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당뇨병 모바일 앱 관련 연구동향: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 모델링

        박승미(Park, Seungmi),곽은주(Kwak, Eunju),김영지(Kim, Youngji) 한국기초간호학회 2021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ol.23 No.3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re keywords and topic groups in the ‘Diabetes mellitus and mobile applications’ field of research for better understanding research trends in the past 20 years. Methods: This study was a text-mining and topic modeling study including four steps such as ‘collecting abstracts’, ‘extracting and cleaning semantic morphemes’, ‘building a co-occurrence matrix’, and ‘analyzing network features and clustering topic groups’. Results: A total of 789 papers published between 2002 and 2021 were found in databases (Springer). Among them, 435 words were extracted from 118 articles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nalyzed by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he core keywords were ‘self-management’, ‘intervention’, ‘health’, ‘support’, ‘technique’ and ‘system’. Through the topic modeling analysis, four themes were derived: ‘intervention’, ‘blood glucose level control’, ‘self-management’ and ‘mobile health’. The main topic of this study was ‘self-management’. Conclusion: While more recent work has investigated mobile applications, the highest feature was related to self-management in the diabetes care and prevention. Nursing interventions utilizing mobile application are expected to not only effective and powerful glycemic control and self-management tools, but can be also used for patient-driven lifestyle modification.

      • KCI등재

        온라인 수업의 시험 운영전략 도출을 위한 사례 연구

        정지언(Jeong, Jieon),곽은주(Kwak, Eun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온라인 수업이 일반 대학에서의 보편적 수업형태가 되어버린 시점에서, 온라인 수업에서 시험에 대한 공정성, 신뢰감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시험 운영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부산지역 A 대학 교직수업과 교양수업에 참여하는 학생 8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의 시험운영 현황과 온라인 시험에 대한 학생 인식조사와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1차 온라인 시험 운영전략을 도출했다. 1차 전략을 4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긍정 의견과 부정 의견을 바탕으로 개선점을 도출하고, 개선된 2차 전략을 다시 45명의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개선점을 도출했다. 개선된 3차 전략을 다시 47명의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반응을 수집했다. 1차, 2차, 3차 온라인 수업의 시험 운영전략의 개선에 따라 참여자들의 시험에 대한 공정성, 신뢰감과 만족도에 변화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적으로 온라인 시험운영 전략을 구체화했다. 결과 조사 결과 대다수의 수업이 온라인으로 진행되지만, 시험은 여전히 대면시험의 비중이 높았다. 학생들도 온라인 시험보다는 대면시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온라인 시험의 편리성은 인정하지만, 부정행위에 대한 우려, 온라인으로 인한 불이익, 익숙하지 않은 방식과 시스템에 대한 불안 등이 크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온라인 시험을 위해서는 부정행위를 예방하고 학생 불안을 해소하는 등의 운영전략이 필요함을 확인했다. 3차례에 걸쳐 시험운영 방법을 개선한 결과 온라인 시험에 대한 공정성, 신뢰감,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공정한 온라인 시험운영을 위한 5가지 측면의 전략을 도출했다. 결론 공정하고 신뢰로운 평가는 학생의 노력과 동기부여를 촉진하고, 반대로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성 결여는 학생의 성취욕구를 감소시키고 성과에 대한 기회주의와 냉소주의를 형성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온라인 환경에서도 공정한 시험과 평가를 원하는 교수자들에게 필요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strategies for conducting an online exam to increase the fairness, trust, and satisfaction of the test at a time when online classes have become a universal class form in general universitie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1st strategies a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about test conducting status of online classe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online exam for 88 students at Pusan A university, and the results of literature research. After applying the 1st strategies to 45 students, improved the 2nd strategies were derived through the positive and negative opinions of the participants. Next, the 3rd strategie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applying the 2nd strategies to 42 students. Then, participants responses were collected after an online exam in which the 3rd strategy re-applied to 47 students again. According to the 1st, 2nd, and 3rd strategies, it was checked whether there were any changes in the participants fairness, trust, and satisfaction with the exam, and finally, the online exam conducting strategies are embodi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majority of classes are actually conducted online, but face-to-face tests are still more active, and students also prefer face-to-face tests over online exams. Although acknowledging the convenience of online exams, it was found that students do not prefer online exams because of concerns about cheating, disadvantages caused by online, and anxiety about unfamiliar methods and system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vent cheating and relieve student anxiety to conduct an online exam. As a result of improving the test operation strategies three times, it was verified that the fairness, trust, and satisfaction of the online exam were significantly enhanced, and 5 strategies were derived for a fair online exam. Conclusions Fair and trustworthy evaluation promotes student effort and motivation, and conversely, lack of fairness and trust in evaluation can reduce students desire for achievement, as a result, form opportunism and cynicism about performance. This study can provide guidance for fair exams and evaluation in an online environment.

      • KCI등재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교과교실제 도입이 일반계 고등학생의 교육과정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부경 ( Bukyung Kim ),곽은주 ( Eunju Kwa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생의 교육과정 만족도에 교과교실제가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탐색하고 향후 운영 방안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고, 부산교육정책연구소 부산교육종단연구 패널의 1, 2, 3차 자료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교육과정 만족도는 학년이 올라가면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교과교실제를 시행하는 부산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의 교육과정 만족도 하락세를 더디게 하는데 교과교실제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교과교실제를 통한 교육과정의 질 관리 체계 마련에 시사점을 제시하며, 교과교실제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longitudinal effect of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on the satisfaction of the curriculum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es. For this purpose, the data from the 1nd to 3th years of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ere analyzed with the usage of latent growth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atisfaction of the curriculum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over time. Additionally, the subject classroom system was negatively significant in the rate of change. Based on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quality management of curriculum through and the future study on effect of subject classroom were presented.

      • KCI등재

        인공지능의 문장 부호번역 패턴에 따른 번역 전략연구

        탁진영 ( Jinyoung Tak ),곽은주 ( Eunju Kwak ),김동미 ( Dongmie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기계 번역 프로그램 (예: Papago 및 Google)의 번역 패턴을 분석하고 두 프로그램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한편, 영어와 한국어의 문장부호가 본 연구의 기준이 되며, 한국어보다 영어에서의 문장 의존도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다시 말해, 한국어가 동사 끝말 어미로 문장의 끝을 표명하는 것에 비교해 영어는 그렇지 않은 것에 있어서 의미와 중요성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파파고는 원천텍스트의 문장부호가 전혀 또는 거의 표기되지 않는 상태도 번역 결과물에서는 인식을 하여 번역을 했다. 이것은 두 프로그램 각각에 포함된 다른 번역전략의 결과로 인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 분석을 통해 두 프로그램의 번역 시, 다른 번역방법으로 진행된다는 것을 인지하면 시간을 절약하고 인공지능의 제한점을 참고하여 사후편집 과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단순하게 번역하는 AI 번역방법에 완성도 있는 번역 결과물을 양산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번역 전략이 될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anslation patterns of the two most popular machine translation programs (i.e., Papago and Google) and to propose 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the two programs. Punctuation marks were a main focal point in this study, because they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importance in the Korean language as opposed to the English language. In other words, the English language is far more dependent on punctuation marks than the Korean language is due to the fact that the Korean language has verbal endings that signify the end of a sentence, whereas English does not. As a result, Papago showed a far better performance with text that contained little or no punctuation marks, which of course is a result of the different translation strategies that each of the two programs incorporate. This analysis revealed that if the two programs are incorporated for different purposes with translation, they can save time as well as identify some of the limitation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could assist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 single AI translation method and strategy that could produce more complete and complex translations using computer-assisted translation methods.

      • KCI우수등재

        대학 학생성공 해외 연구동향 분석: 상세 서지정보 분석

        장창성(Chang Sung Jang),곽은주(Eunju Kwak),조성범(Sungbum Cho) 한국교육학회 2023 敎育學硏究 Vol.61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학생성공 관련 해외 연구동향과 주요 이슈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고등교육 연구 및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larivate Analytics의 웹 데이터베이스 Web of Science에 등재된 SSCI 및 Scopus급 학술지 615건을 추출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상세 서지정보 분석을 적용하였고, 분석을 위해 RStudio의 bibliometrix 패키지를 활용하였다. 상세 서지정보 분석결과, 학생성공 관련 연구는 2000년대 후반 발행 추이가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특히 2010년대 중반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미국 등 주로 서구권 국가에서 대다수의 연구가 수행되었고, 국가 간 공동연구의 비중은 낮았다. 분석대상 논문의 인용정보 및 저자・키워드 등에 대한 빈도 분석을 통해 학생성공 관련 연구는 학생유지 및 학생 몰입과 같은 개념적 토대와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도입・확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학생성공 관련 키워드 공동출현 네트워크는 다음과 같이 5개의 클러스터로 구분되었다: (1)온라인 환경에서 교수・학습 및 평가, (2)학생유지 관련 기관수준의 학생지원 및 실증적 접근, (3)대학위기에 대응하는 처방으로써 학생 심리적・정서적 측면, (4)학생 몰입 및 경험 기반 학생지향 관점, (5)community college 중심 경력개발 및 성인교육과의 연계. 마지막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및 주제구조 분석을 통해 학생성공 관련 연구는 타학문 분야와의 연계를 바탕으로 경험적・실증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영역에 걸쳐 수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고등교육 맥락에서 학생성공 개념의 확장 및 적용을 위한 학술적・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with respect to student success in the field of higher education. In order to address the study’s purpose, we collected scholarly articles that addressed issues and topics concerning student success published between 1974 and 2023. This study employed bibliometric analysis targeted towards bibliometric information of a total of 615 articles housed in SSCI- and Scopus-indexed journals. The information was extracted from the Web of Science, a web database powered by Clarivate Analytics. For data analysis, we utilized the bibliometrix package in RStudio. The study’s findings show that the quantity of articles on student success has increased since the late 2000s, especially surging since the mid-2010s. The majority of these investigations were conducted in Western countries, predominantly the United States,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was scarce. Through the frequency analysis of co-citation data, author, and key terms, it was revealed that the foundational underpinnings of student success have been rooted in the concepts of student retention and student engag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we categorized sub-themes into five clusters: (a) teaching and learning assessments within online environments, (b) institutional support and empirical approaches for student retention, (c)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responding to student crisis, (d) student engagement and experience-based student-oriented perspectives, and (e) associations with adult education and career development in community colleges. Finally, the study’s findings from thematic analysis demonstrate that research on student success has emerged based on inter- and intra-collaborations within and across various domains of studies. Based on th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research and practice in South Korea’s higher education context.

      • KCI등재
      • KCI등재

        성공적인 대학 생활에 대한 학생 인식 : 학생성공(Student Success)의 실천적 개념과 관점

        배상훈(Bae, Sanghoon),조성범(Cho, Sungbum),한송이(Han, Songie),곽은주(Kwak, Eunju)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관점에서‘성공적인 대학 생활’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학생 개인 특성(성별, 전공계열, 학년)에 따라,‘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의미가 다르게 인식되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서울 지역 4개 대학에 재학하면서 능동적인‘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의 모습을 보인 9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과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이 제시한 질적 자료에서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특징과 구성 요소를 의미하는 키워드를 추출하고, 빈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여 키워드들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모습을 보다 체계화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성공적인 대학 생활을 구성하는 핵심요소로‘깊은 인간관계 경험’,‘만족스러운 취업’,‘높은 학점’,‘폭넓은 인적 교류’,‘전공 지식 함양’,‘다양한 교내외 활동’이 도출되었고, 이들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얽혀있는 양상을 보였다. 개념적 관계성이 높은 것끼리 집단화한 결과, 3개의 개념 클러스터가 도출되었다. 학생이 인식하는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모습은 성별, 전공계열, 학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 맥락에서 학생들의 시각에서 성공적인 대학 생활의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최근 대학 사회에서 주목받고 있는‘학생성공(student success)’의 개념을 구체화하고 실천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common features of students who are considered to have been successful at learning and college life from the student s perspective. The current study also investigated differences in the features of a successful college life by gender, major, and grade of students. Samples include ninety-three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wh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ly purposeful activities. Data from open-ended survey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on student’s successful school lives with related key words suggested by students. The study also conducted network text analysis to explore how these key words are structurally linked to each other. The result shows that the conceptual structure of success include various elements (key words) - ‘deep human relationship experiences , satisfied employment , higher GPA , an wide range of social relationship , ‘acquisition of subject-matter knowledge , and a full palette of varied activities’. The study found that these elements are highly related to one another and divided into three clusters. Finally, the perception on the features of successful college life differs by gender, major, and grade of the students.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