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현문직절기(楊賢門直節記)>의 창작(創作) 기법(技法)에 대한 연구(硏究)

        강문종 ( Moon Jong Kang ) 영주어문학회 2010 영주어문 Vol.20 No.-

        <楊賢門直節記> is a novel created by mainly accepting the loyalty, filial piety, learning and practice of 楊관 and the fidelity and spirits of 장천주, based on the former work of three-generation record style which covered all the stories of three generations. It was created to make later generation know and follow the good acts of 楊 family, the loyalty, filial piety, learning and practice of 楊관 and the enthusiasm of 장천주. Therefore, however interesting and helpful for making full-length novel the stories of next generations were, they are only unnecessary or somewhat overlapping to reveal the intent and subject of creation. So, the stories of next generations will be treated in the next work. <楊賢門直節記> made use of historical figures but downsized their realities greatly. In the narrative of real person 楊관, his executive ability and political power was downsized. Moreover, reality was reduced and slightly transformed with respect to 唐玄宗, 楊貴妃, 李林甫, 郭子儀 and 李光弼, who represented the times. This reality downsizing functions to play up the loyalty, filial piety and fidelity of heroes, 楊관 and 장천주. For the narrative of overall work, reverse composition was adequately used. Such reverse composition made characters unable to understand the human relationships and casual relationship while readers recognize both relationships. So, the narrator and readers could overlook the flow of narrative, from the viewpoint higher than the characters. It not only gave readers the pleasure to see secretly the progress of events but also made out chance-like inevitabilities through dramatic reversal.

      • KCI등재

        전통시대 同性愛(동성애)연구

        강문종 ( Moon Jong Kang ) 영주어문학회 2015 영주어문 Vol.30 No.-

        동성애에 대한 자료는 양은 그리 많지 않지만 ‘조선왕조실록’, ‘문집자료’, ‘총서류’, ‘야사류’, ‘야담류’ 등 비교적 다양한 종류의 기록에 등장한다. 이러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전통시대 동성애에 대한 용어를 검토해 보면, 남녀 동성애의 가장보편적인 용어는 ‘對食’이며, 남성간 동성애는 ‘男寵’, ‘男色’ 및 ‘風男之戱’ 등이다. ‘北衝’, ‘男奸’, ‘비역질’, ‘鷄姦’인 경우 남성끼리 하는 성행위의 의미가 강하며, 이 중에 ‘鷄姦’는 주로 남성끼리 이루어지는 强姦이라는 성범죄의 용어로 정착한 것이다. 세종의 며느리였던 세자빈 봉씨와 궁녀 소쌍을 둘러싼 동성애 이야기와 제안 대군 이현의 유모 今音勿이 일으킨 동성애 스캔들 사건 등이 가장 대표적인 동 성애 관련 역사적 사건들이다. 특히 이규보의 <次韻空空上人 贈朴少年五十韻>, <李聖先傳>, 그리고 야담의 형식으로 문학적 형상화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동성애 관련 자료를 검토해 보면 남성 중심의 문학적 형상화와 남성중심주의가 강하게 투영되어 있으며, 다양한 계층과 계급에서 우리가 생각했던 것 이상의 동성애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의 性風俗을 연구할 때 동성애 분야가 매우 중요한 연구대상임을 보여준다. There are not many historical materials on homosexuality, but its records are found in relatively diverse types of them including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thologies”, “series”, “unofficial history”, and “historical romance”. This study reviewed terms of homosexuality in the traditional eras based on those materials and found the most universal term to refer to male and female homosexuality was “Daeshik”. Male homosexuality was also termed “Namchong”, “Namsaek” and “Pungnamjihee”. “Bukchung”, “Namgan”, “Biyeokjil”, and “Gyegan” strongly highlighted the meaning of sexual intercourse between men. Of them, “Gyegan” settled down as a term of sex crime to refer to rape between men. Some of the most representative historical events in relation to homosexuality are the homosexuality story between Crown Princess Bong, who was a daughter-in-law of King Sejong, and a maid of honor called Sossang and the homosexuality scandal of Geumeummul, who was the nanny of Jeandaegun Lee Hyeon. They were especially embodied in literary forms including Chawoongonggongsangin Jeungbaksonyeonsoshipwoon and Yiseongseonjeon by Lee Gyu-bo and historical romance. The review results of those materials on homosexuality show that man-centered literary embodiment and androcentrism were strongly projected into them and that homosexuality was more prevalent than we thought across various classes and ranks.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area of homosexuality is a very important subject in the research of sex custom in Jose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동상기(東床記) >에 나타난 혼례의 일상

        강문종 ( Kang Moon Jong ) 영주어문학회 2017 영주어문 Vol.35 No.-

        < 동상기 >는 당대 일상적인 공간과 인문적 환경 속에서 가장 평평한 남녀 한쌍을 주인공으로 설정하였으며, 18세기 말 남녀 혼인 적령기가 16세 정도이며 20대 중반과 20세 전후부터 각 각 노총각과 노처녀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 작품은 화려한 혼인식이 부유층의 과시적 소비의 대표적인 사례라는 사실과 `친영례가 행해질 때 필요한 각종 물품들`, `신랑 · 신부의 복식`, `신방물품`, `혼례음식` 등을 매우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특히, 18세기 말에 무반의 차별이 가장 심각한 사회적 문제라는 인식과 혼인과 과거응시에 가장 큰 장애물이 바로 경제적 빈곤임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가뭄에 단비`, `타양에서 친구 만나기`, `어린 나이에 과거급제` 등이 일상에서 소소하게 느끼는 즐거움이며, `혼인 첫날밤`이 가장 기쁜 일 중에 하나라는 평범한 사실도 확인하였다. 귀신과 도깨비와 같은 신이한 존재가 자신을 도와주는 헛된 상상 등을 포함하여 보통사람들의 인식이 모두 혼인 이야기와 연결시키는 서사적 치밀함도 확인할 수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신랑 발바닥 때리기`의 전통이 비교적 오래 되었다는 사실과 그 구조와 내용이 18세기 말에 이미 양식화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나아가 `신랑 발바닥 때리기`는 `혼인 이야기 다시 들려주기`라는 서사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결론들은 일상성이 < 동상기 >를 이해할 때 매우 중요한 키워드임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따라서 < 동상기 >는 18세기 서울의 일상과 분위기 및 생활상을 이해할 수 있는 수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문학작품이다. 뿐만 아니라 18세기 서울에 사는 보통사람들의 생각을 가장 잘 담아내고 있기도 하다. 즉, 작품에 나타난 일상성과 그 의미는 이 작품의 특징을 말할 때 주변적 것이 아닌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In < Dongsang-ki >, it was set that the most common couple of man and woman played the role of protagonists in ordinary space and humanistic environment of the day. Men and women`s marriageable age was about 16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it was shown that unmarried people in their twenties and at age around 20 were recognized to be old bachelors and old maids respectively. This work very realistically describes the fact that lavish wedding is a classic case of wealthy classe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various items needed when Chinyeongnye (wedding ceremony) is held`, `style of bride and groom dress`, `items for bridal room`, `wedding food`, etc. Especially, it is verified that discrimination against military officers was recognized to be the most serious social problem and that the biggest obstacle to getting married and taking a civil service exam was poverty. Besides, `the blessed rain following a drought`, `meeting a friend far away from home`, and `passing a civil service exam at an early age` were small joy in daily life, and it is also verified that `the bridal night was one of the happiest occasions. It was possible to confirm narrative elaborateness that got all of average people`s cognition including useless fantasy of mysterious and strange beings such as ghost and Dokkaebi helping themselves to connect with wedding story. Finally, it was figured out the fact that there was a long history of ``hitting the bare sole of groom`s feet`, and that its structure and contents were already conventionalized in the late 18th century. Furthermore, `hitting the bare sole of groom`s feet` plays a role of narrative, which is `telling a wedding story again.` These conclusions verify that ordinariness is a very important keyword in understanding < Dongsang-ki >. Therefore, < Dongsang-ki > is a literary work containing a lot of information to understand daily life, atmosphere and state of living in Seoul in the 18th century. Besides, the work also most clearly speaks the thoughts that average Seoulites had in the 18th century. In other words, ordinariness shown in the work and its meaning can be regarded as the core factor, not the secondary factor, in tel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work.

      • KCI등재후보

        제주신화의 문화콘텐츠 활용 가능성

        강문종 ( Moon Jong Kang ) 영주어문학회 2016 영주어문 Vol.32 No.-

        문화콘텐츠로서의 제주신화는 제주도민에 의해서 대대로 전승된 문화유산임과 동시에 제주민의 삶의 양식과 사회적 가치가 체화된 신들의 이야기다.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몇 가지 기반이 조성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첫째, 신당의 원형을 복원하고 굿의 원형에 기반 한 퍼포먼스(performance)를 문화상품의 하나로 만들어 신화의 내용을 향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제주신화를 둘러싼 인물들의 네트워크와 사회·경제적인 분야, 민속·의례적인 분야, 제주지역의 역사와의 충돌 및 연합 분야, 역사적 기록물, 현대인들의 이해관계 및 향유방식, 제주도의 관광 인프라 등이 종합적으로 어우러진 일종의 지식망(Knowledge Network)을 구축하는 스토리텔링 기법을 도입하여 신화의 대중화가 필요하며 셋째, 신들의 계보를 정리하고 각 계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구성한다면 제주신화에 대한 이해도 및 인지도가 크게 올라갈 것이다. 특히 제주특별자치도 조례의 제정 등의 노력을 통하여 원형을 보전하고 문화유산 임을 규정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 The myths of Jeju as cultural content are the cultural heritage that has been passed down by the residents of the island. They are the stories of gods and goddesses with the lifestyle and social values of Jeju people embodied in them. There should be a couple of foundations established to make use of them as follows: First, they need to restore the archetype of shrines and develop a performance based on the archetype of Gut as a cultural product to offer the public easy access to Gut. Secondly, it is needed to popularize the myths through a storytelling technique of building a knowledge network, which encompasses the network of figures in the myths of Jeju, the social and economic areas, the folklores and rituals, historical records, modern people`s interests and modes of enjoying, and tourism infrastructure of Jeju Island. Finally,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level of Jeju myths can be raised considerably by sorting out the pedigree of gods and goddesses and organizing various contents around the central axis of each line. It is especially urgent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base to preserve the archetypes and regulate them as cultural heritage through such efforts as the enactment of ordinances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KCI등재

        일제시대 <유충렬전(劉忠烈傳)>의 수용 양상

        강문종 ( Moon Jong Kang ) 한국고소설학회 2011 古小說 硏究 Vol.31 No.-

        <유충렬전>은 많은 필사본과 안성판본 1종 외에는 대부분 완판본으로 존재하며, 근대 활자인쇄가 시작되면서 고전소설 출판의 중심을 차지한다. 특히 다른 영웅소설들과는 달리 율문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대중성을 확보하는 자기변모 과정을 거친다. 뿐만 아니라 낭독 및 구연을 통한 구전유통은 문자를 해독하지 못하는 계층까지도 <유충렬전>을 향유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이처럼 일제시대에 많은 독자를 확보한 <유충렬전>은 문학담당층에 의하여 다양한 양상으로 수용된다. 첫째, 개인의 항일 민족의식 형성과 고취로 나타난다. 이는 작품에 드러난 유교적 이데올로기인 ``忠孝``를 자신의 상황에 맞게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민족의식의 형성 및 발현의 단계로 나아간 것이다. 둘째, 왜곡된 수용을 통하여 모방범죄의 소재로 활용된다. 이는 독자가 작품의 핵심적인 주제인 ``忠孝``라는 유교적 이데올로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강자와 약자의 관계만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셋째, 連鎖唱劇의 형태로 확대 재생산 되어 대중들에게 새로운 모습으로 수용된다. 출판을 통한 활발한 유통, 율문체의 수용, 구전유통 등을 통하여 광범위한 독자를 확보한 <유충렬전>은 새로운 연쇄창극으로 수용되면서 다시 한 번 더 자기 변신을 단행하여 대중들에게 다가간다. 이러한 사실들은 <유충렬전>의 수용 주체들에게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던 忠孝라는 유교적 이데올로기의 영향력이 약화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지식인과 예술인 및 일반 대중들이 개별적 상황에 맞게 적극적으로 수용하였음을 보여준다. Besides Anseong edition and many manuscripts, most of existing <Yu·chung·ryeol·jeon(劉忠烈傳)>are Wanju(完州) edition. <Yu·chung·ryeol·jeon> was the leading book of classical novel publication after the start of modern letterpress printing. In particular, unlike other hero novels, it actively accepted metrical style and had gone through self-change which secured popular appeal. In addition, Oral tradition by reading and narration helped analphabet people enjoy <Yu·chung·ryeol·jeon>. <Yu·chung·ryeol·jeon>, which had many readers in Japanese Imperialism period, had been accepted in various aspects by literary handlers. Firstly, it was accepted as a tool to form and enhance anti-Japan national consciousness. The filial piety in the work was interpreted by readers who were living a special period and contributed to forming and developing national consciousness. Secondly, it functioned as the material of copycat crimes by distorted acception. Some readers too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ong and the weak without taking the Confucian ideology, filial piety. Thirdly, it was transformed and reproduced into ``traditional chain opera (連鎖唱劇)``, being accepted in new format. Already having wide rage of readers through publication & distribution, acception of metrical style and oral tradition, <Yu·chung·ryeol·jeon> succeeded in self-change by the reproduction to traditional chain opera, securing more readers. ``filial piety These indicate that the accepters of <Yu·chung·ryeol·jeon> were not influenced by the Confucian ideology of filial piety as much as past. In conclusion, intellectuals, artists and mass took the work independently and subjectively according to their own situations.

      • KCI등재
      • KCI등재

        <유년공부(酉年工夫)>의 성적 표현과 내용을 통해 본 성인식과 성생활 양상

        강문종 ( Moon-jong Ka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9 국제어문 Vol.0 No.80

        <유년공부>를 구성하는 이야기의 50%가 넘는 26편의 성소화로 이루어졌다. 다양한 계층 사이에서 성관계가 매우 다양한 공간에서 시간에 구애 없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성관계의 원인 역시 사랑과 불륜 그리고 친근함뿐만 아니라 불륜을 비롯하여 다양한 성행위의 체험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여성의 성기를 의미하는 어휘로는 사이를 의미하는 ‘삿’을 비롯하여 ‘밋궁’·‘밋궁기’·‘궁기’ 등이 있으며 ‘씹’이라는 어휘가 가장 일반적이고 압도적인 출현 빈도수를 보여주고 있다. 남성 성기인 경우 ‘좃’이 가장 대표적으로 등장하며 그 외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성관계를 의미하는 단어는 ‘씹하다.’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北衝’과 ‘벽기’ 등은 항문성교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남녀 중 어느 한편이 성관계를 주도할 경우 다소 다른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데, 남성이 성관계를 주도할 경우에는 ‘겨집다.’·‘色다.’ 등이 사용되고, 여성이 성관계를 주도할 때는 ‘남진다.’·‘남자다.’ 등의 표현을 사용하였다. 이처럼 남녀가 변별성 있는 성관계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여성에게도 일정 정도 성적 자기결정권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게 한다. 남성 성기와 코와의 관련 양상에서 모양의 유사성과 크기 등이 관련을 맺고 있으며, 항문성교 및 동성애가 자세하게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단순하고 좁은 공간이 은밀한 성관계의 불편함과 이와 관련된 스트레스가 매우 디테일하게 묘사되기도 하였으며, 정조대의 사용을 구체적으로 보여주기도 하였다. More than 50 percent of the stories that comprise < Yuneongongbu > consist of 26 sexual incarnations. In these stories, sexual intercourse takes place among various classes and in various spaces, times, and financial circumstances. The catalysts for sexual intercourse are love, affair, friendliness, and desire for the experience of sexual activity. The terms used for female genitalia are ‘삿, 밋궁, 밋궁기’, and ‘궁기’, and the word ‘씹’ is used with the most frequency. For male genitalia, ‘좃’ is the most representative, and related terms rarely appear otherwise. The word ‘씹다’ is most widely used in reference to sexual intercourse. ‘북충(北衝)’ and ‘벽기’ are used to refer to anal intercourse. Slight variations in expression are seen when either the male or female participant leads the intercourse. When a man initiates sexual engagement, the expressions ‘겨집다’ and ‘色다’ are used. When women initiate sexual engagement, expressions such as ‘남진다’ and ‘남자다’ are used. The difference in expression depending upon whether men or women are leading indicates that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women have a certain amount of sexual self-determination. Similarities of size and shape of noses in relation to male genitalia are described, and anal intercourse and homosexuality appear in detail. In addition, narrow spaces are described in detail as the discomfort and stress associated with a secret sexual relationship. These stories also includ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use of chastity belts.

      • KCI등재후보

        불륜으로 읽는 「천수석」

        강문종 ( Moon Jong Kang ) 영주어문학회 2014 영주어문 Vol.28 No.-

        「천수석」의 등장인물 이초혜는 작품 내에서 문제적 서사를 주도하고, 주요 인물들 중에 가장 마지막까지 서사에서 핵심 역할을 하고 있으며, 주요 인물들과 긴밀하게 서사적으로 연결되었다. 그러므로 이 작품의 여성 주인공을 이초혜로 규정할 수 있다. 이초혜를 중심에 놓고 작품의 내용을 검토하면 유교적 의미, 도교적 의미, 초월적 의미, 영웅주의, 역사의 반영, 사회현상 및 실상의 반영 등과 같이 기존 연구에서 강조되었던 의미보다 개인들의 다양한 욕망 실현과정이 중요해진다. 이초혜는 위보형과의 첫 만남이 어그러지면서 그녀의 삶은 음행(淫行)을 통한 남성들과의 관계맺기 즉 불륜으로 점철된다. 위보형과의 관계에서는 이초혜가 그의 생활 속으로 직접 침투해 발생한 갈등, 황제와의 관계에서는 이초혜의 유혹과 황제의 적극적 수용, 간옥지와의 관계에서는 오해와 각자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방편 등으로 불륜관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성적 욕망과 사랑에 대한 열정에 바탕을 두고 기혼자와의 관계에서 행하는 일방적이고 독단적인 음행과, 단순한 성적 욕구의 및 개인의 목적 실현을 위한 음행이 이 작품 전체를 이끌어가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이 작품의 말미에서는 이루지 못했지만 너무도 강렬한 사랑으로 육체와 정신이 피폐해져 가는 이초혜를 만날 수 있다. 그녀가 추구했던 사랑의 방식이 기존 관념에 부딪히고 깨지면서 왜곡되어 가며, 그 결과 권력욕과 복수로 자신의 에너지를 집중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내면이 파괴되고 죽음으로 결론지어지면서 극단적인 육체적 파괴가 이루어진다. 이는 어쩌면 윤리와 도덕으로 길들여지지 않고, 제도와 권력에 종속되지 않은 인간 본연의 모습일 수도 있을 것이다. One of the characters of Cheonsuseok, Lee Cho-hye takes a leading role in the problematic narrative of the work, plays a central role in the narrative to the last among the main characters, and is connected to them in a close, narrative fashion, which allows her to be defined as the female protagonist of the work. When reviewing its content with her at the center, it becomes important to fulfill diverse individual desires rather than the meanings emphasized in previous studies including Confucian meanings, Taoist meanings, transcendent meanings, heroism, reflection of history, social phenomena and the reflection of reality. As her first relationship with Wi Bo-hyeong goes wrong, her life becomes studded with making a relationship with men through obscene acts or adultery. Her adulterous relationships are established through the conflicts caused by her personal penetration into the life of Wi Bo-hyeong in her relationship with him, through her temptation and the emperor``s active acceptance of it in her relationship with him, and through the misunderstanding and means of attaining one``s goals in her relationship with Gan Ok-ji. As such, her one-sided and arbitrary obscene acts conducted in her relationships with married men based on sexual desire and passion for love play a critical role of leading the entire work along with her obscene acts to fulfill simple sexual desire and personal goals. Especially the end of the work presents Lee Cho-hye whose body and mind become devastated due to her unfulfilled love of excessive intensity. As her ways of pursuing love get bumped against, broken and distorted by the old concepts, she concentrates her energy on lust for power and revenge. Consequently, it leads to the destruction of her inner world, her death, and extreme destruction of her body. She may show the true aspects of human beings not tamed by ethics and morality and subjected to institution and power.

      • KCI등재후보

        〈張白傳〉의 說話化 過程과 그 樣相 : 『韓國口碑文學大系』에 採錄된 이야기를 중심으로

        강문종(Kang Moon-jong)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장서각 Vol.0 No.24

        『韓國口碑文學大系』에 採錄된 〈張白傳〉 관련 說話의 源泉은 京板本보다는 舊活字本에 있었으며, ‘대국천자가 된 머슴 주천자’, ‘주천자 노릇한 조선인’, ‘대명천자 주재명’, ‘처남과의 화해’, ‘주원장의 등극’, ‘주걸뱅이 주천자’ 등 총 6편이 채록되었다. 이 이야기들은 ‘明堂說話’와 ‘異物還生說話’와 결합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장백전〉의 내용 중에서는 ‘朱元璋을 朝鮮人으로 인식하여 특별히 강조하는 점’, ‘天命을 담지하고 있는 주원장’, ‘부처를 戱弄하고 장백의 누이를 만나 結緣을 맺는 話素’ 등이 說話化 양상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장백전〉의 說話化 過程과 樣相을 고찰한 결과 첫째, 讀者들은 고소설 〈장백전〉에서 주인공인 장백의 英雄性과 활약 등이 포함된 대부분의 이야기보다는 주원장이 천명을 받아 명나라를 건국하는 부분에 더 주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장백전〉에서 가장 흥미롭게 받아들이는 부분이 ‘주원장과 장백 누이의 결연’ 화소며, 서사의 흐름에서 차지하는 이 화소의 역할에도 주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설화가 채록될 당시(산업화 시기)까지도 前近代的인 運命論과 天命思想이 강하게 존재했음을 알 수 있었고, 넷째, 갈등 해결 과정에서 客觀的이고 合理的인 기준보다는 家族主義的인 思考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近現代 說話의 發生과 變異에 記錄文學인 소설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 역시 조심스럽게 짐작할 수 있었다. Hanguk Gubi Munhak Daegye(韓國口碑文學大系) contained six tales related to Jangbaekjeon (張白傳), which included ‘Farmhand Ju Cheon-ja who became the emperor’, ‘A Joseon-in(Korean resident) acting Ju emperor’, ‘Ming Emperor, Ju Jae-myeong’, ‘Reconciliation with my wife’s brother’, ‘Ju Won-jang’s accession to the throne’ and ‘Jugeolbaengi Ju Cheon-ja’, and these tales originated not from Seoul editions but old printed books. Besides, they show the combined characteristics of propitious tomb site tale and animal-rebirth-to-human tale. In Jangbaekjeon, the main aspects of ‘being transmitted as a tale’ are focusing on ‘the belief that Ju Won-jang is a Joseon-in’, ‘Ju Won-jang having Heaven’s will’ and ‘a motif of taunting Buddha and marrying Jang Baek’s sister’. After considering the process and the aspects of Jangbaekjeon’s becoming a tale, this study has obta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Jangbaekjeon’s readers gave more attention to the part in which Ju Won-jang established Ming Dynasty with Heaven’s will, than any other part containing the heroic deeds of Jang Baek. Secondly, the readers took ‘Ju Won-jang - Jang Baek’s sister marriage’ as the most interesting story motif and noted the role of this story motif in the narration flow. Thirdly, there was a strong premodern belief in fatalism and Heaven’s will even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the time when the tales were recorded. And lastly, familism thinking overwhelmed objective and reasonal standards in conflict resolving process. It can be carefully assumed that the novel, as a documentary literature, had an effect to some extent on the birth and changes of the modern ta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