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두유 커드를 생산하는 김치 유래 젖산균의 동정

        Ro-Ui Kim(김로의),Soon-Cheol Ahn(안순철),Sun-Nyoung Yu(유선녕),Kwang-Youn Kim(김광연),Jong-Hwan Seong(성종환),Young-Guen Lee(이영근),Han-Soo Kim(김한수),Dong-Seob Kim(김동섭)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두유 curd를 형성하는 미생물을 분리하는 것이다. 두유 curd를 형성하는 미생물은 채소를 젖산균으로 발효시킨 전통적인 한국의 음식, 김치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 196개 중 10개의 균주(strain No. 2-2-2, 2-15-2, 2-18-1, 2-19-2, 3-4-1, 3-4-2, 3-8-1, 3-8-3, 3-17-1, 4-39-5)가 단단한 두유 curd를 형성하였고 분자생물학적?생화학적 분석법에 의해 동정되었다. 분리균주로부터 추출한 genomic DNA는 16S rDNA 지역의 PCR 증폭을 위한 주형으로 사용하였다. GenBank 데이터로 16S rDNA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분리 균주들은 Leuconostoc mesenteroides group과 Lactobacillus sakei group으로 동정되었다. 두유 curd를 형성하는 균주들의 계통 발생학적 위치와 분류군은 neighbor-joining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L. mesenteroides group은 생화학적 특성에 의해 L.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으로 동정되었다. 하지만 L. sakei group은 생화학적 특성 비교시 다양성을 보여 Lactobacillus sp.로 명명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soy curd forming bacterial strains. Soy curd form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Kimchi, a traditional Korean vegetable food that is fermented using lactic acid bacteria. Among 196 bacterial strains, ten isolates (strain No. 2-2-2, 2-15-2, 2-18-1, 2-19-2, 3-4-1, 3-4-2, 3-8-1, 3-8-3, 3-17-1, 4-39-5) formed firm soy curd. The isolated bacterial strains were identified by molecular biological and biochemical analyses. The genomic DNAs extracted from the isolated bacterial strains were used as a template for PCR amplification of 16S rDNA region.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16s rDNA sequences with GenBank data, the isolated strains were identified as Leuconostoc mesenteroides group and Lactobacillus sakei group.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soy curd forming strains and their related taxa were investigated using neighbor-joining method. L. mesenteroides group was further identified as L.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based on biochemical properties. L. sakei group was named Lactobacillus sp., because it showed a variety of biochemical properties.

      • 약지도 학습을 이용한 양파 질병 증상 자동 검출

        한승훈 ( Seung-hoon Han ),강경민 ( Kyeong-min Kang ),김완수 ( Wan-soo Kim ),김용주 ( Yong-joo Kim ),이대현 ( Dae-hyun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0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

        농업 노동력 감소 및 1인당 재배면적의 증가는 작물의 일관되고 효율적인 질병 예찰을 어렵게 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 인식 기술 등의 무인화 시스템을 이용한 기술적인 대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파 재배 자동화를 위해 수행되었으며, 딥러닝을 이용하여 양파 재배 영상 내 질병 증상을 자동으로 검출하였다. 양파 재배지의 실시간 감시가 가능한 영상 수집 시스템을 이용하여 학습용 영상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영상은 딥러닝 모델 학습을 위한 영상크기로 샘플링 한 후 영상단위로 라벨링을 수행하였다. 양파 질병 증상 검출을 위한 기반 모델은 VGG-16을 이용하였으며, 주석작업에 필요한 노동력 절감을 위해 영상단위 라벨링으로 객체 검출이 가능한 약지도 학습 방법을 이용하였다. 딥러닝 모델의 학습결과 학습 정확도는 약 93%, 검증 정확도는 약 82%, 시험 정확도는 약 70%로 각각 관찰되었으며, 활성화 맵을 이용하여 검출된 영역을 시각화한 결과 질병 증상의 검출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며, 임계값을 이용하여 검출된 질병 영역을 이진화한 후 전체 영상에 대한 비율을 발병도로 평가할 결과 0.6 ~ 7.0%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이용하여 임계값 변화에 따른 알람 단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기준에 대한 선정 방법의 세분화 및 검증을 통해 양파 질병에 대한 자동 알람 정보의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Culture Condition for Listeria monocytogenes 1421 Biofilm Formation and the Effect of Kimchi on Biofilm

        Eun-Ah Kim(김은아),So-Yeon Mang(맹소연),Jong-Hwan Seong(성종환),Young-Guen Lee(이영근),Han-Soo Kim(김한수),Dong-Seob Kim(김동섭)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5

        식품으로부터 유래되어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는 Listeria monocytogenes는 다양한 지지체 위에 biofilm을 형성 할 수 있다. 이러한 biofilm은 여러 가지 소독제나 살균과정으로부터 L. monocytogenes의 생존력이나 저항성을 증가시켜 준다. 본 연구에서도 L. monocytogenes는 다양한 배양용기에서 biofilm을 형성하였으며, BHI를 배지로 하여 30℃에서 4일 동안 배양하였을 때 최대의 biofilm을 형성하였다. L. monocytogenes의 biofilm의 형성에 미치는 김치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김치를 첨가함에 따라 biofilm의 양이 줄어들기도 하고 늘어나기도 하여, 김치에 따라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졌으며, 이러한 결과는 L. monocytogenes의 생육에 미치는 김치의 효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Listeria monocytogenes, a fatal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can form a biofilm on many different supports. The biofilm gives L. monocytogenes more viability and resistance to disinfectants and sterilization procedures. L. monocytogenes formed biofilms on various culture vessels tested in this experiment and showed the maximum amount of biofilm when it was cultured for 4 days at 30℃ in BHI broth. In this study, biofilm formation was stimulated or inhibited by addition of different Kimchi samples. That was not in accordance with the effect of Kimchi on the growth of L. monocytogenes.

      • KCI등재

        어성초(Houttuynia cordata Thunb) 유산균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김용민(Yong-Min Kim),정해진(Hae-Jin Jeong),정헌식(Hun-Sik Chung),성종환(Jong-Hwan Seong),김동섭(Han-Soo Kim),김한수(Dong-Seob Kim),이영근(Young-Gue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16 생명과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이미 알려진 어성초의 효능을 더욱 증가시켜 고부가가치를 지닌 기능성 원료로써 활용하고자, Leuconostoc mesenteroides 4395와 Lactobacillus sakei 383 두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 척도로써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는데 10일간의 발효에서 두 균주 모두 발효 5일차에, 발효온도는 Leuconostoc mesenteroides 4395가 30℃에서 71.67±0.52%, Lactobacillus sakei 383는 35℃에서 70.11±0.67%로 각각 최대의 활성이 나타났으며, 두 가지 균 모두 대조군인 미발효물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약 20% 상승하였다. 총 페놀함량에서는 대조군이 35.90±0.61 mg/g 함유한 반면에 발효한 후 두 균주 모두 약 10 mg/g씩 증가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대조군의 21.69±1.52 mg/g에 비해 약 6 mg/g 이상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에서는 발효의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조군에 비해서는 미약하게 증가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어성초의 유산균 발효물이 발효하지 않은 어성초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더욱 높아, 고부가가치를 지닌 기능성식품의 원료로써 활용할 가능 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ermentation to increas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Houttuynia cordata Thunb. Houttuynia cordata Thunb. was fermented by two species of lactic acid bacteria, Leuconostoc mesenteroides 4395 and Lactobacillus sakei 383.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extracts were analyzed both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Anti-oxidative activity was determined by in vitro assays to measure 1,1-diphenyl- 2-picrylhydrazyl (DPPH) scavenging and super 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ies, and by determining total flavonoid and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s. The extracts of fermented Houttuynia cordata Thunb. had higher anti-oxidative activity than the unfermented control. The DPPH scavenging activity of the extracts after fermentatio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4395 at 30℃ for 5 days was 71.67±0.52%, and after Lactobacillus sakei 383 fermentation at 35℃ for 5 days was 70.11±0.67%; these activities were both about 20% higher than the control. Increases of about 10 mg GAE/g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found in both fermented extracts and both contained about 6 mg quercetin equivalents/g of total flavonoids, compared with 35.90±0.61 mg/g and 21.69±1.52 mg/g in the control, respectively. Thes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fermentation time and temperature wer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anti-oxidative effect of extracts from fermented Houttuynia cordata Thunb. These findings should be valuable for the development of medicines or functional foods with antioxidative activity.

      • 목질자원으로부터 바이오에탄올 생산을 위한 당화 전처리 부산물의 수종별 리그닌 분석

        최영웅(Young-woong Choi),정한수(Han-soo Chong),김동섭(Dong-sup Kim),김영숙(Yeong-Suk Kim),김영균(Young-kyoon Kim) 한국산림바이오에너지학회 2009 산림바이오에너지 Vol.28 No.1

        목질자원에서 얻을 수 있는 리그닌 부산물의 활용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그 사전 연구로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리기다 네 가지 수종을 ammonia로 처리하여 리그닌 부산물을 획득하였고,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리그닌 부산물에 포함된 페놀성 물질의 함량은 Folin-Ciocalteu reagen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종별 리그닌들은 용매의 극성을 이용하여 각각 ethyl acetate, n-butanol, 물 fraction의 세 가지 층으로 분획하였다. 각 분획별 특성들은 HPLC 및 LC/MS 등을 이용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로서 분획별 페놀성 물질은 네 가지 수종 모두 유사한 수준의 페놀성 물질 함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HPLC 및 LC/MS를 이용한 분광학적 비교 결과, 낙엽송을 제외한 소나무, 잣나무 및 리기다의 리그닌 부산물 구성성분이 서로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같은 소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에 해당되는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의 리그닌 특성들은 서로 매우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며, 낙엽침엽교목에 속하는 낙엽송 리그닌의 특성은 나머지 세 가지 수종의 리그닌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utilization of lignin by-products. Lignin by-products of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Pinus koraienisis (Siebold & Zucc.) Moldenke, Pinus rigida Mill were obtained from Ammonia Recycled Percolation, and the characterization of each lignin was compared. Total phenols in pre-treated lignin were determined and evaluated by Folin-ciocalteu reagent. Various lignin by-products were fractionated subsequently with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Comparison of each fraction was done by using HPLC and LC/MS.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were shown to have similar level on each lignin. Also, comparison of lignin of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Pinus koraienisis (Siebold & Zucc.) Moldenke, Pinus rigida Mill was revealed similar pattern by HPLC and LC/MS except that of 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haracterization of lignin in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Pinus koraienisis (Siebold & Zucc.) Moldenke, Pinus rigida Mill that included in the category of evergreen tree was shown to have similar compounds but different in Larix kaempferi (Lamb.) Carriere that included in the category of tall tree.

      • KCI등재

        Bacillus subtilis MC31 와 Lactobacillus sakei 383의 혼합배양으로 향상된 풍미와 GABA 함량을 지닌 청국장의 품질 특성

        이가영(Ga-Young Lee),김수인(Su-In Kim),정민기(Min-Gi Jung),성종환(Jong-Hwan Seong),이영근(Young-Guen Lee),김한수(Han-Soo kim),정헌식(Hun-Sik Chung),이병원(Byoung-Won Lee),김동섭(Dong-Seob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10

        청국장은 혈전용해능효과, 항산화효과, 항암효과 등의 여러 가지 기능성을 가지고 있으나 특유의 불쾌취로 인해 어린이들은 좋아하지 않는다. 청국장의 GABA함량과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B. subtilis MC31과 L. sakei 383을 이용하여 혼합배양조건을 연구하였다. 두 균주의 비율이 1:1일 때 불쾌취가 크게 감소되었으며 점질물의 양과 점도는 일반 청국장과 비슷하였다. B. subtilis MC31과 L. sakei 383으로 37℃에서 72시간동안 발효하여 얻어진 청국장의 GABA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청국장 발효 기간 동안 혼합 발효 청국장의 생균수는 B. subtilis MC31가 6일째에 최대치(log 9.13 CFU/g)를 나타냈으며 L. sakei 383은 2일째에 최대치(log 6.78 CFU/g)를 나타내었다. 혼합 발효 청국장의 일반성분으로 수분은 61.71%, 조회분은 2.05%, 조단백은 17.54%, 조지방은 8.36%, 조섬유는 1.95% 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미노태질소는 혼합 발효한 청국장이 B. subtilis MC31을 단일 발효한 청국장보다 함량이 낮았으며 암모니아태 질소와 환원당은 혼합 발효한 청국장이 일반 삶은 콩보다 함량이 높았다. 아미노산 분석기로 측정된 Glutamic acid와 GABA의 함량은 각각 1.40 mg/g 과 0.47 mg/g 이었다.이러한 결과를 보아 단일발효보다 B. subtilis MC31과 L. sakei383를 1:1 혼합발효시 불쾌취가 줄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GABA함량이 가장 높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hungkookjang has several functional properties, such as fibrinolytic activity, anticancer effects, and antioxidant effects. However, children do not like Chungkookjang because of its foul odor. A mixed culture of Bacillus subtilis MC31 and Lactobacillus sakei 383 was used to improve the production of GABA in Chungkookjang and its flavor. Most of the foul odor of Chungkookjang was removed. The slime content and viscosity of Chungkookjang fermented in the mixed culture were similar to those of commercial Chungkookjang when B. subtilis MC31 and Lactobacillus sakei 383 were inoculated in a 1:1 ratio. The maximum GABA content was obtained when Chungkookjang was fermented with B. subtilis MC31 and L. sakei 383, which was fermented at 37℃ for 72 hr. During the period of fermentation, the viable cell number of B. subtilis MC31 reached a peak (log 9.13 CFU/g) at six days, and L. sakei 383 reached a peak (log 6.78 CFU/g) at two days. The moisture, crude ash,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fiber contents were 61.71%, 2.05%, 17.54%, 8.36%, and 1.95%, respectively. The amino-type nitrogen content of Chungkookjang fermented by B. subtilis MC31 and L. sakei 383 was less than Chungkookjang fermented by B. subtilis MC31 alone. The ammonia-type nitrogen and reducing sugar content of the Chungkookjang fermented by B. subtilis MC31 and L. sakei 383 were higher than that of steamed soybean. The glutamic acid and GABA content detected with an amino acid analyzer were 1.40 ㎎/g and 0.47 ㎎/g,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fermentation with B. subtilis MC31 and L. sakei 383 in a 1:1 ratio removes more of the foul odor and increases the GABA content compared with single fermentation.

      • KCI등재

        야생산사(Crataegus pinnatifida BUNGE)씨 생리활성물질의 산화억제 효과

        Duan Yishan,김민아(Min-A Kim),김한수(Han-Soo Kim),성종환(Jong-Hwan Seong),이영근(Young-Guen Lee),김동섭(Dong-Seob Kim),정헌식(Hun-Sik Chung)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에서는 야생산사씨의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자 70% methanol, 70% ethanol, chloroform:methanol (CM, 2:1, v / v), n-butanol, ethyl acetate (EA) 용매로 추출하여, 시료 농도 0.2 mg/ml, 0.5 mg/ml, 0.8 mg/ml에서 측정 비교 하였다. DPPH, reducing power, FRAP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70% methanol, 70% ethanol, EA, CM, n-butanol 추출물 순으로 높게 측정되어 모두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DPPH에서 70% methanol 추출물은 18.22%~65.42%, 70% ethanol 추출물은 15.97%~60.25%의 우수한 radical 소거 활성을 보였다. NO radical 소거 활성은 n-butanol, EA, CM, 70% methanol, 70% ethanol 추출물 순으로 나타났으며, OH- radical 소거활성은 n-butanol, 70% methanol, 70% ethanol, CM, EA 추출물 순으로 측정되었다. 모든 용매 추출물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표준물질에 비해서는 유의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사씨 용매 추출물 중 70% methanol 및 70%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대부분 높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산사씨는 우수한 천연 항산화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Haw (Crataegus pinnatifida BUNGE) is a medicinal plant commonly used in Korea due to its beneficial health effect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bioactive components from haw seed. Freeze-dried seed was processed with various solvents such as 70% methanol, 70% ethanol, a mixture of chloroform and methanol (2:1, v / v), n-butanol and ethyl acetate (EA). DPPH, reducing power,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ecreased in this order: 70% methanol, 70% ethanol, EA, CM, n-butanol extracts.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high in the n-butanol extract (36.73% in 0.8 mg/ml concentration) and low in the 70% ethanol extract (24.96% in 0.8 mg/ml concentration). O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n-butanol extract (40.42% in 0.8 mg/ml concentration) was higher than the other extracts, but EA extract was the lowest (13.39%)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 results show that each extract contained various antioxidative substances and it seemed that different influence at each antioxidative activity.

      • KCI등재
      • KCI등재

        관능이 개선된 발효두유 제조를 위한 젖산균 분리,동정 및 특성

        정민기 ( Min Gi Jung ),김수인 ( Su In Kim ),허남윤 ( Nam Youn Hur ),성종환 ( Jong Hwan Seong ),이영근 ( Young Geun Lee ),김한수 ( Han Soo Kim ),정헌식 ( Hun Sik Chung ),김동섭 ( Dong Seob Kim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1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44 No.1

        본 연구에서는 선행 발효두유에서의 산미·이취를 개선시키기 위해 한국 전통발효식품인 김치로부터 젖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였다. 분리된 89주의 균주 중 두유 발효 시 산미·이취를 생성하지 않는 균 3주(Strain No. R53, R83, R84)를 임의로 분리하였다. 생물학적, 형태학적 및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등과 같은 생화학적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3주의 균은 W. koreensis 동정되었다. 최종적으로 이 3주의 균중 가장 산미·이취를 적게 생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Strain No. R83을 최종 실험 균주로 사용하였으며 이 균주를 W. koreensis KO3로 명명하였다. W. koreensis KO3을 이용하여 최적 발효두유를 제조하였으며 이화학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30℃에서 12시간 발효시켰을 때 생균수가 8.71 × 10(8) CFU/ml로 가장 생육이 뛰어났으며, 이때의 pH와 산도는 각각 6.02, 0.33%를 나타내었다. 일반성분은 수분 94.06%, 조회분 0.18%, 조단백 2.71%, 조지방 1.16%, 조섬유 0.01%로 측정되었다. 아미노산 분석 결과 27종의 아미노산과 유도체들이 확인되었다. 단맛을 가지는 아미노산으로 알려진 serine, glycine, threonine, alanine, aspartic acid 함량이 증가하였고 발효 전에는 검출되지 않았던 ornithine이 생성되었다. 관능평가에 있어서는 선행 발효두유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개선된 평가를 얻었다. 따라서 관능검사, pH 및 산도 그리고 아미노산 분석을 결과를 토대로 볼 때 W. korensis K03로 제조한 발효두유는 음료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며 향후 연구를 통해 기능성 성분이 탐색 된다면 새로운 형태의 건강식품개발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In order to improve the sour taste and foul odor of fermented soymilk, bacteria were isolated from kimchi and identified. Of the 89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3 isolates produced fermented soymilk with a sour taste and foul odor. The selected bacterial strains R53, R83, and R84 were identified by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16S rRNA analyses as Weissella koreensis. The strain R83, which produced fermented soymilk having the mildest sour taste and foul odor, was selected for further investigation and named W. koreensis KO3. The optimum culture condition for the fermentation of soymilk by W. koreensis KO3 was at 30℃ for 12 h. When soymilk was fermented under the optimum culture conditions, the viable cell count reached up to 8.71 × 10(8) CFU/ml and pH and acidity reached as low as 6.02 and as high as 0.33%, respectively. Twenty-seven amino acids and their derivatives were detected in fermented soymilk. The amounts of serine, glycine, threonine, alanine, and aspartic acid, which contribute to a sweeter taste,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Orinithine, which was not detected before fermentation,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W. koreensis KO3-fermented soymilk has improved bean, roasted nut, and sour flavors as well as an enhanced mouthfeel, appearance, preferability, and overall acceptability compared with those of standard fermented soymilk. With further study and development, soymilk fermented by W. koreensis KO3 could serve as a health-promoting food with favorable sensory qua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