두 요인은 치과 병원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요구되는 병원본연의 기능뿐만 아니라 치과 병원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과 병원의 서비스철학에 영향을 주는 조직만족과 조직몰입에 관한 요인들에 대하여 노사관계와 참여적 작업조직을 매개변수로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투입된 변수인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은 서비스철학 기반 조직인 치과병원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본 연구를 중소 치과병원이나 치과 의원들을 대상으로 범위를 확장할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레이저 습식 후면 식각공정을 이용한 미세 유리 구조물 제작

        김보성(Bo Sung Kim),박민수(Min Soo Park) 대한기계학회 2014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8 No.9

        우수한 광투과성 및 경도를 지닌 유리는 바이오, 전자, 광학 등의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리는 경도가 높고 깨지기 쉬워 일반적으로 특수가공법을 이용하여 가공이 이루어진다. 그 중 레이저는 공구가 불필요하며 가공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지만 유리의 높은 광투과성 때문에 가공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에 저출력의 나노초 펄스 레이저로 유리 가공을 하기 위하여 간접가공법인 레이저 습식 후면 식각공정을 활용하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흡수율이 뛰어난 고가의 단파장 레이저 장비를 주로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범용적인 근적외선 레이저 장비를 활용하여 유리 구조물 제작의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특히 깊은 구조물 제작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초음파 부가 공정을 통한 미세 구조물 제작을 수행하였다. The good light permeability and hardness of glass allow it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Non-conventional machining methods have been used for glass machining because of its brittle properties. As one non-contact machining method, a laser has advantages that include a high machining speed and the fact that no tool making is required. However, glass has light permeability. Thus, the use of a laser to machine glass has limitations. A nanosecond pulse laser can be used at low power for laser-induced backside wet etching, which is an indirect method. In previous studies, a short-wave laser that had good light absorption but a high price was used. In this study, a near-infrared laser was used to test the possibility of glass micro-machining. In particular, when deeper machining was conducted on a glass structure, more problems could result. To solve these problems, microstructure manufacturing was conducted using ultrasonic vibration.

      • KCI등재

        19세기 한강(漢江) 시회(詩會)의 일면 -마포 녹범각(綠帆閣) 모임과 『녹범시화(綠帆詩話)』-

        김보성 ( Kim Bo-sung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2

        19세기 후반∼20세기 초반 일본인의 시집에 마포구 일대 한강은 한국에 영향력을 행사한 일본인이나 친일 경향의 개화파를 떠올리는 장소로 그려진다. 그러나 이 일대는 19세기 중반까지도 사대부 문인들의 문화공간이었다. ‘대군’의 누정을 비롯하여 당대 ‘권세가’나 이름난 ‘문장가’의 별서가 마포구 일대 강변에 즐비하였고,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한강 유람도 이곳에서 이루어졌다. 예부터 공인된 명소인 마포구 일대 한강에서 무수한 작품이 지어졌다. 한시로 국한하여 보아도 이 일대를 들러 지은 시가 부지기수이다. 이곳에 일정 기간 머물며 지은 시들을 책으로 편찬하기도 하였는데 崔岦의 『麻浦錄』, 李敏求의 『西湖錄』, 李志傑의 『西湖錄』이 대표적이다. 세 시집이 보여주듯, 16∼17세기 마포구 일대 한강을 기점으로 한 아회는 시간이 흐를수록 거주지가 비슷한 이들이 시사를 결성하여 정기적으로 수창하다가 특별한 날에 대대적으로 회동하는 경향이 짙어진다. 19세기 중반 이 일대에 거주하며 당대 명사들을 한자리에 모은 문인은 錦舲 朴永輔(1808∼1872)이다. 그가 초기에 지은 시 가운데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하는 『西泠霞錦集』과 『西泠小艸』에는 마포구 일대의 시적 교류 흔적이 빼곡하다. 박영보는 1830년 가을에 興坊의 거처에서 마포 서강가의 綠帆閣(江意樓)으로 옮긴 후 동인들과 꾸준히 아회를 열었다. 이른바 ‘녹범각 시회’는 시구마다 중국 문사의 일화를 투영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 시회에서 인용된 중국 문인만 보더라도 신위가 박영보에게 ‘蘇軾을 통해 杜甫로 입문’하였다고 평론한 까닭이 수긍된다. 박영보는 녹범각을 기점으로 『서령하금집』과 『서령소초』라는 시집뿐만 아니라 『綠帆詩話』라는 비평집도 편찬하였다. 『녹범시화』는 한강 일대 아회 중에서 녹범각 시회를 변별하게 하는 성과이다. 『녹범시화』의 시적 흥취ㆍ이론ㆍ소재와 관련된 문장들은 대체로 송나라 문헌을 참고하였다. 『녹범시화』에 송나라 서적이 주로 활용된 양상은 녹범각시회의 성격과 긴밀히 연결된다. 녹범각 시회와 연관 지어 『녹범시화』의 실체를 검토하는 한편, 박영보가 마포에서 오갔던 申緯의 蓉涇(蓉湖) 거처, 李薘의 濠想觀, 李明五의 古梅樹屋과 李晩用의 東樊書齋를 녹범각과 연결된 문화공간으로 상정하고 여기에서 창작된 시의 경향도 참조한다. In a collection of Japanese poetry betwee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ies, the Han River area near Mapo(麻浦) was a place that reminded powerful Japanese living in Korea or pro-Japanese enlightenment groups in Korea. However, before the mid-19th century, this place was a cultural space for the nobles(士大夫). There were many vacation homes of royal families, powerful people of the time, and famous writers. Also, foreign envoys used to tour around that Han River area. Many writings were born in the Han River area near Mapo-gu which had been a famous place for a long time. Just for poetry, there were many poems written in this area. In some cases, the poems people wrote while staying in that area were compiled into a book. For example, Maporok(麻浦 錄) by Choirip(崔岦), Seohorok(西湖錄) by Lee Minkoo(李敏求), and Seohorok (西湖錄) by Lee Jigeol(李志傑) are representative. These three collections of poetry tell us that the poetry group formed in the Han River area near Mapo-gu betwee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displays a pattern that people with similar residences formed a group to write poetry periodically, and then on some special occasions, the majority of the people gathered together. In the mid 19th century, Park Youngbo (朴永輔, 1808-1872) who was living in Mapo-gu gathered the famous people of the time. Among his early books, the relatively important collections of poetry, Seoryeonghageumjip (西泠霞錦集) and Seoryeongsocho(西泠小艸), reveal the fact that he actively exchanged poetry in the Mapo-gu area. After moving from Heungbang(興 坊) to Nokbeomgak(綠帆閣)-also known as Gangyilu(江意樓)-in Mapo's Seogang in the fall of 1830, Park Youngbo regularly held poetry meetings with his members. The so-called ‘Nokbeomgak Sihoe(詩會)’ tends to use anecdotes of Chinese writers for each passage. Even if we analyze only the Chinese writers mentioned in these meetings, it is understandable why Xin Yu(申緯) evaluated "Park Youngbo passed SuShi(蘇軾) and approached Dufu(杜甫)." Park Youngbo wrote a book of criticism called Nokbeomsihwa(綠帆詩話) in addition to the collections of poems called Seoryeonghageumjip and Seoryeongsocho which based on Nokbeomgak. The Nokbeomsihwa is an achievement that makes the Nokbeomgak group stand out among the Han River gatherings. Most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njoyment of poetry, the theory of poetry, and the subject matter of the poem in Nokbeomsihwa refer to the Song Dynasty(宋朝) books. The fact that Park Youngbo quoted a lot of Song dynasty books when writing the Nokbeomsihwa is related to the nature of the Nokbeomgak group. Yonggyeong(蓉涇)-also known as Yongho(蓉湖)-house of Xin Wei(申緯), Ho Sanggwan(濠想觀) of Lee Dal(李 薘), Gomaesuok(古梅樹屋) of Lee Myeongoh(李明五), and Dongbeonseojae (東樊書齋) by Lee Manyong(李晩用), where Park Youngbo came from Mapo are regarded as a cultural space connected to Nokbeomgak. So I'll also analyze the trends of poetry written in these places.

      • 멀티 홉 네트워크에서의 ARQ 성능 분석

        김보성 ( Bo-sung Kim ),현도원 ( Do-won Hyun ),장주욱 ( Ju-wook J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2

        기존 무선 네트워크의 전송 거리 및 전송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멀티 홉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멀티 홉 네트워크 연구의 초점이 라우팅 프로토콜에 편중되어 있어 정작 ARQ와 같은 데이터 전송의 효율과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멀티 홉 환경에서의 가능한 2가지 ARQ 방식인 End-to-End ARQ와 Hop-by-Hop ARQ의 환경 및 거리에 따른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 분석하여 멀티 홉 환경에 적절한 ARQ 방법을 찾고자 한다. 성능 분석 결과 모든 경우에 대해서 Hop-by-Hop ARQ가 더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