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깨밑동맥의 변이와 팔신경얼기의 관계

        길영천(Young-Chun Gil),양희준(Hee-Joon Yang),이혜연(Hye-Yeon Lee) 대한해부학회 2004 Anatomy & Cell Biology Vol.37 No.4

        겨드랑동맥과 팔신경얼기는 서로 밀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겨드랑동맥에서 일어나는 가지들의 위치에 따라서 팔신경얼 기와의 국소해부학적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 여러 종류의 이식판의 혈관으로 사용되는 어깨밑동맥은 그 가지들의 변이도 중요하지만, 둘째부분이나 첫째부분에서도 일어나는 경우, 팔신경얼기의 다발이나 여러 가지들과의 위치관계가 바뀔 수 있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어깨밑동맥이 형성되지 않고 어깨휘돌이동맥이나 가슴등동맥이 각각 일어나는 경우에도 그 위치나 분포지역에 변이가 생길 뿐만 아니라, 그 주행경로 중 팔신경얼기와의 관계도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어깨밑동맥의 형성이나 시작하는 위치에 따라 팔신경얼기와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관찰하고, 아울러 어깨밑동맥 가지들의 변이와 국소해부학적 특징을 밝히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로는 고정한 성인시신 110구에서 얻은 겨드랑 217쪽을 사용하였다. 어깨밑동맥은 87.1%에서 관찰되었으며, 12.9%의 표본에서는 어깨밑동맥이 없었고, 어깨휘돌이동맥과 가슴등 동맥이 각각 겨드랑동맥에서 일어났다. 어깨밑동맥은 겨드랑동맥의 셋째부분에서 일어나는 것(63.6%)이 가장 많았으며, 둘째부분(18.9%)이나 첫째부분(4.6%)에서 일어나는 것도 관찰되었다. 어깨밑동맥이 겨드랑동맥의 셋째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에는, 80% 이상이 자신경과 노신경의 뒤쪽으로 주행하나, 첫째나 둘째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에는 안쪽다발이나 자신경의 앞을 가로지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뒤위팔휘돌이동맥이 어깨밑동맥과 공통줄기로 일어나는 것을 41.9%의 표본에서 관찰하였다. 겨드랑동맥에서 일어나는 가쪽가슴동맥이 없고, 어깨밑동맥과 가쪽가슴동맥이 공통줄기를 이루는 경우는 28.1%에서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변이는 어깨밑동맥이 겨드랑동맥의 첫째나 둘째부분에서 시작하는 경우에 더 빈번히 관찰되었다. 어깨밑동맥은 겨드랑동맥에서 일어난 지점으로 부터 평균 2.2 cm 떨어진 곳에서 어깨휘돌이동맥과 가슴등동맥으로 나뉘어졌다. 어깨밑동맥에서 어깨밑근가지가 분지되는 경우는 68.7%에서 관찰하였으며, 또한 앞톱니근가지가 분지되는 것은 76.0%의 표본에서 관찰하였다. The change of arising site of branches from the axillary artery determines it’s topographic relationship with the brachial plexus because of closeness between the artery and the plexus. Variation of the subscapular artery (SSA) should be concerned when it is used for the source artery of some flaps, especially focusing on the variation of branching pattern and site of origin and relationships with the brachial plexus. In some cases of absence of SSA, if the circumflex scapular and the thoracodorsal arteries arise from the variable portion of the axillary artery separately, they might change the relationships with the brachial plex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scapular artery and the brachial plexu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origin of the SSA and its branch. Two hundred seventeen axillae from 110 Korean cadavers were used for this study. SSA was found in 87.1% of cases, while in 12.9%, the circumflex scapular and the thoracodorsal arteries arose from the axillary artery (AA) seperately. SSA arose most frequently from the third part of the AA (63.6%), and in 4/5 of these cases, it ran behind the radial and ulnar nerves. When it arose from the second part (18.9%) or from the first part (4.6%) of AA, it mostly ran over anterior to the medial cord or/and the ulnar nerve. In 41.9% of the cases, a posterior circumflex humeral artery made a common trunk with the SSA or came from the circumflex scapular artery. In 28.1% of the materials, the SSA made a common trunk with a lateral thoracic artery especially when it arose from the first or second part of AA. After running a mean distance of 2.2cm from AA, SSA was divided into the circumflex scapular and the thoracodorsal arteies. The SSA gave off the branches to the subscapularis in 68.7% of the cases, and the branches to the serratus anterior in 76.0%.

      • KCI등재

        무릎관절 안정과 관련된 앞십자인대 부착부위와 무릎관절 뒤가쪽부위 인대의 해부학

        길영천(Young Chun Gil),박지아(Ji Ah Park),양희준(Hee Jun Yang),이혜연(Hye Yeon Lee) 대한해부학회 2008 Anatomy & Cell Biology Vol.41 No.1

        앞십자인대는 무릎관절의 전후방 안정성을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관절의 과도한 가쪽돌림 및 폄 운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이와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하는 관절 외부의 구조들로는 가쪽곁인대, 오금근힘줄 및 오금종아리인대 등이 있다. 최근 이들 인대의 손상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로 인한 불안정성의 회복을 위한 재건술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재건인대의 길이 및 폭, 인대의 고정을 위한 터널의 위치결정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인대 부착부의 위치 등에 대한 해부학적 조사는 제대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인대들의 형태 및 주위구조들과의 국소해부학적 관계를 조사하고, 인대 부착부의 중심점에서 주위구조들과의 거리를 계측함으로써 재건술 시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해부학적 참고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재료로는 한국인 성인시체 19구에서 얻은 34쪽(남자 20쪽, 여자 14쪽)의 무릎을 사용하였다. 무릎관절 뒤가쪽부위의 구조들 중, 가쪽곁인대와 오금근힘줄은 조사한 모든 예에서 존재하였으나 오금종아리인대는 79.4%에서만 존재하였다. 인대들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가쪽곁인대의 경우 평균 51.99mm였으며, 남녀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오금근힘줄과 오금종아리인대의 길이는 각각 평균 21.59mm와 18.49mm였다. 넙다리에서 오금근힘줄과 가쪽곁인대의 상호 위치관계는 오금근 힘줄이 가쪽곁인대 부착부의 바로 아래쪽에 붙어 가쪽곁인대에 덮여있는 경우가 67.7%로 가장 많았으며 오금근힘줄이 가쪽곁인대를 가로지른 후 가쪽곁인대보다 앞쪽에 부착되는 경우는 20.6%에서만 관찰되었다. 관찰한 모든 예에서, 앞십자인대는 앞안쪽다발과 뒤가쪽다발로 구별되었다. 앞안쪽다발의 길이는 평균 22.14 mm였고, 뒤가쪽가발의 길이는 평균 15.98 mm였으며, 각 다발의 길이는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길었다. 앞십자인대의 부착부 중심점으로부터 주위구조들과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앞안쪽다발의 중심점은 융기사이선과 관절안쪽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각각 평균 8.36mm와 8.14 mm 떨어져 있었으며, 뒤가쪽다발의 중심점은 융기사이선과 관절안쪽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각각 평균 15.98 mm와 7.36 mm 떨어져 있었다. 인대 전체 부착부의 중심점으로부터 융기사이선까지의 거리는 평균 10.96 mm였으며, 연골 안쪽모서리까지의 거리는 평균 8.45mm였다.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and the posterolateral structures are functionally important structures that assist with the stability of the knee joint. Sport-related injuries to these structures and reconstructive surgery are becoming more frequent. However, the anatomic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structures are not well understood. We measur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sterolateral structures of the knee and the ACL, and we identified the anat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of the femoral attachment area of the ACL and other femoral structures. We dissected 34 cadaveric knees with no signs of previous surgery, knee abnormality, or disease. The lateral collateral ligament (LCL) and the popliteus tendon (PLT) were present in all knees, although the popliteofibular ligament (PFL) was not present in 20.6% of knees. The mean length of the LCL was 51.99 mm and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men and women (P⁄0.05). The mean length of the PLT was 21.59 mm, and the mean length of the PFL was 18.49 mm. In 67.7% of knees, the PLT was attached to the inferior aspect of the femoral attachment of the LCL, and the femoral attachment of the PLT was covered by the bundle of the LCL. The ACL was distinguished into anteromedial (AM) and posterolateral (PL) bundles in all knees. The mean lengths of the AM and PM bundles were 22.14 mm and 15.98 mm, respectively. The measured lengths in each bundle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men and women (P⁄0.05). The mean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emoral attachment area of the ACL and the intercondylar line was 8.36 mm in the AM bundle, 15.98 mm in the PL bundle, and 10.96 mm in the entire ACL. The mean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emoral attachment area of the ACL and the medial border of the lateral condyle was 8.14 mm in the AM bundle, 7.36 mm in the PL bundle, and 8.45 mm in the entire ACL.

      • KCI등재

        배뇨조절과 관련된 감각세포에서 Purinergic Receptor와 Vanilloid Receptor의 분포와 상관관계

        양희준(Hee-Jun Yang),길영천(Young-Chun Gil),이혜연(Hye-Yeon Lee) 대한해부학회 2008 Anatomy & Cell Biology Vol.41 No.1

        방광의 배뇨작용 조절에 관계하는 감각신경에 발현하는 신경전달물질 수용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측되는 것 중에는 ATP를 ligand로 하는 P2X3 수용체와 capsaicin을 ligand로 하는 vanilloid 수용체(VR1)가 있다. 이 두 가지 수용체를 이용한 과민성방광 등 질환의 새로운 치료방법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두 수용체의 분포 및 두 가지 수용체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생후 8주 된 Sprague-Dawley 흰쥐의 방광벽에 retrograde nerve tracer를 주입하고 그 중 방광자극군의 방광에는 0.5% acetic acid를 주입하여, 1주일 뒤에 정상대조군과 방광자극군 흰쥐의 L6-S1 척수신경절 표본에 P2X3 수용체와 VR1에 대한 면역조직화 학염색과 Western blot을 시행하였다. 정상대조군과 달리, 실험군의 척수신경절에서 방광의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세포에는 VR1 발현의 증가와 P2X3 수용체의 down-regulation이 나타났다. 이것으로 보아 자극을 받은 방광에서 과민성을 일으키는 데에 P2X3 수용체와 VR1이 중요한 작용을 할 것이라는 단서를 얻게 되었고, 이를 이용해 방광의 상피밑층 신경섬유와 상피세포에서 P2X3 수용체와 VR1의 작용을 조절하면 과민성 방광의 증상을 경감시킬 수 있음이 예상된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P2X3 수용체와 VR1의 발현 조절은 배뇨근 과반응에 대한 적은 부작용과 높은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응용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wo of the synaptic receptor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micturition, P2X3 receptor, which is operated by ATP, and vanilloid receptor 1 (VR1), which is operated by capsaicin, are regarded as newcomer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that these receptors act as therapeutic targets for treatment of an overactive bladder, we investigated their distribution and reciprocal relationship. Eight-week-old Sprague Dawley rats were injected with retrograde nerve tracer within the bladder wall, and 15 rats were injected with 0.5% acetic acid inside the bladder. After a week, the animals were killed, and their dorsal root ganglia (DRG) at the levels of L6 and S1 were harvested. Immunohistochemistry or Western blot analysis of P2X3 and VR1 were performed on the DRG. The DRG neurons with afferent fibers from the bladder had increased expression of VR1 and downregulated P2X3 receptors. The P2X3 receptor and VR1 seemed to account for the important parts of the hypersensitivity of the inflammatory bladder. We conclude that the simultaneous modulations of both P2X3 receptor and VR1 may have a synergic effect on the treatment of overactive bladder and may produce greater response rates.

      • KCI등재

        마우스 말초신경계에 미치는 2, 3, 7, 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의 영향에 대한 형태학적 분석

        양희준(Hee Joon Yang),이원영(Won Young Lee),윤호(Ho Yoon),길영천(Young Chun Gil),박경아(Kyung Ah Park),이혜연(Hye Yeon Lee) 대한해부학회 2002 Anatomy & Cell Biology Vol.35 No.3

        환경호르몬 중의 하나인 2, 3, 7, 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는 사람과 여러 동물의 많은 장기와 계통에서 다양한 독성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나 말초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은 불명확하다. 이에 생쥐에 TCDD를 투여한 뒤 말초신경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형태계측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생후 4주 된 C57BL/6J 생쥐의 복강에 TCDD 40 μg/kg을 1회 주사하고, 1주, 4주, 16주 후에 척수의 넷째 허리분절, 넷째 허리척수신경절, 궁둥신경을 떼어 일반조직표본을 만들고, 궁둥신경의 일부는 전자현미경 표본을 만들어 관찰하였다. 척수와 척수신경절의 신경세포체의 형태 및 수, 궁둥신경의 축삭과 수초의 형태, 섬유의 수, 축삭과 수초의 넓이, 수초의 밀도, 궁둥신경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고, 척수신경절 세포 수, 궁둥신경 섬유의 수, 축삭과 수초의 넓이, 밀도의 변화를 형태계측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척수 앞뿔 신경세포의 형태와 척수신경절 신경세포의 형태 및 수는 TCDD 투여군과 대조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궁둥신경 축삭의 형태와 단면적도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수초가 두터워진 섬유는 TCDD 투여군에서 더 많이 관찰되었고, 수초의 단면적은 TCDD 투여 후 4주군과 16주군에서 대조군보다 증가하였으며, 수초밀도는 모든 TCDD 투여군에서 대조군의 것보다 낮았다. 축삭의 미세구조는 TCDD 투여군과 대조군이 서로 차이가 없었으나, 수초의 미세구조는 TCDD 투여군에서 층판의 배열이 불규칙해지고 벌어지는 비정상적인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TCDD는 신경 수초를 파괴하는 독성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수초의 층판 배열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Toxicity of TCDD on the peripheral nerve has not yet been clear even though there are many reports about its toxicity on various organs of human and other animals.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rify the effect of TCDD on the peripheral nerve by the morphometric and electron microscopic analysis. Fourty mg/kg of TCDD was injected to 4 week-old C57BL/6J mice intraperitoneally. At the 1st, 4th and 16th weeks after TCDD injection, the 4th lumbar segments of the spinal cord, the same level of spinal ganglia, and the sciatic nerves were taken. They were used for th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examination and morphometric analysis. The nerve cell bodies of the anterior horn and the spinal ganglia did not sh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TCDD-treated and control groups. Neuronal population of the ganglia of the TCDD-treated group did not differ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Unusually thickened myelin was frequently observed in the TCDD-treated groups, while axonal degeneration was not found in the sciatic nerves of both groups. The cross sectional area of myelin sheaths in the TCDD-treated group of all age was lar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Under the tra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myelin of the TCDD-treated group showed that it lost the regular compact arrangement and its lamellar was disrupted.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CDD slows down the nerve conduction velocity via the disruption of the myelin structure of the peripheral nerve.

      • KCI등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에 기증된 시신기증자의 특성: 14년간의 인구학적 분석

        권찬양(Chan-Yang Kwon),손현준(Hyun-Joon Sohn),길영천(Young-Chun Gil) 대한체질인류학회 202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6 No.2

        시신기증을 통한 해부학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 시신기증자의 인구학적 특성에 대한 자료는 여전히 부족하다. 이 연구는 충청북도 내 사망자와 기증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2008년부터 2021년까지 충북대학교 시신기증자 151명, 충청북도 사망자 149,48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항목은 총 수, 연령, 성별, 사망원인, 사망장소 등이었다. 기증자의 수는, 2008년 13명에서 2021년 22명으로 1.7배 증가하였다. 기증자 중 남성 63.6%, 여성은 36.4%였고, 나이는 70대 30.5%, 80대 29.8%, 60대 18.5% 순이었다. 기증자의 거주지역은 청주시 76.2%, 증평군과 진천군이 각각 4.6%였고, 사망원인은 신생물 23.2%,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21.2%, 호흡계통의 질환 19.2% 순이었다. 사망장소는 병•의원이 70.2%로 가장 많았다. 이 결과는 의학교육과 연구에 필수적인 시신기증에 대한 긍정적 효과와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홍보 및 국내 시신기증 활성화를 위한 일원화된 관리 체계가 마련되는 데 주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pite the significant importance of anatomy education facilitated by anatomical gifts, there remains death of data concern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omestic body donor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demographic features, including death count, age, gender, causes of death, and location, by analyzing a database comprising 149,487 deceased individuals from Chungcheongbuk-do and 151 anatomical gift donors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spanning the years 2008 to 2021. Notably, the number of donated cadavers has seen a 1.7% increase, rising from 13 in 2008 to 22 in 2021. Among the donors, males accounted for 63.6%, while females constituted 36.4%. In terms of age distribution, the 70s represented 30.5%, followed by the 80s at 29.8%, and the 60s at 18.5%. Notably, the region with the highest proportion of donors was Chungju city among the six analyzed regions. Leading causes of death among donors included neoplasms (23.2%), unspecified clinical and laboratory findings (21.2%), and respiratory system diseases (19.2%). Hospitals were the predominant location of death for donors, accounting for 70.2%.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serve as essential foundational data for education and research endeavors pertaining to anatomical gifts in Korea. Moreover, it is our hope that a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will be established to further foster anatomical gift donation in the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