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AT를 이용한 부모-자녀 관계 만족의 암묵적 측정

        신희천,한소영,양욱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1 No.2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Implicit Relatedness Satisfaction Scale(IRSS)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to validate the scale. The implicit scale was developed as the Single Category Implicit Association Test(SC-IAT). The results of the internal reliability analysis and t-tests showed that the implicit scale was highly reliabl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implicit measure and the explicit measures of the relatedness satisfaction in mother-child relationships were not significant, though those in father-child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 which implied that feelings toward mother are distorted unconsciously more than feelings toward father are. Finally, the concurrent valid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IRSS,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the IRSS,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이론(Deci, & Ryan, 2000)에서 정신건강에 필수적 영양소라고 보는 세 가지 기본 심리적 욕구 중 부모-자녀 관계 안에서 경험하는 관계성의 만족을 암묵적으로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Karpinski와 Steinman(2006)이 개발한 Single Category Implicit Assoication Test(SC-IAT)를 이용하여 부모-자녀 관계 암묵적 관계성 만족 척도를 개발하고 대학생 집단으로 설문 및 실험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부모-자녀 관계 암묵적 관계성 만족 척도의 내적 신뢰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척도의 공존타당도와 예언타당도 검증을 위해 부모-자녀 관계 외현적 관계성 만족 척도를 비롯한 다양한 외현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버지-자녀 관계 암묵적 관계성 만족 척도의 경우, 외현적 관계성 만족척도, 애착척도, 의미미분척도 및 가족관계척도와 적절하게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나, 어머니-자녀 관계 암묵적 관계성 만족 척도의 경우 애착 척도의 하위 요인인 소외감 척도를 제외하고 외현 척도들과의 유의한 상관이 드러나지 않아 관계에 따른 측정치의 분석결과가 상이한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암묵적 관계성 만족 척도의 타당성에 대한 논의, 제안점 및 암묵적 척도 개발의 의의를 논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졸업 청년실업과 정신건강의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신희천,장재윤,이지영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8 사회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청년실업과 정신건강의 관계를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통해 종단적으로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청년들의 실업 및 취업여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노출가설)과 구직자의 정신건강이 실업 및 취업상태에 미치는 영향(선택가설)을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으로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청년실업과 정신건강의 연쇄적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졸업을 전후로 4차례에 걸쳐 정신건강과 실업 및 취업여부를 조사하였다. 국내 대학교 4학년생을 2528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1차 조사)를 실시하고 이후 약 6개월 간격으로 2차 조사, 3차 및 4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네 시점에서 모두 정신건강을 우울・불안 차원과 부적응 차원으로 측정하였고, 취업시기 이전인 1차 조사를 제외한 2, 3, 4차 조사에서 응답자들의 취업여부를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과 정신건강의 연쇄적 인과관계를 가정한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은 매우 높은 모형 적합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정신건강과 실업을 교호적 관계로 파악하는 것이 타당함을 시사하였다. 둘째, 노출가설과 선택가설을 경로분석으로 확인한 결과 선택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구직초기의 스트레스는 추후의 실업여부와 정신건강 모두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youth unemployment among university graduates using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wo competing hypotheses about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unemployment. The first hypothesis states that the experience of unemployment influences mental health (exposure hypothesis). In contrast, the second hypothesis argues that the level of mental health causes unemployment (selection hypothesis).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was applied to test these two rival hypotheses in a reciprocal sequence process model.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we designed a longitudinal study composed of four surveys at a six-month interval. At all four points,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a GHQ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level of mental health. GHQ consists of depression anxiety and maladjustment subscales. The data from 767 university graduates who identified their employment status was used for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resulted in a fairly good fit to the data, indicating thatthe reciprocal sequence process between mental health and unemployment seems to be valid. Results from path analysis indicated that selection hypothesis was partially supported. Finally, the initial level of job searching stress was associated not only with the initial mental health but also with thefollowing state of unemployment and mental heal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future directions of study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내담자의 핵심적 갈등관계에 대한 해석과 작업동맹이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

        신희천 한국상담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4 No.2

        The present research was an attemp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 interpretation of client's transference and counseling outcome. According to the psychodynamic theory, transference interpretation is the critical means for the change of the client and it closely relate with the counseling outcome.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had not showed any congruent result, which is thought to be due to the fact that they did not consider the adequacy of transference interpretation and the therapeutic alliance betwe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In other words, the adequate transference interpretation will be effective only when the counselor and the client have good working alliance. In this research, the transference is defined as client's 'Core Conflictual Relationship Theme', and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working alliance and the adequacy of transference interpretation on counseling outcom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effects of working alliance and transference interpretation on counseling outcome through 43 counseling cases (86 sessions). The adequacy of transference interpretation was measured by three viewpoints (client, counselor, and observer), and estimated by the score of congruity, correspondency, and accuracy of transference interpretation. Results of the research indicate that the interaction effect of working alliance and transference interpretation on counseling outcome exist, and the adequacy of transference interpretation has different effect on counseling outcome by the viewpoint of measurement. 작업동맹은 회기성과와 정적인 상관이 있으며, 전이해석의 적절성은 일시성, 상응성, 정확성이 각기 회기성과와 서로 다른 관련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상담자의 전이해석은 작업동맹에 따라 상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달리하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하지만 본 연구의 한계로 인해 이러한 결과는 조심스럽게 해석되어야 한다. 수집된 자료의 수가 적고 자료수집의 범위가 제한되어 있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담자의 주요 접근 방법으로 절충주의적 입장을 취하는 상담자의 수가 많아, 역동적인 상담 상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사례의 대부분이 대학 상담소에서 수집되었다는 표집의 문제가 있다. 또다른 제한점으로, 분석에 포함된 사례의 회기는 상담단계 위치지표상 10~90에 이르는 넓은 범위에 퍼져 있어, 동일한 상담단계에서 상담자료를 수집하지 못했으며, 단기 상담 사례와 장기 상담 사례가 혼재되어 수집되었다는 문제가 있다. 추후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이론적 입장, 내담자의 호소문제, 상담이 행해진 기관(유료/무료, 대학상담소/일반상담소 등), 상담기간(단기상담/ 장기상담), 상담단계(초기/중기/후기) 등의 변수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자료수집을 통해 오염변인의 개입 가능성을 줄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도시 지역 다문화 가정의 부부관계 고찰을 위한 질적 연구

        신희천,최진아,김혜숙,이주연 한국상담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of multicultural couples in urban areas. The interview data of 10 multicultural couple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Results indicated that 1) multicultural couples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cultural understanding, economic problem, couple conflict, in-laws and family conflicts, child care problem, and social prejudice; 2) the causes of couple conflict were differences in culture and lifestyle, child care methods, dissimilarities in character and insufficient consideration and respect; 3) after domestic dispute, several couples try apologize or have conversations but others do not even try to reconcile or to recover their relationship. The findings in this study would be a meaningful source and show implications for developing counsel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couples. 본 연구에서는 도시 지역 다문화 가정 부부들이 겪는 결혼생활의 어려움 및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의 다문화 부부 10쌍에 대한 인터뷰 자료를 토대로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가정의 부부들은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비롯하여 문화적 이해, 경제적 문제, 부부 갈등, 시댁 및 가족 갈등, 육아 문제, 사회적 편견 등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부부 갈등의 원인은 문화 및 생활방식, 자녀 교육 방식, 성격의 차이, 배려 및 존중의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부부싸움 방식은 주로 말다툼을 하거나, 피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부부싸움 후에는 사과나 대화를 시도하는 경우도 있었으나 별 다른 화해나 관계 회복 노력을 하지 않는 사례들도 있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의 부부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갈등을 비롯한 다양한 경험을 알아봄으로써 다문화 부부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상담 전략의 수립을 위한 토대를 제공하고 있다는 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