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트렌치 전극 형성에 의한 파워 MOSFET의 순방향 블로킹 특성 개선에 관한 연구

        김대종 高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Power semiconductors are being currently used as a application of intelligent power inverters to a refrigerator, a washing machine and a vacuum cleaner as well as core parts of industrial system. They are even included in PDP driver IC and other home appliances. Moreover, the applications of them are being expanded in the various fields of traffic and power system such as electric cars, subway, and traffic, etc. The rating of semiconductor devices is an important factor in decision on the field of application and the forward blocking voltage is one of factors in decision of the rating. Typical MOS-gated thyristors, actively under study these days, are MCT(MOS-Controlled Thyristor), BRT(Base Resistance Thyristor), EST(Emitter Switched Thyristor), etc and discrete power devices of recently developed DGMOT(Dual Gate MOS Thyristor), IGTH(Insulated Gate Thyristor), and IBMCT(Insulated Base MOS-Controlled Thyristor) usually have a size of 100㎛ or so. The power MOSFET device has merits of high input impedance, short switching time, and stability in temperature as well known. Power MOSFET devices are mainly used as switches in the field of power electronics, especially the on-state resistance and breakdown voltage ar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parameters. Power MOSFET devices that enable a small size, a light weight, high-integration and relatively high voltage are required these days. In this paper, three types of power MOSFET structures are proposed to improve their electr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blocking voltage. Besides, the two 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using MEDICI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evice and examine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First, a trench electrode power MOSFET device is proposed to improve forward blocking characteristics and its efficiency in high density integration. Second, a trench electrode power MOSFET device which has a local doping in its drain region is proposed to obtain higher forward blocking voltage at the same size. The two proposed devices have superior electrical characteristics when compared to conventional device. Third, a trench electrode power MOSFET including three trench oxide layers is simplified to decrease complexity in fabrication and maintain its superior electrical characteristics. In the proposed trench electrode power MOSFET, forward blocking voltage is considerably improved by using the vertical trench electrodes and forward blocking voltage is 1.5 times bet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lateral power MOSFET. In the proposed trench electrode power MOSFET with local doping in its drain region, it has considerable improvement in forward blocking characteristics which shows 500V forward blocking voltage. Because punch-through breakdown voltage should be increased because of narrower doping width of the drain region compared to that of proposed trench electrode power MOSFET. Especially the forward blocking voltage of simplified structure which includes one trench oxide layer only for gate electrode is higher than that of proposed trench electrode power MOSFET. Consequently, the fabrication of trench electrode power MOSFET with superior stability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is simplified.

      • 단층과 적층 압전 변환기의 진동 특성

        김대종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deals with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stacked transducers composed of piezoelectric discs, which are main elements of ultrasonic sensors or actuators. Research methods are theoretical and finife-element analyses and experiment.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single-layer piezoelectric discs, the core elements of stacked piezoelectric transducers, were investigated first of all. Natural frequencies and shapes of the radial modes were obtained by using the characteristic equation derived from the radial motion and boundary conditions of the piezoelectric disc. The theoretically-calculated results were verified by comparing them with finite element analysis and experiments. Stacked transducers which are composed of piezoelectric discs with different diameter, were invented in the sense of natural frequencies. Two- or three-layer trensducers made of two or three kinds of piezoelectric discs were fabricated. Finite element analysis and experiment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natural frequencies of stacked piezoelectric transducers. Based on the results about the vibration characteristics, it would be possible to predi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cked piezoelectric transducers for design. 본 논문은 초음파 센서 또는 액추에이터의 핵심 부품인 압전 원판을 적층한 변환기의 진동 특성을 다룬다. 연구 방법은 이론적 해석 및 유한요소 해석과 실험이다. 적층 압전 변환기의 핵심요소인 단층 압전 원판의 진동 특성을 먼저 파악하였다. 압전 원판의 반경방향 운동과 경계조건에 따른 특성방정식을 이용하여, 반경모드의 고유진동수와 진동형상을 이론적으로 구하였다. 유한요소 해석과 실험을 통해 고유진동수와 진동형상을 구하였고, 이론적 해석 결과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적층 압전 변환기는 지름이 다른 압전 원판을 적층하는 것으로서 고유진동수 관점에서 고안되었다. 압전 원판의 지름 크기에 따라 2종 또는 3종의 원판을 2층 또는 3층으로 결합하였다. 적층된 압전 변환기의 고유진동수를 확인하기 위해 유한요소 해석과 실험을 하였다. 진동 특성을 파악한 결과를 토대로, 적층 압전 변환기의 설계를 위한 특성 예측을 할 수 있게 되었다.

      • 온라인쇼핑산업, 한중FTA, TPP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

        김대종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ripple effects of the online shopping industry on the domestic economy. we investigate the ripple effects of the online shopping industry on the domestic economy in south korea. Online shopping industry on the domestic economy are higher than those of conventional wholesalers and retailers. 본 연구는 온라인쇼핑산업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분석결과 온라인쇼핑산업은 전통적인 도매와소매보다 파급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산업은 2009년 기준 생산유발액은 133조원 부가가치액은 28조원, 취업유발자수는 317,696명, 고용유발자는 219768명으로 나타났다.

      • 洪川物傑里寺址硏究

        김대종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洪川 物傑里 寺址 硏究 단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불교미술사전공 김 대 종 지도교수: 박 경 식 강원도 홍천군 내촌면 물걸리 소재 물걸리사지는 강원도 기념물 47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사지에는 3층석탑을 비롯, 총 5건의 석조문화재가 보물로 지정ㆍ보존되고 있다. 또 1969~1981년까지 사지 주변에서 금동불상 5점이 발견되었고, 초석과 장대석 등 적잖은 석재들이 수습되 사지 내에 거치되어 있다. 물걸리사지는 유적 자체로 중요성을 가지며, 사지 내 석조물은 미술사적 가치가 있다. 물걸리사지가 있는 홍천지역에 언제부터 사람들이 터를 잡고 살았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홍천 하화계리 구석기 유적 등을 볼 때 선사시대부터 인류가 생활하였던 것으로 확인된다. 홍천지역의 선사유적을 비롯하여, 불교유적과 관방유적의 현황과 위치를 정리하면서 물걸리사지가 가지고 있는 강원 영서·영동지역의 불교 전파 경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물걸리사지가 위치하고 있는 홍천군 내촌면 동창마을은 영서북부지역은 물론 홍천 관내에서도 비교적 오지에 속하는 곳이다. 물걸리사지가 있는 삭주는 통일 이후 신라 영토로서 신라 국경선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었다고 보이지만 신라의 군진이 설치된 북방지역으로 통일신라의 군사조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홍천에는 삭주의 군사 조직인 벌력천정이 설치되었으며, 군사조직이 주둔하고 있었다는 것은 당연히 수도 경주와 연결되는 도로가 발달되었을 것이다. 국토의 방위를 위해 군대를 설치하는 한편, 사찰의 창건이 수반되었다고 보인다. 조선시대 홍천 동창이 이곳에 위치하였던 것도 그러한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중세에 이르기까지 군인들이 종교 신앙의례에 동원되는 모습을 볼 때 지리적인 위치와 더불어 종교적(사찰의) 연관성을 고려할 때 물걸리사지의 사찰은 지리적인 측면에서 보면 정치ㆍ군사ㆍ경제 등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지방 거점 사찰로 건립되고 경영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제Ⅲ장은 발굴조사와 출토유물로서 2003년 국립춘천박물관에서 사찰 중심부로 추정되는 곳을 시굴조사하게 되었다. 그 결과 금당지, 회랑지, 건물지 등의 건물유구 및 통일신라에서 고려시대 전기의 기와 및 도자기 등도 함께 확인되었다. 2015년 강원고고문화연구원에서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구역보다 더 확장된 구역에 대해 전면 발굴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이때 중심구역으로 추정하고 있는 곳에서 금당지를 비롯해 총 6동의 건물지와 방형 적심 2기, 배수로 1기, 석렬유구 1기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수습 출토된 유물로 국립춘천박물관에서 소장중인 금동불상은 휴대용 원불이라고 할 수 있다. 철불 파편은 석가모니불상으로 보물 543호의 대좌에 모셔진 불상으로 볼 수 있고, 법신 비로자나불 보신 아미타불 화신 석가모니불의 삼신을 모신 물걸리사지의 주전을 추정할 수 있을 것 같다. 제Ⅳ장에서는 강원도 기념물 47호로 지정되어 보존되어온 곳으로 현재 삼층석탑(보물 545호) 1기를 비롯해 석조여래좌상(보물 541호), 석조비로자나불좌상(보물 542호), 석조대좌(보물 543호), 석조대좌 및 광배(보물 544호) 등 통일신라에서 고려시대로 이어진 석조유물의 특성과 조성시기의 분류이다. 9세기 초에 건립되었다고 보이는 물걸리사지의 보물 545호 물걸리사지 삼층석탑은 북쪽면의 하층 기단 탱주를 별석으로 조성하였다. 석조유물의 양식적 특성을 보면, 물걸리사지의 불교조각들은 신라 하대에서 고려 초기까지의 불교조각의 흐름과 시대양식에 부합하는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비로자나불좌상의 조성시기 역시 일반적인 비로자나불좌상의 등장과 괘를 같이 한다. 특히 어깨에 비해 큰 두상과 통견형 법의의 형식적인 삼각형 어깨 옷 주름 등은 9세기 후반기의 불상임을 보여준다. 석조여래좌상은 항마촉지인을 결하고 통견의 법의를 착용하고, 대좌 하대하단석의 가릉빈가 조각으로 볼 때 보물 543호 대좌와 함께 9세기 말엽에 조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544호 대좌는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둔각의 고맥이 초석으로 육각건물지 봉안된 것으로 고려 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물걸리사지는 의상의 화엄십찰 중의 하나인 삭주의 화산사와 관련이 있을 것이며, 화엄사상과 깊은 관련이 있고, 물걸리사지의 불교조각은 경주를 중심으로 하는 중앙의 장인들에 의해 조성된 석불로 보여진다. 또한 현존하는 삼층석탑을 비롯한 시기를 다소 달리하는 다양한 석불들을 보았을 때 사역의 범위도 현재의 보호구역을 벗어나 더 확대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신라의 변방 홍천의 물걸리에 사찰이 건립되고 석탑과 불상이 조성된 것은 민중의 위무라는 종교적 기능 외에도 국토의 중심이 왕이라는 인식이 결합하여, 물걸리사지는 단순한 지방 사찰이 아니라 중앙 정부나 왕족 차원에서 중앙의 숙련된 장인들에 의해서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것은 물걸리사지가 위치한 지리적 입지로서 구룡령을 넘어 영동(양양)지방의 선림원지, 진전사지등에 불교미술사적 영향으로 영동지방에 불교문화를 꽃 피우는데 단초를 제공한 사찰이라고 보여진다. 또한 본 논문으로 강원도 기념물인 물걸리사지가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승격되어 보호구역이 확대되고 추가 조사되어 사역의 범위와 불교미술사적 가치를 밝히는 계기가 되길 희망해본다. (Abstract) A Study of Hongcheon Mulgeol-ri Temple Site Kim Dae Jong Department of History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Advisor:Professor Park Kyong Sik Mulgeol-ri Temple site, Hongcheon is a Monument No. 47 of Gangwon province, which has five treasures including a Three-story Stone Pagoda. Furthermore, five statues of Gilt-bronze Buddha have been preserved along with numerous building stones ever since those were excavated between 1969 – 1981 around the temple site. Mulgeol-ri Temple site has its significance as a cultural heritage itself, but many stone materials maintained has also art-historical importance. Hongcheon, in which Mulgeol-ri temple site is located, seems for human to have settled down and lived even from prehistoric times according to Hahwagye-ri prehistoric sites, Hongcheon, even though not knowing exact timeline. In addition to this, through the temple site was it aimed to investigate the path for the spread of Buddhism in the western and eastern area of Gangwon province, by reviewing the present Buddhist and state-official remains in Hongcheon as well as Mulgeol-ri temple site. Among this Hongcheon region, Dongchang village in Naechon-myun, exactly where Mulgeol-ri temple site is located, is a sparsely inhabited rural area even in Hongcheon as well as the northwestern part of Gangwon province. This region was also called Sakju in the Unified Silla era; given that this region was a fortification (鎭) of the northern area of Silla, it seems to have been deeply connected with the military system of the country, even though located a little far from the borderline. Considering the military camp of Sakju constructed in Hongcheon, called Beollyeokcheonjeong (伐力川停), it could be supposed that Hongcheon and the capital, Gyeongju was connected with the thoroughfare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Mulgeol-ri temple appears to have been followed, while the military fortification was constructed for the defense of the country. In light of this historical context, it can be comprehended the reason why eastern storage (東倉), Hongcheon was located in this area during the Chosŏn period. Considering the mobilization of soldiers to take part in the religious ritual until the medieval times and the religious connection with the temple as well as the geographical location, Mulgeol-ri temple appears to have been established as a pivot temple of the local community to carry out a major role regarding politics, militaries, and economics. Chapter 3 dealt with excavation and excavated remains in Mulgeol-ri temple site initiated by Chuncheon National Museum in 2003. As a result of this archeological investigation, many remnants were disclosed, including the building remnants - the main hall site and corridor site - as well as roof tiles and potteries of the period from the Unified Silla to the early Koryŏ. In 2015, the other excavation was carried out on the more extended area than before by Gangwon Archaeology and Culture Institute; as a consequence, a large number of antiquities was discovered: two square-shaped foundation remains, one culvert, a stone alignment remains as well as six building sites including the main hall. Among these antiquities, the Gilt-bronze Buddha, excavated before and resting in Chuncheon National Museum, appears to be portable statues used by individuals in their prayers. Furthermore, one of the fragments of Iron Buddha is assumed to be a Sakyamuni Buddha on the Stone Pedestal (Treasure No. 543); hence, the whole three-body of Buddha is presumed to be main Buddha in this temple, which is Dharma body Vairocana Buddha, Reward body Amitabha Buddha, and Transformation body Sakyamuni Buddha. Chapter 4 examined the feature and the construction era of the each excavated remains, including Three-story Stone Pagoda, Stone Seated Buddha, Stone Seated Vairocana Buddha, Stone Pedestal, and Stone Pedestal and Mandorla, which were normally established from the unified Silla to Koryŏ. Specifically, in Three-story Stone Pagoda was the Taengju (a square pillar in relief on wall structure) of the lower stylobate built with Byeolseok (another stone), around the late 9th centuries. With respect to the style of stone building remnants, Buddhist sculptures in Mulgeol-ri temple site reflect the feature of the era from the late Unified Silla to the early Koryŏ. For instance, Stone Seated Vairocana Buddha in Mulgeol-ri temple site emerged corresponding to the appearance of general Seated Vairocana Buddha and it is regarded as a Buddhist statue built in the late 9th centuries, according to a triangular drapery covering both shoulders. Stone Seated Buddha is shown to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near late 9th centuries along with the Stone Pedestal, given that it has a gesture of defeating the demons and touching the earth (降魔觸地印), has a sculpture of kalaviṅka (A bird with a melodious voice native to the Himâlayas; 迦陵頻伽) and puts on the Buddhists sacerdotal robe with a garment covering both shoulders. Stone Pedestal, on the other hand, is assumed to have been constructed in the early Koryŏ period, considering the stone building remnants. In terms of philosophical backgrounds, it is presumed that Mulgeol-ri temple site is connected with Hwasan temple in Sakju as well as the thought of Hwaom and Buddhist sculptures in Mulgeol-ri temple site were created by Gyeongju based skillful. Furthermore, the ministry of this temple is shown to have been far beyond the temple site, given the various stone pagodas created separately. Consequently, it is believed that Mulgeol-ri temple site was constructed by Gyeongju-based masters supported by center government or royal families, not a mere local temple, having its origins in the concept of the king as a center of the land as well as giving a religious relief to the people. Moreover, due to the geographical advantages, Mulgeol-ri temple seems to have influenced other Buddhist temples like Seollimwon site, Jinjeonsa temple site beyond the Guryong ridge, flourishing the Buddhist culture in eastern Gangwon province. I hope that this thesis gives an opportunity for Mulgeol-ri temple site, a Monument of Gangwon province to be elevated to the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and illuminates the Buddhist art-historical significance and the actual ministry of it.

      • 자발적 시민예술공동체 활성화 방안

        김대종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With the enforcement of 'local culture activation projects' in the middle of 1980s in which domestic economical growth stood firmly, domestic culture and art policies have been gradually converted from central government-oriented ones to local people's enjoyment of cultural life, such as the construct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s. However, the practical activation of local cultural policies seemed to begin with the full-scale enforcement of local autonomic system in 1995. Since then, the local culture activation policies have been the opportunities of motivating local people to change their political dispositions and statuses. With local autonomies' active promotion of local culture, its importance has been recognized again and the relationship of local people with local governments has been changed into the status of residents as 'customers' and 'owners', thus achieving much advance in the necessity of recognizing local residents' values and roles. In this course of changes, the increase of local people's cultural desires and various cultural activities has made the cultural growth that representing regional competitiveness in international society come to the fore as an important task. The changes of cultural environment have been recognized importantly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he role of non-profit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civic art communities has been regarded importantly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policies and their sphere of activities has gradually broadened.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tried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formation of a voluntary civic art community which spontaneously generated from the gradual development of civic consciousness into social interaction-oriented communal ties within the sphere of a community on the basis of the possibility of art-based social integration. In order to explain the academic foundation of voluntary civic art community, the investigator examined preceding studies on communities. Based on the above examination, the investigator drew out such three elements of community that functioning as the most basic components of community as geographical spheres, social interaction and communal ties and then explained these three components.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change of people's artistic and cultural consciousness for the realization of cultural democracy after the '68 Paris Revolution' First of all, the background of appearance of voluntary art and its theoretical meaning were looked into. In addition, the examples of civic art communities home and abroad were explained. As for the domestic examples, the investigator examined such three cities as Daejeon Metropolitan City, Seongnam City and Hwaseong City. As for the overseas examples, the investigator examined such three countries as the United Kingdom (seemingly the country of birth place of voluntary art communities), Germany and Bulgaria, focusing on civic art activities and support policies. As for the current status of culture and art policies, an in-depth interview of 17 specialists from such three fields as academic circles, concerned governmental agencies and voluntary civic art community participant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necessity of civic art community.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as for the necessity of civic art community, all the specialists from the three fields presented positive standpoints. They recognized it as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communication with communities and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 (2) They regarded the activities of voluntary civic art community as achieving self-development, creating the values of community, increasing residents' ties of interaction, and resulting in services and contributions to communities; (3) they recognized its inevitable role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such as the improvement of local images and the instillation of dignified local emotions; (4) the civic art community could play the role of reconciliatory window via communication between governmental agencies/public performing facilities and communities. For this, local autonomies must carry out support projects actively; (5) governmental agencies have to put every effort to secure necessary budget and rehearsal space for the smooth activities of civic art community; and (6) in order to activate voluntary civic art communiti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systematic supports for the maximization of their voluntary and spontaneous activities. If local autonomies intervene in their activities on the pretext of supporting them, its original goal and direction can be confused and the existential reason of local autonomies can be questioned as well. In the future, the number of civic art community seems to increase gradual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 carefully until it takes root firmly. The basic principle for local autonomies and civic art community members alike should be their voluntary and devoted participation. And it is also necessary for all the members of community to have full commitment to the mission of realizing the values of voluntary civic art community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and art. 우리나라의 문화예술 정책은 경제적 성장이 안정세로 접어드는 80년대 중반부터 기존의 중앙 중심의 문화정책에서 점차적으로 ‘지역문화의 활성화’ 사업이 추진되면서 문화기반시설 건립 등 지역 주민의 문화적 생활의 향유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지방 문화정책의 활성화는 1995년 본격적으로 실시된 지방자치제가 실시되면서부터라 할 수 있다. 지자체 이후 지역문화 활성화 정책은 지역 주민의 정치적 성격과 위상에 대해 변화를 일으키는 동기 부여의 계기가 되었다. 지자체의 활발한 움직임에 따라 지방문화의 중요성이 재인식되고 또한 지역 주민과 지방 정부의 관계가 ‘고객’으로서의 주민과 ‘주인’으로서의 주민이라는 두 가지 대상을 설정하여 지역 주민의 가치 인식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해 많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지역민의 문화적 욕구와 다양한 문화 활동의 증가는 국제 사회의 경쟁력을 나타내는 문화적 성장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게 되었다. 문화적 환경의 변화는 삶의 질과 관련하여 또한 정책 결정의 집행과정에서 비영리 문화예술 조직과 민간예술단체의 역할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며 점차적으로 그 활동 영역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예술을 통한 사회적 통합의 가능성을 근거로 하여 점차적으로 시민의식이 지역 사회의 영역 안에서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한 공동의 유대 관계로 발전되면서 자연스럽게 발생되는 자발적 시민예술공동체 형성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자발적 시민예술공동체의 학문적 근거를 설명하기 위해 공동체(community)에 관한 선행연구 자료를 검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커뮤니티의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로서 작용하고 있는 지리적 영역, 사회적 상호작용, 공동의 유대 3개 요소를 도출하였고, 또 이 3개 요소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 '68 파리 혁명 이후 문화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우리나라 시민들의 예술문화에 대한 의식 변화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무엇보다도 자발적 예술(voluntary arts)의 등장 배경과 이에 대한 이론적 의미를 고찰하였으며 또한, 국내 및 해외의 시민예술공동체의 사례를 설명 하였다. 사례 대상으로는 대전광역시, 성남시, 화성시 3개 도시를 위주로 하였으며 해외 사례로는 자발적 예술 공동체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는 영국을 중심으로 독일, 불가리아 3개 국가의 시민예술 활동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적 지원 사항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현재 문화예술정책의 대상으로서 시민예술공동체의 필요성에 대한 각계의 심층 면접(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전문가 심층 면접은 자발적 시민예술공동체에 대한 학계 전문가, 관련기관 실무자, 자발적 시민예술공동체 참여자 3개 분야 총 17명을 면접하였다. 이 면접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시민예술공동체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3개 분야 모든 면접자가 이에 동의 하였다. 또한 지역 사회와의 소통과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필수요소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발적 시민예술공동체 활동을 통하여 자기개발은 물론, 지역 사회의 가치창출과 주민 상호 간의 유대관계 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에서의 봉사와 공헌활동을 창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 이미지 개선과 품격있는 지역 정서의 고취 등 지역 문화 발전에 필수 역할로 인식되고 있다. 넷째, 시민예술공동체는 공공 기관 및 공공 극장이 지역과의 소통 통하여 화합을 이루어 낼 수 있는 창구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지원 사업을 지자체는 적극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다섯째, 자발적 시민예술공동체가 원활한 예술 활동을 할 수 있는 필요한 예산과 연습 공간의 확보에 공공 기관에서 적극적으로 노력하여야 한다. 여섯째, 자발적 시민예술공동체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발적, 자생적 활동을 최대한 보장해 줄 수 있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지자체에서는 지원은 하되 이를 빌미로 간섭을 하게 되면 당초의 목적과 방향성에 혼란이 올 수 있고 이로 인해 자칫 단체의 존립여부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앞으로 시민예술공동체는 점차적으로 그 개체수가 증가되리라 생각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때까지 세심한 배려가 요구된다. 지자체는 지자체대로 시민예술공동체 구성원은 구성원대로 자발적이고 헌신적인 참여가 기본이 되어야 할 것이다. 동시에 지역의 문화예술 발전을 위한 자발적 시민예술공동체의 가치를 실현시켜 나가기 위한 구성원 모두의 투철한 사명감도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