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지명학회 20년의 회고와 전망

        수희 한국지명학회 2018 지명학 Vol.28 No.-

        It is a relatively late establishment of the Korea Place Name Society, but the academic activities of the past 20 years have been active. Since the first scholarly journal of Place Name in 1998, it has been established to mark the 26th annual event in 2017 and the National symposium has been held one or two times. In fact, most of the theses published during the past two decades have not escaped much of the thesis form. It is a matter of different dimensions to determine how much the discussion process has been elaborated. First of all, a deviation from the previous non-scientific method can be considered a great improvement. Indeed, the study of place names was finally established. This is the greatest achievement our society has accumulated in the past 20 years. To further develop, however, the society should reach a stage where it can make more active use of the new theory of Korean linguistics. The future projects that this society should pursue more dynamically as follows(suggestions). (1) A study of archaic names and archaic maps (2) A study of modern place names and modern maps. (3) A diachronic study of place names and maps. (4) A research on the transliteration of place names (5) When naming new place names, accept the traditional methods, but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clauses : They are not named by human names. (b) It is desirable to name two syllables. (b) If the two names are combined, take a disyllabic clipping (5) A synthetic study of historical geography. (6) A collaborative or cooperative study with related studies. (7) Active participation in research and advice on place names in close negotiation with a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 (8) It is desirable to expand the scope of participation by negotiating with a society related to the place names without damaging a scholarship base. (9) “A Study Research on the Korean Place Names” published in 2007 has to be continued. 회고컨대 비교적 늦게 창립한 『한국지명학회』이지만 지난 20년 동안의 학회활동은 활발하였다. 본 학회가 창립된 다음 해(1998)에 地名學(제1집)을 창간하여 지령(誌齡)이 제26집(2017)에 이르게 되었고, 해마다 전국학술대회를 1회 또는 2회씩 개최하여 총30회에 도달(到達)하였기 때문이다. 실로 지난 20년 동안 地名學(1-26)에 발표된 논문들은 거의가 본격적인 논문 형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그 논의과정이 얼마만큼 정치(精緻)하였는가를 따지는 것은 차원이 다른 문제이다. 우선 이전의 비과학적 방법에서 벗어난 것만으로도 크게 발전한 것으로 자부할 수 있다. 그야말로 지명 연구에 대한 학문(한국의 지명학)이 비로소 확립된 것이라 하겠다. 이 업적이 지난 20년 동안 우리 학회가 축적한 가장 큰 성과이다. 그러나 더욱 발전하려면 날로 발전하는 국어학의 새 이론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지에 이르러야 할 것이다. 본 학회가 보다 역동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미래의 사업들을 다음과 같이 전망(제언)하여 본다. (1)고지명 및 고지도 연구. (2)현대 지명 및 현대 지도 연구. (3)지명과 지도의 통시적 연구. (4)지명 차자 표기법의 연구. (5)새 지명을 작명할 때 가급적이면 전통적 방법을 수용하되 다음 각항에 유의함이 바람직하다. (ㄱ)人名(인명)으로 작명하지 않는다. (ㄴ)2음절(2자) 작명이 바람직하다. (ㄷ)두 지명을 통합할 경우에는 절취 방법을 취한다. (5)역대 지리에 대한 종합적 연구. (6)인접 학문과 공동 또는 협동 연구. (7)정부 산하 기관과 긴밀히 교섭하여 지명에 관한 연구 용역과 자문의 능동적인 참여. (8)굳이 순수한 학술적 연구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학술의 근간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지명과 관련된 학회와 교섭하여 참여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9) 2007년에 우리 학회가 간행한 『한국지명연구』(地名學 論文選Ⅰ)의 續刊(속간)도 다시 추진하여야 할 사업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한글 맞춤법의 개정 문제

        수희 충남대학교 문리과대학 어문연구회 1972 語文硏究 Vol.8 No.-

        1. There are two reasons why present Hangul spelling system is so particular and difficult. It is ture that a part of the Hangul spelling system is made originally difficult, but it seems that the greater fault lies in the passive attitude of the peopl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people should take more pains in learning the new spelling system to be provided while preserving the original spelling system as it is as possible. 2. The main argument in the revision of Hangul has been whether it should be based upon phonology or morphology. I took side with the party in favor of morphology. besause of the impracticability of disregarding the 40 years of tradition, and it is my opinion that revision should be made where it is most needed rather than overall revision. 3. The inscription of sound of Chinese characters based on the present usage has been established once in 1993. And since there is no possibility of pronouncing them like the original sound, it seems that there is no other way but follow the present system. 4. In clalifying etymology, none of (1) familialized nouns, (2) familialized verbs, (3) familiaized advers, and (4) words whose derivations are not clear was spelt apart. But unfamilialized and infrequently used words were spelt apart. 5. Concerning the spelling, it is regulated in The Korean Orthographic Rule, Introductory Chapter, Article 3: each word should be spelt apart, but ending will be added to fore-word. it is, therefore, suggested that words which are no free form (root or stem) should be added to freeform (root or stem). 6. It is my opinion that some of the names of Korean alphabets should be revised as follow: ki-yok to ki-uk; si-os to si-us; etc.

      • 兵學指南諺解에 對하여

        都守熙 충남대학교 문리과대학 어문연구회 1970 語文硏究 Vol.6 No.-

        1. 세간에 유포되었던 병학지남언해는 훈국구본, 남한본, 서해본, 갑자보, 정사본, 경신본, 정미본등의 이본이 있었던 것으로 보여진다. ―필자가 조사한 범위안에서― 그 중 소창진평박사 소장본이 훈국구본이라? 하며 갑자본, 정사본, 경신본, 정미본은 필자가 입수하고 있는 터요 나머지 남한본, 해서본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는 듯하다. 2. 갑자본은 숙종10년(1684)에 절형장군수공홍도병마절도사 최숙이 언해한 사실을 발문이 밝혀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표기 현상이 발음대로 충실히 기록할려던 흔적을 드러내고 있어 17C 후반기의 국어(특히 현실어)연구에 안심하고 사용해도 좋은 소중한 자료이다. 3. 정사본은 영조13년(1737)에 간행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그러나 “중간”이라 표시한 간기와 이 책이 실지로 반영하고 있는 국어는 갑자본의 국어와 대동소이하다는 점으로 보아 이 책을 갑자본의 중간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그렇다면 간행 연대 당시의 국어보다는 차라리 17C 후반기의 국어를 더 많이 반영하고 있는 자료로 봄이 온당할 것이다. 따라서 이 책이 자료로 적용될 수 있는 시기의 범위는 17C 후반기로부터 18C 초기에 긍하는 것이라 하겠다. 4. 경신본은 책미에 경신오월일상산개간이란 막연한 간기 뿐이어서 갑자본과 정사본을 기준해서 여러 모로 비교한 결과 영조10년(1740)에 간행된 것으로 고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책 역시 간행 연대만 뒤질 뿐 반영하고 있는 국어는 갑자본과 별로 다를 게 없는 것이기에 이것 역시 앞엣 정사본의 경우처럼 17C 후반기로부터 19C 초기에 이르는 사이의 자료로 택해도 좋은 것이라 보았다. 5. 이렇게 해서 갑자, 정사, 경신 삼본을 자매적인 이본으로 보았고, 또한 그 철자형식이 일정한 원칙에 의해서 기록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spoken language의 반영도가 강하다고 인정하여 이제까지 애지중지하던 17C 후반기의 박통사·노걸대 양언해 못지 않은 소중한 자료로 이것들을 추정하였다. 6. 정미본은 정조11년(1787)에 간행된 책자이긴 하나 국가적인 사업(앞엣 것들은 그렇지 않음)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표기 원칙이 상당히 엄밀하여 의식적(이상적)인 표기로 인한 의고형이 없지 않다는 점을 유의하여 의고형과 현실어를 냉정히 분동할 수 있는 경우라면 그런대로 18C 후반기의 국어 자료가 되어 줄 수 있다고 보았다.

      • 지명어 음운론

        수희 한국지명학회 2007 지명학 Vol.13 No.-

        고지명의 음운을 바르게 해독한 결과는 음운사ㆍ 어휘사ㆍ어원론 등의 국어사 문제를 논의하는데 기초가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 글은 문제가 되는 고지명의 음운을 바르게 해독하기 위하여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그 논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고지명 古尸에서 尸는 ‘ㄹㆍ리’를 적은 표기자이었다. 이 해답은 ‘쇠’(金銀銅鐵)의 기원적 어형이 ‘*소리’(召尸)이었던 사실을 밝히는 바탕이 되었다. 위 두 지명의 해독은 국어 음운사에서 (i) r>ø/v-i규칙과 (ii) i>ø/r-#규칙을 설정하는데 튼튼한 근거가 된다. 이 음운 변화 규칙 (i) (ii)를 적용하여 ‘누리(>뉘世), 나리(>내川), 사리(>새東ㆍ歲ㆍ間), 가리(>개浦), 리(>ㆍ믈水) 등’의 어휘사를 기술할 수 있다. 이러한 적용 결과는 규칙 (i) (ii)를 더욱 튼튼히 강화하는 근거가 된다. 지명 ‘인내’(仁川)에서 ‘ㅅ-ㄴ>ㄴ-ㄴ’의 음운변화는 居의 古訓을 탐색하는데 결정적인 단서가 되었다. 인명 ‘異次頓 : 居次頓’에서 異는 음차 표기자이었고, 居는 훈음차 표기자이었다. 居의 훈음 문제를 해결하는 결정적인 단서가 지명 ‘이시내(居斯川)>잇내(苔川)>인내(仁川)’의 ‘이시’이다. 여기서 居의 고훈이 ‘이시-’였던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고지명 所瑟山(>包山)의 해석에서 어두 복자음 ㅄ를 찾아낸 것은 매우 큰 소득이다. 국어 음운사에서 어두 복자음 ㅄ의 생성 과정을 기술하는데 필요한 직증 자료는『鷄林類事』(1103-4)를 넘지 못하는 시기의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이제 이 ‘>’(包)의 ‘ㅄ’으로 인하여 그 상한 시기의 제약에서 벗어나 적어도 신라 시대 후기까지는 소급할 수 있게 되었다. 지명어 ‘물살골(水靑里)>무수골(蘆谷)’에서 ‘물(水)>무'의 변화는 설단 자음 앞에서의 ㄹ탈락 규칙으로 기술하였다. 그리고 ‘살(靑)>수’의 변화는 중부 지역에 분포하였던 ‘살’(靑)에서 찾아 해결하였다. 그러나 제기된 문제를 완벽하게 해결해 준 직증 자료는 ‘속서리콩’(겉이 검고 속이 푸른 콩)의 ‘속(裏ㆍ內)+서리(靑)’이다. 이 논의에서 蘆와 靑의 고훈인 ‘무수’와 ‘사리ㆍ서리’를 발견한 것은 큰 소득이다. To understand meanings of the name of old places is important because it is basic for academic fields of Korean language such as history of phonology, lexis, and etymology. This study focuses on the polemic names of places. The main poi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the name of an old place, kosi(古尸), si(尸) is an inscribed letter of ‘rㆍri.’ This provides an evidence to prove that the original word form of soy(金銀銅鐵) is *sori(召尸). The names of these two places are firm foundations to establish rules of history of phonology of Korean language such as (i) r>ø/v-i and (ii) i>ø/r-#. By applying for these phonology rules (i) and (ii), history of words like ‘nuri(>nuy世), nari(>nay川), sari(>say東ㆍ歲ㆍ間), kari(>kay浦), and mɐri(>mɐyㆍmɨr水) can be explained.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of these rules intensify rules, (i) and (ii). Phonological change of ‘s-n>n-n’ of innay’(仁川) provides decisive clues to explore kohun(古訓) of kə(居). In personal name, ichaton(異次頓):kəchaton(居次頓), i(異) is phonetically inscribed letter and kə(居) is an inscribed letter for hunɨmcha(訓音借). Problems of hunɨm(訓音) of kə(居) is solved from desicive clues of 'isi' of ‘isinay(居斯川)>isnay(苔川)>innay(仁川).’ Here, we can confirm that kohun(古訓) of kə(居) used to be used as ‘isi-’. From interpretation of the name of an old place, sosɨrsan(所瑟山>包山), to find out initial double consonant, ps is meaningful. In Korean phonological history, generation process of ps mostly has depended on kyəyrimryusa『鷄林類事』(1103-4). However, because 'ps' of ‘pɐsɐr>psɐr’(包) is proven, we can assert that it was used at least in the latter period of Silla Dynasty. Until now, in a place name ‘mursarkor(水靑里)>musukor(蘆谷)’ changed of ‘mur(水)>mu' was explained as r ommission rule in front of apical consonant. Also the origin of change of ‘sar(靑)>su’ was been found in sar(靑), which is used in the middle area of Korean peninsular. But the problems presented was solved from a document that shows ‘soksərikhoŋ’(bean with black outside and blue inside) with ‘sok(裏ㆍ內)+səri(靑)’ combined. In this discussion, it is meaningful to discover kohun(古訓) of ro(蘆) and chəŋ(靑), ‘musu’ and ‘sariㆍsər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