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악동저 거상술을 동반한 임프란트 동시 식립의 예지성 평가; 측방접근술과 치조정접근술의 비교

        김영욱,금윤선,손효정,이장렬,김현철,이상철 대한치과의사협회 2010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48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s and analyze the stability of lateral approach and trans-crestal approach for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of simultaneous implant placement. Materials and method 407 patients who have been treated in LivingWell dental hospital between 2003 to 2009 were selected. Lateral window technique, osteotome technique and sinus drill technique were used for sinus floor elevation procedure. A total of 714 implants- MP-1 HA coated implant(Tapered Screw VentTM, SplineTM, Zimmer, USA), FBR surfaced implant(Pitt-EasyTM, Oraltronics, Germany)-were placed in grafted maxillary sinus simultaneously. The autogenous bone or a combination with the allograft or alloplast was grafted into sinus. Sinus floor elevation was combined with vertical/horizontal onlay bone grafts to reconstruct the defect of alveolar ridge. Results The average preoperative height of the maxillary alveolar bone was 5.78mm(range: 0.4㎜~12.5㎜). 14 implants failed during the healing period(lateral approach: 4, trans-crestal approach: 10) and 3 implant failed after prosthetic loading(lateral approach: 2, trans-crestal approach: 1).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implants after 6 years was 97.6%. Transcrestal approach(97.4%) and lateral approach(97.9%) had similar survival rate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rans-crestal approach and lateral approach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is a acceptable method at atrophic maxillary posterior area. 상악 구치부 임프란트 식립은 상악동과 비강이라는해부학적인 공간의 제약과 상악 구치 상실 후 치조골의 흡수와 상악동 함기화의 동반으로 인한 가용골 높이 부족으로 이상적인 위치 및 길이의 임프란트 식립에 제한을 받는다1). 또한 상악골은 피질골이 적고 해면골의 구조가 엉성한 Type IV의 낮은 골밀도를 가져 초기 고정을 얻기가 힘들고 이는 임프란트 실패의큰 요인으로 작용한다2~5). 장기적인 예지성 확보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최소 10㎜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임프란트가 필요하다6). 가용골의 높이 증가 및 골질의개선을 위해 상악동저 거상술을 시행하게 되었으며 외과적 접근법에 따라 치조골의 측방을 통한 접근술과치조정을 통한 접근으로 나뉘어진다. Tatum이 Caldwell-Luc 수술을 응용한 접근을통해 협측에서 상악동 점막으로의 접근과 박리, 상악동저 점막의 거상 후 골이식을 시행하여 동시에 또는이차적으로 임프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을 처음 보고하였다7). 시야 확보와 기구 접근도가 좋다는 장점은 있으나 술 후 부종 및 출혈, 감염 등의 합병증이 빈발하여 개선된 수술법이 요구 되었다. Summers는 측방접근보다 비침습적인 치조정 접근을 통한 상악동저 거상술을 소개하였고8) 이후 술식이 개선되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직경의osteotome을 사용하여 임프란트 식립부의 골은 수직적으로 압축되어 골질이 개선되며 치조정을 통한 상악 구치부 임프란트 식립시 측방 접근술에 비해 수술시간과 치유 기간이 짧으며 술후 부종이 적은 장점을지니게 되었다. 하지만 osteotome 추타시 발생되는외상으로 양성 발작성 체위성 어지러움증(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의 발생이 보고9)되고 있어 골밀도를 증진시키는 술식은 주의하여 사용해야한다. 또한 과도한 추타는 상악동 점막의 천공을야기하기도 하여 상악동 전용 드릴을 사용한 치조정접근술이 3㎜ 보다 작은 치조골 수직 고경에서 유용함이 보고되었다10). Jensen OT 등11)은 osteotome을 사용한 치조정접근술이 최소 5㎜ 이상의 치조골 높이에서 가능하며5㎜ 미만에서는 초기 고정을 획득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측방접근을 통한 골이식후 나중에 임프란트를 식립하는 이회법을 시행해야 함을 보고 하였다. Zitzman 등12)도 치조정을 통한 접근법은 잔존골의높이가 6㎜보다 작은 경우 임프란트 초기고정의 안정성이 확실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어 측방접근술을 권장하였고 6㎜이상의 가용골이 있는 부위에서는osteotome을 이용한 치조정접근술이 좋은 예후를가짐을 보고 하였다. Bruschi 등13)은 최소 5㎜에서 7㎜ 범위의 치조골수직 고경에서 골이식이나 차폐막 없이 Localized management of the sinus floor(LMSF)technique을 통해 97.5%의 성공률을 보였고Winter 등14)은 4㎜ 이하의 잔존 치조골에서도 골이식이나 차폐막 없이 상악동저를 거상하여 가중 22개월 후 91.4%의 성공률을 보였다. 이에 저자 등은 측방 및 치조정을 통한 상악동저 거상술을 시행하여 동시 식립된 증례들의 임프란트 생존률을 분석하고 비교하여 두 가지 술식의 안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Midazolam을 이용한 의식하진정법을 시행한 환자에서 나타난 선행성 및 후행성 기억상실

        김영욱,금윤선,모동엽,이장렬,김현철,이상철,Kim, Yeong-Wook,Keum, Yoon-Seon,Mo, Dong-Yub,Lee, Jang-Yeol,Kim, Hyoun-Chull,Lee, Sang-Chul 대한치과마취과학회 2011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11 No.2

        Midazolam is known to produce sedation as well as amnesia. Many articles reported about anterograde amnesia, but it is rare that articles about retrograde amnesia. The 61-year-old female patient (64 kg, 154 cm, ASA physical status I) was administered 3.02 mg (0.047 mg/kg) of midazolam during 2 hours. The patient's Modified Observer's Assesment of Alertness/Sedation Scale was 4. The patient who had been consciously sedated with midazolam, exhibited profound amnesia, both anterograde and retrograde after implantation. The patient's memory restoration was begun after 6 hou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상악동저 거상술을 동반한 임프란트 동시 식립의 예지성 평가

        김영욱(Yeong-Wook Kim),금윤선(Yoon-Seon Keum),손효정(Hyo-Jeong Son),이장렬(Jang-Yeol Lee),김현철(Hyoun-Chull Kim),이상철(Sang-Chull Lee) 대한치과의사협회 2010 대한치과의사협회지 Vol.48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s and analyze the stability of lateral approach and trans-crestal approach for maxillary sinus floor elevation of simultaneous implant placement. Materials and method 407 patients who have been treated in LivingWell dental hospital between 2003 to 2009 were selected. Lateral window technique, osteotome technique and sinus drill technique were used for sinus floor elevation procedure. A total of 714 implants-MP-1 HA coated implant(Tapered Screw Vent™, Spline™, Zimmer, USA), FBR surfaced implant(Pitt-Easy™, Oraltronics, Germany)-were placed in grafted maxillary sinus simultaneously. The autogenous bone or a combination with the allograft or alloplast was grafted into sinus. Sinus floor elevation was combined with vertical/horizontal onlay bone grafts to reconstruct the defect of alveolar ridge. Results The average preoperative height of the maxillary alveolar bone was 5.78㎜(range: 0.4㎜~12.5㎜). 14 implants failed during the healing period(lateral approach: 4, trans-crestal approach: 10) and 3 implant failed after prosthetic loading(lateral approach: 2, trans-crestal approach: 1).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of implants after 6 years was 97.6%. Trans-crestal approach(97.4%) and lateral approach(97.9%) had similar survival rate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trans-crestal approach and lateral approach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is a acceptable method at atrophic maxillary posterior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