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효율적인 기술 정책 제안을 위한 한국 인공지능 지식 구조와 진화 궤적의 탐색적 분석

        김경외(Keungoui Kim),이준민(Junmin Lee),이창준(Changjun Lee) 한국혁신학회 2021 한국혁신학회지 Vol.16 No.3

        본 논문은 인공지능(AI) 관련 지식의 구성 요소와 AI 지식의 진화 궤적과 향후 연구개발 투자 방향에 대해 데이터 사이언스의 탐색적 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분석을 위해 한국특허정보원에서 제공하는 KIPRIS DB와 유럽 특허청의 PATSTAT DB를 활용하였으며, WIPO의 AI 분류 기준을 참고하여, 2001년부터 2020년까지 출원된 AI 특허를 식별하고 CPC 코드와 발명자의 주소지 정보를 활용하여 AI 관련 지식의 구조와 국내 AI 지식 진화 궤적을 분석하였다. 기술 통계 분석 결과, AI 지식의 복잡도가 커지고 있다는 것과 국내 AI 발명자 수의 절대 수와 비율이 증가 추세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I 지식구조 변화에 대한 발견을 요약하면, 먼저 AI 지식의 재료가 되는 기술들의 수와 균등 분포지수 모두 증가 추세이며, 주재료가 되는 핵심 기술로는 주로 물리학, 전기, 운송과 기계 가동 계열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AI 융합 기술 네트워크의 크기가 거대해지는 데 반해 핵심 기술들의 노드 수는 크게 변하지 않았으며, 네트워크의 중심부로 더 밀집하고 있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AI 융합 기술의 주재료가 되는 핵심 기술의 영향력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AI 지식의 현시비교우위 값과 관련성 밀도 지표를 측정하여 한국의 기술경쟁력이 상대적인 우위에 있음과 동시에 관련성 높은 전문화된 기술들이 활발하게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마지막으로 향후 한국 AI 지식 네트워크에 배태될 확률이 큰 기술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AI 지식 구조와 진화에 대한 탐색적 분석에 대한 것으로 향후 AI 지식구조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국내 AI 지식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한 단초를 제공한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components of AI (Artificial Intelligence)-related knowledge, the evolutionary trajectory of domestic AI knowledge,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D investment using the exploratory analysis technique of data science. For the analysis, the KIPRIS DB provided by the Korea Patent Information Service and the PATSTAT DB of the European Patent Office were used. By referring to the AI classification rule of WIPO, we were able to identify AI patents filed from 2001 to 2020 and analyze the structure of AI-related knowledge and the evolutionary trajectory of domestic AI knowledge. As a result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he complexity of AI knowledge has increased and the absolute number and ratio of the number of domestic AI inventors has also increased. To summarize the main findings, first, the core technologies in AI knowledge network are mainly physics, electricity, transportation and machine operation-related technologies. Second, while the size of the AI convergence technology network has grown, the number of nodes of core technologies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and they are more concentrated in the center of the network, meaning that the core AI technologies becomes more important. Through the RCA value and relatedness density index, it can be seen that Korea has relatively superior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and the specialized technologies are highly relevant to the existing knowledge structure. Finally, we proposed technologies with a high probability of being embedded in the Korean AI knowledge network in the future. This study is about the exploratory analysis of AI knowledge structure and evolution, and hope it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AI knowledge structure in the future and provides a foundation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domestic AI knowledge.

      • SCOPUSKCI등재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기술 표준화 방법론 연구: 사물인터넷 무선 통신 기술 계층을 중심으로

        김경외,정성도,황준석,Kim, Keungoui,Jung, Sungdo,Hwang, Junseok 기술경영경제학회 2015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3 No.3

        기술 표준은 기술적 특성과 사양에 대한 일종의 사회적 합의로서 기술의 발달과 함께 모든 산업에 걸쳐 존속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기술의 상호호환성을 제공하고 시장의 우위를 선점할 수 있는 전략적인 요소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기술 표준 연구(표준화 연구)는 기술 표준의 채택 과정과 이로 인한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여 이론적 및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기술 고유의 가치와 상호호환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기술 중심의 분석 결과를 도출하는데 있어 구조적 한계를 드러낸다. 본 연구는 기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출한 기술 차별화 정도와 기업별 기술 선호도 함수를 두 단계 게임 이론 분석 방법에 반영하여 새로운 기술 중심 표준 연구 방법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실증 사례로 사물인터넷의 무선 팬 기술을 선정하였으며, 본 연구 방법론을 통해 해당 시장의 기술 구조 및 표준 관련 함의를 도출하였다. Technology standard continues to exist as an social agreement throughout all industry. With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t is recently considered as a strategic factor for enhancing interoperability and increasing market dominance. Hence, technology standard research(standardization research) have a significance in analyzing the process of standard adoption and its economic effect and deriving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However, as existing relative researches are lack in consideration on indigenous value of technology and its interoperability, there exists limitation in drawing the result of technology centered analysi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new technology centered standard method by implying function of technology differentiation rate and technology preference that are deduced by technology network analysis into two stage game theory. As an example of empirical case, we selected wireless pan technology of Internet of Things, and derive its technological structure and implications related to standard.

      • KCI등재후보

        대학생 참여 중심의 적정기술 활동 활성화를 위한 산학단 협력모델 연구:

        박찬준(Chanjun Park),도연(Doyeon Kim),윤준석(Junseok Yoon),김경외(Keungoui Kim),이준민(Junmin Lee),황준석(Junseok Hwang) 적정기술학회 2018 적정기술학회지(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Vol.4 No.1

        적정기술활동이 참여 학생에게 주는 교육적 효과가 크다는 논의가 지속되는 가운데, 적정기술을 활용한 학생 참여 중심의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대학이 늘고 있다. 그러나 적정기술과 관련된 여러 특성들을 고려하였을 때, 기존의 적정기술을 활용한 봉사활동의 접근 방식에는 크게 두 가지 한계점이 존재한다. 먼저, 학생 중심으로 적정기술 활동을 실시할 경우, 개별 적정기술 프로젝트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대학생들은 보통 방학을 활용해서 봉사활동을 참여하게 되는데, 이러한 일회성 사회봉사 활동은 적정기술이 추구하는 지속가능성 측면에 부합하지 않는다. 또한, 전문지식의 부족과 실무 경험의 결여는 적정기술활동에 대한 신뢰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적정기술은 현지인들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기술의 완성도나 단일 제품으로서의 품질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오히려 부정적인 효과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2017 하계 SNU 공헌유랑단 서울대-한수원 베트남 빈딘 봉사단” 활동은 기존의 문제점들을 산학연 협력이라는 형태로 극복했던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본 사례의 경우, 서울대학교, 한국수력원자력, 서울대학교 글로벌사회공헌단이 협동하여 활동지역에 적합한 적정기술을 공급하기 위해 각자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 결과 대학생 참여 중심적 봉사활동이 가진 한계점을 보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 사례를 분석하여 적정기술 기반의 산학단 협력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대학은 기술의 연구개발과 문제해결형 인재 육성을, 기업은 자금지원 및 기술지원을, 사회공헌단은 현지와 기술 연구 집단, 기업, 학생을 연결하는네트워크 허브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을 때 대학생 참여 중심 적정기술 활동의 교육적, 기술보급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다 많은 연구집단, 기업, 사회공헌단이 대학생 참여 중심의 적정기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ue to its educational effect on students who participate in appropriate technology (AT) activities, more number of universities started to promote voluntary service programs using AT. However, there are two limitations on existing voluntary service programs using AT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eatures of AT. Firstly, the consistency can be hardly maintained as most students participate as a one-time event. Secondly, th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may cause a serious credibility problem. Since AT is closely related to the life of local people, inconsistency and imperfect quality of AT can cause a negative effect. In this context, we studied the case of “2017 Summer SNU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SNU-KHNP Corps in Binh Dinh Vietnam” as it is shown to be a good sample that overcame the existing problems through “Corporate-University-Institute” collaboration. For this case,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Hydro Nuclear Power, and Institute for Global Social Responsibility collaborated for the installment of AT. As a result, we found out that the goal of AT activities could be achieved when the role of each agent was clarified: Company for financial and technological support, university for technology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institute for connecting all agents and local 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