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퇴 주대 재치환술

        문경호 ( Kyoung Ho Moon ),권도승 ( Do Seung Kwon ),정재호 ( Jae Ho Jung ) 대한고관절학회 2010 Hip and Pelvis Vol.22 No.2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의 증가에 따라 재치환술의 필요성은 점차 증가되고 있으며, 최근 재치환 인공관절술의 내구성은 모든 인공관절 전문의의 관심이 되고 있다. 본 종설은 대퇴 주대 재치환술에 대하여 여러 참고문헌 및 최신 지견을 정리하였으며, 술전 평가, 수술 계획, 수술적 접근법, 삽입물 제거, 재삽입, 주술기 합병증, 각 삽입물에 따른 수술 결과 순으로 정리하여 기술하였다.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revision of the femoral stem due to a high frequency of total hip arthroplasty. Recently, many orthopedic professionals are paying particular attention to the durability of revision arthroplasty. This review article includes the most recent information and published studies about revision of the femoral stem. It is ordered as follows: preoperative evaluation, surgical planning, surgical approaches, implant removal, reimplantation, perioperative complications and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implant type.

      • KCI등재
      • KCI등재

        대퇴골두 무혈성괴사에서 시행한 핵심감압술의 유용성

        심규빈 ( Kyu Bin Shim ),권도승 ( Do Seung Kwon ),오승재 ( Seung Jae Oh ),강준순 ( Joon Soon Kang ),문경호 ( Kyoung Ho Moon ) 대한고관절학회 2009 Hip and Pelvis Vol.21 No.3

        목적: 초기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에서 핵심 감압술의 효과 및 동반하여 시행한 자가 골 이식술, 탈회 골 기질 이식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핵심 감압술을 시행 받은 후 최소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37명, 40예의 고관절을 대상으로 하였다. 나이는 평균 47.8세, 추시 기간은 평균 62.4개월 이었다. 술전 방사선 및 MRI 사진을 이용하여 Ficat & Arlet (F&A) stage, ARCO stage을 이용하였다. 결과: 수술의 실패는 26예(65%), 그 중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는 13예(32.5%)이었다. F&A stage는 I. 10예, IIA. 22예, IIB. 8예였고, 성공률은 각각 60%, 36.4%, 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RCO stage는 I. 5예, II. 27예, III. 8예였고, 성공률은 각각 60%, 40.7%, 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RCO stage II 중 Subgroup은 A 2예, B 13예, C 12예였고 성공률은 각각 50%, 46%, 33.3%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F&A stage IIA 및 ARCO stage IIB 이상 진행된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의 경우 핵심 감압술 시행함에 있어 신중히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core decompression (CD) for treating early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ANFH), as well as the effect of an autogeneous bone graft and an DBM graft on the results of CD.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37 patients (40 cases) who were initially diagnosed as suffering with early ANFH, and they were treated with CD and followed up for a minimum of two years. The average patient age was 47.8 years and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62.4 months., The Ficat & Arlet (F&A) stage and the ARCO stage were used for the radiological staging. Results: The failure rate was 65% (26 case), and 32.5% (13 cases) underwent THA due to clinical and radiological failure. According to the F&A stage, there were 10 stage I hips, 22 stage IIA hips and 8 stage IIB hips, and the success rate (SR) of core decompression was 60%, 36.4% and 0%,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ases of ARCO stage II were divided into subgroups: A 2 hips, B 13 hips and C 12 hips and the SR of each were 50%, 46%, and 33.3%,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CD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for treating the advanced stages above F&A stage IIA and ARCO stage IIB.

      • KCI등재

        수부에서 근위 지간 관절 골두의 부분 골연골 결손에 대한 자가 족지 골두 이식술

        이동주 ( Tong Joo Lee ),문경호 ( Kyung Ho Moon ),전윤상 ( Yoon Sang Jeon ),권도승 ( Do Seung Kwon ) 대한골절학회 2010 대한골절학회지 Vol.23 No.3

        Osteochondral injury due to the trauma of the hand is relatively common. If the size of the osteochondral fracture fragment is large,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are often feasible in treating these problems. However, arthroplasty using osteochondral graft is more preferred when the particle is small and articular surface is comminuted or fully defected. There are many reports of osteochondral graft using the costal osteochondral graft but the osteochondral graft using the interphalangeal joint of the toe is rarely reported. Thoroughly reviewed with relevant articles, this report presents a case of a 33 year old male who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osteochondral autograft using the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of the toe due to the traumatic osteochondral defect in the head of the second proximal phalanx.

      • KCI등재
      • KCI등재

        폐경 후 여성에서 혈중 호모시스테인농도와 골밀도 및 골전환율과의 연관성

        김범택 ( Bom Taeck Kim ),안병훈 ( Byung Hoon Ahn ),김광민 ( Kwang Min Kim ),주남석 ( Nam Seok Joo ),김찬원 ( Chan Won Kim ),권도승 ( Do Seung Kwon ),이득주 ( Duck Joo Lee ) 대한폐경학회 2010 대한폐경학회지 Vol.16 No.1

        연구목적: 유전성 고호모시스테인뇨증 환자에서 골다공증이 발생한다는 것이 알려진 후,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증가가 뼈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골절의 유병률을 증가시키는 기전이 연구되고 있지만,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다. 이 연구는 고호모시스테인혈증과 골절의 위험인자인 골밀도, 골전환율 및 골의 구조적인 특성들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이 연구는 2002년 1월부터 2003년 12월 동안 모대학병원의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2,670명의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혈중 호모시스테인, bone turnover marker와 골밀도 검사를 시행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폐경 후 여성에서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연령, osteocalcin, 25-Vit D농도, L1-4골밀도, 총대퇴골밀도 및 L3의BMC, vBMD, aBMD와 유의한 상관관계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연령과 체질량 지수를 보정한 후, 척추 전체, 대퇴부의 골밀도는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관련이 없었지만, osteocalcin은 여전히 관련이 있었다. L3의 BMC, vBMD, aBMD와 유의한 상관관계관련이 있었지만, 골의 크기나 부피와는 관련이 없었다. 연령을 보정하고 난 후에도, L3의 골밀도는 작지만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혈중 호모시스테인의 증가는 골밀도와는 관련이 적지만, 골교체율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Objectives: Hyperhomocysteinemia is related to fractures in the elderlies. W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homocysteine and bone mass, size, and bone turnover rat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2,670 postmenopausal women who underwent periodic health examinations in Ajou University Health Promotion Center, between January 2002 and December 2003. Serum homocysteine, bone turnover markers and bone mineral density were measured. Results: Patient age, osteocalcin, 25-vit D, total lumbar BMD, total lumbar T-score, the lowest lumbar BMD, the lowest lumbar T-score, femur neck BMD, femur neck T-score, femur trochanteric BMD and femur trochanteric T-scor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rum total homocysteine. However, after adjusting for age, the only osteocalci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rum total homocysteine, At the 3rd lumbar vertebra, the BMC, volumetric BMD and areal BMD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rum total homocysteine but the bony size and the volume were not significant. After adjusting for age, the 3rd lumbar BMD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rum total homocysteine. Conclusion: Serum homocysteine level i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bone turnover rate, less with bone mass but not with bone size. (J Korean Soc Menopause 2010;16:23-28)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