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태 지역 내 인도적 지원 작전에 대한 민군행위자의 상호지향성 연구: 인도주의 규범 및 피해심각성의 인식을 중심으로

        권구순 ( Kwon Goo-soo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0 국방연구 Vol.63 No.2

        본 논문은 국제 인도적 지원 작전과 관련, 아-태 지역 내 복합적 위기상황과 인도주의 규범에 대한 민군행위자의 인식차를 측정하기 위해 민간단체 관계자 210명과 장교 및 부사관 220명 대상으로 상호지향성모델을 적용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인도주의 제 규범의 경우, 인도주의 원칙에 있어 민군 자체의 인식차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민간자체의 인식(A)과 군에 대한 민간의 인식(C) 간 유의한 차이가 확인됐고 군 자체의 인식(B)과 군에 대한 민간의 인식(C)에서도 차이가 검증되었다. 핵심기준과 보호원칙에서도 양측의 자체인식 간 차이가 발견되지 않은 반면, 주관적 일치도(A-C, B-D)와 정확도(A-D, B-C)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식차가 확인되었다. 위기상황에 대해 민간은 군보다 자연재난으로 인한 피해 심각성에, 군은 민간보다 국제적 무력충돌에 의한 피해 심각성에 각각 높은 인식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민군 간 접점의 확대와 인적 교류시스템구축, 파트너십을 위한 정책수립 및 이행체계구축을 통한 민군조정과 협력방안을 제언하였다. Using the coorientation model, this study investigates cognitive gap of civilian humanitarian agencies (210 aid workers) and ROK army (220 officers and NCOs) about humanitarian norms and damages of emergency crisis for humanitarian operations in the Asia-Pacific region. As a result of the survey, a gap of agreement of humanitarian norms - humanitarian principle, core standard and protection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ly, Meaningful differences are verified in both’s perceived agreement between civilians’ self-perception(A) and their presumption of ROK army’s perception (C) and ROK army’s self-perception and their presumption of civilians’ perception (D) in humanitarian principle. Thirdly, not only is gaps of perceived agreement (A-C, B-D) in core standard and protection identified, but accuracy (A-D, B-C) of both actors is substantially found. Fourth, the civilian agencies show higher awareness of the damages caused by natural disasters than the ROK army, whereas ROK army become more sensitized that of international armed conflicts than civilian agencies. Based up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civil and military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be instituted in expansion of interface, human resources exchange system and finally policy and implementation architecture of partnership between both actors.

      • KCI등재

        라이베리아내전 후 재건과정에서의 신속효과사업의 영향평가에 대한 연구

        권구순(Goosoon Kwon) 국제개발협력학회 2011 국제개발협력연구 Vol.3 No.2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an impact of quick impact projects(Qips) that had been widely implemented in the first phase of reconstruction in Liberia. While Qips have steadfastly help the reconstruction, reinforcing peace and security, economic recovery and restoration of basic services, concerns and critical sources have also been raised in that they seemingly play a less role in attaining their long-term goal. As such, a case study which contains a public survey and direct observation to UNMIL s quick employment proejct in Sinoe County in May 2010 was conducted to substantiate a question, “In what ways have Qips given an impact to post-conflict Liberia reconstruction?”. As a result, the study indicates that overwhelming majority of respondents represented that peace and security in the county had been consolidated., Secondly, survey results suggests that not only did Qips encourage participants to have confidence and commitment to their communities, they also facilitated social reintegration and cohesion at local level. Finally, findings regarding an economic impact and attainment of a long-term goal are mixed. Though more than a higher rate of respondents appears to appreciate its positive impact on individual poverty reduction in a short-term and willingness to pursue a new opportunity, the study shows little evidence to suggest that Qips facilitated their future employment.

      • KCI등재

        성인대상 이러닝 기반 국제개발이해교육의 인지적 ․ 태도적 학습효과성에 대한 실증적 연구: S사이버대학 재학생을 중심으로

        권구순(Kwon, Goosoon),한은영(Han, Eun Young) 국제개발협력학회 2016 국제개발협력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대상 이러닝 기반 개발교육과목을 통해 수강생들의 공적개발원 조(ODA)와 개발협력에 대한 인지와 태도의 변화추이를 분석하여 교과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개발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S사이버대학의 2014년 2학기 ‘국제개발과 해외자원봉사’ 교양과목 수강생을 대상으로 실험연구 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 설문조사에 모두 응답한 8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적 영역과 태도적 영역에 모두 유의미한 학습효과성이 나타났다. 인지적 영역 중 개발도상국의 주요 당면과제에 있어 최대 현안인 빈곤문제에 대한 인지가 높아졌고, 교육․보건․식수 등 유엔 밀레 니엄개발목표(MDG)에 포함된 내용에 대한 인지도가 상승했다. 개발협력의 핵심 기초 지식 즉, MDG, 한국정부의 원조수행, OECD 개발원조위원회 가입 등의 내용을 습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태도적 측면에서도 개발협력에 대한 관심도와 해외 자원활동에 대한 참여의지 상승, 1인당 ODA 기여액의 증액에 동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교육 이러닝化의 고려 요소, 블렌디드 러닝의 도입, 그리고 개방형 온라인 공개강좌(MOOC)와 원격고등교육기관 등의 활용을 통해 성인대상 이러닝 기반 개발협력 교육을 활성화시킬 것을 제언하였다. The research aims at analyzing the extent to which e-learning based development education course gives an impact on adult learner’s cognitive and attitudinal outcome o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providing an evidence based reference to explore the relevant course development. And It finally suggests how e-learning based development education be invigorat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goals, A paired t-test between pre and post class is conducted to eighty-nine (89) students who take the course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Overseas Volunteering”at a cyber university in Seoul during the second semester of the academic year of 2014. As a result, e-learning based development education course is tested to give a meaningful impact on student’s cognitive and attitude. More specifically, it addresses that students can perceive poverty as the most serious challenges in the globe, following education, health, clean water accessibility, which are included in the Millenium Development Goals (MDG) in post-test. Furthermore many of them comprehend basic knowledge of development cooperation, such as MDG, Korea’s ODA, Affiliation with OECD/DAC. Regarding attitude, it shows that students become more attentive to development cooperation and more importantly, demonstrates more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overseas voluntary activities than those in the pre-test. In addition, they vote for increasing individual contribution to ODA. The research gives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on traditional development education, such as main factors to be referred for conversion to e-learning course development and running, blended learning. Finally, it suggests that utilization of MOOCs and on-lin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promoted so that it may play a vital role in disseminating development education to its adult learners.

      • KCI등재

        Result Based Evaluation Model and Its Application to Peace Operation of the ROK Military Contingent to UN Mission

        권구순 ( Goosoon KWON ) 국제지역학회 2017 국제지역연구 Vol.21 No.1

        유엔임무단에 파병되는 한국군의 평화활동 성과를 측정하는 현행평가방식에 대해 적절성, 타당성, 신뢰성문제가 불가피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유엔현장임무단과 국제개발커뮤니티에서 널리 채택한 바 있는 성과기반평가(RBE)모델을 한국군 파병부대의 평화활동에 부합하도록 보완 및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논리체계모형을 토대로 기획과 평가단계를 통합하는 RBE모델을 토대로 파병 전기획, 파병기간 중 모니터링과 단계적 평가, 파병 후 영향평가의 사이클로 귀결되는 틀을 제안하였다. 둘째, 현행 한국군 평화활동의 모니터링과 평가체계를 RBE모델 기준을 적용하여 검증한 결과, 평가조직 운용 및 논리체계모형에 해당되는 요소들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만 충족하였고 파병사후 영향평가는 거의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전술한 문제점들의 해결방안과 민-관-군 분야 전문가가 참여하는 합동조사단 운용을 정책제안으로 제시하였다. Current method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ROK military contingents to UN missions unnecessarily raises the issues of relevance, validity and reliability. Thus,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how the result based evaluation (RBE) model which is widely adopted in the UN field missions as well as the international development community would be modified and applied to peace operation of the ROK conting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model presents a framework that integrates the planning process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with a logical framework, which entails a cycle of assessment of pre-deployment planning, monitoring and phased evaluation, and post-deployment evaluation. Secondly, according to measurement of RBE benchmarks to the present ROK`s monitoring and evaluation system, factors in an evaluation unit and a logical framework approach are unmet or partly met to the benchmarks. In addition, ex-post impact evaluation has been rarely performed. Finally, the policy recommendations for resolution of the aforementioned challenges as well as a joint evaluation unit, participated by experts in a civilian, public, and a military domain are proposed.

      • KCI등재

        한국의 도시 분야 국제개발협력의 방향성과 역할

        권구순(Kwon, Goo Soon),김유식(Kim, You shik) 한국공간환경학회 2016 공간과 사회 Vol.26 No.4

        본 논문은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 유엔 해비타트 III 회의에서 채택된 새로운 도시의제(NUA) 간 상호 연계성 분석을 통해 ‘포용성과 지속가능성을 갖춘 도시’와 ‘재난에 대한 복원력을 갖춘 안전한 도시’의 공통적인 개념과 이를 구 현하는 데 필수적인 ‘개발재원’을 기여요소로 구성한 분석틀을 도출했다. 이를 토대로 도시 분야를 포함해 국제개발협력을 수행하는 정부기관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을 공적 영역으로 도시화 국제개발협력의 전문성을 갖춘 민간단체인 한 국해비타트를 민간영역의 사례로 분석해서 향후 도시화 국제개발협력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공적 영역에서, 첫째, 포용성과 지속가능성을 갖춘 도시화를 위한 개발협력의 플랫폼 역할과 사업수행이 요구된다. 둘째, 안전한 도시와 관련한 재난위기 경감의 개념을 기존 도시 부문 ODA의 기획과 추진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도 시화 ODA 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조성할 수 있는 개발재원의 다양화와 확보체계구축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민간 영역의 경우, 첫째, NUA에 부합하는 도시분야 사업발굴과 주거권에 대한 옹호활동이 병행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중심 재난경감사업의 규모와 질적 제고를 통해 복원력기반의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사업의 다각화와 더불어 재원조성을 위해 정부와 민간기업을 포괄하는 파트너십 형성이 필요하다. The ‘New Urban Agenda(NUA)’ has recently been adopted at Habitat III, the first global conference after the Post-2015 agenda. Analysing the mutual inclusive nexus between NUA and SDGs,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inclusive and sustainable city and safe city with disaster resilience, and suggest financing for development as a contributing factor for implementation. Taken the above concept and the factor into consideration, the study suggests how the Korean development cooperation actors-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NGOs) would explore their program for sound urbanization in the future by conducting case studies of a state-run KOICA and Habitat for Humanity Korea, a specialized INGO for urbanization. A public sector should play as a platform of development cooperation and its implementation for inclusive and sustainable urbanization. With regard to safe city, it is necessary to apply a concept of ‘disaster risk reduction(DRR)’ to each planning and implementation stage of ODA programs and projects concerned. Further it is mandated to diversify financing mechanisms for narrowing the financing gap to implement international urban development. A private sector, mainly NGOs and CSOs is also required to implement projects aligned with NUA as well as advocacy strategies for tenure security. In addition, ensuring resiliency and safety needs be achieved through expansion of localized disaster risk reduction programs. At last, development finance model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is critical for implementing various urban development projects.

      • KCI등재

        민간단체 실무자의 재난회복탄력성 인식과 재건복구사업 적용 간 관계성 연구

        권구순(Goo soon Kwon),이수연(Su yeon Lee) 국제개발협력학회 2017 국제개발협력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인도적 지원과 개발협력의 매개로써 부상하고 있는 재난회복탄력성(disaster resilience)의 개념과 고려대상(개인, 가구, 지역사회, 국가), 우선분야(경제적, 물리적 시설, 제도적, 환경적회복탄력성 사업)에 대한 인식과 실제 수행했던 재난복구사업에서의 적용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민간단체 실무자 10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일원분산분석과 ?撮?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재난회복탄력성 개념인식의 유형별로 현장에서의 고려수준 차이는 유의하였으나 분야별 사업의 투입과 산출 간 차이에 있어서는 제도적 회복탄력성사업에 한해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반면, 개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고려대상과 실제 현업에서의 적용 및 우선시 하는 사업분야와 현업의 분야 간 관계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해외재난복구사업의 수행에 있어 고려대상 및 분야와 현업의 적용 간 일치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는 함의를 제시하였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민간단체와 더불어 정부차원의 대책을 제안하였다. Disaster resilience has been looming up as a mediator which plays a bridging role to connect between humanitarian assistance and development cooperation. Thus,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tent of correlation between civil humanitarian aid workers’ perception of disaster resilience and the application of disaster recovery projects in aspect of concept, targets (individual, household, community, and country) and areas (economic, physical, institutional and ecological resilience). For this purpose, the survey is conducted to 103 civil humanitarian aid workers, which is analyzed with one-way ANOVA and χ 2 . The results shows that types of perception become meaningfully relevant to the extent of consideration of disaster resilience in their implementation of post-disaster recovery project, whereas it only correlates to inputs and outputs of an institutional resilience project. Nor are significant results found between considered targets and real targets, considered areas are hardly matched with actual areas.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at civil humanitarian agencies, including an official development agencies should take corrective measures to make considered targets and areas relevant to actual targets and areas in post-disaster recovery project in the future.

      • KCI등재

        메콩유역국 통합지뢰대응행동 거버넌스 및 이행체계의 분석과 함의: 캄보디아·라오스·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권구순 ( Goosoon Kwo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1 국방연구 Vol.64 No.4

        본 논문은 메콩유역국 중 국제 통합지뢰대응행동 표준(IMAS)을 준용하여 거버넌스와 이행체계를 구축한 3국(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의 사례분석을 통해 군 주도의 비정형적 지뢰제거작전에 의존하는 한국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조사결과, 캄보디아는 독립부처로서 정책감독기구와 지뢰행동센터가 합쳐진 통합형 조직(CMAA)을 설립하고 지뢰지대 조사와 제거의 우선순위설정에 있어 지자체를 포용하는 참여적 거버넌스를 구현하였다. 라오스는 노동사회복지부 산하 외청 조직으로 지뢰행동센터(NRA)와 NRA의 이사회를 정책감독기구로 대체하는 부처 산하 통합형 조직을 설립하였고 유관 부처와 산하기구, 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다층적 거버넌스를 형성하였다. 베트남은 정책감독기구로서 고위급 및 실무급 위원회를 조직하고 국방부의 감독 하의 지뢰행동센터(VNMAC)를 두는 부처연계 분리형 중첩조직을 설립하여 위계적 거버넌스를 구축하였다. 이행체계와 관련 3국 모두 지뢰행동을 법제화하거나 제정 중에 있고 국가 통합지뢰대응행동 표준(NMAS)에 근거하여 중장기전략과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이행 중이다. 재원조성 및 기술협력을 목적으로 공여국 및 국제기구와의 파트너십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나 열악한 재정과 인력 및 조직의 역량부족은 지뢰행동의 효과적인 질 관리 및 관리감독에 장애가 되고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국의 통합지뢰대응행동 거버넌스와 이행체계구축을 위한 정책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conducts the case studies of the Lower Mekong States - Cambodia, Lao PDR and Vietnam that had already instituted governance and implementation system in compliance with the International Mine Action Standards (IMAS) so that it may draw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ontext, which relies on military-led demining oper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Cambodia established the Cambodia Mine Action and Victim Assistance Authority (CMAA) which is not only a ministry level organization, but to integrate NMAA and MAC. Noted is that local mine action authorities are inclusive in decision making for prioritization, which led to participatory governance. Lao PDR found National Regulatory Authority for UXO (NRA)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inistry of Labor and Social Welfare (MLSW) for MAC. The NRA board, composed of vice-minister or director general level delegates of line ministries, provinces and relevant unions, plays a role of NMAA which is formed as multi-layered governance. In Vietnam, hierarchical governance is established in which the high-level Steering Committee of 701 and the working-level Executive Committee are instituted. Following this chain of command, Vietnam Mine Action Center (VNMAC), as a MAC was found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inistry of Defense. With regard to the implementation scheme, not only was law on mine action enacted or in process of legislation, national mine action standards (NMAS) was also made and applied to mine action programs respectively. Based on NMAS, mid and long-term strategy and work plan on mine action has been adopted and implemented in a various level. In addition, partnership with donor countri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re strategically utilized for the purpose of resource mobilization, policy advice and technical assistance and credibility building. Finally, policy recommendations for R.O.K.’s governance and implementation system on mine action are suggested.

      • KCI등재

        방글라데시 중부해안 풍수해 위험지역의 재난취약성 및 위기경감역량 실태 연구 : 파투아칼리 시(市)를 중심으로

        서은석(Eunseok Seo),이수연(Suyeon Lee),권구순(Goosoon Kwon) 국제개발협력학회 2021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3 No.2

        연구목적: 방글라데시에서 풍수해 피해와 기후변화영향에 노출된 중부해안지 역 내 파투아칼리 시를 대상으로 재난취약성과 위기경감을 위한 역량 정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의 중요성: 한국의 남아시아 중점협력국인 방글라데시는 재난취약성 징 후가 높은 국가임에도 중점협력분야에 재난위기경감이 누락되어 있다. 이는 對개도국 재난취약성 및 재난위기경감 역량관련 연구가 부족하고 특히 대표적 인 재난취약국인 방글라데시의 재난부문 연구도 미비한데 일부 기인한다. 이에 실증적 연구를 토대로 방글라데시 해안지대 내 지역사회기반 재난위기경감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재난피해도, 재난위기경감 거버넌스 운용도, 조기경보 체계 및 주민대응도를 분석 틀로 하여 분야별 지표를 개발하고 파투아칼리시에 서 재난피해를 경험한 9개 마을을 추출하여 해당 거주민 598명과 11명의 정부 관계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 는 정량적 조사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연구결과: 재난피해도 영역에서 인적피해는 양호한 반면, 시설물과 사회경제 적 피해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위기경감 거버넌스는 마을 별 위원회는 조직되어 있으나 대응인력이 부족하고 마을단위 재난위기경감전략과 계획, 관 련 자료의 기록과 보관이 부재하며 주기적 회의도 개최되지 않는 등 실질적으 로 기능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기경보체계는 일부마을만 작동되고 주민들은 대응역할과 책임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으며 관련 연수나 훈련도 받은 경험이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및 시사점: 연구결과에 의거 재난위기경감과 기후변화대응형 농업역량 개발, 재난위기경감 거버넌스의 내실화, 조기경보체계 활성화를 통한 주민대응 역량 개발을 제시하였고 제3기 방글라데시 국별협력전략에 재난위기경감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e study aims to empirically measure the extent of disaster vulnerability and capability for disaster risk reduction in Patuakhali district in the central coastal areas, exposed to hydro-meteorological hazards and climate change impacts in Bangladesh. Originality: Though Bangladesh, as the key partner country in the South Asia shows multiple disaster risks, disaster risk reduction has been ignored in the priority areas of country partnership strategy, issued by the ROK government. This partially due to lack of research on disaster risk reduction in hazard-stricken developing countries, nor is research on disaster in Bangladesh. According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n recommendation for community based DRR in the coastal area of Bangladesh based on empirical research. Methodology: The study explores indicators of three key areas - the extent of damages of disasters, efficacy of community based DRR governance and early warning system and people’s perception on response as the conceptual framework. A semi-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to 11 government officials, and 598 people selected from nine villages in Patuakhali district. The collected data was accordingly analyzed. Result: Firstly, no. of casualties was relatively low whereas essential facilities and socio-economic damages were recorded high. Though nascent DRR governance was established, lack of human resources for quick response, no strategy and plan for community based DDR, poor documentation of previous disaster records and few periodic meetings were identified. Finally, the early warning system was operated only in some villages, which led to lack of awareness of disaster response of respondents. They had little experience of relevant train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 As the result of the study, it suggests that DRR and climate change adapted agriculture, well functioning of community based DRR governance and early warning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Furthermore, the Bangladesh partnership strategy has to be revised to include DRR in its priority areas.

      • KCI등재

        UN경찰제도 고찰을 통한 한국 경찰의 참여확대 방안에 대한 연구

        김태진(Kim, Tae Jin),강선(Kang, Sun),권구순(Kwon, Goo Soon)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8 경찰학연구 Vol.18 No.4

        연구는 UN평화활동의 핵심적 요소로서 UN경찰(UNPOL)활동의 형성과 제도적 발전에 대해 고찰하고 북미와 유럽, 아-태지역 경찰조직 및 한국경찰의 참여현황과 현안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참여확대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분쟁당사국 내 공공질서와 치안유지, 그리고 법치주의에 의한 치안사법제도의 재건에 있어 평화유지군에 대한 적합성과 역량, 대중수용성의 문제로 인해 UN경찰이 형성되었고 평화활동의 정책적 진화와 연동하여 UN경찰활동도 조직과 인적 규모, 그리고 임무의 범위가 점차 확장되는 제도화과정을 거친 것으로 나타났다. 대륙별 선진공여국의 UN경찰 참여양태를 분석한 결과, 거시적인 외교안보정책의 기조에 따라 대부분 UN경찰활동을 축소하는 대신 지역기구 혹은 양자방식의 경찰활동을 확대했고 특히 취약국의 경찰력 역량강화를 위한 연수 및 물자공여에 집중하였다. 따라서 한국도 거시적인 범정부적 외교안보정책에 따른 중장기 국제경찰활동 전략을 마련하고 유사 시 동원할 수 있는 전문인력풀을 구축하며 분쟁취약국의 치안제도 개선과 인력양성을 위한 다양한 방식의 양자 및 다자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raw policy recommendation as to how R.O.K. police will expand its extent of participation in the UN Police oper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it elucidates the formation of the UN Police and chronological institutional development as a core element of UN peace operations, and the current participation of civilian polices of donor countries in the North America, the Europe, and the Asia-Pacific. More specifically, the UN Police, at first were established due to the problem of the suitability, capacity and public acceptance of peacekeeping forces in the reconstruction of public order and security stabilization and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criminal justice system by the rule of law in conflicted countries. With regard to its institutionalization, UN Police has also undergone a process in which the scope of organization, human resources, and mission is gradually expanded in conjunction with the policy evolution of UN peace opera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atterns of participation of UN Police in the donor countries, most of them demonstrate bilateral and regional based engagement have been expanded whereas contribution to UN Police operation have been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strategic diplomacy and security policy. And they focused on capacity building and in-kind donations to fragile and conflicted states. Viewed by the result of research, it should be noted that R.O.K. should establish a mid- to long-term international policing strategy based on the inter-agency diplomacy and security policy. Secondly, a pool of police experts should be explored so that they can be mobilized in a prompt manner. Finally, it suggests that a variety of bilateral and multilateral polic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establish legitimate and reliable law enforcement system and to cultivate competent local police who can discharge aforementioned mission successfully.

      • KCI등재

        청소년 해외봉사단 활동이 봉사단원 개인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이수연(Lee, Suyeon),이희진(Lee, Heejin),권구순(Kwon, Gooso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의 한 축이자 글로벌 인재의 육성을 목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해외봉사단 프로그램이 주요 이해관계자인 봉사단원들의 개인역량의 변화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월드프렌즈 IT봉사단 50명과 일반대학생 집단 50명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 개도국에서의 1~2개월간의 봉사활동 수행, 사후 검사 순서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검증내용으로는 문헌조사를 통해 해외봉사단 활동 중 요구되는 개인역량의 성과 지표에서 문제해결능력, 셀프 리더쉽, 자아효능감, 문화 간 감수성을 추출하여 조사가 이뤄졌고 수집된 자료는 혼합변량분석(Mixed-ANOVA)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문제해결력, 셀프 리더쉽, 문화 간 감수성의 3가지 영역에서 봉사단원과 일반대학생 간 사전-사후에 있어 순차적인 상호작용이 검증되었다, 둘째, 4가지 영역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도 봉사단과 일반대학생 간비교 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4개 영역에 걸쳐 단원들의 개인역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와 관련, IT라는 동질적 분야에 유사한 목표와 역량, 성취의식을 갖춘 청소년들이 참여했다는 점과 업무분장이 뚜렷한 팀원들로 구성된 팀제의 편제조직이 주는 효용성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팀제 봉사활동에서 관찰된 부정적인 동학을 제거하기 위한 갈등관리 프로그램을 사전교육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alidate the effect of the international volunteer program on the capacity of youth volunteers. The program is one of the key ODA components and intends to foster young global leaders. A quasi- experiment was carried out with fifty (50) World Friends IT Volunteers and fifty (50) university students, the latter being the controlled group. The experiment comprised the pre-test, one-to-two months of volunteering in a developing country, and the post-test. Drawn from existing studies, the four (4) indicators of individual volunteers’ capacities - problem solving skills, self-leadership, self-efficacy and inter-cultural sensitiveness were appli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ixed-ANOVA.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irst, there are ordinal interactions in the IT volunteer program between volunteers and university students in the three indicators - problem solving skills, self-leadership,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Second, the effects of the volunteer program on the four indicators of the volunteers’ capacities are significant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led group. Third, it is shown that the volunteers’four individual capacities have been positively improved. The positive outcome can be attributed to the following three (3) factors. First, volunteers are recruited in a homogeneous field of IT; they share common goals and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have a similar level of competence. Second, volunteering activities were done by team. Third, as a team, there was a clear division of labor in voluntary activities. Meanwhile, the study suggests that a program for conflict resolution and management be included in the raining curriculum in order to eliminate the negative dynamics from team based voluntary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