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중등교사의 교수적 수정 지식 습득과 장애학생교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강영심 ( Kang Youngs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교사교육연구 Vol.55 No.3

        통합교육이 확대됨에 따라 일반교사가 장애학생을 이해하고 장애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는 교육을 실행해야 하는 책무감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중등교사를 대상으로 이러한 통합교육을 준비시키기 위한 과목으로 개설된 특수교육학개론 강좌의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특수교육학개론 수강이 예비중등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 수정 방법에 대한 지식의 습득과 장애학생교육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B지역의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중등교사 177명이다. 이들은 교직 소양으로 특수교육학개론을 수강하였다. 수업의 첫 시간과 수업이 끝난 후 마지막 종강 시간에 설문지를 통하여 교수적 수정 방법에 대한 지식의 습득 정도와 장애학생교육에 대한 효능감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육학개론 수강 후 예비중등교사는 수강 전과 비교했을 때 교수적 수정 전 영역에 대한 지식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으나 장애학생교육 효능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양성과정에 개설된 특수교육학개론이 장애학생을 위한 교수적 수정 방법에 대한 지식을 가르치는데 긍정적이지만 장애학생교육 효능감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예비중등교사의 장애학생교육 효능감은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를 고양시킬 수 있도록 특수교육학개론 강좌 내용이나 운영 방식에 대한 고민과 보완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articipation in an introductory special education course could influence pre-service teachers’knowledge on implementing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teaching efficacy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surveyed 177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t P National University in B cit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background information questions (gender, grade, experience acces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during teaching practice), instructional adaptations questions, and teaching efficacy questions. The instructional adaptations questions consisted of 5 sub-categories totaling 30 items (environment 8, grouping 5, methods 6, contents 6, evaluation 5). The teaching efficacy questions were structured using a five point Likert scale and consisted of 2 sub-categories totaling 25 items (general 9, personal 16). Participa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taking the mandatory course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t-test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implementing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teaching efficacy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efore and after the course.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ervice teachers’knowledge on implementing instructional adaptations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efficacy before and after taking the course. This study implies providing pre-service teachers with the experience to understand special education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mandatory course is very important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적장애학생과 면담을 통한 여가 지원방안 탐색

        강영심 ( Young Sim Kang ),손성화 ( Sung Hwa Son ),이연재 ( Yeon Jae Lee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학생 20명과 면담을 통하여 여가 지원방안을 질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참여조건은 면접을 통한 질문을 듣고 이해 할 수 있는 학생, 면접을 통한 질문에 적절히 언어로 답할 수 있는 학생,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동시에 부모의 동의가 있는 학생으로 정하였으며, 이러한 기준에 의하여 지적장애학생 20명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지적장애학생에 대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질적 연구의 연속적 비교분석법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삼각측정법을 통해 내적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그 결과 지적장애학생의 여가생활에 대한 다음의 6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1) 여가에 대한 모호한 개념과 인식의 부재, (2) 소극적 여가중심의 제한적이고 다양하지 못한 여가활동, (3) 나홀로 외로운 여가, 여가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계, (4) 역기능적 측면에 노출된 여가활동, (5) 관심 밖으로 밀려난 여가, 타인에 의한 비자발적 여가활동, (6) 현실과 동떨어진 여가선호.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제를 중심으로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여가 지원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성공적인 여가활동을 위한 제언들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여가 실태를 당자자의 목소리를 통해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여가 지원방안을 탐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This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find leisure support strateg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wenty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clud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s special class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and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verbatim for data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study and were internally validated using triangulation method. This study revealed 6 issues for leisure activity: (1) ambiguous concept and absence of awareness, (2) restrictive and un-diverse leisure focused on passive activity, (3) solitary leisure activity, family relationship affecting quality of leisure, (4) leisure exposed to side effects, (5) students being uninterested in leisure, involuntary leisure, (6) preference for unrealistic leisure. Researchers discussed effective leisure support strateg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these issues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successful leisure activity. This qualitative approach enabled an exploration for leisure support strategy by indicating the actual leisure activ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수업 실태와 직업담당교사의 인식

        강영심 ( Kang Young Sim ),정현지 ( Jeong Hyeon Ji ),박지윤 ( Park Ji Yoon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4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수업의 실태와 직업수업 전반에 관한 직업담당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 133명이다. 설문지는 직업수업의 실태와 직업수업 전반에 관한 인식의 2영역 총 15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직업담당교사들은 직업수업을 취업을 위한 사전준비로 여겼고, 일상생활기술 향상을 중점 목표로 두고 있다. 직업수업의 실태와 관련하여 직업담당교사는 지적장애학생 수준을 고려하여 교사개인이 주로 수업을 계획하고, 실습과 체험을 통한 직업훈련을 실시하고, 관찰을 통하여 학생의 성취도를 평가하며 그 결과를 부모와 개별적 상담을 통하여 협력하고 있다. 직업담당교사들은 직업수업 전반의 문제점을 지적장애학생의 중도ㆍ중복화에 따른 수준별 수업의 어려움이라 여겼고, 개선사항으로 취업으로 연결되는 다양한 직종 개발을 최우선으로 두었다. 직업수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으로 지역사회 네트워크 형성을 통한 연계학습을 원하고 있었다. 직업수업 연수는 지적장애학생에게 수업을 적용하기 위해서 필요하며, 직업담당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현장밀착형 연수를 우선순위로 뽑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identify the reality of vocational class and vocational teachers’ awareness in overall vocational clas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to 133 vocational teachers who teach in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questionnaire is organized reality of vocational class and awareness of overall vocational class. The results are as follow: vocational teachers regard vocational class as advance preparation for employment, and they focus on improvement of daily living skills. In planning process for class, vocational teachers mostly make a plan for their class individually according to level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mplement process for class, vocational teachers usually give a lesson for students to do vocational training practically. In evaluation process after vocational class, vocational teachers evaluate results through observation. Finally, they cooperate with mother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individual counsel. Many teachers perceive a differentiated class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the most difficult thing. They suggest it is important to find various jobs linked with employment and to build up community networking for activating vocational class. They perceive that training for vocational teachers must to be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vocational teachers, which will help them to deliver an effective vacational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