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문화예술인들의 집단적 이해대변 가능성 탐색: 작업장 노동조합주의를 넘어서

        권혜원 ( Kwon Heiwon ),권순원 ( Kwon Soonwon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6 한국사회 Vol.17 No.2

        본 논문은 문화예술인들의 집단적 이해대변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우리나라 문화예술인들의 고용은 매우 불안정하고 단속적이며, 저임금과 낮은 복지혜택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문화예술인들의 고용과 복지와 관련된 약한 제도적 장치와 이해대변의 공백은 이러한 조건을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이루어진 문화예술인들의 자기 조직화 과정에 주목하고 이러한 운동 속에 내재되어 있는 새로운 이해대변 원리의 의미와 전망을 분석하고 있다. 본고는 노사정이행협약을 통해 보여준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의 활동이 전통적인 작업장 노동조합주의(worksite unionism)를 넘어서서 외부노동시장 규제를 목표로 하는 오픈소스 노동조합주의(open source unionism)의 특성을 나타낸다는 점을 제시하면서 이러한 대안적 조직원리가 문화 예술 분야에서 태동하고 있는 유니온 운동의 벤치마크가 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또한 전국영화산업노조와 문화예술 분야의 유니온들은 정치적 행동의 조직화 및 입법화 전략을 통해 제도개선을 추구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접근은 단체교섭의 효력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는 프리랜서와 비정규 노동자들에게 효과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해대변 모델에 기초하여 전국영화산업 노동조합 및 예술인들의 다양한 유니온 조직들은 네트워크형 애드보커시(advocacy)조직으로서 사용자와 정부의 정책을 변화시키는 입법화 전략을 지속적으로 추구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possibilities for collective representation of artists in Korea. High job insecurity is characteristic of creative work as workers and artists have short-term, intermittent jobs that are poorly paid with low benefits. Weak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employment protection of creative workers combined with lack of collective representation makes their working condition poorer. This articles pays attention to self organizing efforts of creative workers, and analyzes the dynamics and prospects of new alternative unionism in their movements. The tripartite agreement in Korean movie industry indicates a new form of open source unionism that is inherent in the strategy of the Federation of Korean Movie Workers`s Union(FKMWU), which is distinguished by its organizing and representing activities for both the union members and non-members, and by its emphasis on representing workers in the external labor market. This alternative form of collective representation can be the benchmark for the newly emerging quasi-unions in cultural industries. The FKMWU and those new unions also attempt to improve working condition by engaging in political action. The approach is effective for freelances and contingent workers as the employment classification of these workers limit the effectiveness of workplace-based collective bargaining. Hence, in order to change employer and government policies, the FKMWU and other cultural `unions` should develop some form of pressure that could be an effective political lever for collective action.

      • KCI등재

        여성변호사 경력구축 과정에서의 젠더불평등

        권혜원(Kwon, Heiwon),권현지(Kwon, Hyunji) 한국여성학회 2018 한국여성학 Vol.34 No.2

        이 연구는 여성들의 전문 직종 진출이 증가하면서 성별 불평등이 완화되고 있다는 통념에 도전한다. 법학전문대학원 도입과 함께 변호사 자격을 취득하고 법률 서비스시장에 진입하는 여성이 크게 늘고 있지만, 변호사 직종에도 성별분리(gender segregation)와 진입과 승진 과정에서의 차별 관행에서 비롯된 젠더 불평등이 유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문직 노동시장에서 지속되고 있는 젠더 불평등의 메커니즘을 다음과 같은 질문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성별 분리와 여성배제적 패턴을 지속적으로 재생산하는 조직 차원의 공식적・비공식적 메커니즘과 실천은 무엇인가? 공식적인 채용절차와 승진제도로 국한되지 않는, 비가시적이지만 체계적인 차별은 어떠한 규범적, 관계적 과정을 통해 재생산되는가? 이 연구는 다양한 법률서비스 조직에서 일하는 남녀 변호사들로부터 수집한 질적 자료를 이용해 변호사 직종 내 성별분리와 불평등의 견고하고도 지속적인 패턴과 그에 작용하는 요인을 관계적 불평등(relational inequality)의 개념을 차용해 분석하고자 했다. 특히 오랜 기간 남성중심적 조직에서 공고화된 이상적 노동자 규범이 조직의 제반 프로세스와 실천을 통해 젠더 규범과 결합함으로써 젠더불평등을 공고화하는 관계적 과정에 주목하였다. This study challenges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assumes that the growth of women’s share in the traditionally male dominated professional occupations will automatically lead to the reduction of gender disparity. In reality, despite an exponential increase in the women’s participation in the legal practice in Korea, gender inequality has remained solid due to the persistent gender segregation in the legal profession.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reason for such enduring inequality in the professional labor market by raising following questions: what are the formal and informal organizational mechanisms that constantly reproduce gender segregation and the exclusionary patterns in the legal profession? What sorts of organizational norms and social relations contribute to creating intangible but systemic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Based on the qualitative data we gathered from male and female lawyers working in various types of legal service organizations, we analyze the enduring patterns of gender inequality and its underlying causes drawing upon the concept of relational inequality. We argue that the ideal worker norm, which has long been established in the male dominant organizations, has intersected with gender norm to consolidate gender inequality through a series of organizational practices. Such relational process explains the enduring gender inequality in the legal profession.

      • KCI등재

        일-가정 양립정책이 여성 관리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권혜원(Heiwon Kwon),권순원(Soonwon Kwon)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3 産業關係硏究 Vol.23 No.3

        본 연구는 일-가정 양립정책이 여성 관리자의 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는 일-가정 양립정책이 종업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향상, 혹은 이직의도 감소에 기여한다는 점을 밝혔지만, 정책의 유무와 조직성과 간 직접적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데에만 초점을 맞춤으로써 근무환경과 관련된 변수의 영향력을 대부분 간과하고 있다. 그러나 가족친화적 제도가 존재하더라도 조직의 분위기가 종업원의 가족친화적 정책사용에 대해 우호적이지 않다면 정책은 유명무실하게 된다. 그러므로 정책의 유무보다 중요한 것은 제도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종업원의 지각이다. 이와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2010년 실시한 3차년도 여성 관리자 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일-가정 정책의 여성 관리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대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후원적 직무환경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부양가족지원제도나 유연근무제의 활용에 있어서 상사의 후원성과 근로시간과 관련된 조직문화가 갖는 영향이 모두 의미 있게 나타났다. 이로써 본 연구는 상사의 후원적 리더십과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의 확립이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는데 기여한다는 점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가정 정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고강도 시간요구에 기초한 조직문화의 쇄신과 가족친화적 직무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work-family polici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s of women managers. Past studies have demonstrated that family-friendly policies increas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reducing their turnover. Yet, by focusing on the dire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benefits and their organizational outcomes, they tended to downplay the importance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Family-friendly benefits may not have the effect intended if employees do not perceive the environment of the organization supportive to their efforts to balance their work and family responsibilities. Hence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support for benefit utiliz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benefits offered. Using the 2010 third panel data of women managers gathered b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this study extends past researches by focusing on the role played by supportive work environment in explaining the effects of work-family policies on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turnover of women managers. Results indicate that supportive supervisors and lesser time demanding organizational culture contribute to the employee utilization of dependent care and flexible scheduling policies. Hence this study proves that supportive leadership and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are indispensable for the effectiveness of work-family polic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ggestive of firm policies. In order to raise the effectiveness of work-family policies, firms have to change their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heavy time demands and to create a family-supportive work environment.

      • KCI등재

        일반논문 : 희망을 위한 연대의 힘: 희망연대 노동조합 사례를 통해 본 전략적 역량과 조직성과간의 관계

        권혜원 ( Hei Won Kwon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5 한국사회 Vol.16 No.1

        광범위한 미조직 비정규직의 존재는 대기업 정규직 중심의 노동조합 대표성 위기를 증폭시키고 있다, 이에 한국의 노동조합은 미조직 비정규 조직화 사업을 통해이와 같은 이해대변 격차의 문제를 극복하고자 했으나 대부분 실패하였다.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여러 하청업체에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전통적인 작업장 단위의 조직화로는 이들을 조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희망연대 노동조합은 케이블 방송과 통신 산업 내 협력업체 비정규직 노동자들을 조직하는데 성공하였으며, 파업과 단체행동을 통한 교섭 과정에서의 압력 행사를 통해 이들 비정규직 조합원들의 노동조건 개선, 고용안정, 노동조합 활동보장 등에 대한 협약을 체결하였다. 본 논문은 전략적 역량의 개념에 기초하여 희망연대 노동조합의 이례적 성공사례를 설명하고자 한다. 거시적 노사관계 제도의 차이에 의한 설명이나 보유자원의 차이로 노동조합 조직성과의 변이를 설명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새로운 사회적 정치적 자원의 동원을 가능케 하는 전략적 역량이 부재하다면 노동조합의 시도는 실패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리더십의 전략적 역량이야말로 희망연대 노동조합의 상대적 성공을 이해하는 열쇠라는 것을 강조한다. 제도적 제약과 부족한 자원을 보충하기 위해 내부로부터는 멤버십 동력을 활성화하고, 외적으로는 지역사회, 시민사회 및 정치권과의 연대를 구축하는 노동조합의 혁신적 전략이야말로 ‘희망을 위한 연대의 힘’을 보증하는 핵심요소인 것이다. The fact that contingent workers remain largely unorganized has intensified the representational crisis of labor unions in Korea. Korean labor unions have been aware of such problem of ‘representation gap’ and have attempted to organize the unorganized contingent workers, but have failed to bring about significant success. The traditional approach based on organizing by individual workplace makes it difficult to organize contingent workers as they are dispersed throughout multiple contractors. Yet, despite the structural constraints, the “Hope-Solidarity Union” succeeded in organizing contingent workers of those subcontractors in the industries of cable TV and telecommunications. It also exerted effective pressures on employers by combining strikes and other forms of collective action with collective bargaining, and were able to gain agreement on the improvement of their working conditions, job security and union security for those contingent workers. This paper aims at explaining the ‘exceptionality’ of “Hope-Solidarity Union” based on the concept of ‘strategic capacity.’ The variation in the outcomes of union organizing cannot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s in macro institutional factors, nor by the differences in ‘the resource availability.’ Any union organizing attempt is doomed to fail unless it is supported by resourceful strategic capacity that makes it possible to mobilize new social political resources. Thus this paper highlights that the strategic capacity of leadership is key to the success of “Hope-Solidarity Union”. The power in solidarity lies in its innovative strategies that complemented the institutional constraints and the resource insufficiencies by actively mobilizing both its internal membership constituencies and external organizations-communities, civil society and political actors-through effective coalition building.

      • KCI등재

        대학 청소 용역 서비스 작업조직 내 범주적 불평등의 지속과 균열

        권혜원(Heiwon Kwon),권현지(Hyunji Kwon),김영미(Youngmi K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6 産業關係硏究 Vol.26 No.2

        본 논문은 청소업종 내 남녀 간 직종분리와 남녀 임금격차가 온존 및 확대되고 있는 현상을 Tilly와 Tomaskovic-Devey가 분석한 착취, 기회매점, 자원통합에 의한 불평등의 장기지속 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이해하고자 하였다. 청소업종 내 일자리 질 악화와 젠더불평등 확산의 과정을 젠더 차이에 대한 사회적 범주가 조직 내 범주와 결합됨으로써 범주적 불평등이 더욱 고착되는 과정으로 분석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자의적 독단적 현장관리 시스템에 기초한 기회매점에 의해 여성 청소노동자들이 조직 내 자원과 의사결정으로부터 체계적으로 배제되어 더욱 주변화되는 과정에도 주목하였다. 그러나 본 논문은 청소서비스업 내의 장기지속 불평등의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데 머물지 않고, 서경지부 대학 청소사업장을 중심으로 한 노조 조직화와 초기업 단체교섭이 이와 같은 불평등 구조에 균열을 야기하는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노동조합의 발언권 효과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성공 사례는 저임금노동자에 대한 법적・제도적 보호체계가 취약하고 산업수준에서의 중앙교섭이 부재하는 제도적 제약요인 속에서도 노동조합이 국지적 차원에서 불평등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This article tries to understand the process in which gender wage gap has widened over time in Korean janitorial sector by drawing upon the analyses of Tilly and Tomaskovic-Devey on the mechanism of exploitation, opportunity hoarding and resource pooling that reinforces durable inequality. It tries to explain the occupational degradation and gender inequality in janitorial services by relying upon Tilly’s analysis on the process whereby matching the social categorical boundaries of gender differences with interior organizational categories reinforces inequality at the workplace. Also,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mechanism of opportunity hoarding linked to the arbitrary managerial despotism that systematically excludes women janitorial workers from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decision making, which further contribute to the marginalization of those female workers. Yet, this article does not confine itself to the analysis of the reinforcement of durable inequality. It extends the analysis to the union effects on changing categorical workplace inequality. In this respect, it tries to explain how recent Korean janitorial union organizing and collective bargaining played significant part in shifting categorical relations at some Seoul-area universities by making changes in prevailing patterns of workplace inequality. The union cases point to the possibilities of reducing inequality at local level, albeit the national institutional limitations that come from weak legal protection for low wage service workers and the absence of peak-level coordinated bargaining system.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유통서비스 산업 조직화 사례 분석을 통해 본 노동조합의 이해대변 위기와 대응

        권혜원(Heiwon Kwon)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4 産業關係硏究 Vol.24 No.4

        노동조합 조직률 쇠퇴에 따라 노동조합의 대표성 위기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노조 조직률이 낮은 유통서비스 산업은 노동조합 이해대변 공백을 더욱 심화시키는 부문이지만 산업 성장률이 높기 때문에 해당 산업종사자들을 조직하지 않는 한 노동조합의 쇠퇴를 막을 길이 없다. 아직까지 우리나라 노동조합의 유통서비스 부문 조직화는 이해대변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 정도의 성과를 내고 있지 못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A면세점 판매직 조직화와 B대형마트 노조 조직화는 부분적 성과를 낸 사례로 손꼽힐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성공의 배경에 있는 핵심 요인들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서비스 산업 조직화에 유용한 교훈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성공 요인은 ‘1. 아래로부터의 조직화 동력과 서비스연맹의 위로부터의 지원의 결합, 2. 구성원의 니즈(needs)와 요구에 대한 지속적 관심 및 현장 밀착형 교섭 의제 발굴, 3. 패턴교섭의 창출, 4. 적절한 이슈 프레이밍과 시민사회 단체들과의 연계’이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기업 단위의 노조 조직으로는 광범위한 유통 산업 내 비정규직을 조직화할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노동시장 전체를 조직하는 전략을 통해 초기업단위 교섭구조를 창출하는 과정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The union representation crisis has grown along with the decline of union. One of the reasons for the decline can be found in the union representation gap in service sector. Unionization rates have traditionally been weaker in the sector, yet the sector is marked by high rates of growth both in terms of industry and employment. Hence unless trade union movements are capable of organizing the sector, it could not reverse the move towards further decline. The Korean unions have not been very successful in organizing the retail sector. Yet, recent examples of organizing salesperson at duty-free shops of A company and retail workers at B retail chain can be illustrated as relatively successful cases. This articles tries to explain the reasons for the success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rganizing. Four factors are identified as critical: 1. the combination of bottom up organizing drive with the support of the confederation of service unions, 2. The establishment of the scope and the contents of bargaining agenda based on the responsiveness to the needs and interests of its constituencies, 3. the establishment of pattern bargaining, 4. effective issue framing and coalition building strategies. Despite the successful components, organizing retail sector is still faced with several challenges that come from the difficulties in organizing non standard workers. Hence service unions need to develop strategies that could organize the whole labor market across different work sites and companies, and establish multi-employer bargaining structure.

      • KCI등재

        A Union Campaign Against Railway Industry Privatization in South Korea

        Heiwon Kwon(권혜원)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1 産業關係硏究 Vol.21 No.4

        본 논문은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한 자료에 기초하여 철도 민영화에 대응하는 전국철도 노동조합의 캠페인을 분석하고 있다. 본 사례분석은 공공부문 구조조정에 대한 노동조합 효과의 차이를 설명하는데 전략적 선택(strategic choice) 이론의 틀이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입증한다. 조합주의적(corporatist) 제도를 결여하고 있는 노동조합의 경우 구조조정 과정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힘들 것이라는 예측과 달리 전국철도노동조합은 일방적인 철도 구조조정을 저지하고 정부로부터 양보를 획득했다. 본 연구에 의하면, 이와 같은 노동조합의 상대적 성공은 두 가지 핵심 요인― 노동조합의 전략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조건과 전국철도 노동조합의 전략적 역량 ― 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노동조합이 정부로부터 상당한 양보를 획득할 수 있었던 것은 정치적 기회의 확대와, 그러한 기회를 활용할 수 있는 노동조합의 능력이라는 두 가지 요인에 의해 가능했던 것이다. Using data collected during field research, the author analyzes the Korean Railway Workers Union (KRWU)’s campaign against railway privatization in South Korea. The case study demonstrates that the strategic choice framework is particularly useful to explain variations in union effects on public sector restructuring.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labor unions constrained by lack of corporatist arrangements will be less able to influence on restructuring decisions, the KRWU was strategically effective in preventing unilateral restructuring and gaining concessions from government. Two factors appear to be crucial to explaining the relative success of the union. The political conditions that shape the strategies of the union, and the strategic capabilities of the KRWU. Hence both the increase in political opportunities and union ability to take advantage of the latter made it possible for the union to gain considerable conces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