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대학행정관리직 능력개발의 방향 : 지식사회를 중심으로

        김길룡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2000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6 No.-

        21세기는 지식이 발전의 기본축이며 경쟁력이 되는 지식사회이다. 이에 따라 대학은 온라인 글로벌 환경이 되고 있다. 한국 대학이 지식사회의 중추기관이 되기 위해서는 대학 구성집단이 각자의 분야에서 수월성을 발휘함으로써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데, 특히 대학행정관리직이 대학경영 전문가로서 수월성을 발휘하는 일이 시급하다. 이를 위한 대학행정관리조직의 개혁과 대학행정관리직 개개인의 능력개발이 필요하다. 대학행정관리조직은 프로젝트 중심 팀제로 전환하고, 이 속에서 팀원의 학습조직 활동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이 기초 위에서 지식경영의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업무에 관한 신지식 창출을 통해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부가가치가 창출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변화추세와 대학개혁의 당위성은 대학행정관리직의 지식근로자화를 요구한다. 대학행정관리직의 지식근로자 특성 함양과 지식근로 능력개발이 원활하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The 21st century becomes Knowledge Society where knowledge is the source of development and competition. Korea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Society. Each constituent of the institution, particularly the higher educational administrator as a professional has to display fully his or her own excellence to secure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institution.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reform and the individual competence development in the institution are required to do this task.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is to be transformed into the project centered team system, and the learning organization operated. The infrastructure of the knowledge management is to be constructed on the base of the new organization. A social value and an economic added value will be continually created through the creation of the new knowledge from the infrastructure. This new environmental trend and the desirability of the organizational reform demand the transformation of a higher educational administrator into a knowledge worker. This demands an active support of the higher educational administrators in developing bot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ompetences for their knowledge work.

      • 지식사회 마인드 구축전략

        김길룡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2001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7 No.-

        변화 패러다임이 지배하는 21세기 지식사회는 지식근로자를 요구한다. 오늘의 학생들이 지식근로자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을 통해 반드시 지식근로에 필요한 학습능력이 길러져야 한다. 이와 같은 학습능력 개발은 지식사회에 알맞은 정신적 인프라 위에서 이루어진다. 정신적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내면적 자원과 지식사회 마인드를 기르는 일이 중요하다. 우선 학교교육 자체가 학습 중심 패러다임으로 전환하여 학생들의 내면적 자원이 일상적인 교수·학습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개발되도록 하는 일이 중요하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지식사회에 알맞은 가치관과 사고의 적극성을 길러주고, 새로운 조직 패러다임에 충분히 적응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줌으로써 지식사회 마인드 구축을 촉진시켜야 한다. 이를 위한 개인, 학교, 사회 차원의 노력이 동시에 집중되어야 하며, 이에 필요한 내용이 현존의 학교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에 충분히 포용될 수 있는 노력이 요구된다. The 21st century is the Knowledge Society which requires knowledge workers. Learning capabilities should be cultivated to the students today through school education to grow them into knowledge workers. Such a development of learning capabilities can be well done on the basis of spiritual infra for the new society. It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cultivate their inner resources and new mind. It is the most important to develop spontaneously students' inner resources in daily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in school by building a learning centered paradigm, and to facilitate students' Knowledge Society centered mind by cultivating new values, positive thinking, and new organization paradigm for the Knowledge Society. These works require collaborative endeavor among individual, school, and society, and also require including such contents in existing school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ntents.

      • 팀원의 지도성 발휘를 위한 기본능력

        김길룡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2002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8 No.-

        21세기 지식사회 패러다임 속에서 팀원의 지도성 발휘에 필요한 능력요소를 밝히고자, 팀원에게 요구되는 새로운 사고, 지도성 기본능력 및 지식경영을 위한 능력요소 등을 규명하였다. 먼저, 21세기 환경분석을 기초로 지식사회의 조직 패러다임을 밝히고, 이로부터 형성되고 있는 조직 수평화 추세와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초로 프로젝트 중심 팀제의 당위성을 밝힌 후, 팀원에게 필요한 특성과 능력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지식사회에서는 팀원 각자의 지도성 발휘를 통해 프로젝트가 성취되어 부가가치가 창출된다는 점을 제시함으로써, 지도성 발휘 주체의 전환을 강조하고, 지도성 발휘를 위해 팀원이 갖추어야 기본능력의 본질을 규명하였다. 끝으로, 팀제는 지식경영과 결합되어야 효율이 창출된다는 점을 밝히고, 팀원의 지도성 기본능력은 지식경영의 원천임을 강조하였다. 팀원이 지도성을 발휘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능력은 다음과 같이 집약된다. 1. 지식사회 지향 사고에 철저해야 한다. 2. 지식사회 지향 사고 아래, 미래예측 능력, 비전창출 능력, 상담 능력 및 문제관리능력 등을 갖추어 지도성을 발휘함으로써 프로젝트를 성취해야 한다. 3. 지식근로자의 특성을 갖추고, 이 기초 위에서 공명력과 공진력을 발휘하여 시너지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자율관리와 학습능력을 증진시켜 지식경영을 주도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In order to identify the competence factors of leadership in the paradigm of Knowledge Society, this study identified the new thinking and the core competence for leadership and knowledge management. Firstly, this study identified the organization paradigm of Knowledge Society on the basis of trend analysis, then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horizontal organization, project-centered team system, and the competence required for team member. Secondly, by presenting the fact that various added values created through leadership act of each team member on a project, this study emphasized the transition of leadership actor, and analyzed the essence of core competence for leadership. Finally, it emphasized that the core competence for each member is to be the source of knowledge management. The core competence for each member is as follows. 1. Each must have Knowledge Society-oriented thinking. 2. Each must have the capability of future study, vision creation, counselling, and problem management for leadership on the basis of the thinking. 3. Each mus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worker, and have self management and learning capability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then increase synergy effect on the work.

      • KCI등재

        독어 강변화 동사들의 유형에 관한 역사적 고찰

        김길룡 慶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8 人文論叢 Vol.10 No.-

        Zusammenfassung In dieser Arbeit wird erstens untersucht, wie das Ablautsystem des deutschen starken Verben entstanden ist und weiter entwickelt hat. Im Germ. gibt es sieben starke Verbklassen. Sie werden nach der Struktur der Präsensstammformen wie unter verteilt:KL.Ⅰ : e + i + K KL.Ⅱ : e + u + K KL.Ⅲ : e + N/L + K KL.Ⅳ : e + N/L KL.Ⅴ : e + K KL.Ⅵ : e + N/L/K KL.Ⅶ : a + i + K, a + u + K, a + N/L + K, e/o + KBei den einzelnen Verbklassen sind es vier verschiedene Stammformen.ⓐ Präs. : Vollstufe ⓑ Prät. Sg. : Abtönungsstufe. (Kl. Ⅰ∼Ⅴ). Dehnstufe (Kl.Ⅵ) ⓒ Prät. Pl. : Schwundstufe (Kl. Ⅰ∼Ⅲ). Dehnstufe (Kl.Ⅳ∼Ⅵ) ⓓ Prät. Pref. : Schwundstufe (Kl. Ⅰ∼Ⅴ). Vollstufe (Kl.Ⅴ∼Ⅵ)Nur Kl.Ⅶ weicht von den Klassen Ⅰ∼Ⅵ insofern ab, als in ihr Reduplikations-formen vertreten sind und daher die Stammvokale des Präteritums aus zwei Silben bestehen. Im nhd. gibt es drei Tempusstämme, d.h. Präsens, Präteritum und Partizip Perfektum. Bei der Veränderung des Stammvokals kann man drei Gruppen unterscheiden.① Drei ungleichen Formen. In dieser Gruppe haben Präs. prät und P.P. jeweils verschiedenen Stammvokal ② Die Gleichformen zwischen dem Präs. und P.P. In dieser Gruppe haben Präs. und P.P gleichen Stammvokal, während das Prät. einen asderen hat. ③ Die Gleichformen zwischen dem Präat. und P.P. In diese Gruppe haben Prät. und P.P gleichen Stammvokal, während das Prät. einen anderen hat.

      • 지식사회에 대비한 교육행정직 능력개발의 방향

        김길룡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9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5 No.-

        21세기는 지식사회이다. 지식사회는 정보화사회가 발전되어 나타나는 사회로, 정보인프라 위에서 신념·가치관·창의력 등 인간의 내면적 자원을 바탕으로 한 학습능력이 발휘되어 지식인프라가 구축되고, 이를 토대로 지속적으로 부가가치가 창출되어 지식이 발전의 기본 축인 동시에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사회이다. 지식사회는 지식근로자를 요구한다. 지식근로자는 환경변화에 따라 학습능력을 발휘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이를 일에 적용해 지속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해 가는 인간자원이다. 지식사회에서는 업무의 전과정이 지식근로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경쟁력이 발휘되므로 대부분의 직업인은 지식근로자나 준 지식근로자에 접근해야 하는데, 특히 교육행정직은 대표적인 지식근로자가 되어야 할 당위성이 있다. 교육행정직은 학습의 바탕이 되는 내면적 자원과 기본학습능력을 길러야 하고, 이를 위한 개별학습과 팀학습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교육행정조직은 프로젝트 중심의 팀제로 전환하고 학습조직을 운영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학습조직은 교육행정직능력개발의 핵심요소가 된다. 지식사회에 대비해 교육행정조직의 학습조직 운영을 위한 제반조건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The 21st century society becomes Knowledge Societ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Society. Knowledge Society is the one continually built up the knowledge infrastructure by creating and accumulating the new knowledges on the basis of the learning activities responding to rapid environmental change. The new knowledges created from the knowledge infrastructure are the source of development and competition. The knowledge worker is a needed human resource in Knowledge Society. The knowledge worker continually creates the new knowledges playing his learning competenc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 and creates the added values through applying the new knowledges to the work. Every work and its process should be performed by the knowledge worker to increase a high degree of competitive power. Most workers need to be transformed into the knowledge worker, particularly educational administrators. To become a competent knowledge worker, every educational administrator would constantly develop his inner resources such as belief, values, and creativity, and the basic learning competences through various individual and team learning activities. The educational administrator organizations need to be transformed into the project centered team system, and to operate the learning organization. The individual, team, and organization learning activities within the learning organization have to be closely connected to promote effective knowledge creation. To operate the learning organization in the educational administrator organizations is the essentials of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response to Knowledge Society.

      • 기능성 단백질 개량기술

        김길룡,함경수 한국미생물학회 1993 微生物과 産業 Vol.19 No.1

        최근 신기능을 가진 단백질의 설계와 창출에 가장 눈부신 기여를 한 기술로 유전자 재조합기술을 들 수 있다. 이 기술의 덕분으로 아미노산 잔기의 치환, 삭제, 혹은 삽입(insertion) 등과 같은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의 임의 변경은 물론, hybrid 단백질의 제조 및 새로운 단백질을 위한 유전자재조합까지도 가능케 되었다. 뿐만아미라 이와 같은 기술은 의학적, 산업적으로도 응용되어 여러 중요한 단백질 혹은 펩타이드의 대량생산에 기여하였다. 위에서 서술한 단백질공학기술은 의약품을 포함한 신기능성 단백질의 창제 및 생산에 가장 중요한 핵심기술이나 국내기술수준이 선진국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실정이고 선진국의 특허보호 등으로 기술이전 또한 용이치 않다. 따라서 범국가적 차원의 지원으로 국내에서의 독자적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단백질 공학기술개발과 응용의 모델로서 의약품 중에서도 국민보건 향상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백신과 면역치료제의개발기술연구는 경제, 사회, 그리고 기술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며, 성공적으로 수행되어 간다면 매우 낮은 수준의 국내 단백질공학기술 자체의 발전은 물론 타의약품개발에 대한 기술적 파급효과도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