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로렌스 애니웨이> 에 나타난 젠더 정체성

        권하진(Hajin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6

        본 연구는 프랑스계 캐나다인 영화감독 자비에 돌란의 영화 <로렌스 애니웨이>(2012)의 주인공 로렌스의 젠더 정체성을 살펴보고 내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생물학적으로 남성으로 태어났지만 여성으로 살고자 하는 로렌스의 외적 변화를 패션 이미지로 살펴보았고 이를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인 모방, 행위의 반복, 그리고 합체의 개념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내적 의미로 ‘타자의 내면화’와 ‘탈정체화’를 파악하였다. 로렌스는 여성성의 획득을 위해 여성의 모습을 모방하고 반복적인 행위로 그(녀)의 외적 구성을 완성해간다. 그(녀)의 반복되는 모방적 행위는 타자를 내면화하는 과정으로 해석되고 새로이 구성되어지는 주체를 시각화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탈정체화는 젠더가 시공간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고 형성된 외형은 곧 내면의 외면화의 개념으로 해석되며 정체하지 않는 젠더의 유동적인 가변성을 의미화 한다. 로렌스의 ‘여성으로 가꾸기’는 외모를 흉내 내는 것 이상으로 재의미화 된 여성 또는 젠더를 만들고 있으며, 그것이 진정한 자기 변화이자 새로운 세상에 대한 도약으로 해석된다. This research aims to analyse gender identity and its internal meanings through the main character, Laurence, of the movie <Laurence Anyways>(2012) directed by French-Canadian film maker Xavier Dolan. Study examines performative gender identity revealed through the fashion images of Laurence who was born biologically as a man; depending on a theory of Judith Butler who represented a parody, repeatability action, and incorporation as an effect of gender identity. Also ‘Internalization of others’ and ‘Dis-identification’ are presented as an internal meanings of Laurence’s gender identity which appeared on his(her) fashion images. Laurence parodies woman’s fashion styles in repetition to obtain feminity as his(her) appearance. His(her) repetitive actions are construing an internalizing others(women) and visualizing a new-self to become a stylized doer. Dis-identification signifies that gender can be reconstructed regarding the differences of the place and the time and reconstructed outside can be analyzed as externalization of internalization. ‘Becoming a woman’ means more than what it sounds like to Laurence. It means a new signification of being a woman or redefining gender identity. That is something can be called a genuine transformation and a grant leap for Laurence.

      • KCI등재

        츠카모토 신야의 <鐵男>(1989)을 통해 살펴 본 기계적-몸 이미지

        권수진(Soojin Kwon),권하진(Hajin Kwon)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6

        본 연구는 츠카모토 신야의 영화 <철남>(1989)의 기계적-몸 이미지에 대한 연구로 탈인간화 하는 몸 그리고 욕망에 대한 해석을 시도 하였다. <철남>에서 살펴본 기계적-몸 이미지는 초현실주의적 이미지, 그로테스크적 이미지, 그리고 에로스적 이미지로 관찰되었다. 기계적-몸의 초현실주의적 이미지는 <철남>의 변화과정에서 보이는 변용, 파괴, 착란, 그리고 환상에 대한 과장으로 파악되었고, 그로테스크적 이미지는 인물의 일상적인 공간에서 기괴한 형태로의 변형으로 인간의 내재된 실체를 보여줌으로써 엽기성과 나약함이 혼합된 이미지로 관찰 되었다. 그리고 에로스적 이미지는 불완전한 존재가 완전함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망에 의해 스스로의 파괴와 재탄생을 이루는 과정에서 나타났다. 위의 세 가지 이미지 유형에 대한 분석은 세계정복을 꿈꾸는 과부화된 인간의 욕망이 탈인간화된 기계적-몸으로서 비유기체로의 시각화로 귀결된다. This article analysis the aesthetics of metal-body of <Tetsuo: The Iron Man>(1989) and its metamorphosis of dehumanization through visual desires expressed by body images. This paper suggests theoretical analysis based on aesthetic views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meanings. The research categorizes three types of images; surreal image, grotesque image and eros image from the metamorphosis of dehumanization and transformation throughout the film. As the surreal image, the metamorphic process of transformation, demolition, derangement, illusion, and human desire continues to reflect the evil side of a human in everyday life. It also visualizes the images of exaggeration through weakness and bizarre side of metal-body. The grotesque image of body metamorphosis displays and symbolizes double-sides of bizarre and weak side of human in the everyday environment when malformation reaches its peak when Tetsuo finally shows his transforming figure. Finally, the eros image is analogized as a man’s inner self and self-destruction in surreal world and a grotesque figure when overwhelming desire of transforming into rebirth of a perfect metal-body, Tetsuo. The surreal image, grotesque image, and eros image portraits human desires inner and outer-self into visualized image and that represents the means of excessive desire for dreaming of world domination with merging non-organic medium of metal and organic body to create a perfect body-image.

      • KCI등재

        패션에 표현된 반미학적 특성-바스 코스테르스 패션 작업을 중심으로-

        황혜진 ( Hwang Hyejin ),권하진 ( Kwon Haji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6 No.-

        본 연구는 반미학적 패션을 추구하는 네덜란드 디자이너 바스 코스테르스의 전반적인 작품 활동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패션 영역에 나타나는 반미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내적 의미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여 반미학의 핵심 요소를 파악하였고, 이어 패션에서의 반미학 논의를 살펴본 후 코스테르스의 작품 세계를 분석하였다. 사례 분석은 코스테르스의 웹사이트와 인터뷰 기사 자료, 관련된 신문과 잡지 기사 및 전시 자료 등을 참고하였으며 연구 범위는 2000년 이후 패션과 관련된 여러 작업들과 2010년부터 2014년 AW 패션 컬렉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반미학의 핵심은 저항성, 확장성, 참여성, 그리고 성찰성으로 파악되었으며 코스테르스의 작품에 나타난 반미학적 특성은 반패션의 전위성, 반형식적 조형성, 영역의 확장성, 사회적 상징성, 그리고 미적 경험의 내재성의 다섯 범주로 분류되었다. 반미학적 패션의 개념은 유행과 패션 체계에 의한 패션을 거부하고 전통적인 가치를 부정하는 반(反)패션으로 커뮤니케이션의 매개로서 옷을 보는 입장이며, 반미학적 패션의 형식은 미적 이상을 부인하고 규범적 형식화로부터의 이탈로 나타났다. 또한 반미학적 패션은 인간과 사회의 유기적 관계에 대한 탐색이라는 주제 하에 다양한 장르와 결합된 확장된 영역에서 표현되는데 이는 관객의 이해와 참여를 유도하는 경험적인 미적 가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반패션은 기존의 것에 대한 부정과 비판을 통해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사회를 변화시키려는 실천적 함의를 내포하는 까닭에 삶으로서의 패션을 사유하는 미의식의 발현이라고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nti-aesthetics in fashion focused on Dutch fashion designer Bas Kosters, whose fashion activities is getting an attention as a young contemporary anti-fashion designer. The research covers theoretical study to understand and analogize the key characteristics of the anti-aesthetics such as resistance, expandability, participation, and introspection. For the case study, Bas Kosters` works were analyzed through his own web-site, collection reviews, public interviews, newspaper articles, and exhibition reviews after 2000 and fashion collections from 2010 to 2014 AW colle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nti-aesthetic features derived from Kosters` fashion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the avant-garde of anti-fashion, expression of anti-formalism, territorial expandability, social symbolism, intrinsic nature of aesthetic experience. The concept of anti-aesthetics in fashion refuses fashion trends and old stereotyped fashion system regarding clothing as a communicative medium and the anti-fashion in formal aspects denies the conventional ideal beauty and breaks away from the normative formality. Exploring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ety and human beings, anti-fashion allows to across over various genres to open up a wider creativity and provides participatory aesthetic experience to both designers and audiences. Ultimately, anti-fashion is a manifestation of aesthetic cogitating on fashion by its characteristics of negation and resistance and it is a new way of life due to practical implication for discovering possibilities of living and changing our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