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적성변인과 그 측정에 관한 연구

        김충행 한국초등교육학회 1989 초등교육연구 Vol.3 No.1

        Teacher aptitud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election of qualified teacher candidates. Those high in teacher aptitude have the potential to be more effective teacher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1) teacher aptitude variables 2) issues involved in measuring teacher aptitude The validity of aptitude of an aptitude test is typically assessed through predictive or criterion-oriented validity. Teacher aptitude variables in two domains - cognitive and affective domain can be determined through analyzing the behaviors and personalities of good teachers. The concept of good teacher can be analyzed from three aspects: teacher education, teacher effectivenes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ing profession.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teacher aptitude can be further understood through analyzing academic aptitude tests, special aptitude tests, professional interest tests, characteristics tests for job placement, and attitude tests. The results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eacher Aptitude Variables a) Cognitive Domain The cognitive domain of teacher aptitude variables includes the knowledge of subjects and teaching methods. The teacher who has the knowledge of subjects understands the content of subjects, satisfies from intellectual persuits, and know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e teacher who has the knowledge of teaching methods knows how to organize and explain subjects, how to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ities, and how to ask questions and motivate learning. b) Affective Domain The effective teacher is enthusiastic for teaching, warm to their students, fair and firm in the treatment of students, and has a positive self-concept. 2.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Teacher Aptitude a) Aptitude is a term commonly used to refer to the potential for learning. Repeated studies have emphasized that the chance of succeeding in a certain job depends on certain/particular aptitudes and abilities. The term "aptitude test" has traditionally referred to a test measuring relatively homogeneous and clearly defined segments of ability. From this perspective, the term "teacher aptitude" can be used, and therefore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eacher aptitude can be measured. b) Aptitude tests includes general intelligence tests, multiple aptitude batteries, and special aptitude tests. Teacher aptitude tests can be considered a kind of special test because it is intended to predict success in the teaching occupation or in teacher training. c) Teacher aptitude tests can be considered from two aspects, that is, cognitive ability and personality. The teacher aptitude test of cognitive ability can be measured with the academic aptitude test such as the National Teacher Examination in America (NTE), which has recognized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test is designed to measure general knowledg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pecial area knowledge. A variety of personality-related aptitude tests have been used in the teacher selection process. These include interest tests such as the Strong Voactional Interest Blank, characteristic tests such as the California Occupational Preference Survey, and attitude tests such as the Minnesota Teacher Attitude Inventory. Although it is difficult to measure different aspects of teachers' personalities. aptitude tests for teacher personality should measure these dimensions comprehensively rather than in isolation; any test used should measure a combination of interest,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to predict teacher aptitude. The above mentioned results and suggestions are intended to further the definition, measurement and refinement of teacher aptitude variables. Many studies should follow if these findings are available in practice. Although there are many restrictions in applying them in Korean settings because most of the available data were gathered in American studies, a number of parallels exis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its implications for future directions in Korean teacher aptitude measurement procedur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교수업적평가의 실행을 위한 분석적 연구

        김충행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1997 교육논총 Vol.13 No.-

        우리나라 대학도 대학교육의 을 높이기 위하여 대학평가 인정제도를 도입하여 실시중에 있다. 교육대학교도 일반대학의 추세에 맞추어 1992년도에 자체평가가 실시되었고 1997년도에는 대학교육협의회의 주관 아래 전국 교육대학교도 평가인정을 받게 되었다. 또한 1994년도부터 대학교수들의 업적을 평가하여 성과급을 지급하고 있다.

      • 敎職適格者 選拔을 위한 大學入學 論述考査와 面接考査 施行結果 分析

        金忠幸 仁川敎育大學校 1993 論文集 Vol.27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sults of statement test and interview test for entrance examination at Inch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1991 and 1992 and to improve the statement and interview scheme on the basis of the above analyses. For this purpose,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and then general schemes for statement test and interview test were developed in terms of validity, reliability, objectivity, and utility of the tests. These schemes include (1) evaluation domain, (2) evaluation criteria, (3) evaluation items, and (4) implementation guidelines. The results of statement test and interview test analyses which were implemented in 1991 and 1992 are as follows: 1. The correlation of the score of statement test and interview test and that of other components of entrance examination such as high school achievement, scholartic achievement test, was low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statement test and the interview test measured an aptitude for teaching, different from those which the other components of entrance examination did. 2.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statement test and that of the 1st semester achievemetn of the college is 0.18 in 1991 and 0.14 in 1992. The correlation is low,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1%. According to this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statement test score predicts the achievement score of the college to some extent.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statement test and the total score of entrance examination is 0.26 in 1991 and 0.30 in 1992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interview test and the total score is 0.20 in 1991 and 1992.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shows that the statement test is more valid than the interview test from the view point of concorrent validity. 4. The difference of mean score of Item No. 1(Testing for teaching profession)in the interview test between scoring members is significant, but that of Item No. 2(Testing for personality) is no significant by the result of F te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a plan to maintain objectivity in scoring item No. 1. 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of interview test and that of the 1st semester achievement of the college is 0.13 in 1991 and 0.12 in 1992. This correlation is low, but significant at the level of 1%. According to this result, it can be said that the interview test score, also, predicts the college achievement to some extent. 6. The difference between interview test mean scores among groups is significant at F test. This difference seems to be made by mean score of one group in 1991 and of six groups in 1991. This problem needs to be solved. 7. Most of faculty members believe that statement test and interview test are important in order to select appropriate students for the teachers` training institutes.

      • 敎育大學 入試制度改善에 관한 硏究 : 成績과 敎師適性과의 관계를 中心으로

        沈璡求,林亨珍,金忠幸 仁川敎育大學校 1976 論文集 Vol.11 No.-

        여기서는 本硏究에서 실시하여 온 過程과 結果를 要約하고 敎育大學 入試制度改善을 위한 提言을 하기로 한다. 有能한 교師를 養成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人間性을 강조하는 敎育大學에서는 敎師適性이 있는 者를 選拔할 必要가 있다. 이러한 必要性에 입각하여 入試制度를 改善하는 方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우선 다음의 세가지 問題를 究明하는 것이 先決問題로 대두되었다. 1. 有能한 敎師에게 요구되는 性格的 特性은 무엇인가? 2. 敎育大學 成績과 人性에 관련된 檢査點數와의 相關은 어떠한가? 3. 學生들의 高校時成績, 家庭環境, 入學動機等과 大學成績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以上의 세 問題를 究明하기 위하여 問題 1은 先行硏究의 考察에 의해서 그리고 問題 2와 3은 仁川敎育大學 1975年 入學者와 S女高 卒業者中 1973年, 1976年, 1975年 入學志願者 全員을 對象으로 그리고 高校時의 生活記錄簿上에 나타난 모든 事項, 豫試와 本考査, 大學成績, 다섯개의 心理檢査 그리고 質問紙에 대한 그들의 反應을 分析하였다. 分析하는 方法은 주로 大學成績 上集團(80名) 下集團(80名)을 추출하여 이들의 各 變因間의 차이를 CR檢證法에 의해서 檢證하였으며 그 以外에도 男女別, 再修여부, 居住地別 事項等과 成績과의 차이를 分析하였다. 다음에 以上의 方法에 의해서 나타난 結果를 土台로 意義 있는 것만을 간추려서 제시한다. 1. 有能한 敎師에게 요구되는 性格的 特性은 N.L. Gage가 제시하는 9개의 內的準據를 들수 있다. 이들 準據는 검증된 것은 아니지만 그는 무엇보다 올바른 價値觀과 評價的 態度를 중시하고 있다. 이 밖에도 대부분의 學者들은 敎師態度서의 使命感 혹은 信念을 知識에 앞서 강조하고 있다. 2. 이러한 敎師의 特性을 측정하기 위하여 제작된 것이 敎師態度 檢査(MATI)이다. 이 檢査는 그 妥當性과 信賴性이 상당히 인정되고 있어 大學入試에도 使用될 수 잇는 道具라고 생각된다. 그밖에도 여러 검사가 있으나 成功的인 敎師와 아닌 교사와의 차이를 나타내 주는데 使用될 수 있는 檢査로 多面的 人性檢査가 있다. 이 檢査의 어떤 下位要因은 敎師適性을 측정하는 구실을 할 수 있다고 볼수 있다. 3. 敎大生을 對象으로한 豫試, 本試와 大學成績과의 關係에서 豫試와 本試의 比率이 각각 50%일때 入試와 大學成績과의 相關係數가 0.42로 算出되었다. 이 相關係數는 비록 높은 程度는 아니나 豫試를 6分의 1만 반영하였을 때는 0.32보다는 높은 係數이다. 이 結果로볼때 大學入試에서 豫試의 比率은 적어도 50% 以上 반영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4. 敎育大學에서 成績에 영향을 주리라고 예상되는 여러 變因을 檢證하였는바 統計的으로 意義있는 것은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女學生의 成績이 男學生의 成績보다 우수하다. 1973年과 1975年 入學者를 대상으로 大學成績의 男女 차를 CR檢證한 結果는 각각 0.1%와 1% 수준에서 의의가 있었다. (2) 당해년도 卒業生(非再修生)이 再修生 보다 大學成績이 우수하다. 硏九對象者 313名中 再修生은 65名, 非再修生은 248名이었는데 平均値의 차가 12點이었다. 이를 CR檢證한 結果 0.1% 水準에서 의의있는 차가 있었다. (3) 仁川地域에 居住하는 學生이 서울이나 기타 地域에 居主하는 學生보다 大學成績이 우수하다. 對象中 仁川地域 居主者는 117名, 서울地域 212名, 기타 地域 59名이였는데 仁川地域 居主者의 平均成績이 8點 以上 높았다. 이 차를 CR 檢證한 結果 5% 水準에서 意義가 있었다. 5. 大學成績과 5個의 心理檢査(敎師態度檢査, 性格診斷檢査, 家庭環境檢査, 多面的人性檢査)와의 關係에서 成績上集團과 下集團間에 統計的으로 意義있는 차이가 있는 것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大學成績上集團 下集團보다 敎師態度檢査의 平均値가 7.38높았으며, 이 차는 5% 水準의 意義度를 가지고 있다. (2) 自我槪念檢査의 下位要因中에서는 14個中 自我 同一性點數(I), 性格的自我點數(C), 自我行動點數(Ⅲ)의 세 要因에서 上集團이 下集團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따. 이 檢査의 결과로 볼때 上集團이 보다 ① 自尊心이 强하고 自己의 처지에 대하여 肯定的인 態度를 갖고 있으며, ② 安全되고 바람직한 性格的 特徵을 所有하고 있으며, ③ 自己生活의 場에서 알맞게 적극적으로 行動한다고 할 수 있다. (3) 性格診斷檢査에서는 8個의 下位要因中 對應性點數(Conformity)만이 上集團學生들이 의의있게 높았다. 따라서 成績이 우수한 學生들은 낮은 學生들 보다 一般的으로 規則을 잘 지켜 나가며 正當한 權威에 대하며 盲從하거나 아부하지 않고 그 正當性을 尊重하는 態度를 취하는 傾向이 있다고 할 수 잇다. (4) 家庭環境檢査 結果에 의하면 大學成績이 우수한 學生은 낮은 學生에 比하여 첫째로 가정은 生活共同體로 생각하며 유대의식이 강하고, 둘째로 家庭相互間에 愛情과 信賴感을 보여주고 協同하며 感情의 制約없이 自由롭게 의사를 발표하는 傾向이 있다고 해석 된다. (5) 多面的 人性檢査에 나타난 結果는 13個의 下位要因中 5個가 成績 上·下集團間에 의의있는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4個檢査도 그러하지만 이 檢査도 相對的인 차이일뿐 下集團이라고 해서 우려할 정도의 問題性을 지녔다는 뜻은 아니다. 그 意義있는 차이를 보인것으로는 精神病 質尺度(Pd), 經躁症尺度(Ma), 偏執症尺度(Pa), 精神分裂症尺度(Sc)에서는 이들의 點數가 下集團이 높고 社會的 內向性尺度에서는 上集團이 높았다. 따라서 多面的 人度檢査의 해석상 앞의 4個要因에서 下集團이 上集團 보다 어느 정도는 精身上의 症候가 있다고 볼 수 있다. 6. 高等學校間에는 學力水準 및 기타 面에 있어서 심한 차이가 있어 이를 橫的으로 比較하기는 困難하나 硏究對象者의 生活記錄簿를 근거로 여러 要因으로 分析한 結果 두가지 點에서 그 차가 있었다. 첫째는 大學成績 上集團은 下集團보다 高校成績이 全學年에 걸쳐 우수하였다. 屢次上으로 볼때 上集團은 60名中 15等, 下集團은 60名中 20等程度에 속하였다. 둘째는 成績上集團은 下集團에 比하여 일찍부터 敎大志望을 하였다. 그리고 敎大 志望에 대하여 學生과 學父母間에 意見의 一致가 많았다. 이 結果는 高校生活記錄簿와 그들의 질문지 반응에서 다같이 나타났다. 7. 高等學校間의 學力 및 기타 面의 격차를 제거하고 綜的인 比較를 하기 위하여 S女高를 對象으로 3個年間의 本大學 志願者의 高校 生活記錄簿를 土台로 諸變因을 分析 하였다. 그 結果 本大學 合格者와 不合格者의 여러要因(出缺事項, 身體充實指數, 父母의 學力과 職業, 家族數等)과는 의의 있는 차이가 없었다. 다만 高校成績間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入學者와 不合格者의 高校成績의 차이는 高1學年때 부터 形成된 것으로 그 차이는 卒業時까지 形成되었다. 그리고 高校成績과 豫試 및 本試와의 相關係數는 0.50이고, 高校成績과 大學成績과는 0.60以上이다. 大學成績과 高校成績과이相關은 학년별 보다는 3個年間의 上關係數가 훨씬 높다. 以上의 結果를 土台로 敎育大學入學入試 改旋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提言을 할 수 있을 것이다. 1. 現行敎育大學入試에서 시행하는 本考査는 豫備考査와 거의 같은 科目의 內容을 실시하느니 보다는 그대신 敎育大學에서 요구하는 的性을 測定하여 入試에 반영햐여야겠다. 2. 敎育大學에서 요구하는 適性은 敎大에서의 우수한 成績을 얻은 學生이나 成功한 敎師의 性格的 特性에서 推出할 수 잇다. 이를 推出된 特性을 測定할 수 있는 道具나 方法을 모색할 수 있다면 敎師適性을 入試에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3. 高等學校의 成績을 入試에 반영하여야겠다. 이 경우네는 高等學校 3個年間의 누次를 점수로 환산하는 것이 豫言妥當度를 높일 수 있다. 4. 入試査定時 同點者處理는 보다 合理的인 근거하에 이루어져야 겠다. 同點者의 경우 再修生 보다는 당해년도 卒業者를, 遠距離 居主者보다는 近距離 居主者를 우선적으로 선발하는 것이 合理的일 것이다. 5. 以上의 方法이외에 豫試成績을 大學入試에 많이 반영할 경우에는 cut line에 해당하는 學生들의 測定의 표쥰오차를 고려하여 이 범위내에 속하는 학생만을 대상으로 따로히 面接, 敎師適性을 알아보는 檢査, 高校成績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도 좋을것이다. 위에 제시한 다섯가지의 提言은 本硏究에서의 結果를 土台로 한것이며, 실제로 이 提言들이 入試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보다 具體的이고 合理的인 방안의 모색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