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근관치료에 사용되는 레진-기반 근관충전재와 수산화칼슘-기반 근관충전재의 특징비교

        강은주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치수가 제거된 근관의 근첨부터 치경부까지의 근관을 근관충전재로 충전하는 과정인 근관충전의 목적은 근관의 완벽한 봉쇄와 구강 내 세균의 치근단 주위 조직으로의 유입을 막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이상적인 근관충전제의 요건들이 언급되고 있으나 현재 개발된 재료 중 모든 요건을 만족시키는 재료는 없으며 근관치료학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근관충전 시멘트의 사용에 있어서 일부는 유전물질 손상 또는 세포독성 반응을 보인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성공적인 근관치료를 이루기 위해서는 이러한 재료들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것이 당연하며 따라서 현재 시판중인 여러 종류의 재료의 특성을 서로 비교하여 평가해보는 것이 이러한 이해에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여러 종류의 근관충전재의 특성을 비교한 논문은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며 계속해서 등장하는 새로운 재료에 대한 비교적인 실험연구 결과도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나온 여러 논문과 연구결과를 자료로 하여 근관충전 시멘트의 여러 성질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비교대상은 근관치료에 있어서 광범위하게 사용 중인 레진-기반 근관충전 시멘트의 한 종류 (AH26Ⓡ)와 수산화칼슘-기반 근관충전 시멘트의 두 종류 (SealapexⓇ 와 ApexitⓇ)이다. 첫 번째로, 방사선 불 투과성을 비교한 연구에서 레진-기반 근관충전 시멘트인 AH26Ⓡ와 수산화칼슘-기반 근관충전 시멘트인 SealapexⓇ의 방사선 불 투과성을 비교해 봤을 때 AH26Ⓡ보다 수산화칼슘-기반 근관충전 시멘트인 SealapexⓇ의 방사선 불 투과성이 더 크다는 연구가 있었으며, 두 번째로, 근관충전 후 미세누출 검사에서는 레진-기반 재료인 AH26Ⓡ의 미세누출이 적었고, 수산화칼슘-기반 근관충전 시멘트인 SealapexⓇ는 용해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지나면 근관폐쇄에 문제가 생길수도 있다고 하였다. 세 번째로, 사용한 재료의 두께를 달리하여 미세누출을 검사 했을 때는 AH26Ⓡ을 두꺼운 층으로 사용할 때 미세누출이 아주 적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SealapexⓇ와 비교 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다음으로 레진-기반 근관충전 시멘트인 AH26Ⓡ와 또 다른 수산화칼슘-기반 근관충전 시멘트인 ApexitⓇ를 비교한 연구들이 있었다. 첫 번째로, 근관충전 후 체적팽창에 대한 연구에서는 레진-기반 근관충전 시멘트가 초기 4주 후에 4~5%에 이르는 큰 값의 팽창을 보이다가 그 이후에는 안정적 이였으며, 수산화칼슘-기반 근관충전 시멘트인 ApexitⓇ는 초기 4주후에 0.2%정도의 약한 수축을 보이다가 24주까지 점진적으로 수축값이 증가함을 보였다. 두 번째로, 항균효과를 평가했을 때는 ApexitⓇ가 AH26Ⓡ보다 더 우수함을 보였다. 비교 결과 어느 한 가지 재료가 다른 재료에 비교해서 장점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며 재료마다 각기 특성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즉 근관충전에 있어서 완벽한 하나의 재료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치과재료학의 발달과 함께 근관충전 시멘트도 계속해서 새로운 재료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AH PlusⓇ이다. AH PlusⓇ는 AH26Ⓡ이 가지고 있는 포름알데히드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AH26Ⓡ이 나타낼 수 있는 세포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새로운 재료 역시 부작용이 없는 것은 아니다. AH PlusⓇ도 DNA손상에 대한 여러 증거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이상적인 조건에 완벽하게 부합하는 재료는 현재까지는 없다고 볼 수 있다. 근관치료에 있어서 치료의 질을 높이고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재료의 올바른 사용이 중요한 만큼 치과재료학에 있어서 더 나은 성질을 가지면서 부작용은 최소로 한 재료의 개발에 계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다른 종류의 근관충전 시멘트의 특성 또한 종류별로 비교하고 평가하려는 연구가 앞으로 더 필요할 것이다.

      • 學校環境을 考慮한 에코스쿨의 計劃方向 硏究

        강은주 忠南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tries to introduce an approach for eco-school plans after due consideration of the Korean school environment. As a new durable model for a school system in harmony with the new paradigm, eco-school goes a step further from the human-oriented architecture, keeps a balance in the ecological system around us, reduces operation costs by recycling energy, water, and waste in the school, and ultimately enables us to keep a healthy and clean school environment. However, the concept of eco-school is new in Korea and its study has a lot of shortcomings in the related fields. Therefore, this dissertation studies distinguishing cases of eco-school and introduces respective plans for the schools. This work also studies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schools and finds environmental problems and reform measures for the eco-schools in the cities and rural communities reflecting their regional characteristics. Chapter 1 outlines the condition, purpose, field, and the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2 explains the meaning of eco-school and illustrates its concept, eco-school plan elements. Chapter 3 presents results of research on the sampled eco-schools, Chapter 4 deals with the current situation of target schools, and Chapter 5 studies the requests of teachers and students. Chapter 3 introduces the eco-school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o set up a plan for an eco-school system appropriate to the Korean environment and arranges major features of planning techniques for eco-schools in the aspects of site, energy, pro-environmental materials & recycling of resources, water resources, and indoor environment. By studying current schools in old and new cities and suburbs, Chapter 4 reflects the problems and reform measures of Korean school setting relating to eco-school system. In order to see the differences in the location of schools, old and new cities are included in the city area and suburbs are included in the agricultural area. Surrounded by skyscraper apartments and business buildings rather than natural environment, the city schools feature a high density of buildings, poor ecological systems, traffic jams, and high population density. Therefore, the city schools require high-story buildings. On the other hand, surrounded by mountains and fields, the schools in suburbs have better ecological systems and less surrounding population. It is better to have low-story school building. It is found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school site planning in their settings, and there is a little differences in energy, water resources, and indoor environment planning. However, There are little differences in pro-environmental materials and recycling of resources between the two types of schools. Therefore, in order to apply the eco-school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spects of the school's location. Chapter 5 considers the requests of teachers and student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y put comfort of indoor environment in the school in the first pl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for the eco-school plan. The research in the eco-school plan, differences in the school's location, and the user's requests between the city school and the local community school concludes as follows: First, that this research establishes the concept of eco-school and its elements; Second, case studies supply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eco-school planning technique, the substitute technique, utilization effectiveness, and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Third,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school site, energy consumption, building materials and resources, and indoor environment offers basic data to reform the environmental problems. It also show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ity schools and local community schools and reflects the different features in the eco-school plan; Fourth, the research on the users' requests categorizes five areas and finds the differences in their requests between the two types of eco-schools. It will be important basic information for the eco-school plan.

      •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다차원 정책 분석

        강은주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from the perspectives of normative dimension, structural dimension, constituentive dimension, and technical dimension by using the four-dimensional framework. The conclusion included the recommendations of improvement measures needed for Jeju Self-governing school to expand autonomy of school operation and to take root and develop as a success model of school reform.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analyzing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ies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value pursued by autonomy of school operation in normative dimension and what is the purpose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being pushed forward in Jeju? Second, what system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Jeju Self-governing school through its historical development in structural dimension? Third, who are the stakeholder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in constituent dimension and how do they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what are their roles and requirements? Fourth,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in its designation, operation, evaluation, and feedback in technical dimension? Fifth, what is the comprehensive diagnosi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based on the analysis of four-dimensional framework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Jeju Self-governing school,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special school type specified in Article 216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ct and Articles 45 to Article 46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same Act. Jeju Self-governing school, operated only in the Self-Governing Province, is the nation's only and new school system. It refers to the autonomous school with full autonomy delegated to its principal in consideration of special characteristics unique to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eju Self-governing school is classified into 'i-Good School' designated every two years from 2007 to 2013 and 'Dahandi Learning School' which has been designated every year since 2015. 'Dahandi Learning School' is a model of the second Jeju Self-governing school which applied the innovative school models of other regions to Jeju Self-governing school after a progressiv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came into office in 2014. The analysis of four-dimensional framework, which was used as a framework in this study, is an analytical model adopted from「Better Policies, Better Schools: Theories and Applications」(2004) authored by Bruce S. Cooper, Lance D. Fusarelli and E. Vance Randall. Cooper, Fusarelli, and Randall presented an analytical model of educational policy, called 'normative dimension', 'structural dimension', 'constituentive dimension', and 'technical dimension', based on major theories of educational policy analyses. The methods for data collection used in the analysis of four-dimensional framework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were literature study, in-depth interview, and survey on awareness. A total of 14 persons participated in the in-depth interview, including 3 policy executors of the Office of Education, 2 principals(1 principal from each school), 2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affairs(1 teachers from each school), 2 ordinary teachers(1 teacher from each school), and 1 administrative director of school. The survey on awareness among member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was carried out by survey method. The survey of the member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 survey metho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of faculty/teaching staff, we surveyed teachers and administrative directors working at 34 schools operating the Jeju Self-governing school in 2016. For students and parent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of the 4th, 5th, 6th graders and their parents of 34 schools, the same schools of aforesaid faculty/teaching staff. The schools targeted for survey were selected by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by model and by region. The period of questionnaire survey wa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16. A total of 1,970 set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ut of which 401 sets were distributed to faculty/teaching staff and 866 sets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while remaining 703 sets were distributed to parents. A total of 1,742 sets of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379 sets from faculty/teaching staff, 840 sets from students, and 523 sets from parents. The rate of collection was 94.5% among faculty/teaching staff, 97.0% among students, and 74.4% among parents, which was averaged at 88.4%.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we attempted an analysis of four-dimensional framework for Jeju Self-governing school. We derived the value pursued by Jeju Self-governing school from normative dimension. Moreover, we identified the objective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operational goals perceived by teachers, and operational goals under the two model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In structural dimension, we analyzed historical process of change and structure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In particular, we found that there were special laws for Jeju Self-governing school and its structures such as curriculum, authority over personnel affairs, budget support, etc. In constituentive dimension, we examined roles and conflicts among municipalities, Office of Education, administrators, teachers, administrative offices, and parents, who were relevant members under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and furthermore, verified their awareness and extent of satisfaction. In technical dimension, we analyzed whole processes of designation, operation and evalu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to determine whether Jeju Self-governing school was taking root as a sustainable school model. In addition, we examined the policies designed to promote Jeju Self-governing school widely. Furthermore, we discussed the results of analyses based on the details related to normative dimension, structural dimension, constituentive dimension, and technical dimension.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the values pursued by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from the perspective of normative dimension were autonomy and responsibility. Different goals were set by 'i-Good School' and 'Dahandi Learning School' in connection with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Moreover, the purpose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which members perceived, was mixed due to the concept of school autonomy which encompassed many conflicting perspectives. Thus, Office of Educa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ould need to map out clear policy direction, and furthermore, consensus would need to be formed on policy objectives. Second, Jeju Self-governing school was found to be built on two models that pursued different school direction accommodating the demands of the times from the viewpoint of structural dimension. 'i-Good School' was promoted and operated to keep pace with trends of globalization and to meet requirements for resolution of regional gap at the incipient stage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Meanwhile, 'Dahandi Learning School' began to be promoted and operated after the election of a progressiv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nd in the midst of requirement for school culture innovation. Although the operation and change of each model were the results of response to the demands of the times and therefore are considered proper, the Office of Educa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made inadequate effort to embrace the ideas and opinions in connection with changes in the models. Third, Jeju Self-governing school had an innovative structure in which the unit school autonomy was guaranteed as special privilege under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ct from the viewpoint of structural dimension. Jeju Self-governing school is a school for which special privilege is granted for school and curriculum operations as prescrib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ct, and members considered such special privilege of autonomy as being important. However, the special privilege was not fully exercised actually in each school. This was because the Office of Educa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id not present measures for practical exercise of such special privilege, such as guidelines on exercise of special privilege, etc, and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part of each school with respect to autonomous policies. Therefore, plans would need to be mapped out to ensure specific and constant exercise of special privilege among respective schools in connection with school and curriculum operations. Fourth, the stakeholders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were as follows from the viewpoint of constituent dimensi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the executors of policie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ffice, the supporter of certain budgets; faculty/teaching staff, the operators of each school; and students and parents, the entities who demanded education. Each member wa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oper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with interest and was satisfied highly in overall way. The Office of Educa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as needed to proceed with continuous planning for overall policies and support for each school, while each school was needed to strengthen their autonomy capability so as to demonstrate their autonomy granted to them. Fifth, Jeju Self-governing school established the school charter and entered into an agreement on performance at the stage of its designation from the viewpoint of technical dimension. In the operation phase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training of faculty/teaching staff was implemented, along with school consultation. Moreover, Jeju Self-governing school carried out a self-evaluation annually, in addition to the appraisal by the Office of Education once every two years, in the evaluation phase. That represented a policy requiring the responsibility of each school. However, relatively,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e executor of Self-governing school policies, had not established any self-evaluation system, except for the evaluation project of the Office of Education. Sixth, Jeju Self-governing school was found to proceed with promotions of each school and those of the Office of Education effectively for students and parents from the perspective of technical dimension. The 'i-Good School' had expanded to comprise approximately 40% of all elementary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over the last decade in connection with spread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Currently, about 12% of all elementary schools have been designated and operated as 'Dahandi Learning School' while 'Dahandi Learning School' would need to expand its operations to a level at least on a par with 'i-Good School' in the period ahead. Seventh, a consensus would need to be formed on the goals and direc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when we considered the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ies based on results of analysis of four-dimensional framework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In addition, guidelines would be needed to be established by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o promote exercise of special privileges granted for school autonomy. Moreover,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would need to strengthen its role as policy leader while each school would also need to reinforce capability for leveraging the autonomy. Most importantly, control tower is needed to be put in place which will set the basic course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share the philosophy of management, establish, plan and continuously implement specific guidelin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commendations that we can make to promote improvement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policy are related to the need for evalu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and analysis of its performance. Additionally, a consensus-building effort is needed on the value pursued by Jeju Self-governing school. To promote exercise of special privileges granted to Self-governing school, rules and ordinances would need to be established at the level of the Office of Educa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Moreover,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truct a educational governance system that considers the value and operating model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basic data useful for expansion of autonomy for Jeju Self-governing school operations in each school and for transformation of Jeju Self-governing school as a success model for school reform. 본 연구의 목적은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을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에서 분석하는 데 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제주형 자율학교가 학교 운영의 자율성 확대와 학교개혁의 성공 모델로 정착, 발전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제언을 포함하였다.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을 분석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첫째, 규범적 차원에서 학교운영의 자율화가 추구하는 가치는 무엇이고, 제주에서 진행되고 있는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추진 목적은 무엇인가? 둘째, 구조적 차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는 그 역사적 전개를 통해 어떤 체계와 구조적 특징을 보였는가? 셋째, 구성적 차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의 이해 당사자들은 누구이고 각각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으며, 이들의 역할과 요구는 무엇인가? 넷째, 기술적 차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지정, 운영, 평가, 환류에 있어서 특징은 무엇인가? 다섯째,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다차원 정책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종합적인 진단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인 제주형 자율학교는 「제주특별자치도법」제216조 및 동법 시행령 제45~46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특별한 학교 형태이다. 제주특별자치도에서만 운영되고 있으며 전국 유일의 새로운 학교 제도로 제주특별자치도만이 갖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학교장에게 자율권을 대폭 위임한 자율학교를 의미한다. 제주형 자율학교는 2007년~2013년까지 2년마다 지정된 ‘i-좋은학교’와 2015년부터 매해 지정되고 있는 ‘다디배움 학교’로 구분된다. ‘다디배움학교’는 2014년 진보 성향의 교육감 당선 이후 타 지역의 혁신학교 모델을 제주형 자율학교에 적용한 제2의 제주형 자율학교의 모델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틀로 사용한 다차원 정책 분석은 Bruce S. Cooper, Lance D. Fusarelli와 E. Vance Randall의 저서 「Better Policies, Better Schools: Theories and Applications」(2004)에 나온 분석 모형이다. Cooper, Fusarelli, Randall은 주요 교육정책 분석 이론을 토대로,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이라는 교육정책에 관한 분석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다차원 정책 분석을 위해 사용한 자료수집의 방법은 문헌연구, 심층면담, 인식조사였다. 심층 면담 참여자는 두 가지 모델별 교육청 정책집행자 3명과 교장 각1명, 업무당당교사 각2명, 일반교사 각2명, 행정실장 1명 모두 14명이었다. 제주형 자율학교 구성원들의 인식조사는 설문조사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교직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경우 2016년에 제주형 자율학교을 운영하고 있는 34개 학교에 근무하는 교원과 행정실장을 전수조사하였다. 학생과 학부모의 경우, 교직원과 동일한 34개 학교의 4·5·6학년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모델별로, 지역별로 비례유층표집을 하여 대상 학교를 선정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6년 9월~10월이었고, 배부된 설문지는 교직원 401부, 학생 866부, 학부모 703부로 총 1,970부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교직원 379부, 학생 840부, 학부모 523부로 총 1,742부였으며, 회수율은 교직원 94.5%, 학생 97.0%, 학부모 74.4%로 전체 88.4%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다차원 정책 분석을 시도하였다. 규범적 차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가 추구하는 가치를 도출하였고,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추진 목적과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운영 목표, 그리고 제주형 자율학교 두 모델의 운영목표를 확인하였다. 구조적 차원에서는 제주형 자율학교의 역사적 변천 과정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특히 제주형 자율학교가 가지고 있는 법적 특례와 교육과정, 인사권, 예산 지원 등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구성적 차원에서는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구성원인 지자체, 교육청, 관리자, 교사, 행정실, 학부모의 역할과 갈등을 규명하였고, 구성원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기술적 차원에서는 제주형 자율학교가 지속 가능한 학교 모델로 정착되고 있는지를 제주형 자율확교의 지정, 운영, 평가의의 전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제주형 자율학교의 확산 정책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규범적 차원, 구조적 차원, 구성적 차원, 기술적 차원의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 결과를 논의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내린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규범적 차원의 관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가치는 자율성과 책무성이었으며,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목표는 i-좋은학교와 다디 배 움학교가 달랐다. 또한 여러 가지 상반된 관점들이 내포되어 있는 학교 자율성의 개념으로 인해 구성원들이 인식하는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목적은 혼재해 있었다. 따라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명확한 정책 방향 설정과 정책 목표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둘째, 구조적 차원의 관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는 시대적 요구에 의해 학교의 운영 방향을 달리하는 두 가지 모델을 가지고 있었다. 제주형 자율학교 초기 국제화와 지역 격차 해소 요구에 의해 i-좋은학교가 추진·운영 되었고, 진보 성향 교육감의 당선과 학교 문화 혁신의 요구에 의해 다혼디배움학교가 추진·운영되었다. 각 모델의 운영과 변경은 시대적 요구에 의한 것으로 적절하다고 평가되었으나 모델 변경에 따른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의견수렴 노력은 부족하였다. 셋째, 구조적 차원의 관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는 「제주특별자치도법」에 의해 단위학교 자율성이 특례로 보장되는 혁신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제주형 자율학교는 「제주특별자치도법」에 의해 학교 및 교육과정 운영의 특례가 보장되는 학교이며, 구성원들은 각각의 자율화 특례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단위학교 안에서 활용도는 충분치 않았다. 이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자율화 특례를 활용하기 위한 지침 등 구체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고 동시에 단위학교의 자율화 정책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학교 및 교육과정 운영의 특례에 대한 단위학교 실행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구성적 차원 차원의 관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의 이해당사자들은 정책 집행주체인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일정 예산 지원자인 제주특별자치도청, 단위학교 운영자인 교직원, 교육수요자인 학생과 학부모였고, 각각의 구성원들은 제주형 자율학교 운영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았다.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정책 전반에 대한 지속적인 기획과 단위학교 지원 노력이 필요하였고, 단위학교 역시 부여된 자율성을 발휘할 수 있는 자율 역량 강화가 필요하였다. 다섯째, 기술적 차원의 관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는 지정 단계에서 학교헌장의 재정과 성과 협약 체결, 운영단계에서 교직원 연수와 학교 컨설팅 실시, 평가 단계에서 매년의 자체평가와 2년 단위의 교육청 평가를 실시하고 있었다. 이는 단위학교의 책무성이 요구되는 정책이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자율학교 정책 집행자인 도교육청은 도교육청 평가 사업을 제외하고 자체 평가 시스템을 마련하고 있지 않았다. 여섯째, 기술적 차원의 관점에서 제주형 자율학교는 학생과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한 단위학교의 홍보, 교육청의 홍보를 잘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제주형 자율학교의 확산과 관련하여 i-좋은학교는 지난 10년간 제주특별자치도 전체 초등학교의 약 40%까지 확대·운영되었다. 현재 다디배움학교는 전체 초등학교의 약 12%가 지정·운영되고 있으며, 앞으로 다디 배 움학교 역시 i-좋은학교 이상으로 확대·운영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제주형 자율학교의 다차원 정책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을 살펴보면 제주형 자율학교의 목표와 방향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고, 학교 자율화 특례의 활용도 향상을 위한 도교육청 차원의 지침이 요구된다. 정책 주체로서 도교육청의 역할 강화와 자율성을 활용할 수 있는 단위학교의 역량 강화도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의 방향을 설정하고 철학을 공유하고, 구체적 지침들을 형성하여 정책을 지속적으로 기획하고 집행해 갈 컨트롤 타워의 구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형 자율학교 정책 개선을 위한 제언을 하면, 제주형 자율학교에 대한 평가 및 성과 분석이 필요하고, 제주형 자율학교의 가치에 대한 공감대 형성 노력이 필요하다. 제주형 자율학교의 자율성 특례를 단위학교에서 실현할 수 있도록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차원의 규칙 및 조례 제정이 필요하며, 제주형 자율학교의 가치와 운영 모델을 고민할 교육 거버넌스 구성이 요구된다. 이를 통해 제주형 자율학교가 학교 단위의 자율성이 확대되고 학교개혁의 성공 모델로 정착하기를 기대한다.

      • 전문계 고등학교에서 엑셀을 활용한 통계단원의 효율적 지도 방안

        강은주 상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과에 부정적인 시각이 지배적인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통계 단원 학습에 엑셀 활용이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엑셀 활용 수업을 2차시에 걸쳐 진행하였고, 사전/사후 설문조사와 형성평가도 실시하였다. 또한 (수학10-가, 나) 내용 중 엑셀 활용을 적극 권장할 단원들을 선별해 보았다. 연구 결과,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엑셀 활용이 수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증대시켰으며, 문제해결력 제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방정식, 함수, 통계, 원의 방정식 단원에서의 엑셀 활용이 교육성과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고등학교에서 엑셀 등의 보조도구를 수학 수업에 활용하면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력 육성에 도움이 되리라는 사실에는 이견의 여지가 없다. 교사와 교재 연구자는 이의 실천을 위해 적절한 학습 자료와 효과적 교수 방법을 개발하고, 학교를 둘러싼 제반 교육 여건이 긍정적으로 개선될 때 보다 큰 성과를 얻게 되리라는 사실 또한 자명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using Excel computer program within statistics classes especially in vocational high school, where students mostly have negativ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in general. Class met two times and learned variance and standard deviation, employing Excel for their calculation.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in students' attitud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classes, respectively. A brief test was conducted once for tracing their understanding of contents. As a result, using Excel increased interest and curiosity on mathematics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gave positive influence i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ies. Additionally chapters of equations, functions, statistics, and equations of circles in (Mathematics 10-A, B) were classified as highly Excel executive ones to achieve the upper learning pursuit. There's no doubt about the fact using auxiliary instrument such as Excel in math class can be a good help for students to improve mathematical abilities. It is, above all, extremely necessary for teachers and teaching material researchers alike to develop appropriate materials and efficient teaching methods. Moreover it is obvious that greater accomplishment in math education could be obtained when other sorts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are improved positively.

      • 통합적 전래동요 활동이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강은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integrated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on preschool children's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The experimental group in this study consisted of twenty four-year old preschoolers from S Preschool in Sacheon City in Gyeongnam Province. Meanwhile, the control group was composed of twenty four-year old preschoolers from the same preschool. The measurement of preschoolers' playfulness trends was carried out using the Children's Playfulness Scale developed by Barnett (1990), which was lateradapted by Yu Ae-yeol (1994) and modified by the author of this study. Meanwhile, the measurement of preschoolers' peer competence was carried out using the Scale for Evaluation of Preschool Children's Peer Competence developed by Park Ju-hee and Yi Eun-hae (2001). Moreover, reference was also made tovariou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ales pertaining to peer competence (Do Hyeon-sim, 1994; An Jae-yeon, 1992; Choe Gyeong-sun, 1992; Chen, 1997; Mize& Pettit, 1997).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a fifteen-week period that ran from September, 2008 to December, 2008. The research consisted of a two-week preliminary test, twelve-week experiment, one-week follow-up test, and an analysis of the relevant research materials. The integrated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program consisted of integrated traditional music activitiesrelated to everyday themes which were implemented in conjunction with the experimental group every week during their free choice and large-group activities. Meanwhile, the control group followed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fterhaving scored the playfulness and peer competence of the preschoolers from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encoded it with SPSS WIN 12.0, the data was analyzed. In addition, a T-test was also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schooler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implemented the integrated traditional musical activities showed a greater degree of improvement in terms of playfulness than those from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preschooler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implemented the integrated traditional musical activities also showed a greater degree of improvement in terms of peer competence than those from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ose of previous studies which found that integrated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can in factimprove the social spontaneity of preschool children (Kim Mi-suk, 2001; Yu Ae-yeol, 1994) as well as their expressions of pleasure (Kim Mi-suk, 2001). These results are also consistent with a previous study which found that integrated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can help preschool children develop the peer competencies needed to possess leadership in peer play, and develop social abilities which are based on prosocial behavior (Park Ju-hee, 2001). 본 연구는 통합적 전래동요 활동이 유아의 놀이성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사천시에 소재한 S유치원 만 4세 2학급으로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 총 40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놀이성 평가 도구는 Barnett(1990)이 유아의 놀이성 성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한 유아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유애열(1994)이 번안한 것으로, 연구자가 수정·고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또래유능성 평가도구는 또래 관계 유능성에 관련된 국내외 척도들(도현심, 1994; 안재연, 1992; 최경순, 1992; Chen, 1997; Mize & Pettit, 1997)을 참고하여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개발한 취학전 아동용 또래유능성 척도(The Scale for Evaluation of Preschool Children's Peer Competence)를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2008년 9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총 15주로, 2주간의 사전검사, 12주간의 프로그램 처치, 1주간의 사후검사 연구 자료 분석 등의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통합적 전래동요 프로그램 진행을 위한 활동 과정 안으로는 현재 유치원에서 진행되는 생활 주제와 연관되게 전래동요의 통합적 활동으로 매주 자유선택활동시간과 대집단활동시간에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국가수준교육과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놀이성과 또래유능성 검사의 점수를 채점하여 SPSS WIN 12.0프로그램으로 코딩하여 t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전래동요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의 놀이성이 통제집단 유아의 놀이성이 보다 더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적 전래동요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의 또래유능성이 더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통합 전래동요 활동이 사회적 자발성(김미숙, 2001; 유애열, 1994)을 증진시키고, 즐거움의 표현(김미숙, 2001)을 기를 수 있다는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통합 전래동요 활동이 놀이에 주도성을 갖고 친사회적인 태도로 사교성에 영향을 주는 또래유능성 발달에 도움을 준다(박주희·이은해, 2001)는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 라인댄스 파티참여자의 참여몰입이 스트레스 및 심리적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강은주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라인댄스 파티참여자의 참여몰입이 스트레스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라인댄스의 가치를 이해하고 댄스파티문화 조성을 위한 라인 댄스파티 활성화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2021년 전국지역의 라인댄스 파티참가자를 모집단으로 비확률표집법 중 편의표집법(conveniencesampling)을 이용하여 해당 대상자들에게 협조를 구한 후 조사 목적에 대한 설명과 응답 시 유의점을 설명하고 자기 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ed method)으로 작성하도록 유도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총 370명이었으며, 응답한 전체 자료중 불성실하거나 정보 누락을 한 13명(3.5%)을 제외한 총 357명(96.5%)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라인 댄스참가자의 기초배경을 측정하기 위해 직업·연령·수입·경력 4개 문항과 참여몰입을 측정하기 위해 2개의 하위요인으로 분류하여 인지몰입 (8문항), 행위몰입 (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스트레스는 심리적 스트레스(14문항), 신체적 스트레스(9문항)로 구분하였으며, 심리적 행복감 척도는 양명환(1998)이 개발하고 장영순(2010)이 사용한 인지 하위요인인 쾌락적 즐거움, 자아실현, 몰입감, 유능감 등으로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자료는 SPSS 22.0 통계 퍠키지를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 중 직각 회전(OrthogonalRotation)방식의 하나인 베리멕스(Varimax) 방법을 이용하여 요인들이 서로 독립적이라는 전제조건하에 요인모형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든 고유값(Eigenvalue)은 1이상인 요인만을 도출하였다.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요인수를 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문항의 요인 부하량(FactorLoading)은 .60이상의 값을 나타내는 문항만을 채택하였다. 또한, 구성 타당도 검증을 위해 예비조사와 전문가 회의를 거쳐 검증하였고, 문항의 내적 일관성(Item InternalConsistency) 검증은 Cronbach'sα 계수를 산정하였다. 각 하위요인별로 참여몰입은 .925∼.951의 범위로, 스트레스는 .952∼.975 범위로 심리적 행복감을 1개의 단일요인으로 분류하여 Cronbach's α 계수는 .989범위로 나마나 비교적 신뢰할 만한 설문지로 나타났다. 종합적 자료분석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이 발견될 경우 Scheffe의 사후검증 방법을 적용하였다. 라인댄스 파티참여자의 특성 변인에 따른 몰입, 스트레스,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라인댄스 파티참여자의 사회인구 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각 변인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직업 유무에 따른 참여몰입은 비직장인이 직장인보다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60대 이상이 40대 미만과 50대 미만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입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에 따라서는 3년 이상∼5년 미만이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라인댄스 파티참여자의 스트레스에서 직업 유무에 따른 스트레스는 직장인이 비직장인보다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연령이 낮을수록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수입에서는 400만 원 이상이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서는 5년 이상이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라인댄스 파티참여자의 심리적 행복감에서는 직업 유무는 비직장인이 직장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서는 60대 이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에 따라서는 수입이 적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라인댄스 파티참여자의 참여몰입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참여몰입과 스트레스 간의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은 신체적 스트레스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몰입에 따른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라인댄스 파티참여자의 참여몰입은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은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하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라인댄스 파티참여자의 스트레스는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심리적 스트레스, 신체적 스트레스와 행복감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적 행복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line dance party participants' engagement o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o understand the value of line dance and provide basic data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line dance parties to create a dance culture. Participants in line dance parties in 2021 were asked to cooperate with party participants using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as a population, explain the purpose of the survey and the precautions in response, and write them on the Internet as a self-administered method. A total of 37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 total of 357 respondents (96.5%) were used as the final effective sample of the study, excluding 13 respondents (3.5%) who answered faithfully or omitted some of the survey contents. In order to measure the basic back ground of line dance participants, four questions of occupation, age, income, and career, and two sub-factors were classified to measure participation and consisted of cognitive immersion (8questions) and action immersion (4 questions). In addition, stress was classified into psychological stress (14 questions) and physical stress (9 questions), and the psychological happiness measure consisted of a total of 20 questions, including hedonistic pleasure, self-realization, immersion, and ability, which were developed by Yang Myung-hwan (1998) and used by Jang Young-soon(2010). The collected data used SPSS 18.0 and specificall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ed the Varimax method, one of the Orthogonal Rotation methods to derive factor models under the precondition that the factors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and extracted only factors with an eigenvalue of 1. However, if the results of the prior study differed, it was analyzed by specifying a fixed number of factors-vii-, and the FactorLoading of each question adopted only a question representing a value greater than .60. Furthermore, after preliminary investigations and expert meetings, the construction feasibility of the entire question was tested, and the Cronbach's coefficient was obtain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as a way to tes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question. Participation immersion for each subfactor ranges from .925 to .951, with stress ranging from .952 to .975, classifying psychological Well-being as one single factor, with the Cronbach's coefficient appearing to be a relatively reliable questionnaire in the .989 range. As a data analysis method, a multi-range test of Scheffe was conducted for significant one-way ANOVA, and the following correlation of immersion,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obtained for line dance party participants. First, there will be differences in each variable depending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ine dance party participants. Participation in the presence of jobs was found to be perceived higher by non-workers than by office workers. According to age, those in their 60s and older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ir 40s and 50s.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come.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 more than three years and less than five years have been found to be highly recognized. In the stress of line dance party participants, office workers were more stressed than non-workers. In age,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stress. In terms of income, more than 4 million won was hig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have been shown to be highly stressful.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line dance party participants, non-working people were higher than office workers. In age, people in their 60s and older were found to be high. Depending on the income, the lower the income, the higher the inco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Second, the participation of line dance party participants will affect stress. Cognitive and behavioral immersion between participatory immersion and stres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hysical stres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caused by immersion. Third, the participation of line dance party participants will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Cognitive and behavioral immersion have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the stress of line dance party participants will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c (+)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stress, physical stress and Well-being, and i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