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 성립 배경으로서의 사회적 효율성 탐색

        곽혜송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2 사회과수업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사회과는 어떤 교과인가?’라는 추상적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교과의 성격에 대한 인식은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사회과 수업 등 교육의 구체적인 장면에 끊임없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에 연구자는 사회적 효율성이라는 개념에 주목하였다. 사회과의 공식적 태동인 1916년 NEA 사회과 보고서에는 사회적 효율성이 사회과 주요한 기조로 작용하였음을 명시하고 있다. 사회적 효율성을 통해서 사회과의 성격이나 본질을 둘러싼 질문, 그리고 그에 파생되는 실제적 고민에 대한 의미 있는 해답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사회적 효율성을 둘러싼 쟁점을 주목해 사회적 효율성의 다면적이고 다층적인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첫째, 사회적 효율성은 개인과 사회의 관계 설정 문제에 관한 해결 방식의 표현이다. 그 속에는 개인의 순응 또는 통제, 사회적 개인으로서 도덕성 계발, 개인과 사회의 균형 또는 조화 등 다양한 관점이 혼재한다. 둘째, 교과의 유용성에 관한 접근 방식이다. 그 속에는 개인의 지성 계발을 위한 자유교육의 유용성에 대한 회의, 미래의 직업 준비 또는 현재에의 필요로 판단되는 교과의 유용성 등 교과 및 교육내용의 가치에 관한 상반된 관점이 있다. 셋째, 과학적 방법에 기초한 교육과정의 구성과 관련된다. 이때 과학은 교육 목적의 달성을 저해하는 낭비 요소의 제거를 위한 근거 또는 학생의 필요에 부응한 교육내용의 선정을 위한 근거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개인 대 사회, 교육 대 사회화, 학문 대 생활 등 사회과에 유효한 쟁점을 탐색함으로써 사회과의 본질이나 성격을 이해하고, 이를 교육 장면에서 구체화하는 데 필요한 나침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 KCI등재

        초등사회과 수업지도안 텍스트 분석 연구

        곽혜송,홍미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3 사회과교육연구 Vol.30 No.1

        A social studies lesson plan is a text in which teachers' intentions, understanding, judgments and decisions on social studies classes are selected, and a text that can explore the image of social studies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lesson plans as texts and analyze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ader, and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social studies lesson pla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various forms of play were applied to the social studies lesson plans.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play and the teacher's questioning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intention of using the teacher's play. Second, there are many cases using discussion or debate. Some of them focused on the discussion procedure, while some of them specifically described the teacher's questions and expected answers of students according to the discussion procedure. Third, various types of games were applied to the social studies lesson plans depending on the teacher's intention and learning stage, but some games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learning topic or were difficult to grasp their meaning. Fourth,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 instructional models or methods applied to the social studies lesson plans were not consistent with the contents of learning. Fifth, the social studies lesson plans, in which information about the class was properly organized, effectively conveyed the intention and purpose of the class to the reader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social studies lesson plans as texts and to producing lesson plans useful for instructional design and practice. 초등사회과 수업지도안은 사회과 수업에 관한 교사의 의도와 이해, 판단과 결정이 정선된 텍스트이자, 사회과 수업의 상을 탐색할 수 있는 텍스트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수업지도안을 텍스트로 보고 이를 독자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그 양상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과 수업지도안에는 다양한 형태의 놀이가 적용되었는데, 놀이 활용 목적 및 의도에 따라 놀이 전개 방식과 질문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과 수업지도안에는 토론이 자주 활용되었는데, 토론의 절차를 중심으로 교수・학습 활동을 축약한 경우와 토론의 절차에 따른 교사의 발문과 학생의 예상을 구체적으로 기술한 경우로 구분되었다. 셋째, 사회과 수업지도안에는 교사의 의도 및 학습 단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게임이 적용되었는데, 학습 주제에 적절하지 않거나 그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운 게임도 있었다. 넷째, 사회과 수업지도안에는 다양한 수업 모형 및 방법이 적용되었는데, 학습 내용과 수업 모형 및 방법 간의 정합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다수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과 수업지도안에는 수업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담겨있는데, 이들 정보가 유기적으로 조직된 경우 수업의 의도와 목적이 효과적으로 전달되었다. 본 연구가 사회과 수업지도안의 텍스트적 의미를 환기하고, 수업 설계와 실천에 유용한 사회과 수업지도안이 생산되는 데 기여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초등학교 민주시민교육 실천 유형 연구

        곽혜송,홍미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7 사회과교육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practica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to present specific practical types accordingly. For this, we analyzed the areas and main cont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explored the elementary teachers’experiences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has developed a practical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plan, ‘IDEA-oriente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ractical type’. This IDEA-oriented practical type is the type which Inquiry(I), Doing(D), Empathy(E), Action(A) are practical direc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which embodies the four key strategies to enhance practical effectiveness in elementary school. Consequently the practical type includes Inquiry-oriented discussion type, Doing-oriented game type, Empathy-oriented narrative type, Action-oriented practice type. These types will be more effective if they are chosen selectively and carried out complementarily to the school and classroom situation, teachers’understanding. 본 연구는 실천 지향의 초등학교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그에 따른 구체적 실천 유형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민주시민교육 관련 영역을 분석, 민주시민교육의 주요 내용을 추출하고 이를 중심으로 연구 대상 초등 교사에게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 그들의 민주시민교육 실천 경험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실천 지향의 초등학교 민주시민교육의 방안으로 ‘IDEA 중심 민주시민교육 실천 유형’을 개발, 제시하였다. IDEA 중심 민주시민교육 실천 유형은 학생의 탐구(I), 체험(D), 공감(E), 참여(A) 활동이 민주시민교육의 실천 방향이 됨과 동시에, 그러한 민주시민을 키우기 위한 네 가지의 주요 핵심 전략을 구체화하여 실천에서의 효용성을 제시한 유형으로, 탐구중심 토의·토론형, 체험중심 놀이형, 공감중심 내러티브형, 참여중심 실천형 등 네 가지 실천 유형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들 네 가지 유형은 학교와 교실의 상황, 혹은 교사의 인식 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선정되고 상호보완적으로 실행될 때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 KCI등재

        사회과에서 질문의 교육적 의미

        곽혜송,홍미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4 사회과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질문의 의미를 사회과 목적으로서의 사회 인식과 그 방법으로서 탐구의 입장에서 논의하였다. 교육의 성격에 비추어 질문은 학생과 교육 내용이라는 개별 주체 간의 상호작용 즉 대화의 매개이다. 학생과 교육 내용은 각기 독자적 세계와 의식을 구축한 주체이자 상대에 대한 철저한 타자로 위치하여 서로에 대한 의문을 가지는바, 그 언어적 표현이 곧 질문이다. 사회과에서 질문 또한 인식 주체인 학생과 그 대상으로의 사회 현상 간의 상호작용적 대화를 형성하는 언행이다. 학생은 사회과의 내용인 사회 현상에 대한 의문과 느낌을 질문의 발화를 통해 포착하고 파악한다. 즉 자신의 선행 지식과 경험, 기존 관점을 토대로 사회 현상을 주시하고, 이때 발견한 문제와 모순을 중심으로 질문을 시도하는 것이다. 반면, 사회 현상은 학생이 미처 자각하거나 인지하지 못한 지점을 확인시키거나 질문함으로써 학생 자신의 인식 체계를 스스로 검토, 수정하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상대적 입장은 사회과에서 질문이 사회 현상에 대한 탐구의 시작과 사회 인식을 위한 탐구의 여정을 포함한 중요한 언행임을 의미한다. 사회과의 질문하기는 학습의 도구가 아니라 시민이 갖추어야 할 일종의 덕목이자 역량이다.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 of questions in social studie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understanding as an object and inquiry as a method. In light of the nature of education, the question is the medium of interaction, that is, dialogue, between students and educational content. Students and educational content doubt each other as subjects who have constructed their own worlds and consciousnesses, and simultaneously as others to each other. That verbal expression is a question. Students capture and grasp doubts and feelings about social phenomena, the content of social studies, through the utterance of questions. Students observe social phenomena based on their prior knowledge, experience, and existing perspectives, and attempt to pose questions based on the problems and contradictions discovered at this time. On the other hand, social phenomena induce students to review and modify their own cognitive systems by identifying or asking questions about points they have not yet recognized. This relative position suggests that questions in social studies are verbal actions that signify the beginning of inquiry into social phenomena and the progression of inquiry for social understanding. Asking questions in social studies is not merely a means of learning, but a kind of virtue and competence that citizens must possess.

      • KCI등재후보

        비대면 상황에서의 초등 사회과 수업 양상과 의미

        곽혜송(Kwak, Hye Song),홍미화(Hong, Mi Hwa)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1 사회과수업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에서 초등교사가 사회과 수업을 어떻게 구상하고 실천하였는지, 그 과정에서 교사는 무엇을 성찰하였는지에 초점을 둔 자서전적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교사 Me의 사회과 수업 양상은, 첫째, 비대면 상황 초기의 단방향 수업에서는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온라인 수업용 콘텐츠를 만든다. 둘째, 비대면 상황의 수업 내용은 사실, 개념, 일반화 등 내용 지식을 중심으로 구성한다. 셋째, 비대면 수업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 간의 정서적 공유가 중요함을 깨닫고 새로운 학습 공간을 활용하여 참여와 협력 중심의 사회과 수업을 시도한다. 이는 급변하는 교육환경에서 학생의 사고와 참여를 고려한 새로운 형식의 사회 교과서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또한, 사회과 수업에 존재하는 교사와 학생들의 정서적 교류와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새로운 학습 공간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코로나19 이후의 사회과 수업은 교사와 학생들이 지금과 다른 다차원적 공간에서 다양한 자료를 공유하며, 함께 문제를 확인하고 대안을 찾아갈 수 있는 수업이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n autobiographical study focusing on how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practiced social studies classes and what the teacher reflected in non-face-to-face situations caused by COVID-19. The aspects of social studies classes in non-face-to-face situation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non-face-to-face one-way classes, social studies classes are made based on social textbooks. Second, in non-face-to-face situations, classes are organized by social studies knowledge such as concepts, facts, and generalizations. Third, as experiences of teaching in non-face-to-face situations accumulate, efforts are made to share emo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students and students. Me s autobiography suggests that a new textbook format centered on the nature of social studies is needed, and a new space for emotion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among class members is required even in non-face-to-face situations. The social studies class after COVID-19 should be a class where teachers and students can share various materials in a multidimensional space, exploring problems together, and find alternatives.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 사회교과서 개발의 난제와 대안 탐색

        곽혜송 ( Hye Song Kwak ),홍미화 ( Mi Hwa Hong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4

        2007 개정에 따른 현행 사회교과서는 학습자의 흥미와 이해를 감안하지 못하는 설명형 교과서, 내용의 연계성이 부족한 교과서, 내용제시방식의 모순을 노출한 교과서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2009 개정에 의한 새로운 사회교과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과 더불어, 창의.인성교육이라는 교육과정의 기본방향과 학년군의 도입에 요구되는 적절한 수준의 교과서로 개발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교과서 개발의 지침이 되는 2009 개정 사회과교육과정은 단원 간 성취기준의 내용 중복과 단원 증가에 따른 수업시수 확보의 어려움, 학년군별 내용 배열의 원칙 부재와 영역별 내용의 연계성 부족, 모호한 성취기준을 둘러싼 해석의 논쟁과 일관되지 못한 내용의 두께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교과서 개발의 대안으로 내용의 모호성과 중복을 고려한 집필진의 소통과 합의, 내용의 연계성 부족을 고려한 내러티브적 구조, 각 내용영역의 연계성을 고려한 학년군별 균형적 배치, 단원 증가에 따른 학교현장의 수업차시 감축안 마련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 수시 부분 개정 체제의 교육과정에 대비한 수준 높은 사회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사회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사회과 내용선정 연구는 물론 학년별 내용 구성의 범위와 계열 연구, 학습자의 발달을 고려한 현장 적합성 연구 등이 필수이다.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improving problems presented in the existing textbooks, understanding and solving problems of new curriculum.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next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help to understand who try to develop and use social studies textbooks by showing development process of 2009`s revision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curr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s are showed problems such as contents duplication due to change sequence in social studies contents, lack of connection between contents and contents, contradiction of organization of type contents, excessive explaining text. It seems to appear such problems in new textbooks. Because 2009`s revision social studies curriculum also involve many problems such as absence of sequence logic, lack of connection between contents and contents, ambiguity of achievement standards. So researchers tried to solve predicted problems through some solutions such as communication and consensus process with authors, exploring narrative structure, balanced placement of content areas in grades band, reduction of classes due to section increase. And we presented new organization type of contents. Social studies textbooks development is not process of presenting simply, but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curriculum contents.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high-level social studies textbooks, it is essential to research of contents in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other words, study about contents selection and sequence, appropriate contents on learners development. And it is need to make curriculum comment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to make sharing ground for researchers, textbook authors and deliberators.

      • KCI등재후보

        ‘정당 만들기’ 프로젝트 수업 이야기: 정치에 참여한다는 것의 의미

        홍미화,곽혜송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17 사회과수업연구 Vol.5 No.2

        The study addresses a reflection of teacher and criticism of observer in the political party class which the teacher conducted with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teacher thinks that political education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become the subject of politics. To do this, the teacher designed and practiced a project class focusing on three activities: ‘Reviewing class rules, Enacting the Constitution, Organizing a party’. Particularly, the teacher tried to identify students’ experience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meaning of politics by teaching a political party which is not covered in current social studies textbooks. This project class showed that the meaning of politics can be understood by experiencing political life. And revealed that the participation in politics is an autonomous act involving awareness, judgement, expression of opinions and consensus on public affairs. Teaching democracy in the classroom is not different from experiencing democracy and participating in democracy directly in classroom. This political class is the participation-based class that the teacher and students can acquire learn democracy and realize the democracy of the lesson.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S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정당 관련 수업에 대한 수업자의 성찰과 관찰자의 비평을 다룬 것이다. 수업자 Me1은 학생들이 정치의 주체가 되는 교육이 중요하다고 믿으며, ‘학급 규칙 다시 보기, 6학년 ○반 헌법 만들기, 정당 만들기’라는 세 가지 활동을 중심으로 프로젝트 수업을 실천하였다. 특히 Me1은 현행 사회교과서에서 다루지 않는 정당을 소재로 삼아 학생들이 주체가 되는 정치참여의 경험과 정치의 의미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수업은 정치의 의미가 정치적 삶을 경험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음과 정치에 참여한다는 것이 공적 문제에 대한 인식과 판단, 그리고 자신의 의견을 드러내고 합의해가는 자율적 행위임을 밝혔다. 교실 수업에서 민주주의를 가르친다는 것은 결국 교실 속 민주주의를 직접 경험하고 참여하는 일과 다르지 않다. 수업자 Me1의 정치수업은 민주주의를 체득하는 참여중심 수업이자 수업의 민주주의를 실현해 가는 수업이다. ‘정당 만들기’ 수업을 마무리 한 학생들은 끊임없이 학교와 학급의 일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들의 관심은 문제 제기로 이어지고 그것은 해결을 위한 집단 내부자의 대화로 이어진다. 학생들은 이전과 비슷한 일상적인 학교생활을 살고 있지만 주어진 역할에 대한 의문과 그 의문에 대한 해결 과정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정당을 통하여 정치를 이해시키고자 한 교사의 의도는 ‘정당 만들기’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정치의 의미를 새롭게 알고 일상적 삶에서 정치에 참여하는 방법이 가능한 수업으로 귀결되었다. 정치수업은 정치참여의 삶 자체가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