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대학 퍼스널 브랜딩 프로그램 참여 학생의 경험 탐구를 통한 프로그램 개선 방안 모색

        권정선(Jungson Kwon),윤소정(Sojung Yun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는 P대학의 퍼스널 브랜딩 프로그램(PBP) 개선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퍼스널 브랜딩 경진대회 수상자들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그 의견을 수렴하고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PBP에 참여하여 최종 수상한 10명을 대상으로 3회에 나누어 FGI를 실시하고,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해, 전반적 만족도, PB 개발 과정, PBP의 도움 정도, 개선사항 등에 대해 인터뷰하였다. 결과 학생들은 PB 개발 과정에서 불확실한 미래와 현재 활동을 연관 짓고 퍼스널 브랜드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표했지만, 진로에 대한 깊은 고민과 다른 학생의 사례로부터 받은 자극, 그리고 계획의 실현에 있어 PBP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추후 PB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안내와 지침, 멘토링 등을 통한 프로그램 개선을 요구했다. 결론 연구의 결과는 P대학의 PBP 개선과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보다 발전적 형태의 대표 비교과교육 프로그램으로서 활용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and analyze opinions from the FGI of the students who won the PBP competition in order to derive improvement plans for P University s Personal Branding Program (PBP). Methods FGI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10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BP and received the final award into 3 times. Through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e interviewed about overall satisfaction, PB development process, PBP s help level, and improvements. Results Students expressed difficulties in correlating uncertain futures with current activities and symbolically representing personal brand in the PB development process. And they positively evaluated PBP for their deep thoughts on their career paths, stimulation from other students cases, and the realization of their plans. In the future, specific guidance and guidelines for PB establishment, and mentoring were required to improve the program.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as basic data for P-University s PBP improvement and development, and can contribute to enhancing the value of use as a representative extracurricular program in a more advanced form.

      • KCI등재

        미래교육을 준비하는 교육목적에 대한 교육철학적 탐구와 실천적 제안(LiD)

        권정선(Kwon, Jungson),김회용(Kim, Hoy-Yo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열린 교육목적의 중요성 확인을 넘어 실제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철학적 관점 및 실천 방안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2장에서는 플라톤의 형이상학에 기반한 교육목적론 탐구를 통해 닫힌 목적의 특징을 살펴보고, 3장에서는 듀이의 철학에 기반한 교육목적론 탐구를 통해 열린 목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4장에서는 교육과정과 유기적으로 연계 가능한 교육목적의 성격을 탐색하고 구체적 실천 방법의 한 예로 LiD 프로그램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교육의 역사를 지배해 온 관념들이 추구한 목적들이 상이하고 양립할 수 없는 것은 이원론적 접근의 결과이며, 듀이적 관점에서 열린 목적과 닫힌 목적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새로운 목적, 즉 교육과정을 생성한다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LiD는 이러한 교육목적과 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며 교육 실천에 유익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논의 및 결론: 따라서 첫째, 진정한 열린 교육목적은 학습자 스스로 활동을 설계, 수정, 지시할 수 있는 닫힌 목적을 지속적으로 생성하며 교육과정에 연계되며 실제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둘째, 학습자의 자율성과 흥미에 기반하여 지속적인 탐구 과제를 이끌어낼 수 있는 LiD와 같은 프로그램들이 교육과정에 활용될 수 있으며, LiD와 같은 프로그램의 학습 원리를 연구 및 발굴하는 일 또한 교육의 과제이다. 셋째, 교육목적과 교육과정의 유기적인 관계를 지속하는 일은 교육 상황 속 구성원들의 수평적인 관계를 기반으로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hilosophical perspectives and action plans that allow them to work effectively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beyond mere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open educational purposes. Method: To this end, in Chapter 2, the characteristics of a closed purpose through an inquiry into the educational teleology based on Plato s metaphysics were discussed. After that, Chapter 3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open purpose through an inquiry into the educational teleology based on Dewey s philosophy. Based on this, Chapter 4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purposes that can be intimately connected to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examines the LiD program as an example of a concrete practice method. Results: It is the result of a dualistic approach that the goals pursued by the ideas that have dominated the history of education are different and incompatible. In Dewey s view, open and closed purposes continuously interact to create a new curriculum, a new purpose of education. Furthermore, LiD is a case that shows that the purpose of education and the curriculum can be closely linked, and as a result, it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Conclusion: Accordingly, first, a truly open educational purpose is linked to the curriculum and can have a practical impact by continuously creating a closed purpose that learners can design, modify, and direct their own activities. Second, programs such as LID that can continuously create exploration tasks based on the learner autonomy and interests can be used in the curriculum. In addition, researching the learning principles of programs such as LID is also the duty of education. Third, maintain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purpose and curriculum is based on the horizontal relationship of members.

      • KCI등재

        인공지능시대, 데이터 기반 맞춤형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존 듀이의 경험철학적 사고 개념을 중심으로

        권정선 ( Kwon Jungso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1 교육철학연구 Vol.43 No.2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도래와 함께 변화하는 사회와 교육의 패러다임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미래교육을 위해 우리 교육 및 그 관계자들이 변화하고 수용해야 할 합리적 지점이 어디인지를 듀이의 논의에 기대어 검토하였다. 4차 산업혁명을 추동한 동력 중 하나는 인간의 사유능력을 모방하고 구현해 낸 인공지능으로, 이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교육 시스템의 도입과 실행은 코로나19와 함께 빠르게 교육 지형을 바꾸고 있다. 인공지능의 기능과 원리 등에 대한 이해와 비판적 시각을 갖추어 교육적 상황과 맥락에 적절히 활용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인공지능과 미래교육 전망을 개괄하고, 다음으로 듀이의 경험철학에 기초한 사고 개념과 인공지능의 사고방법으로서 알고리즘을 고찰하여 데이터 기반 맞춤형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종합하여 인공지능을 도입 활용한 교육 실천에 있어 가능한 교육적 제안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he changing paradigm of society and education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also studies the rational point that our education system and its stakeholders should change and accept for future education, leaning on Dewey's thought process. One of the driving forces behi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mitates and embodies human thinking ability. The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of a personalized educa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rapidly changing the educational landscape, especially due to the COVID-19 pandemic. Having an understanding and critical perspective on the functions and princi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operly using it in the educational context will be of utmost importance. To this end,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future education prospects are outlined. Next, thinking concept based on Dewey's philosophy of experience and algorithm as a thinking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re examined for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data-based customized education. In addition, by synthesizing thes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possible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racti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re discussed.

      • KCI등재

        존 듀이의 성장 개념에 기반한 역량중심 교육과정과 교육성과 관리의 의미

        권정선(Jungson Kwon) 한국교육사상학회 (구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22 敎育思想硏究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performance management of education based on Dewey’s concept of growth. Many universities are moving toward the establishment of core competencies focused on preparing for professional employment using curriculum and performance management for objective evaluation and measurement. Therefore, the need for reflection on the original concept of competency has emerged. Dewey’s concept of growth involves efficient habits in one’s actions gained through experience that prepare the individual to create the adequacy of life. This idea is very much in line with the meaning of competence in early competency education discours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wth, the educational process is one of continual reorganizing, reconstructing, and transforming. Therefore, the university’s competency-based curriculum must be constantly revised by evaluating the growth goals and social environment needs. Further, managing performance is similar to managing environmental resources to support student growth. Based on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circumstances of each university,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performance management depends on a discussion at each university that should be preceded by a deep reflection on competency concepts and curricula. 본 연구의 목적은 듀이의 성장 개념에 근거하여 역량중심 교육과정 및 교육성과 관리의 의미를 밝히는 데 있다. 많은 대학들의 역량중심 교육 혁신의 노력이 직업세계에 대한 준비로 초점 맞춰진 핵심역량 설정과 교육과정 운영, 객관적 평가 및 측정 가능한 것으로서의 교육성과 관리로 나아가고 있다는 점에서 ‘역량’ 개념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듀이의 성장 개념은 좋은 삶(사회)을 만들어가기 위한 준비로서 다양한 반응을 통해 경험을 쌓음으로써 얻게 되는 효율적인 행동 방법인 습관으로, 이는 초기 역량 교육 담론에서의 역량의 의미와 상당 부분 맞닿아 있어 참고하여 교육과정 및 성과 관리의 의미를 음미해 볼 수 있다. 끊임없이 재조직, 재구성되는 변형의 과정으로서 성장을 바라보는 듀이의 관점에서 학교교육은 성장의 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대학의 역량중심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성장 목표와 사회환경의 필요를 함께 읽어내며 끊임없이 수정될 수밖에 없고, 교육의 성과 평가 및 관리는 학습자의 성장을 위한 물리적・정서적 환경 자원을 관리하는 것과 같게 된다. 이는 대학마다의 특성과 상황에 따라 달리 이루어져야 하므로, 역량중심 교육과정과 교육성과 관리의 효과성 제고는 대학마다의 역량 개념 및 교육과정에 대한 충분한 성찰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논의로 귀결된다.

      • KCI등재

        A대학 CQI 키워드 분석을 통한 설계 요인 탐색

        곽민지 ( Minji Kwak ),권정선 ( Jungson Kw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CQI의 체계적 모델 구축을 위한 사전 연구로서 A대학의 교과목 CQI에 나타난 키워드 분석과 설계 요인 추출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5,285건의 CQI 주관식 응답을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분석하였다. 전처리 결과를 바탕으로 상위 30개의 주제어를 추출하고, 토픽 모델링을 통해 역량기반교육, 체험중심교육, 문제해결중심교육, 실제적학습지원, 학습자맞춤형 수업설계, 수업평가의 6개 주제군을 도출하였다. 추출된 상위 키워드들은 수업 질 개선을 위한 교수자의 성찰 노력을 나타내며, CQI 항목 재구성을 통한 가이드 제공의 필요성을 확인해준다. 본 연구 결과, 대학의 특수성과 비전을 반영한 교과목 CQI 작성에 대한 필요성을 환기하여 A대학 CQI의 체계적 설계를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keywords and extract the design factors shown in the A university course CQI as a preliminary study for systematic CQI model construction. For this purpose, 5,285 course CQI responses have been analyzed through text mining. Based on the preprocessing results, the top 30 topic terms have been extracted, and six topic groups (competency-based education,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problem- solving-oriented education, practical learning support, learner-tailored class design, and class evaluation) have been derived through topic modeling. The extracted high-ranking keywords indicated the instructor’s reflective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classes while confirming the necessity of providing a guide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CQI items. The research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is evoked the need to write a course CQI that reflects the university’s specificity and vision, and also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ystematic CQI design of the A university.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지식관에 대한 비판적 반성과 전망: 마이클 오우크쇼트 지식론을 중심으로

        문달 ( Wen Da ),권정선 ( Jungson Kwon ),김회용 ( Hoy-yong Kim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연구논총 Vol.38 No.1

        이 글은 도덕교육 분야에서 오랜 쟁점이 되어 온 “이론과 실제의 분리 문제”를 마이클 오우크쇼트의 지식론에 비추어 재해석함으로써 비판적으로 반성하고 새로운 공존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도덕교육에 대한 많은 학술적 연구는 주로 이론적 개념 해석에만 중점을 두고 실제적 문제의 해결책을 가르침과 배움의 전 과정을 수행하는 출발점이자 목표로서 다루지 않는다. 따라서 도덕교육의 이론적 목표는 통합적이고 균형적인 도덕교육 지식관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통해 도덕교육이 실제적 지위를 회복할 수 있다. 나아가 보수적 고립주의의 요건으로 인식되어 온 도덕교육에서 이론적 도덕과 실제적 삶 사이의 장벽을 허무는 것은 도덕의 논리적 정보 전달 교육과 실제 삶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자 하는 실제적 목표가 될 수 있다. 오우크쇼트 지식론에 기반한 도덕교육은 현대교육에서 관념적 이론을 실천 가능한 계획으로 구체화하는 데 중요한 암시적 역할을 수행한다고 인식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지식과 그 구성요소의 특성에 따라 일종의 통일된 지식체계를 구상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 cloaked in this article was mainly to emphasize the coexistence of technical and practical knowledge so as to solve the long-standing dilemma of “two separated pieces of ski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the field of moral education by assimilating and drawing on Michael Oakeshott`s theory of knowledge. Many academic studies on moral education mainly concentrate on the interpretation of theoretical concepts and do not treat the solution of practical problems as both the starting point and ultimate goal to run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us, the theoretical aim of moral education is to construct an integrated and balanced knowledge view of moral education, which is a guarantee to restore the due position of “practice”. Furthermore, the practical goal of moral education, long recognized as a requirement of conservative isolationism, is to break down the barriers between moral-theoretical propaganda education and realistic life. This kind of Oakeshottian view of knowledge in modern education will play a suggestive role in crystallizing one`s ideas into a feasible plan or programme. Therefore, we must start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owledge itself and its components to establish a unified framework of knowledge.

      • KCI등재

        조화로운 교육으로서 허친스의 교양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고찰

        황은경( Enjing Huang),권정선(Jungson Kwo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3 교육혁신연구 Vol.3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plor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Hutchins’ liberal arts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ajor-centered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gain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midst of social changes that require convergence and creativity. Method: To do so, we first analyzed the purpose of education as a background for Hutchins' liberal arts education, then examined how the contents of liberal arts education were organized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beral arts education and professional education as conceived by Hutchins. Finally, we analyzed the Great Conversation as a specific pedagogical method and draw implications. Results: A liberal arts education that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a holistic and contextualized outlook will also contribute to the deepening of students' major education. Hutchins' idea of a liberal arts education offered the possibility that the liberal arts and major education in university can interact and develop in harmony. Conclusi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Hutchins’s liberal arts education revealed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philosophy that promot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individuals and society through free intellectual inquiry and dialogue in a horizontal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 We should strive to create a university culture that fosters intellectual dialogue like Hutchins' liberal art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