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역량의 타당성 분석 -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강이화(Kang E w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2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중요한 쟁점의 하나는 핵심역량이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시된 핵심역량이 교육과정 각론의 교과역량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각 역량은 타당하게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교육과 정 문서상에서 통합교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과역량이 드러나는지, 그 역량들 간 의 관계와 긴밀성 등 구조적 특징은 무엇인지를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해 분석하였 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핵심역량 여섯 가지 가운데, 세 통합교과 교 육과정에는 심미적 감성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자기관리 역 량, 공동체 역량 다섯 가지가 중점적으로 나타났고 그것들은 서로 긴밀한 연결 구조 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통합교과에서 추구하는 공통역량인 의사소통 역량은 미비 한 중요도를 보였고 고립된 형태로 나타났다. 각 교과별로 분석한 결과, 통합교과에 서 핵심역량이 교과역량으로 가장 적극적으로 반영되는 교과는 ‘즐거운 생활’이었 다. 이에 총론의 핵심역량을 각론의 교과역량으로 구현하고자 할 때 나타나는 문제, 각 교과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교과역량의 선택과 균형의 문제에 대한 검토가 필 요하다고 제안하였다. One of the hot issu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the key competency.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any sorts of relationships between the key competency presented in the curriculum guideline and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y in the subject curriculum, and whether each competency is reasonably reflecte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whether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y is revealed on the curriculum documents focusing on the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and what are structural features such as relationships among competencies and coherence. Among the six key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guideline, five competencies such as the aesthetic sensibility competency,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the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the self-management competency, and the community competency appeared mainly, and they had a close connection structure. However, the common ability,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appeared in very much insufficient and isolated way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each subject, the subject which reflects and pursues the key competency as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y most actively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Enjoyable Life’. Even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was found not to function as a common integrated curriculum competency. Thereupon, two problems are brought up: one is the time when you just want to put the key competency of the curriculum guideline into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y of the subject curriculum, and the other is the importance and the balance among the subject-specific competencies appearing in each subject curriculum.

      • KCI등재

        언어네트워크분석법을 통한 슬기로운 생활 교육내용 변화 분석

        강이화(Kang, Ew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5

        우리나라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그 출발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통합의 관점, 방법 등에서 변화를 보이며 지속적으로 개정되어 왔다. 그러나 그 개정과정에서 제기된 대표적인 비판은 개별 교과 내용 중심의 통합에 대한 문제제기였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그 개정의 방향에 맞게 교육내용을 타당하게 구성해왔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언어 네트워크 분석(SNA) 중 범주 프레임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통합교과 교육과정 문서인 제5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6개 교육과정의 핵심단어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혀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제 5차와 제 6차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은 기존의 평가와는 달리 탈교과적 통합의 맹아가 존재했음이 일정 부분 확인되었다. 제7차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은 기존의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비해 탈교과적 통합의 특성이 강하게 나타남과 동시에 약한 분과교과적 특성이 공존했다. 2007 개정 ‘슬기로운 생활’의 교육내용에는 탈교과적 통합의 특성이 한층 강화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는 교육내용 제시방식이 간략화되면서 탈교과적 통합의 연계성과 긴밀성이 오히려 약해진 결과를 보였다. The Integrated Subjects curricula from the 5th curriculum to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has been revised constantly, showing some changes on the perspective and the method of integration. However, the typical criticism of each revision focuses on bringing up a problem about the individual subjects-based integration.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has made up the contents in Curriculum to match the direction of the amendment. For this, this study tried to reveal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keyword of six the “Intelligent Life”curriculum documents, using the analysis category frame in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o some extent that the sprouting of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 has existed in the 5th and 6th . The characteristics of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 of 7th “Intelligent Life” curriculum strongly appeared. As for 2007 revised content of “Intelligent Life”, the unique content area emerged importantly in semantic network, but as the presenting way of content was simplified at a time of 2009 and 2015 revised curricula, the coherence of trans-disciplinary integration showed a rather weak result.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대학교육의 미래 - 국내·외 혁신 사례를 중심으로

        강이화(Kang Ewha)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국외 주요국의 4차 산업혁명 관련 대학교육의 혁신사례를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대학교육에의 시사점을 찾고자 연구되었다. 연구방법: 이에 주제 관련 문헌을 질적자료로 보고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Walsh & Downe(2004)의 질적 메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대상 문헌은 4차 산업혁명과 교육 관련 총 200여 편의 초록과 목차 리뷰 후 초점 문헌인 단행본 9종, 정책 보고서 16종, 학술지 논문 31종이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대응 대학교육 관련 교육정책과 대학사례를 살펴본 결과, 정부는 재정지원 사업으로, 개별 대학들은 그 사업에 맞추어 교과목 개편, 교수방법, 교육 환경 구축으로 대응하고 있다. 둘째, 국외 주요국의 대응 사례 분석 결과, 정부 정책 대응의 공통적인 방향성은 미래 핵심기술 산업화 중심 대학교육이었고, 개별 대학의 대응 양태는 학제적 교육과정, 학생 개별화 관리 시스템, 실험적 다원화 체제를 보였다. 셋째, 국내외 논의에서 나타나는 공통점은 4차 산업혁명이 ‘핵심 동인’이며, ‘이중적 현상’으로 ‘대응 요구’ 과제로 작용하여 ‘인재 양성 방안’을 내놓게 만드는 구조였다. 차이점은 해외 주요 국가들의 대응이 포괄성과 연계성이 강한 반면 우리나라는 일원화 및 개별성을 보인다는 점이었다. 결론: 이에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관련 대학교육 대응 정책과 노력 간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연계와 포괄의 권한을 갖는 기구를 재설정할 것과 나누어져 있는 예산 및 지원 기관의 스코프를 점검하고 중장기적이며 균형 있는 대응책을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s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related university educ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examin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m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for Korean university education. Method: A meta-analysis of Walsh and Downe(2004) was use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literature and cases. After the Review of over 200 literature, were 9 Books, 16 policy reports, and 31 papers analyzed intensively.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government responded with governmental university aid, and universities responded with reforming curriculum and rebuilding educational environments. seconds, the common direction of government policy in foreign countries was the core technology oriented university education, and Individual universities attempted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individualized student management system, experimental pluralization system.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o reset the organizations that have the authority of linking and to check the scope of the budget and projects.

      • SCOPUSKCI등재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환자의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대한 단면적 연구

        강이화 ( Ee Wha Kang ),구영석 ( Young Suck Goo ),이상철 ( Sang Cheol Lee ),한승혁 ( Seung Hyeok Han ),윤수영 ( Soo Young Yoon ),최소래 ( So Rae Choi ),박형천 ( Hyeong Cheon Park ),강신욱 ( Shin Wook Kang ),최규헌 ( Kyu Hun Choi 대한신장학회 2002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1 No.6

        목 적 :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 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17-56%에서 단백질-열량 영양실조를 보이며, 영양실조는 이환율 및 치사율을 결정하는 주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는 복막투석 환자에서 영양실조의 유병율과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및 인자들간의 상호 연관성을 규명하여 영양 실조의 발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말기 신부전증으로 진단 받고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시행 받은 환자 중 최소한 3개월 이상 정기적인 외래 추적관찰을 받았고, 임상적으로 안정된 1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양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주관적 영양상태 평가방법, 인체 계측, 운동 능력, 혈청 생화학적 분석, 요소 동력학 모형의 지표, 식이 섭취정도를 단면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을 50.7±11.4세이었고, 남녀 비는 1 : 1이었으며, 평균 투석기간은 67.3±39.7개월이었다. 주관적 영양상태 평가방법에 따라 세 군으로 나누었을 때, 정상 영양상태를 보이는 환자 (Ⅰ군)는 75명 (59.0%), 경도의 영양실조를 보이는 환자 (Ⅱ군)는 30명 (33.6%)이었으며, 중등도 내지 중증의 영양실조를 보이는 환자 (Ⅲ군)는 22명 (17.4%)이었다. 임상적 특성 중, 환자의 나이 (P<0.01), 투석기간 (p<0.05)에 Ⅰ군 보다 Ⅲ군에서 유의하게 높아 연령이많고 투석기간이 길수록 영양실조의 빈도가 많았다. 혈청 생화학적 검사 중, Ⅰ군보다 Ⅲ군에서 혈청 크래아티닌, 중성지방, 단백질, 알부민, prealbumin, IGF-1, traansferrin, 등이 유의하게 낮았고 (p<0,01), 반대로 CRP,, ferritin, IL-6 등은 의의있게 높았다 (p<0,05). 알부민은 세 군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1). 인체 계측치와 운동 수행능력 평가에서는 체중, 이상체중에 대한 백분율, 체지방량, 체질량비, 중완둘레, 피부측벽두께, 중완 근육면적 등이Ⅰ군에비해 Ⅱ, Ⅲ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p<0.05), 다변량 희귀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영양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인자는 혈청 알부민, leptin, CRP이었다 결론 :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을 받는 약 40%의 호나자들이 경중 이상의 영양실조를 보였으며, 여러 임상적, 혈청 생화학적 인자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중 독립적으로 연관이 있는 인자는 혈청 알부민, CRP, leptin이었는데, 세 군간에 투석량과 식이 섭취에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급성 및 만성 염증 반응이 영양 실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중 leptin의 역할에 대해서는 향후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Protein-calorie malnutrition is common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patients and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morbidity and mortality.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revalence of protein-calorie malnutrition in Korean CAPI) patients. Other purposes were to ascertain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nutritional parameters and to evaluate factor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malnutrition in CAPD patients. Methods : Subjects were clinically stable 127 patients who have been on CAPD for more than 3 months. Nutritional status was assessed by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SGA), biochemical, anthropometric, and urea kinetic parameters.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0.7±11.4 years with sex ratio (M : F) 1:1, and mean duration of dialysis was 67.3±39.7 months. Patie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SGA group Ⅰ(normal nutrition, n=75, 59.0%), group Ⅱ(mild malnutrition, n=30, 23.6%) and group Ⅲ (moderate to severe malnutrition, n=22, 17.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CAPD duration, peritonitis rate and hospital-days per year between group Ⅰ and group Ⅲ. Among biochemical variables, serum creatinine, triglyceride, protein, albumin, prealbumin, IGF-1, transferrin and lepti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Ⅲ compared to group Ⅰ (p<0.05), and CRP, ferritin, and IL-6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Ⅲ than group Ⅰ.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albumin among all three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Kt/Vurea, nPNA and SCCr among three group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idual renal function (p<0,05) and PNA (p<0.05) between group I and group Ⅲ. Among anthropometric variables, body weight, %IBW, BMI, %body fat mass, MAC, TSF, BSF, CAMA, and TB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group Ⅲ than the other two groups (p<0,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s in exercise capacity and food intake among the three groups. To evaluat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parameters used for assessing malnutrition, we conducted Pearson`s rank correlation test. Sen albumin (γ=0.45), age (γ=-0.29), %JBW (γ=0.52), leptin (γ=0.32), CRP (γ=-0.24), TSF (γ =0.45) and CAMA (γ=0.41)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GA.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bumin, leptin, and CRP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malnutrition (p<0.05). Conclusion : About 40% of CAPD patients were malnourished according to SG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rum albumin, leptin and CRP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malnutr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ute and chronic inflamniatory respon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protein-calorie malnutrition in CAPD patients with comparable food intake and dialysis does.

      • KCI등재

        독일 교육과정 표준화의 방향과 의의

        강이화(Kang E w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1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이후부터 점차적으로 핵심역량과 성취 기준을 교육과정의 주요한 요소로 받아들여 왔다. 그러나 핵심역량과 성취기준은 그 이후부터 오늘날까지 그 성격과 지위를 둘러싼 여러 가지 비판을 받고 있다. 본 연 구는 독일의 국가 교육과정 표준을 통해서 이러한 비판을 극복하는 방안을 모색하 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독일은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총론에 해당하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표준과 교육과정 각론에 해당하는 주 수준의 교과 교육과정으로 구분되어 있다. 독일의 국가 수준 교육과정 표준에는 교육과정에 관한 세 가지 기본 방향이 제시되어 있다. 교육목표는 역량을 중심으로 설정하고, 교육내용은 성취표준을 중심 으로 선정하고 진술하며, 교육평가는 교육의 질을 관리하는 방향을 취한다는 것이 바로 그 방향이다. 또한 독일은 국가수준에서는 역량 및 성취표준의 성격을 규정하 고 각 주수준의 교과 교육과정에서 그것을 구체화하도록 하였다. 독일의 이러한 시 도는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핵심역량과 성취기준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여러 가지 문 제를 해결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 교육과정의 이러한 입장에 근거하여 총론 수준의 핵심역량과 각론 수준의 핵심역량 사이의 괴리, 핵심역량과 성취기준의 불분명한 관계, 성취기준의 불명확한 지위 등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이 겪 고 있는 문제점을 시론적으로 해결하려고 하였다. Achievement Standards and Key competencies have appeared in the Subject Curriculum since the 7th revised curriculum, but they also have been criticized due to their vague and unclear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andards of the German curriculum and its implications. In Germany, detailed provisions for standards and competencies as well as the way to reflect them in subject curriculum in a national level were written in “German language” and “Math” curriculum in 2003. The state government established the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each subject and developed the subject curriculum.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rhetorically various problems appeared in the Korean curriculum, especially focused on the gap between key competencies in introduction and details, unclear relations between key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and vague posi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 KCI등재

        독일 생애사 연구의 인식론적 기반과 분화 과정

        강이화(Ewha Kang),Peter Alheit 한독교육학회 2015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0 No.2

        생애사 연구는 기본적으로 교육에 관한 인간의 주관적 경험과 판단을 사회적 맥락에서 해석함으로써 교육 현상과 거기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모습을 이해하는 데에 초점을 둔 학문 분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생애사 연구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독일에 초점을 두고 고찰하는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생애사 연구는 흔히 연구방법의 일종으로 생각되는 경향이 없진 않지만 18세기부터 시작된 독일의 생애사 연구는 그 초점을 인식론으로 돌려놓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의 대상이 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독일의 생애사 연구는 여러 가지 특수한 현상으로부터 뽑아낸 일반적인 지식에 초점을 두는데에서 시작하여 학습자가 사회적 현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만들어내는 구성적 지식을 부각시키는데로 변화되어 왔다. 오늘날 독일의 생애사 연구의 대표적인 갈래에는 대표적으로 현상학적 사회구성주의, 이념유형적 구성주의, 후기현대성이론, 체제이론 및 생물학적 구성주의, 탈구조주의 등이 있으며, 이들 이론은 개별적 이론이 아니라 그 사이의 긴장과 연계 속에서 다양한 생애사 연구의 산물을 만들어내었다. 독일의 이러한 연구 동향이 앞으로 생애사 연구를 수행하는 우리나라 학도들의 이해의 폭을 넓혀주기를 기대한다. Das Ziel dieser Studie ist das Konzept und den historischen Hintergrund der Biographieforschung, an die es auf dem Gebiet der Erziehungswissenschaft in der letzten Zeit ein wachsendes Interesse gibt, und die Beziehung zwischen den gesellschaftlichen Veränderungen in ihrer Geschichte und der philosophischen Erkenntnistheorie in Betracht zu ziehen. Als Ergebnis stellte es sich zunächst heraus, dass die Biographieforschung nicht nur eine Quelle der wissenschaftlichen Erkenntnisse, sondern auch eine Methodologie ist, und darüber hinaus wird sie als Forschungsperspektive zu verstehen. Die typischen Erkenntnistherorien wie Konstruktivismus, Postmoderne Theorie, Systemtheorie, und Dekonstruktion haben einen Einfluss auf die Biographieforschung erzeugt und zugleich die Zweige der Biografieforschung produziert. Diese Studie als eine Grundlagenforschung wird voraussichtlich hilfreich sein, dass koreanische Forscher in Pädagogik, die an Biographieforschung Interesse haben, das Verständnis von der Biographieforschung erweitern und eine angemessene konzeptionelle-theoretischen Grundlagen schaffen könnten wenn sie in einer Art und Weise mit der Biographieforschung ihren irgendwelchen Forschungen führen möchten.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교육과정의 방향

        강이화(Kang Ew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역량 논의를 분석하여 향후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요 보고서인 세계경제포럼, UNESCO, OECD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그 속에서 핵심역량의 방향과 요소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요 보고서에서는 핵심역량 관련 용어들을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으나 ‘역량’과 ‘기술’이 대표 개념으로 사용되고 유사 용어들은 개념화되거나 위계화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며, ‘핵심역량’의 하위 요소 분류에서는 인지적 요소, 사회적·실제적 요소, 정서적 요소로 분류되는 일정한 경향성을 보이며, 핵심역량 요소 중 ‘정서적 역량’과 ‘신체적 역량’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진다. 이에 우리나라 교육계가 4차 산업혁명 논의를 이어갈 때 용어 혼용을 줄이고 일관성을 찾기 위해 기존의 ‘핵심역량’ 용어를 재개념화하여 사용할 것, 하위 역량 분류는 점검하되 일관성 있는 분류 기준을 설정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One of the hot issu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he key competenci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ssues of Key Competencies in the Reports of World Economic Forum, UNESCO, OECD etc. and to discuss issues to be considered in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ports uses a variety of key competency-related terms, but competence and skill are used most frequently as a representative concept and each term is not conceptualized or hierarchized.. Second, subclassification of key competency tends to be categorized as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factors. lastly, emotional competence and physical competence stand out in the discussion of key competenci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we needs to reconsider the existing key competency terms in Korea national curriculum to find the consistency and reduce the mixed use of terms, to check the competency classification but to set a consistent standard, to reconsider emotional and physical competence.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 추이 분석

        강이화(Kang, Ewha)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and define the trend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Korea. To this end, the researcher took as criteria not only curriculum policies and development agencies, but also the subject-system and time-allotment contained in the curriculum documents, and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approach. It seems the greatest variation among these criteria was the curriculum policy. Until the 5th national curriculum there has been only one curriculum policy,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but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decentralization since the 6th national curriculum, the local- and school-level curriculum have come into being and still operate today. Although the agencies of curriculum development have also repeated a bit of advance and retreat, I have witnessed that the R&D model-oriented curriculum policy has been changed into the direction entrusted to external agencies and private organizations. Although the changes to the other elements were relatively small, it seems that powers of the authorities concerned tend to have been transferred to local education authorities and individual schools. Thus, although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Korea shows more or less the difference by element, it has been changing gradually in the direction to highlight decentralization and localization. As a result,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trends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Korea as curriculum autonomy.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변화 추이를 탐색하고 규정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과 관련된 정책과 개발주체, 그리고 교육과정 문서에 포함된 편제와 시간배당 및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식을 준거로 삼아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를 분석하였다. 이들 준거 중에서 가장 큰 변화를 보이는 것은 교육과정 정책이었다. 즉, 교육과정 정책의 경우에 제5차 교육과정까지는 국가 수준 교육과정이 유일한 형태였다면, 제6차 교육과정부터는 교육과정 분권화에 따라 그 이외에 교육청 수준과 학교 수준이 생겨나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교육과정 개발의 주체도 비록 약간의 전진과 후퇴를 되풀이하기도 했지만 국가 주도에서 외부 기관이나 민간단체에 위탁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왔다. 그 이외의 요소에서는 변화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았지만, 국가가 쥐고 있던 권한이 점차로 교육청이나 단위 학교로 이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은 요소별로 어느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지만, 점차로 분권화나 지역화를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왔다. 그리고 그러한 변화 추이는 교육과정 자율화로 귀결되었다.

      • KCI등재후보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경험에 관한 연구

        강이화(Kang, E Wha),김아영(Kim, A Young),김대현(Kim, Dae Hyu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敎育思想硏究 Vol.21 No.3

        본 연구는 한국의 대학에서 유학하고 있는 중국인 유학생들의 적응경험을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A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중국인 학부학생 16명과 한국학생 5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근거이론 절차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표적인 적응경험은 ‘가깝게 느껴짐’, ‘초기 낯섦’, ‘익숙해짐’, ‘새로운 낯섦’ 이라는 네 가지로 나타났다. 유학생들의 적응경험에서 나타나는 공통점은 적응경험의 종합적 이해에서 유학경험의 ‘자기성장’이라는 긍정적 결과를 끌어낸다는 점과 ‘특별하게 대해주기’ 와 ‘구별 없이 대해주기’라는 상반된 기대를 가지면서 그 사이의 긴장을 경험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중국인 유학생들의 삶에서 나타나는 적응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유학생활에 대한 기대수준 및 성취동기, 언어능력, 당면문제의 성격 등이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daptive experience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tudying in Korea. To achieve this purpose, we individually interviewed 16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and5 Korean students studying in A National University,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procedure of the Grounded Theory. This study offered us the following discoveries. The representative features of Chinese students’ adaptive experience were revealed as follows: ‘intimacy’, ‘incipient alienation’, ‘adaptation’, and ‘latter alienation’. Some common features of their adaptive experience have been found during the study. First, Chinese students created a positive effect that they used their adaptive experience for generating their self-development. In addition to that, they experienced tension between two expectations: ‘being treated with special care’, and ‘being treated without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We also found what influenced Chinese students’ adaptive experiences most: their expectation level of study life in Korea or motivation of achievement, language proficiency and characteristics of pending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