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적에 따른 독서’의 교육 내용 재구조화 연구

        길호현 ( Kil Hohyun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 Vol.0 No.66

        이 연구는 독서의 목적을 유형화하고 이를 교육 내용으로 생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간 독서교육에서는 목적에 따른 독서의 종류를 정보전달, 설득, 친교로 제시해 왔다. 그러나 이는 텍스트 생산자의 목적이다. 독자는 이와는 다른 목적으로 텍스트를 이해한다. 독자가 텍스트를 읽는 목적을 독서의 동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독서의 동기는 계기와 목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를 읽게 되는 계기와 텍스트를 읽는 목적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Schutz의 현상학적 동기 이론을 도입하여 독서의 목적을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독서의 목적은 인지적 목적, 교양적 목적, 정서적 목적, 관계적 목적으로 분류되었다. 각 목적별로 독서 교육을 위한 내용을 구체화 하였다. 본 연구는 ‘목적에 따른 독서’에서 ‘목적’의 주체가 텍스트 생산자가 아니라 텍스트를 이해하는 독서 주체가 되어야 함을 주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독서 행위의 목적을 유형화함으로써 독서 교육의 실제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tudy aims to model the purpose of reading and to create educational content. So far, reading education has presented the types of reading information, persuasion and friendship. However, this is the purpose of the text producer. The reader understands text for a different purpose. The purpose of reading text for the reader is to read it. However, motivation for reading can be distinguished for motivation and purpose. The study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trigger for reading text and the purpose for reading text. To this end, Schutz’s theory of phenomenological motivation was adopted to categorize the purpose of reading. The analysis found that the purpose of reading was divided into cognitive, cultural, emotional, and relational objectives. The contents for reading education were specified for each purpos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reading for purposes’ argued that the subject of ‘purpose’ should be a reading body that understands text, not a text producer. It is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securing the practical skills of reading education by standardizing the purpose of reading activities.

      • KCI등재

        텍스트의 응집성(coherence) 형성 요소와 양상에 대한 연구

        길호현 ( Kil Hohyun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6

        이 연구는 텍스트 이해에서 응집성이 중요하다는 인식 아래 텍스트의 응집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텍스트 응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정리하고, 그간 국어교육에서 응집성과 관련된 교육 내용이 어떻게 제시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텍스트 응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실제 텍스트의 의미 구성에 작용하는 양상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응집성과 결속성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상호 전제로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텍스트의 응집성 형성 요소는 텍스트 요소와 독자 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텍스트 요소로 텍스트 내의 명시적 결속 요소, 텍스트 내의 비명시적 결속 요소, 텍스트 외부 요소가 있다. 또한 텍스트 응집성 형성 요소에 독자 요소도 설정하였다. 또한 ‘기대 - 응답’ 구조가 텍스트의 응집성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내용은 독서 및 작문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으로 설정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coherence of a textual passage with the recognition that coherence is important for textual comprehension. To this end, elements that affect the coherence of a piece of text have been summarized and the contents of an educational module related to cohesion have been analyzed in Korean. Finally, the aspects of how factors that affect textual coherence act on the meaning composition of the actual text have been analyzed in detail. The analysis shows that coherence and cohesion are very closely related and work on a mutual premise. The coherence elements of a piece of text can be divided into text elements and reader elements. With regard to text elements, there are explicit binding elements within a piece of text, non-explicit binding elements within the text, and external elements of the text. The reader element is set up in the textual coherence element and the 'expected - response' structure has also been found to affect the coherence of the text. These can be created as educational content for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 KCI등재

        빅데이터 기사문에 나타난 리터러시 개념 사용 양상

        길호현 ( Kil Hohyun ),이지선 ( Lee Jeesun ) 한국독서학회 2022 독서연구 Vol.- No.65

        이 연구는 일반인의 리터러시 개념 사용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1990년부터 2020년까지 리터러시와 관계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기사 2,319편을 추출하여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으로 구조적 토픽 모델링을 사용하여 기사를 25개 토픽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기사에서 각 키워드가 포함된 네트워크 구조를 산출하였다. 또한 각 키워드에 대한 2,3,4-gram 어구를 추출하여 각 키워드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리터러시’는 다양한 대상에 대한 능력을 의미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literacy’는 특정 영역에 대한 소양의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문해’는 기초 문식성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문해력’은 능력을 중심으로 사용되었다. ‘문식’과 ‘문식성’은 기사문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리터러시를 나타내는 다양한 개념어가 사용되는 양상을 기사문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general public’s use of the literacy concept. To this end, 2,319 articles, including literacy-related keywords from 1990 to 2020, were extracted and selected as analysis targets. The articles were analyzed into 25 topics using STM topic modeling. In addition, the network structures containing each keyword in the article were created. Furthermore, 2-, 3-, and 4-gram phrases for each keyword were extracted to analyze their usage patter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liteoreosi” was used centering of the ability to various objects. “Literacy” was often used as the knowledge of a specific area. “Munhae” was used in the sense of basic literacy. “Munhaeryeok” was used for ability. “Munsik” and “Munsikseong” were not used too well.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empirically analyzed the use of various conceptual words representing literacy using big data in the article.

      • KCI등재

        교육용 텍스트의 이독성 평가를 위한 양적 준거 연구 : 정보 텍스트를 중심으로

        길호현 ( Kil Hohyun ),류수경 ( Ryu Sukyeong ),박태준 ( Park Taejoon ),최소영 ( Choi Soyoung ) 한국독서학회 2022 독서연구 Vol.- No.63

        이 연구는 교육용 텍스트의 이독성을 판단하기 위한 양적인 준거를 검토하고 텍스트의 양적 정보를 실증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텍스트의 양적 평가를 위한 10개의 준거를 선정하였다. 또한 현직 교사의 평가를 바탕으로 준거가 될 수 있는 교육용 정보 텍스트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선정된 준거 텍스트의 기술 통계량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분량 요인에 해당하는 글자 수, 문단 수, 문장 수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문장의 길이나 명사비, 어려운 단어에 해당하는 4등급 단어비 역시 학년과 비례하여 상승하였다. 이 연구는 텍스트의 이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양적인 준거들을 추출하여 실증적으로 검토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신뢰할 수 있는 수준별 텍스트 목록을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학년의 변화에 따른 텍스트 양적 준거값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quantitative criteria for judging the readability of educational texts and their empirically present quantitative information. To this end, 10 criteria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text were selected. In addition, educational information texts that can be the basis were selected, based on the evaluation of teach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characters, paragraphs, and sentences corresponding to the volume factor continued to increase as the grade increased.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sentence, the noun ratio, and the fourth-grade word ratio corresponding to difficult words also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grad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xtracted and empirically reviewed quantitative criteria that affect the heterogeneity of text, it also presents a reliable list of text by level. This study’s significance also lies in the fact that it specifically presented changes in text quantitative reference values according to changes in grade level.

      • KCI등재

        정당화 원리를 활용한 대학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 공론화 과정의 활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이삼형 ( Lee Sam-hyeong ),길호현 ( Kil Hohyun ),이지선 ( Lee Jeesun ) 국어교육학회 2021 國語敎育學硏究 Vol.56 No.4

        이 연구는 합리적 의사소통 역량을 기르기 위한 대학 리터러시 교육의 방법으로 정당화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정당화의 과정이 잘 드러나는 공론화 보고서 6편을 대상으로 공론화의 진행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론화 과정에서 과정적 정당화 기제로 정보의 공유와 학습, 공정성, 협력적 소통 지향 등이 나타났다. 또한 실천적 정당화 기제로 실제적 문제 해결과 합의 형성의 힘 증진이 발견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당화 기제를 활용한 대학 리터러시 교육을 위해 기획 및 사전 학습 단계, 숙의 프로그램 진행 단계, 사회적 실천 단계의 3단계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공론화를 활용한 정당화 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의 교실 중심 및 대결 위주의 토론 교육에서 벗어나 실천 중심의 협력적 의사소통 능력을 기를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way to utilize justification as a method of university literacy education to develop rational communication capabilities. To this end, six public deliberation report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process of public deliberation, information sharing and learning, fairness,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orientation appeared as a procedural rationality mechanism. Furthermore, as a social praxis mechanism, the power of practical problem solving and consensus formation was found. In this study, a university literacy education program using this justification mechanism was proposed.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논증 텍스트에 나타난 핵심 어휘를 중심으로-

        채윤미 ( Chae Yunmi ),길호현 ( Kil Hohyun ) 이중언어학회 2020 이중언어학 Vol.7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of linguistic elements in argumentative texts written by foreign Korean learners in comparison with texts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to clarify thei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ext genre. For this reason, after extracting key words that are judg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using text mining, we visualized the relational network between various key words and compared them. As a result of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we were able to compare the argument methods of the two groups, and also found the differences in the viewpoints to observe the situation. This is a result that shows that the genre knowledge of the argument text of foreign learner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Korean speaker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learning and training related to text genre and verbal expression are required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genre-based writing education. (Sangmyung University, Seowon University)

      • KCI등재

        교사의 이독성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평가자 훈련 워크숍 사례연구

        류수경 ( Ryu Sukyeong ),길호현 ( Kil Hohyun ),박태준 ( Park Taejoon ),최소영 ( Choi Soyoung ) 한국독서학회 2022 독서연구 Vol.- No.62

        본 연구는 초ㆍ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정보 텍스트 이독성 질적 평가자 훈련 워크숍을 실시한 사례를 바탕으로 교사의 이독성 평가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한 평가자 훈련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준거표를 활용한 이독성 질적 평가의 방법과 평가자 훈련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초ㆍ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정보 텍스트 이독성 질적 평가 훈련 워크숍에서 평가 준거에 관한 설명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평가 준거를 숙지하도록 교사를 훈련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수준 설정의 합의점과 평가 준거 내면화를 제고하기 위해 시행한 전략을 도출하였다. 이후에 Rasch 분석과 ICC 분석을 통해 이독성 평자가 훈련 워크숍이 평가자 신뢰도를 높이는 데에 효과가 있었음을 검증하였고, 설문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이독성 평가자 훈련 워크숍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교사의 이독성 평가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이독성 평가자 훈련 워크숍을 개발하는 데에 참고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d cases of readability evaluation workshops and presented its implications for enhancing teachers’ expertise in readability evaluation. In the workshop, consensus was reached on the level of evaluation. In addition, rater-training strategies were derived for evaluators to internalize evaluation criteria. The rater-training workshop’s effectiveness in increasing the rater reliability was confirmed using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Rasch measurement,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