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라우마의 연극적 초극

        고해종 한국연기예술학회 2024 연기예술연구 Vol.33 No.-

        본 연구는 조지 타보리(George Tabori)의 희곡 『식인종들』을 중심 대상으로 삼아 트라우마라는 기억의 양태에 대하여 그 고통을 초극하고자 하는 연극적 시도의 지향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기억의 연극’이 라고 불리는 타보리의 연극 미학은 그의 제2차 세계대전 및 홀로코스트 경험을 원천으로 삼고 있는데, 미학적 기치의 이름과 모순되게도, 과거를 ‘망각’해야 한다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여타의 연극적 접근 방 법과는 확연히 구별된다. 잘 알려져 있듯, 전후 독일에서 기억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했고, 그것은 연극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어서 많은 작가와 연출가들에 의해 기억의 연극화가 진행되었다. 특히 두드 러졌던 것은 대외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들의 존재를 다양한 기록 자료를 통해 폭로하고 역사적 실 체를 드러내는 르포르타쥬이기를 꾀했던 ‘기록극’의 경향으로, 이는 연극의 저널리즘적 속성에 특화하여 과거를 역사라는 공식화된 기억으로 고정시키는 쪽을 향한다. 반면 타보리의 ‘기억의 연극’은 기억의 공 식화를 경계한다. 과거에 대한 태도로서 기억이 고정될 때, 그것은 집단적 기억의 차원에서 관습화되어 버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타보리의 연극은 기억에 대해 사적이고 주관적인 경로로 접근하기를 권장한다. 그리고 이 경로는 사적이고 주관적인 만큼 감각적 체험에 관련된다. 즉 ‘기억의 연극’은 몸으 로 체험된 기억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억압되어 있던 고통스러운 과거를 트라우마의 원-광경으로서 소환 하고 그것을 다시 한번 소화해 내기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억은 단순히 저장된 정보의 인출 로서만 이해될 수 없고, 기입되고 반추되는 과정으로서 시간적 간극을 고려한 것으로 재개념화되어야 한 다. 이렇게 기억에 연극적으로 과정성을 부여하게 될 때 망각은 과거를 현재적으로 재구성하는 긍정적 전유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마침내 온전한 기억의 과정을 이루게 됨을 알 수 있다. 더불어 본 논문 은 타보리의 ‘기억의 연극’을 새로운 ‘기록’을 발견하고 연극이라는 예술로 승화시키는 일종의 뉴 다큐멘 터리 연극으로 읽으면서, 트라우마라는 기억의 양태에 대한 연극적 초극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연극이 과거를 사유할 수 있는 새로운 역량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heatrical trial to conquest the agony of trauma, using George Tabori’s play The Cannibals as the central object. Tabori's theatrical aesthetic, dubbed “theater of memory,” draws on his experience of World War II and the Holocaust and, contradictory to the name of the aesthetic banner, is distinctly different from other theatrical approaches in that it insists on ‘oblivion’of the past. As is well known, the social discussion of memory in post-war Germany was very active, and this was no exception in the theatrical realm, so theatricalization of memory was carried out by many writers and directors. Particularly prominent was the tendency of 'documentary theater', which sought to expose the existence of facts publicly unknown, through various archival sources. To be a reporter of historical reality, it specialized in the journalistic nature of theatre and tended to fix the past as a formalized memory of history. Tabori's ‘theatre of memory’, on the other hand, is wary of the formalization of memory. When memory is fixed as an attitude towards the past, it risks becoming conventionalized at the level of collective memory. Therefore, Tabori's theatre encourages a private and subjective approach to memory. As much as it is private and subjective, it also involves sensory experience. That is, the “theater of memory” aims to recall the unconsciously repressed painful past as a traumatic archi-scene and to digest it once again through bodily experienced memories. Therefore, memory cannot be understood as a mere retrieval of stored information, but must be reconceptualized as a process of re-writing and reflection, taking into account temporal gaps. When memory is given a processual character, ‘oblivion’ can be understood as a unique appropriation of the past that reconstructs it in the present and finally constitutes a complete process of memory.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theatrical hyperplay on the aspect of memory called trauma, reading Tabori's 'play of memory' as a kind of new documentary play that discovers a new 'record' and sublimates it into the art of play. And through this process, it is expected that the play will be able to confirm new capabilities to think about the past.

      • KCI등재

        베르나르-마리 콜테스의 <로베르토 쥬코>와 악의 윤리학

        고해종 ( Ko Hae Jong ) 한국연극학회 2017 한국연극학 Vol.1 No.61

        본고는 `악`의 개념을 중심으로 베르나르-마리 콜테스의 < 로베르토 쥬코(Roberto Zucco) >를 이론적으로 해석하고, 그것이 `주권성`이라는, 악을 통해 개시되는 새로운 윤리학적 사유를 표명하는 총체적인 하나의 `이야기`로 성립함을 논구한다. 이 텍스트는 종속된 존재들에 대하여 경계의 위반을 행하는 주체로서 로베르토 쥬코의 여정을 추적하며, 그주체의 자유의 불가능성과 존재론적 부조리를 드러낸다. 여기서 극 전체를 추동하는 `악`이라는 개념이 문제의 중핵을 이룬다. 이 텍스트가 문제적인 것은 공연 예술 창작에 있어서 철학적 주제를 근본적으로 제시하는 까닭이다. 지금까지의 해석 경향은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우선 로베르토 쥬코를 상식적인 악의 위치에 놓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견해에 따르면 이 텍스트는 도발적이고 비도덕적인 외설이거나 한불쌍한 정신병자의 난삽한 이야기일 뿐이다. 반대로 로베르토 쥬코를 선의 위치에 놓는 경향이 있다. 이런 입장에 따르면 그는 영웅으로서 예술적 자유를 옹호하는 신화적 존재로 숭앙되고 그행위의 역설은 파편적인 이해불가능성에 방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견해들은 모두 악이라는 주제가 환기하는 사유의 전통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있기 때문에 해석상 오류를 범한다. 따라서 본고는 철학적 사유의 영역을 다룸으로써 <로베르토 쥬코>라는 텍스트가 내적 필연성을 가진 `이야기`임을 밝히고, 그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시도한다. 철학적 대상 영역은 선과 악에 대한 사유영역으로서 윤리학을 상정하며, 의무의 윤리학과 덕의 윤리학이라는 구도 아래칸트와 니체의 사유를 살펴보고, 나아가 그도덕적 권력의 내면화 과정을 규명할 것이다. 이렇게 선악의 계보를 재구성하고 의심하는 일련의 과정을 경유하여 <로베르토 쥬코>를 분석함으로써, 주권적 인간의 전기-쓰기라는 하나의 존재론적 이야기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작업이 도덕주의적 시선과 병인론적 시선의 고전적 지도주의에 맞서 예술적 낭만성을 옹호하고, 또한 동시에 예술의 낭만주의적 신화화에 맞서 미학적 존재론의 준거점을 마련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is thesis on theoretical analysis of Bernard-Marie Koltes` Roberto Zucco will discuss that it is a dramatic story with totality indicating `Sovereignty`, a new ethics which is commenced by the concept of `Evil`. Following the journey of Roberto Zucco, subject of transgression against subordination, this text reveals the impossibility of freedom and ontological absurdity. This text has been read in two point of views so far. First, Roberto Zucco as a common evil. According to this opinion, it is only a provocating immoral play or a poor psychopath`s obscene story. Second, Roberto Zucco as a good hero. With this point of view, he becomes an idol, a mythical character who supports artistic freedom, and the paradox of himself is neglected at the fragmented uncomprehendedness. However, without paying careful attention to the philosophical theme, which the `Evil` propounds to performing art creation, both fail to read the text. That is why it is problematic. Defining Roberto Zucco as a `Story` with totality and immanent inevitability, I will try philosophical close reading of it. Passing through the geaneology of `Good` and `Evil`, a single ontological story, an ecriture of one sovereign human`s biography, can be found. In this thesis, I hope to defend the artistic romanticism against didacticism of moralists and etiologists, and also insist aesthetic ontology against the blinded artistic mythicalization.

      • KCI등재

        예술적 세속화의 임계점 - 발터 벤야민의 시선으로 본 라이날트 괴츠의 『제프 쿤스』

        고해종 ( Ko Hae-jong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2 독일어문학 Vol.98 No.-

        본고는 라이날트 괴츠의 『제프 쿤스』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문학과 연극의 수행적 정치성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논해보고자 시도한다. 라이날트 괴츠의 『제프 쿤스』가 수행하는 파편적이고 해체적인 글쓰기가 아방가르드한 고급예술의 추상성을 거부하고 세속적 대중문화를 통해 경험되는 순간적 도취를 정치적 해방의 기점으로 승인하고자 할 때, 유의해야 할 반성적 계기는 없는가? 이런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제프 쿤스』가 모아내는 파편적 이미지를 꼼꼼히 독해하고, 나아가 예술의 세속화 테제를 제시했던 발터 벤야민의 사유를 다시 점검하며, 예술의 정치성이 주장되는 배경과 그 역사철학적 조건에 대해서 탐구해봄으로써 예술적 세속화와 그 해방의 순간에 대하여 미학적 코기토를 반성적 계기로 제시한다. Diese Studie zielt darauf ab, den Profanierungsprozess mit Fokus auf Jeff Koons von Rainald Goetz zu hinterfragen. Der Schreibstil von Jeff Koons offenbart eine Art Beispiel für den Widerstand gegen die Literatur selbst. Wie ein Schnappschuss oder eine Broschüre versucht es, den wahren Moment des Alltags einzufangen, anstatt wie ein Buch eine Geschichte zu erzählen. Laut Walter Benjamin ist dieser Schreibstil viel radikaler politisch als andere, die sich mit politischen Themen befassen. und sie wird Prafanierungsthese genannt, weil sie der Literatur die heilige Aura der Kunst abspricht. Der Begriff der Profanierung, der sich auf den Akt der Gotteslästerung bezieht, der die heiligen Kunstwerke über die Grenzen der religiösen Norm hinaus verlagert, stellt damit das Verhältnis von Kunst und Leben in Frage. Politisch ist sie daher insofern, als ‘Kunst’ institutionellen Status erlangt, dem gesellschaftliche Diskurse zustimmen und Legitimität gewähren. Mithilfe der Geschichtsphilosophie Walter Benjamins untersucht dieser Aufsatz die Bedingungen des politischen Diskurses, den ‘Post-Art’ wie Jeff Koons anspricht, indem er sich dem kritischen Punkt künstlerischer Profanierung annähert. Und es wird das ästhetische cogito als reflexive Bedingung für die Emanzipation von Prafanierungsthese vorschlagen.

      • KCI등재

        데리다와 현대 연극: 차연의 유사-변증법과 드라마

        고해종 ( Ko Hae Jong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3

        본 논문은 데리다의 사유를 통해 현대의 연극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려는 시도이다. 현대 연극 담론은 드라마를 거부하고 실재 자체를 추구하면서 연극사적 전통에 대한 일관된 반대를 표명한다. 자기지시적이고 현실 구성적인 현상학적 몸의 물질성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수행성 개념은 이런 현대 연극 담론의 미학적 핵심을 지시하는데, 그것은 새로운 주체로의 변형 가능성을 ‘지금-여기’의 감각적 지각을 담보하는 공연이라는 사건에서 발견하고자 한다. 이에 폐기되는 것은 재현, 변증법, 드라마와 같은 연극의 전통적 속성들이다. 아르토와 잔혹극은 이런 담론의 이념을 제공하고 있으며, 데리다의 사유는 해체론이라는 명칭아래 꾸준히 참조되고 있다. 그러나 데리다가 보여준 것은 재현이 숙명적이라는 사실이었다. 수행성의 미학은 아르토를 따라 몸을 고유성이 발원하는 장소로 삼고자 하지만 그것은 오히려 초월적 기의로서 몸을 실체화함으로써 현대 연극의 헤게모니가 유아론적 독단에 빠져있음을 반증한다. 이에 대하여 데리다는 차연의 유사-변증법적 경로를 통해 실재의 되풀이 (불)가능성을 경주함으로써 그 틈입의 절대성을 탈각시키며, 연극은 그 경로의 드라마(들)로서 사유되어야 함을 알려준다. This study aims to interrogate contemporary theatre discourses with Jacques Derrida's thought. The discourses consistently oppose to the tradition of theatrical history by pursuing the Reality itself. The concept of 'Performativity', which has centralized self-referential, reality-constituting corporeality, indicates the aesthetic core of their arguments. On the viewpoint of aesthetics of performativity, it is discovered and insisted that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toward new subjectivity transcending traditional separation within epistemology can be found via sensible perception of 'hic et nunc'. What being eliminated is, therefore, traditional properties of theatre such as representation, dialectics, and drama. Antonin Artaud and his Theatre of Cruelty offer the ideal origin of this discourse, and Jacques Derrida, as a thinker of deconstructionism, is recalled for its theoretical base. However, what Derrida uttered was the fact that representation is fatal. The aesthetics of performativity, along with Artaud, takes the body as the place of proper singularity though, it makes the body substantialized as a transcendental signified. This rather reflects solipsism of contemporary theatre discourse. At this point, Derrida consisently devoting the iterability of Reality by differance, the channels of quasi-dialectics, extricates the absoluteness of its intrusion, and lets the Theatre be thought as drama(s) of the channels intersected and delay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