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성인문해교육의 전개과정과 리터러시 확장의 과제

        곽삼근(Kwak Sam Geun),박세영(Park Se Yo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6 평생교육학연구 Vol.22 No.2

        This research aims to look at the progress of adult literacy education as part of lifelong education and study the possibility of new literacy education. So far, literacy education has been extended to the ability to live independently, but it has been criticized for lack of the practical ability as a real literacy or cultural being due to its functional approach. This article suggests three-layered literacy education; the right to learn with profound contents structure, the liberal arts allowing learner’s active expression of aesthetic imagery, and the cultural literacy education understanding traditional values. Away from functional literacy, literacy process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will improve a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foster community minds based on Sung-Ki-Sung-Mool (成己成物) humanity, and create cultural assets and virtue with tradition. This three-layered literacy education while allowing already educated learners should go beyond the knowledge level where people learn new things to realizing the wisdom level where we can reflect on our society, promote social practices for community members’ happier lives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본 연구는 광복 이후 한국 성인문해교육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새로운 문해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그간의 문해교육은 문자해득, 기본적인 생활 기능의 향상,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능력의 함양으로까지 확장되었으나, 이러한 기능적 접근의 결과 실제적으로 교육받은 교양인 혹은 문화인으로서의 실천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해교육에 대한 심미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첫째, 심층적이고 풍부한 내용의 구성을 갖춘 학습자 권리추구로서의 문해교육, 둘째, 학습자의 미적 심상을 능동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인문학으로서의 문해교육, 셋째, 전통적 문화가치를 이해하는 방안으로서의 문화적 문해(cultural literacy) 교육을 제안한다. 기능 위주의 문해에서 벗어나 심미적 경험에 터한 문해과정은 개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성기성물(成己成物) 정신에 입각한 사람다움의 표현으로서 공동체 정신을 함양할 수 있으며, 우리의 전통을 문화적 자산과 역량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 교육수혜계층도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세 층위의 문해교육을 통해 ‘아는 것이 없던(無知) 혹은 알지 못하던(不知) 상태로부터 지식을 알게 되는(知) 수준을 넘어서 우리가 사는 사회를 성찰적으로 볼 수 있는 지혜로운(智) 단계’를 구현하는 문해가 요청된다.

      • KCI등재

        학술지를 통해 본 한국 평생교육학의 연구동향

        곽삼근(Kwak Sam-geun),최윤정(Choi Yun-jeo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05 평생교육학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평생교육학 연구의 역사와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주요 내용은 첫째, 지난 50 년간 한국 평생교육학의 발전 과정을 연구물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둘째, 연구동향 파악을 위해 주요 학술지의 논문들을 분석하며, 셋째, 이를 바탕으로 한국 평생교육학 연구동향의 주요 특성들을 고찰하고 학문 발전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연구물 분석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한국 평생교육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 세 개에서 총 395 편의 논문을 선정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을 총 10개 영역으로 유형화하였으며, 분석 결과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평생교육학 학문연구와 방법연구가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한국의 평생교육은 급속한 성장기에 있으며, 평생교육법의 출현으로 평생교육 활동의 공급과 수요는 그 어느 때보다 양적으로 급증하였다. 그러나 현장에 초점을 두도록 급속하게 교육실천의 요구가 팽창해왔는데 비하여 연구 활동은 충분하지 못하였다 는 평가가 본 연구에서도 입증되었다. 평생교육학 영역에서 많은 연구물이 쏟아져 나왔지만, 아직 평생교육학의 제반영역을 체계화하는 작업은 미진한 상태에서, 본 연구는 한국 평생교육학 연구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그 특성을 제시하고 학문적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lifelong education by investigating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studies and its future direction.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s, we categorized the research papers into the ten research areas. From the three representative journals in lifelong education, 395 articl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rom this analysis, we could find that 'lifelong education programs and educational processes' was the most popular area, while 'lifelong education study and methodology' was the least concerned one. Based on the research trend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lifelong education research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academy of the Korean lifelong education is still practice-oriented. But recently, the quality of papers is making progress from a level. of general surveys on the realities to an indepth research study. Second, the research topics and problems of the papers have become more specific and various. Third, the concerns on 'learning' and 'learners' I have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2000. Fourth, even though it was not deeply examined in this study, it is apparent that the papers on research methodology were scarce in numbers. Fifth, academic journals are functioning as a place for debate and discourse. It provides learning opportunities for the scholars by sharing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same lifelong education phenomena Sixth, research papers on "lifelong education studies" are few in numbers compared to any other areas. We could conclude that while the lifelong education needs have been greatly expanded and more practical applications were demanded in Korean society, the academic supports to lead the practices were not sufficient. Therefore, further research efforts should be given to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stud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평생교육 참여결정이론에 관한 연구

        곽삼근,이숙원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3 교육과학연구 Vol.34 No.3

        평생교육에서 학습자의 참여결정과정은 평생에 걸쳐 지속적으로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평생교육 참여에 관한 논의도 장기적이고 종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즉, 초기의 참여결정에서 계속적인 참여과정에 이르기까지의 장기적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심리적, 사회적, 교육기관 및 제도적, 환경적 특성들의 영향력을 종합적으로 규명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우선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평생교육 참여결정 모형 개발을 위한 준거 틀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초기 참여결정과 참여지속결정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분석적으로 고찰한 후 이를 토대로 다차원적 참여결정 관련요인들을 종합˙정리하였다. 연구결과, 초기 참여결정과 참여지속결정 모두에 관련된 요인들로 학습자의 배경 특성, 학습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학습자의 심리적 특성, 학습자의 학습환경 특성, 교육기관의 특성, 프로그램의 특성, 교육기관의 환경 특성, 제도적/사회적 환경 특성 등을 제시하였으며, 참여지속 혹은 중도탈락결정에는 교육경험 특성이 추가적인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개인관련 특성도 상당 부분 학습자의 외부 여건이나 제도의 개선, 교육기관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결론으로서 평생교육 기회 확대 및 활성화를 위한 교육기관 차원과 사회제도적 차원의 과제로서, 평생교육기관의 공동체화, 개인적˙사회적 목적의 통합 및 조화, 평생교육지원제도 구축 및 환경 조성 등을 제안하였다. In lifelong education, learners are affected by various factors in making a decision of participation in their life time. The study on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 thus requires the inclusive and the long-term approach. This study attempts to elucidate the various factors that derive from individual, Psychological, social,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aspects, It should also cover the beginning stage where learners make a decision of participation for the first time as well as the continuing stage where learners make a decision about persistence of their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framework to develop a long-term and inclusive participation model of lifelong education. The previous studies on participation theory(Miller, Rubenson, Darkenwald & Merriam, Cookson, and Henry & Basile) and persistence/dropout model(Boshier, Mackinnon-Slaney, Thompson, Tinto, and Bean & Metzner) are analyzed and the related factors in the diverse aspects are summari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related factors of participation and persistence are found in learners, institutions, and policies; learners' personal information, socio-economic statu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learning environments, educational institutions, Programs,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social system and policies, In addition, educational experience in institutions is another important factor for persistence or dropout. Also, the non-participation and dropout of learners can be resolved by improvement of learning environment, Policy change, and institutional support. It is thus concluded that community of lifelong education, integration and harmony of individual and social purposes, support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established for providing and expanding chances of lifelong education.

      • KCI등재

        고등학교의 시설 및 교원조직 운영 실태: 공학과 별학 간의 비교

        권오남,곽삼근,임 형,허라금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1 교과교육학연구 Vol.5 No.2

        남녀공학 교육형태가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추세 속에서 우리 나라 공학 교육은 실질적인 양성 평등교육에 대한 충분한 사전 준비 없이 확대·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학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양성평등의 실현이라는 차원에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성별 학교 유형에 따른 학교 운영상의 차이점을 파악하기 위해 남녀공학, 여학교, 남학교의 학교 운영 실태 및 시설현황을 분석해 본다. 연구 방법은 서울, 대구, 경기, 전북, 제주의 일반계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1·2차의 수정작업을 거쳐 개발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의사결정직의 구조에서 상위직의 여성의 비율이 남녀 공학과 남학교에 비해 여학교의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계열별 주요 교과 교사의 성별 분포에서는 인문계 교과에서 여교사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인문계 영역의 여성의 편중 현상은 인문계 계통의 대학에 여학생의 진학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데에서도 보여지고 있다. 또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복 착용이나 교훈 등에서 여학생의 활동을 제약하는 요소들을 내재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고, 시설물도 부족하게 제공받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학교의 운영체계는 학생들에게 역학 모델로서 큰 영향이 미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compare co-educational and single-sex Korean high schools in terms of their facilities for each gender and organization of teachers for decision-making proce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3 high schools in Seoul, Daegu, Kyonggi, Chonbuck, and Cheju areas. Data were collected by the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questions on gender distribution of teachers for decision making processes, educational golas, school facilities for each gender, and others. The percentage of male teachers involving decision-making processe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s teachers in both co-educational high schools and single-sex high schools. Further, this study revealed that girls were lacking for school facilities such as playground, toile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eachers, educators, policy makers should aware of these facts in order to achieve gender equity and equality in high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