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TA와 경쟁정책:한미 FTA상의 경쟁 장의 내용 및 국내법제에 미칠 영향을 중심으로

        김두진(Kim, DooJin) 한양법학회 2009 漢陽法學 Vol.25 No.-

        The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hereinafter “KORUS FTA”) was signed in April 2007 between trade negotiating representatives, and is awaiting respective legislator’s recognition. Even though the issue of recognizing KORUS FTA by the National Assembly is still in deep political debate in Korea, the KORUS FTA will be a cornerstone, if it will be effectuated, that will lead both countries into the economic progress and joint prosperity. This article is intended to provid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TAs and Competition Policy and the expectation about the prospective influence of KORUS FTA on the Korean competition legal system. The KORUS FTA Chapter Sixteen regulates the competition-related matters. The competition Chapter is composed of 9 articles. Among them, article 16.1 declares adopting, maintaining and applying competition measures to the anticompetitive business conduct. And Articles 16.2 and 16.3 admit room for the designated monopolies and the state enterprises. Article 16.5 guarantees transparency in the both Parties’ competition enforcement policies. And article 16.7 prescribes a consultation procedure to address specific matters that arise under competition Chapter. The expansion of the relevant geographic market through KORUS FTA might have an effect on measuring anticompetitiveness. That is why, generally speaking, once the relevant geographic market would be defined larger, the possibility of acknowledging market power might lessen. And the consent orders may be introduced into Korean competition legal system stimulated by KORUS FTA. The introduction of the consent orders will prompt the public enforcement of the Anti-Monopoly and Fair Trade Act and encourage the compensation for injured consumers. The enforcement of KORUS FTA will raise the occurrence of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law cases. Classifying the cases according to the anticompetitive issues included, two approaches could be adopted to solve the problem. In hard core cartel cases, the courts or competition law authorities of an affected Country may exercise jurisdiction over cartel behavior in Contracting Party, applying domestic competition Law. Differently, in cases not involving hard-core cartels, comity factors should be applied to require the courts or competition law authorities of an affected Country to abstain from exercising extraterritorial competition law jurisdiction over anticompetitive conduct in Contracting Party.

      • KCI등재

        연세 경제법의 발자취와 미래

        김두진 ( Doojin Kim ) 연세법학회 2023 연세법학 Vol.41 No.-

        이 글은 연세법학회 창립 30년을 경과한 이 시점에서 연세 경제법의 전통과 학풍을 돌이켜 보고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려고 작성한 것이다. 제1장에서는 경제법 개념의 범위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주지하듯이 경제법은 경쟁법과 소비자보호법을 주축으로 하는 새로운 법분야이다. 경제법은 자본주의 경제의 고도화로 계약 당사자간 지위가 큰 격차를 보이게 된 상황에서 국가가 시장실패를 바로잡기 위하여 사회적 약자의 후견인으로서 개입하여 계약 내용을 교정하는 행정적 제재 또는 그 약자가 침해행위의 금지·예방 또는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사적 구제를 구하는 것(경쟁법) 또는 사전적으로 소비거래에서의 알권리 등 소비자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하여 정보의 투명한 공개를 보장하거나 사후적으로 소비자의 피해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구제를 보장하는 것(소비자보호법)에 관한 실체와 절차에 관하여 정하는 법률이다. 제2장에서는 연세 경제법의 전통이 비롯된 고 손주찬 교수, 박길준 교수, 그리고 홍복기 교수, 신현윤 교수 네 분의 Legacy를 소개하고 그밖에 현재 학계에서 경제법 분야에서 연구활동에 종사하고 있는 그분들의 제자들도 연세 경제법의 전통과 학풍을 형성하는 원동력으로서 함께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연세 경제법의 전통을 이어갈 후학들에게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경제법 연구방법론과 소재에 대하여 살펴보고, 첫째, 경쟁법 분야에서 공정거래법의 입법목적에 관한 논쟁을 소개하고, 근래 및 향후 가장 중요한 주제로 예상되는 거대 온라인 플랫폼 기업에 대한 법적용 문제 논의의 개황을 설명한 후 전형적인 경쟁법의 본령에 포함되는지가 의문시되어 이질적인 존재로 치부되어온 과도한 경제력집중의 방지 제도와 불공정거래행위의 금지 제도를 공정거래법의 입법목적과 어떻게 조화롭게 취급할지에 관한 접근방법을 제안하고, 둘째, 소비자보호법 분야에서 연구해야 할 중요 주제들, 특히 다크패턴(Dark Pattern)에 관하여 거론하였다. 제4장에서는 결론에 갈음하여 연세 경제법학자들이 자신의 시대에 제기된 쟁점에 관한 해결책의 접근방법에 관하여 조언하였다. 기본적으로 경제법의 과소집행에 의한 소극과오(false negative)나 과다집행에 의한 적극과오(false positive) 어느 결과도 피해야 할 것이고, 현실 세계의 경제에 가져올 파급효과를 예상하면서 결론 도출에 대한 신중한 접근을 해야할 것임을 시사하였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reflect on the tradition and academic style of Yonsei Economic Law at this time, 30 yea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Yonsei Law Association, and to present a vision for the future. In Chapter 1, I explain the scope of the concept of economic law. Economic law is a new field of law, mainly competition law and consumer protection law. The Competition Law is an administrative sanction that the state intervenes as a guardian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to correct market failure in a situation where the status of the contracting parties has widened due to the advancement of the capitalist economy, or seeks private relief for the weak to prohibit, prevent, or claim damages. And the Consumer Protection Law is a norm that establishes the substance and procedures for ensuring transparent disclosure of information or ensuring prompt and appropriate relief from consumer damage in order to guarantee consumers' rights, such as the right to know in consumer transactions. In Chapter 2, I introduce the legacy of the late Professor Son Joo-Chan, Professor Park Gil-Joon, and Professor Hong Bok-Ki and Professor Shin Hyun-Yoon, who are the driving forces behind the tradition and academic style of Yonsei economic law. And then I introduce their descendants who currently engaged in research activities in the field of economic law. In Chapter 3, I attempt to present a direction to future scholars who will continue the tradition of Yonsei Economic Law. First of all, I explain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material of economic law. And I introduce the debate on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Sherman Antitrust Act of the U.S.A. and that of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of the R.O.K.(hereinafter ‘the Fair Trade Act’) in the field of competition law. I present the issues of legal application to large online high-tech platform companies,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the most important topic in the recent and future, and explain the current status of discussions. After that, I turn on the regulations to prevent excessive concentration of economic power (hereinafter ‘the general concentration’) and the prohibition of unfair trade practices in the Fair Trade Act, which both has been regarded as heterogeneous beings due to questioning whether it is included in the main ordinance of the typical competition law. I seek harmony between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law and the aforementioned the regulations to prevent the general concentration and prohibition of unfair trade practices. After that I also mention the so-called dark pattern issue in the field of consumer protection law. In Chapter 4, in lieu of conclusions, Yonsei economic law is advised on how to approach solutions to issues raised in their time. Basically, either passive negative due to underexecution of economic law or false positive results due to overexecution should be avoided and it is necessary to take a careful approach to draw conclusions in anticipation of the ripple effects on the real world economy.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경제와 핀테크 - 소비자 보호를 중심으로 -

        김두진(Kim, Doojin) 한국비교사법학회 2019 비교사법 Vol.26 No.3

        핀테크는 디지털경제와 결합되어 이전의 아날로그경제에서는 예상할 수 없었던 혁신을 실현시켰고, 제4차 산업혁명의 진전과 더불어 현재 그 영역이 크라우드펀딩, P2P렌딩, 인터넷뱅킹, 인터넷전문은행, 블록체인과 분산 원장 기술,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의 이용으로 계속 확대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디지털경제에서 핀테크의 시원과 현황을 개관하고 그것의 규제가 혁신과 소비자보호의 관점에서 갖는 함의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핀테크는 해당 혁신기업에게는 혁신적 기술을 이용한 창업이나 사업 성장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은 물론 관련시장의 소비자잉여를 증가시켜서 국민경제 전체의 소비자후생을 증진시키는 광의의 소비자보호를 위한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핀테크는 소비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기술적 특성으로 인하여 오히려 금융 사기나 개인정보 유출, 정보비대칭에 수반되는 불완전판매 등으로 소비자피해를 유발할 수도 있다. 핀테크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기존 기업들에게 요구되던 규제를 핀테크기업에 대하여 완화하거나 철폐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우리나라는 「금융혁신지원 특별법」에 의하여 영국에서 시작된 규제 샌드박스제를 핀테크에 대하여 시행중이다. 규제 샌드박스는 산업의 혁신을 위하여 큰 도움을 주는 제도이지만, 소비자들과 금융시스템에 대한 위험이 실질화될 수 있다는 점, 그러한 이유에서 고객들은 샌드박스내의 기업들과의 거래에 참여하지 않을 수 있고 이것은 핀테크의 성장을 지연시킬 수 있다는 점등의 단점을 가진다. 금융소비자의 보호 없이 핀테크를 통한 금융시장의 혁신과 번영은 이룰 수 없는 것이므로 소비자보호라는 정책 목적은 규제완화의 한계이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규제형식의 변화와 불필요한 규제의 폐지가 필요하다. FinTech is the term used to describe the impact of new technologies on the financial services industry.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making progress, crowd funding, P2P lending, internet banking, online bank, block chain and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big data analytic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given ise to new services and business models by established financial institutions and new startups. This article aims to survey the inception and present condition of FinTech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 of regulating FinTech firms in the viewpoint of innovation and consumer protection. The portion of the FinTech firms (including FinTechs and TechFins) is more and more increasing in the financial services market. And the FinTech changes rapidly and continuously. Fintech is at the confluence of various digital technologies and financial areas, regarded as positive in the eye of consumer protection in the wide sense with helping many startups and scaleups proposing innovative financial services and producing consumer surplus in the relevant market and improving consumer welfare in the national economy dimension. However established financial services businesses are facing some of the challenges that fintech firms initiate and they will feel receiving unfair treatment if FinTech firms are exempted from existing regulation.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Regulations defines that Regulations as restrictions on the rights of citizens (including foreigners subject to Acts of the regulations for positive regulations and the abolition of unnecessary regulation. The so-called RegTech has the potential to free up large sums of operational and capital expenditure which are currently spent on compliance and to enable us to develope smart regulation.

      • KCI등재

        정몽주 초상화의 제작과 숭모

        강영주(kang young-Ju) 포은학회 2021 포은학연구 Vol.28 No.-

        정몽주 초상화는 서원과 사당, 영당 등에 봉안된 전신 초상화와 문집과 화첩 등에 실린 반신 초상화로 구분된다. 전신 초상화는 배향과 제례를 통해 정몽주를 추모하기 위해 제작되었고 반신 초상화는 조선시대에 화첩으로 장첩되어 선물, 감상, 교화 등을 목적으로 제작되다가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통치의 일환으로 인쇄되어 확산되었다. 이 글에서는 포은영당의 정몽주 초상화가 현대작이 아니라 1677년 한시각이 제작한 초상화를 1769년 한종유가 1차 보완하고 20세기 다시 2차로 수정한 작품일 수도 있다는 의견을 제시한다. 총 3폭의 정몽주 초상화를 제작한 한종유가 1768년에 숭양서원에 봉안할 목적으로 제작한 초상화가 가묘(영당)에 봉안된 1769년 본과 확연히 다르기 때문이다. 1768년 한종유가 제작한 숭양서원 본의 정몽주 초상화는 형형한 눈빛, 강직한 인상, 일부 가감된 의습선 등이 이전 시기의 이모본들과 달라 주목된다. 이는 당시 1677년 한시각 본이 ‘참 모습을 잃어(失眞)’ 다시 제작하게 되면서 한종유가 특별히 포은의 삶과 인품 등이 드러나게 초상화의 ‘전신(傳神)’에 천착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한종유가 1768년 숭양서원 본을 제작할 때 포은문집의 간행에 들어갈 ‘초상’을 요청받아 제작했음도 주목할 만하다. 또한 서울대학교 소장 정몽주 반신 초상화 초본은 바탕 재질과 한종유의 초상 양식을 보여주고 있어 18세기 후기에 제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정몽주 초상화는 크게 조선 전반기 대표적으로 ‘핍진(逼眞)’한 이모본이였던 1555년 임고서원 본 초상화 유형과 조선 후반기 1768년 숭양서원 한종유 초상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한철도 일제강점기 숭양서원에 봉안된 1768년 한종유의 정몽주 초상화를 모사하였음을 밝히고 있으며 현대에도 정몽주 초상화를 거론할 때 이한철이 제작한 1880년 본을 대표작으로 내세우기 때문이다. 이처럼 정몽주 초상화의 제작 방식과 유형에 따라 초상화의 성격과 숭모 방식이 달라졌던 것이다. The portrait of Jeong Mong-Joo(鄭夢周) is divided into a full-body portrait(全身 肖像畵) enclosed in Seowon, Sadang, and Yeongdang(影堂:The the household shrine where the portrait) is enshrined, and a half-body portrait(半身 肖像畵) in collections of writings and paintings(畵帖). Full-body portraits of the Joseon Dynasty were produced to commemorate and worship Jeong Mong-ju through orientation and ancestral rites. During the Joseon Dynasty, half-body portraits were produced for the purpose of gifts, appreciation, and edification, but Japanese colonial era was printed and spread as part of colonial rule. In this article, the portrait of Poh-Eun Yeongdang(圃隱影堂) was not a modern work, but a portrait produced by Han Si-Gak(韓時覺) in 1677, which was renovated by Han Jong-Yu(韓宗裕) in 1768 and revised again in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a draft of the portrait own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서울大學校) was considered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late 18th century in the style of the background material and work. In other words, the portrait of Jeong Mong-joo can be divided into a portrait type in 1555 and a portrait type of Han Jong-yu in 1768. In Japanese colonial era, portraits of Soongyang Confucian Academy(崧陽書院) became more popular by people traveling between Kaesong(開城), the center of transportation. Lee Han-Cheol(李漢喆) also revealed that he copied Han Jong-yu s portrait. It was found that the adoration method and style of the portrait chang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method and type of portrait of Jeong Mong-Joo.

      • 웹 사이트 이용 고객의 행동 정보를 기반으로 한 고객 선호지수 산출 방법

        서동렬(Seo DongYal),김두진(Kim DooJin),윤정기(Yun JeongKi),김재훈(Kim JaeHoon),문강식(Moon KangSik),오재훈(Oh JaeHoon) 한국IT서비스학회 2011 한국IT서비스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5

        최근 웹 서비스의 발달과 함께 웹 컨텐츠를 다양하게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개인화 분석이 주목 받고 있다. 기존의 개인화 분석은 주로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활용한 규칙 및 통계 모형을 기준으로 수행되고 있다. 이에 시장조사 소요기간에 따른 적시성을 반영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데이터베이스적재 데이터가 고객 행동에 대한 결과였기 때문에 고객의 이용 특성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고객의 사이트 방문에서부터 방문을 종료할 때까지의 모든 행동을 추적하고 분석하여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많은 연구와 상용화된 기술 개발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상에서의 고객 행동을 웹 로그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고객의 행동정보를 U-Score(Usage Score, 이용지수), PScore(Preference Score, 선호지수), M-Score(Mania Score, 마니아지수) 등 다양한 고객 선호지수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고객의 선호지수를 통해 웹 컨텐츠에 대한 고객의 선호정보를 파악함으로써, 고객에 대한 심도 있는 리포팅이 가능하며 개인화 추천 서비스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