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보육교사 임파워먼트와 소진 및 직무만족의 구조모형 연구
강종수(Kang Jong-Soo)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4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소진 그리고 직무만족의 수준과 이들 변인들 사이의 인과관계 구조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보육교사 281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는 소진을 감소시키고 직무만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소진은 직무만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임파워먼트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접적 효과보다 소진을 매개하여 직무만족에 더 큰 총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직무만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임파워먼트가 매우 중요하고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educare teachers' empowerment,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se. A structured survey of 281 educare teacher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analysis showed that empowerment increases job satisfaction while burnout reduces job satisfaction substantially. Empowerment has much bigger total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burnout rather than through direct effect.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mpowermen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teachers' burnout and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diverse methods to increase empowerment are needed.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이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강종수(Jong-Soo K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2
이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생을 대상으로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된 것으로, 강원도 소재 4개 대학의 사회복지학과 재학생 35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직업가치관은 내재적 가치관과 외재적 가치관으로 측정하였고, 진로결정수준은 진로결정수준검사(CDS)를 사용하였으며, 전공몰입은 몰입상태척도(FS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직업가치관은 내재적 가치관은 4.05로 외재적 가치관 3.34 보다 높았으며, 진로결정수준은 3.43, 전공몰입은 3.54로 중간값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재적 가치관은 진로결정수준(r=-.55, p<.001)과 전공몰입(r=-.51***)에 부(-)적 상관관계를, 반면에 내재적 가치관은 진로결정수준(r=.47***)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종합모형에서 직업가치관의 외재적 가치관은 전공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β-.34, p<.001), 반면에 내재적 가치관(β=.31, p<.001)과 진로결정수준(β=.18, p<.001)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가치관, 진로결정수준 및 전공몰입에 관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work values and the career decision level on the major commit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351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t 4 universities located in Kangwon-do was condu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e work values consisted of intrinsic values and extrinsic values.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measured by the career decision scale (CDS) and the major commitment was measured by the flow state scale (FS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decision level (3.43) and major commitment (3.58)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were slightly higher than the mid-point on the 5 point Likert scale. In addition, the intrinsic work value (4.05) were higher than the extrinsic work value (3.34). Second, the intrinsic work values and career decision level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major commitment. Third, the extrinsic work valu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major commitment (β-.34, p<.001); however, the intrinsic work value (β=.31, p<.001) and career decision level (β=.18, p<.001) had a positive effects on the major commitment. This paper also discuss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work values, career decision level, and major commitmen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사회복지기관의 학습조직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효과
강종수(Kang, Jong-S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학습조직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조직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학습조직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비교적 가장 명확히 제시하고 있는 Senge(1990)의 학습조직모형을 적용하여 학습조직을 공유된 비전, 개인적 숙련, 팀 학습 및 시스템 사고로 구성하였 고, 민간분야 사회복지사 342명의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들의 학습 조직 수준은 평균값 이상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관분석 결과 학습조직은 조직몰입과는 정(+)의, 이직의사와는 부(-)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조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공유된 비전, 개인 적 숙련 및 팀 학습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유된 비전과 팀 학습은 또한 이직의사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조직 구축을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on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or the research, learning organization was consisted of shared vision, personal mastery, team learning and system thinking on the P. Senge's learning organiz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Mean analyses showed that social workers perceived the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had a higher than medium. By using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hared vision, personal mastery and team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hared vision and team learning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ocial workers'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finally discusses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learning organization strategies on the results.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강종수(Kang, Jong-Soo),박은미(Park, Eun-M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가 구성원들의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조직문 화와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것으로, 조직문화는 Kimberly and Quinn의 경쟁가치모형(competing value model)을 바탕으로 네 가지 유형으로 측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2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 조직시민행동 및 직 무만족은 모두 중간값 이상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고, 회귀분석 결과에서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모두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직무만족의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가 유의한 수준에서 네 가지 조직문화 유형 모두에서 확인되었다. 이는 조직문화 수준이 낮더라도 직무만족 수준을 증진시킨다면 조직시민행동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구성원들이 조직을 위해 자 발적으로 헌신하도록 하기 위해 직무만족 향상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or the research, organizational culture was measured by Kimberly & Quinn's competing value model. This study analyzed 260 social workers by survey.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proposed by Baron & Kenny and sobel 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at social workers perceive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d a higher than medium. By using a regress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effects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specially,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association with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finally discusse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strategies on the results.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에 미치는 참여 동기 및 인정 · 보상 요인 분석
강종수(Kang, Jong-So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해 자원봉사활동 지속의지에 미치는 참여동기 및 인정보상 요 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자원봉사활동 참여경험이 있는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1주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참여동기는 이타적 동기와 이기적 동기로, 인정보상은 사회경제적 인정보상, 교육문화적 인정보상 그리고 경제적 인정보상으로 범주화 하였다. 연구결과 참여동기는 이타적 동기와 이기적 동기가 혼재되어 있고, 인정 보상은 대체로 사회심리적 인정보상은 높지만 경제적 인정보상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참여동기 중 이타적 동기와 이기적 동기 모두, 그리고 인정보상 중에서는 사회심리적 인정보상과 경제적 인정보상이 자원봉사 활동 지속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참여동기 및 특히 경제적 인정보 상 강화를 중심으로 대학생들의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 of participation motivation, recognition and reward affecting the continuance will of university student volunteers. For the research,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consisted of egoistic motives and altruistic motives. Recognition and reward(R&R) were consisted of psychosocial R&R, educational cultural R&R, and economic R&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that participation motivation was mixed, psychosocial R&R was higher than economic R&R. By using a multiple regression, egoistic motives and altruistic motiv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volunteers' continuance will, and psychosocial R&R and economic R&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volunteers' continuance will. This study finally discuss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university student's volunteer strategies on the results.
사회복지관의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강종수(Kang, Jong-So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6
리더의 일방적 영향력에만 집중해 구성원과의 평균적 관계만을 강조하던 종래의 리더십 이론과는 달리 리더와 구성원 양자가 맺는 관계를 통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eader-Member Exchange: LMX)이론이다. 높은 수준의 LMX를 보이는 내집단은 낮은 수준의 외집단에 비해 리더와의 신뢰, 존경, 공동 운명의식을 공유해 조직에 헌신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LMX의 가치에 기초해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LMX가 구성원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그리고 이직의사로 구성된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으로, 부산과 경남의 사회복지관 417명의 구조화된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구조모형 분석 결과 LMX는 비록 사회복지사의 이직의사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또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결과적으로 이직의사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종래의 리더의 특성과 자질, 상황 중심의 이론에서 벗어나 형식적인 권위나 규율에 의존하는 리더의 행동보다는 리더와 구성원간의 신뢰와 우호적 관계의 성립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충분한 상호작용 등 쌍방적 대화를 통한 양질의 교환관계를 구축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Different from the existing leadership theories that only focusing on the leader, Leader-Member Exchange(LMX) theory has focuse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and members. LMX include two groups that in-group and out-group. An in-group has better performance than an out-group and preceding researches demonstrated LMX has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MX on the social worker"s job attitudes, which ar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To ar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417 social worker who work for community welfare center in Busan and Gyeongnam.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LMX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didn"t influence turnover inten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and the direction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인과모형 연구
강종수(Kang Jong-Soo)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1
본 연구는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과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인과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통계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보육시설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보육교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시민행동 모두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변량 분해를 통해 변혁적 리더십은 보육교사의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총 효과보다 임파워먼트를 통해 더 큰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ducare directors' leadership and teach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OCB). A structured survey of 281 educare teacher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positive effect on both the teachers' empowerment and OCB and it creates bigger total effect on OCB through the mediation of teachers' empowerment.
강종수(Kang, Jong-So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7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조직구조 특성을 분석하여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한 조직구조 설계를 위해 실시된 것으로, 사회복지사 32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복지사는 비교적 높은 임파워먼트 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나 직무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외의 요인들은 낮게 나타났고, 조직구조는 높은 수준의 공식화, 분권화, 복잡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전문적 관료제조직의 특징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조직구조 중에서 복잡성과 분권화가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업무의 수평적인 분화와 업무수행에 충분한 권한 부여, 그리고 문제해결을 위한 자유로운 의견 교환이 임파워먼트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 structure design for the promotioning of social worker"s empowerment. For the research, organizational structure was consisted of complexity, form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empowerment was consisted of meaning, competence, self-determination and impact. This study was analyzed 325 respondents by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s a professional bureaucratic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influences social worker"s empowerment. Especially, decentralization and complexit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worker"s empower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