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2 개정 고등학교 융합선택과목 『기후변화와 지속가능한 세계』 교육과정 개발의 쟁점과 내용

        김다원 ( Dawon Kim ),병연 ( Byungyeon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기후변화와 지속가능한 세계」 교과목 개발 과정과 주요 내용을 파악하여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본 교과목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교과목은 ‘인간과 기후변화’, ‘기후정의와 지역문제’, ‘지속가능한 세계를 위한 생태전환’, ‘공존의 세계와 생태시민’의 4개 주제로 구성하였다. 둘째, 내용 체계에서는 각 주제별로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내용 요소를 제시하여 내용 이해, 과정·기능 지식, 가치·태도 함양을 강화하였다. 특히, 과정·기능에서는 과제설정하기, 해결 계획 세우기, 해결 수행하기, 결과 획득하기의 일련의 과정을 포함하였으며, 가치·태도에서는 관점 형성, 실천과 참여 등의 내용을 포함하였다. 셋째, 성취기준에서는 주제별로 2~4개의 성취기준을 설정하였으며 주제 내용에 대한 지식 획득, 기후변화의 양상과 문제, 쟁점 등에 대한 현실적 상황 조사와 파악, 해결 방안 탐색과 실천 등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를 균형있게 포함하였다. 넷째, 본 교과목의 교수·학습과 평가 방향에 대한 안내에서는 생태시민성 함양의 목표 달성에 필요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향을 안내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and present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main contents of the “Climate Change and Sustainable World” curriculum. The main contents of this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this curriculum consists of four themes: ‘Humans and Climate Change’, ‘Climate Justice and Regional Issues’, ‘Ecological Transformation for a Sustainable World’, and ‘Co-existence World and Ecological Citizenship’. Second, in the content system, knowledge and understanding, process and function, value and attitude content elements were presented for each topic to strengthen content understanding, process and function knowledge, value and attitude cultivation. In particular, the process and function included a series of processes such as setting up tasks, establishing solution plans, performing solutio`ns, and obtaining results, and value and attitude included perspective formation, practice, and participation. Third, two to four achievement standards were set for each subject, and knowledge, understanding, process, function, value, and attitude were balanced, such as acquiring knowledge of the subject, investigating and identifying realistic situations and problems and issues of climate change. Fourth, the guidance on the direction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of this subject guid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directions necessary to achieve the goal of fostering ecological citizenship.

      • KCI등재

        초등 2015개정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ESD) 관련 목표와 내용 탐색

        김다원(Kim, Dawon)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0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 2015개정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교육(ESD)관련 목표와 내용을 탐색하여 교과교육을 통하여 ESD를 효과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시사점을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8개 교과의 2015개정교육과정 목표와 성취기준에 서술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ESD 핵심내용을 선정하여 준거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분석한 8개 교과 모두 교육과정 교과목표에서 ESD 관련 목표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교과 안에서 ESD를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교육과정에 포함된 지속가능발전 관련 사용 용어는 사회 교과와 실과에서 ‘지속가능한 지구촌’, ‘지속가능한 미래 건설’,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로 사용되었다. 이는 지속가능발전 관점에서 학습을 전개하는 데 긍정성을 보여준다. 그러나 두 교과 모두에서 지속가능발전을 미래사회에 초점을 두고 있다는 면에서는 지속가능발전이 현세대와 미래세대를 동시에 바라보는 개념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셋째, 8개 교과 교육과정에는 전체 22개 ESD 핵심내용 영역 중 ‘양성평등’을 제외하고 모든 핵심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교과 안에서 ESD가 실행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지표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objectives, core contents, and terms of use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reflected 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 find ways to effectively implement ESD in conjunction with the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contents described in objective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focusing on 8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the contents of ESD were selected and used as a refere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ll eight subjects analyzed in this study include ESD-related goals in curriculum objectives. This shows that ESD can be implemented in the subject. Second, the term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were used as ‘sustainable global village’, ‘sustainable future construction’, and ‘sustainable future society’ in social studies and practical arts. This shows positiveness in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in both subjects, sustainable development is focused on future society, and it has a limitation in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is a concept that looks at both the present and future generations at the same time. Third, the eight subjects include all the core contents except for ‘gender equality’ among 22 core contents of ESD. This is a positive indicator that ESD can be implemented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초등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전략과 모듈 개발

        김다원(Kim, Dawon),윤정(Yoon, Jung),강지은(Kang, Jieun)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20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수업전략을 모색하고, 이에 의거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수업모듈 예시를 개발하였다. 수업전략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파악하고 이를 인식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지속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원리로 지속가능발전의 내용 영역인 사회문화, 환경, 경제적 영역 간의 통합적 접근, 세대 간 형평성 추구, 글로벌과 로컬 간의 관계성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핵심 학습 유형으로는 유네스코에서 21세기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해 제시했던 5가지 유형인 알기 위한 학습, 행하기 위한 학습, 존재하기 위한 학습,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학습, 개인과 사회의 변화를 위한 학습을 적용하였으며, 교수-학습 방법면에서는 지속가능성을 파악하고 지속가능발전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역량 함양의 측면에서 개념학습, 문제해결학습, 의사결정학습, 탐구학습, 시뮬레이션, 스토리, 토의·토론, 예술작품 활용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에 의거하여 ‘지속가능한 우리 마을 만들기’ 학습주제를 설정하고 관련 수업모듈을 개발·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I developed an educational strategy mode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and developed an example of a class modul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ased on this. In this education strategy model, emphasis was placed on identifying and recognizing sustainability through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s necessary principles to grasp sustainability, an integrated approach between social culture, environment, and economic areas, which are the contents areas of sustainable development, pursuit of equity between genera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and local, were established. Core learning types include the five types proposed by UNESCO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in the 21st century: learning to know, learning to do, learning to exist, learning to live together, and learning for individual and social change. In term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concept learning, problem solving learning, decision-making learning, inquiry learning, simulation, stories, discussion and debate, and use of art works in terms of cultivating competencie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sustainability and implementing sustainable development were applied. Based on this, the subject of “Making a Sustainable Village” was set and related instructional module was developed and presented.

      • KCI등재

        글로벌 사회의 객관적 인식을 위한 초등 지리교육과정의 보완적 구성 방안 연구

        김다원 ( Dawon Kim ) 한국지리학회 2021 한국지리학회지 Vol.10 No.1

        오늘날 사회는 세계화, 정보화가 가져온 빠른 사회변화에 맞춰 글로벌 사회에 대한 지식의 업데이트를 요구하며, 고정관념과 편견 그리고 발전 이전의 부정적 시각으로 사회를 바라보는 데서 오는 사회적 문제를 극복하고 긍정적 시각을 갖고 발전적인 측면에서 시민성을 요구한다. 특히, 글로벌 사회를 이해하는 데 핵심 역할을 갖고 있는 지리교육에서 이에 대한 관심과 교육적 실행은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민성 교육의 방법으로 객관적 인식력을 키워주는 교육에 주목하였고 이를 위한 지리교육과정의 보완적 구성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결과로서 네 가지의 지리교육과정의 보완적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정보탐색 방법의 다양화와 활성화이다. 둘째, 사회 변화와 현재의 사회상을 반영한 내용 구성이다. 셋째, 지역의 범주화 방식에 대한 재고 및 논의이다. 넷째, 비판적 사고력 함양을 위한 탐구과제의 적용이다. Today students should update their knowledge of the global society in line with the rapid social change brought about by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And they need to overcome the social problems that come from seeing society through stereotypes, prejudices, and negative perspectives and have positive perspectives. Therefore, education that fosters objective recognition has educational values and needs. In particular, interest and educational implementation in geographic education, which plays a key role in understanding global society, are urgent tas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complementary composition of the geography curriculum to develop objective recognition in geography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organization of geography curriculum for objective recognition was proposed in four ways: First, it is the diversification and active utilization of information utilization methods. Second, it is a content composition that reflects social change and current social appearance. Third, it is a discussion of how to categorize regions. Fourth, it is the application of exploration task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skills.

      • KCI등재

        초등학교 지리교육과정에서 지역학습 구성방식과 내용구성 변화 분석

        김다원 ( Dawon Kim ) 한국지리학회 2018 한국지리학회지 Vol.7 No.3

        본 연구에서는 제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개정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초등학교 지리영역의 지역학습을 위한 지역 구성방식과 내용구성의 변화를 살펴보고, 지역학습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찾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와 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구성방식에서는 ‘고장 → 우리지역(지역사회 또는 우리나라 지역, 지방) → 우리 국토 → 세계 여러나라 → 지구촌’의 틀을 유지하면서 환경확대적 구성방식을 보인다. 둘째, 지역 내용구성은 자연환경(위치, 지형, 기후), 인문환경(산업, 인구, 도시, 교통, 자원, 생활모습), 상호교류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런데 학년별, 지역의 규모별에 구분 없이 지역의 내용구성은 비슷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글로벌, 글로컬 시대에서 요구하는 지역 간 상호작용과 글로벌 맥락에서 지역성 파악, 그리고 지역학습의 단계에 따라 심화 확장적인 지역학습을 위해서는 지역 구성방식 및 내용구성의 바람직한 방향을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regional composition and contents for regional learning in primary geography education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propose the desirable direction for regional learn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d the content of the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in the way of regional composition, it shows a widening horizon method while maintaining the framework of ‘the community → the region → the country → the world → the global’. Second, the contents of regional learning are physical environment (location, topography, climate), human environment (industry, population, city, traffic, resources, life style) and mutual exchang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esirable direction of regional composition and contents for interactions between regions that are required in the global and glocal era, localization in global context, and deepening of regional learning.

      • KCI등재

        각국 지리교육에서 위치학습의 내용과 방법 분석 연구 -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의 초·중학교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김다원 ( Kim Daw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1

        위치는 지리교육의 핵심 개념으로 활용되어 왔다. 그 이유는 위치가 지리적 현상들의 시공간적 상황을 설명해주고, 지역이해 및 지역 간 관계, 공간적 프레임을 형성하는 기초지식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지리교육에서 위치학습은 `암기식 산물 지식`, `암기식 지명 지식`을 유발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지리 학습에서는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지리교육에서 다뤄지고 있는 위치학습의 내용과 방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지리교육에서 위치학습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세부적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치개념 학습에 대한 보완의 필요성이다. 위치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위치개념 학습의 강화이다. 공간상 위치 파악하기, 공간상 위치표현하기, 위치속성 파악하기 등의 활동을 균형있게 활용하여 위치개념 학습을 강화하는 것이다. 둘째는 장소성, 지역성, 공간관계 파악, 문제의 원인 및 상황 파악 등의 지리학습과 위치지식을 연결하는 학습을 활용하여 위치지식의 적용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Location has been used as a core concept of geography education. This is because it is a basic knowledge for explaining the spatial situation of geographical phenomena, understand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recognizing spatial relationships. Nevertheless, in Korean geography education, location learning has been criticized as causing `memorizing product knowledge` and `memorizing place name knowledge`. In this study, the content and method of location learning in other advanced countries are analyzed, and implications for location learning in Korean geography education are derived.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supplement learning of the location. Students should do know the spatial location, express the spatial location, and analyze the location attributes. Second, The application of loction knowledge should be strengthened. Linking the location knowledge with locality, spatial relationship, and geographic problem cause and situation is needed.

      • KCI등재

        초등 사회과교육에서 지리용어 교육의 개선 방향 연구

        김다원(Dawon K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21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7 No.4

        본 연구에서는 현행 2015개정사회과교육과정과 사회교과서의 지리용어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배경은 지리용어는 지리학습을 위한 기초지식에 해당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교육이 적극적으로 행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행 교육과정과 사회교과서의 지리용어를 살펴보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교과서에 제시된 지리용어들에 대해 구체적 설명 여부를 살펴보았다. 모든 지리용어들에 대해 구체적 설명이 제공되어 있지는 않았다. 단원에 따라 달랐으며 평균적으로 52%정도의 지리용어들에 대해서만 설명이 제공되어 있었다. 둘째, 학년급별, 단원별로 지리용어를 일관성있게 사용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같은 내용을 표현하는 데 있어서 다른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학습자에게 학습부담과 용어의 의미 파악에서 혼란의 가능성을 줄 수 있었다. 셋째, 지리용어의 의미 설명은 적정한가를 살펴보았다.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용어 설명의 과정에서 지리용어의 속성을 간과한 채 용어 서술이 이뤄진 사례를 찾아볼 수 있었다. 정확한 용어의 의미 파악은 지리용어의 활용성과 연결된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였다. 넷째, 학년 급에 따른 지리용어의 반복적 사용 면을 살펴보았다. 반복적 사용의 비율은6.3%정도였다. 이러한 낮은 비율은 지리용어에 대한 반복 학습의 기회가 줄어들고 다양한 지리용어 학습의 학습부담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개선이 필요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geographical term education in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geographical terms education.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at even though geographical term correspond to basic knowledge for geography learning, education about geographical term is not actively conducted. In this study, I examined geographical terms in the current curriculum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obtained this following results. First, I examined whether the geographical terms presented in the textbook are explained in detail. Specific explanations were not provided for all geographical terms. It differed according to the unit, and explanations were provided for only about 52% of geographical terms on average. Second, I examined whether geographical terms are used consistently by grade level and unit. There is a possibility of burden and confusion on learners while using similar terms. Third, I examined whether the meaning of geographical terms is appropriate.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erms suitable for the learner’s level, I found cases where the terms were written while overlooking the properties of geographical terms. Fourth, I examined the repeated use of geographical terms according to grade level. The rate of repeated use was about 6.3%. Such a low rate needed improvement in that the opportunity for repeated learning of geographical terms could be reduced and it could cause a problem of learning burden in learning various geographical terms.

      • KCI등재

        기후변화 대응의 관점에서 초등 지리의 기후교육 방향 논의

        김다원 ( Dawon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1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그간 기후교육의 핵심교과로 역할하고 있는 지리교육에서 오늘날 지구촌의 주요 환경이슈이자 해결과제로 나타난 기후변화에 대해 지리교육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에 대해 지리교육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할 것인지를 제시하는 데 있다. 한국, 캐나다 온타리오주, 호주의 초등 지리교육과정의 기후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세 교육과정에서는 모두 ‘인간과 기후환경 간의 관계 탐색’, ‘지속가능성 연계 기후환경 탐색’, ‘글로벌 시민성 연계 기후환경 탐색’을 중심으로 기후환경 내용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온타리오주 및 호주 교육과정에는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의 과정에 대한 학습과 지속가능성, 세계시민성과의 연계 면에서 저학년에서부터 더 적극적으로 관련 내용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한국의 지리교육과정에서는 소극적인 내용 구성을 보인다. 향후 교육과정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교육을 어떻게 포함할 것인지 그리고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지속가능성과 연계’, ‘세계시민성과 연계’ 내용을 어떻게 더 강화할 것인지에 대해 충분한 숙고와 논의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geography education is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which has been a major environmental issue and problem in the global community, and what role it should play in the future. The climate environment contents of the elementary geography curriculum in Korea, Canada, Ontario, and Australi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all three curriculums consisted of climate environment contents based on ‘explor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climate environment’, ‘exploration of sustainability-linked climate environment’, and ‘exploration of global citizenship-linked climate environment’. However, while the curriculums in Ontario and Australia contains a lot of relevant content from the lower grades in terms of learning about the process of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and connection with sustainabilit and global citizenship, the geography curriculum in Korea shows weaker contents composition. Sufficient deliberation and discussion are needed on how to include contents on climate change in the future curriculum, how to further strengthen the contents of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connection with sustainability” and “connection with global citize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