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瓦塼資料를 통한 靈廟寺址와 興輪寺址의 位置 比定

        朴洪國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2 新羅文化 Vol.20 No.-

        흥륜사는 신라 최초의 불교사원이었다. 일제시대에 지금의 경주시 사정동 281-1번지 일대가 흥륜사의 遺址로 추정되어 국가사적 제 15호로 지정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부터 경주의 鄕土史家들에 의하여 사적 제15호 「興輪寺址」는 「靈廟寺址」이며, 「興輪寺址」는 지금의 「경주공업고등학교 부지 일대」라는 견해가 제시되어왔고, 지금은 대다수의 관계학자들도 이를 수긍하는 입장에 서 있다. 本稿는 지금씩 축적된 兩寺址의 瓦塼資料를 통하여 위의 견해에 동조하며, 이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兩寺址에서 출토된 와전자료를 고찰한 결과 사적 제15호 흥륜사지 출토 와전 중에는 6세기까지 소급되는 유물을 지적하기 어려웠으나, 경주공업고등학교 일대에서 나온 瓦片 중에는 드물게나마 6세기의 유물로 판단해도 좋을 자료들이 있었다. 이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던 중 사적 제15호 흥륜사지에서 출토되는 「大令妙寺造瓦」銘文瓦를 제작하였던 가마터가 神文王陵 동남쪽 丘陵임을 확인하는 부수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Heungnyunsa was the first temple of Shilla. The neighborhood of 281-1, Sajeong-dong in Gyeongju-si was estimated as the ruins of Heungnyunsa and designated as the historic site No.15 during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But, since the latter half of 1970s, students of local history have asserted that Heungnyunsa temple sire as the historic site No.15 is Yeonmyosa temple site and Heungnyunsa temple sire is the neighborhood of Gyeongju TechnicaJ High School, and now most of the related scholars have accepted it. This study follows and proves the above assertion through the materials of roof tiles and bricks of two temple sires which have been accumulated little by little. By examining the materials of roof tiles and brides excavated from two temple sires, we can't find the relics of the 6th century in roof tiles and bricks excavated from Heungnyunsa temple site as the historic site no.15, but we can find a few relics of the 6th century in the broken pieces of roof tiles and bricks excavated from the neighborhood of Gyeongju Technical High School.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materials for study, as a concomitant result, we could identify the kiln site which had produced the inscription roof tile, "DaeYeongMySaJoWa(大令妙寺造瓦)”, which means to produce the roof tiles for Yeongmyosa temple, excavated from Heungnyunsa temple site as the historic site No.15, is located at the foot of the east-south slope of the tomb of King Sinmun.

      • KCI등재

        김천 수도암 신라비의 조사와 김생 진적

        박홍국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6

        Kim, Saeng has been recognized as the greatest calligraphic master in the history of Korea. But there are a few epigraphs of his autograph calligraphy in Korea. Last May, I found and researched some severely worn epigraphs of his autograph calligraphy at Soodoam in Gimcheon. Here are some conclusions: 1.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e epigraphs of his autograph calligraphy and those of collecting his calligraphic ideographs in detail. 2. I found there are the epigraphs of his autograph calligraphy inscribed on 6 epitaphs including Sillabi(Silla Epitaph) at Soodoam in Gimcheon and Zen master Shinhaengbi Epitaph at Dansok Temple in Sancheong. 3. Six epitaphs belong to Buddhist temples and 2 ones of them are located in Gimcheon. 4.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the epigraphs of his autograph calligraphy, we presume that he was born in 740- 750 AD. 5. We could not find his autograph calligraphy because of the deformed ideographs on Great Monk Nanggong and a classic tale, "Kim, Saeng" in the Samguk Sagi(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 . 金生은 우리나라 역사상 제일가는 명필로 손꼽힌다. 하지만 우리는 김생의 친필 비문조차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우리는 김생의 글씨를 集字하여 새긴 「태자사 낭공대사 백월서운탑비」와 板刻한 「전유암산가서」에 의지하여 그의 필력을 짐작할 뿐이다. 필자는 지난 5월 김천 수도암에서 심하게 마멸된 김생의 친필 비문을 확인하고 이 글의 작성에 착수하여 다음의 연구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친필비명과 집자비명이 세부적으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그렇게 되는 과정을 분석・정리하였다. 둘째, 김천 수도암 신라비와 산청 단속사 신행선사비 등 6건의 금석문이 김생의 친필로 새긴 것임을 고증・지적하게 되었다. 셋째, 이들 금석문 6건은 모두 불교사원에 있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그 중 2건이 김천에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넷째, 찾아진 김생 친필 碑銘의 연대를 종합하여 김생의 출생시기를 740~750년 경으로 추산 할 수 있었다. 다섯째, 우리가 눈앞에 있는 고대 금석문을 두고도 그 중에 김생의 친필 碑銘이 있는 것을 알지 못한 원인으로 ①낭공대사비문의 변형된 글자 모양이 우리 머릿속에 각인되어 있었으며, ②『삼국사기』 열전 ‘김생’조의 711년 출생설에 그 원인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신라 비석에 남아있는 練習 刻字

        박홍국 한국목간학회 2023 목간과 문자 Vol.- No.30

        서예가나 비석 刻字工이 첫 글씨를 쓰거나 새길 때 조금은 긴장하지 않았을까? 특히 刻字工의 경우 石質 이나 특성이 어떤지 알 수 없어서 1~2글자를 연습으로 새겨보는 경우도 있었을 것이다. 필자는 2019년 7월 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경주 남산신성비 제1비의 명문 下部面에 ‘辛’ 자를두 번이나 새겨 놓은 글자를 보고 난 뒤 이에 해당하는 신라 古碑의 연습 각자에 대하여 메모하여 왔다. 현재까지 9例를 들 수 있게 된 것을 계기로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으며, 고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습 각자의 대상이 된 글자는 대부분 비문에 나오는 글씨 중에 1~2자를 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비석에서 연습 각자가 남아있는 부분은 세울 때 땅에 묻히는 면, 귀부나 이수(또는 비갓)의 홈에 끼워지는 면, 공교롭게 비문면에 있어서 우리가 연습 각자인지 여부를 가리기 어려운 것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셋째, 현재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울진 봉평리 신라비 제1행 끝자 ‘ (五)’ 자도 연습 각자임을 고증하였다. 넷째, 삼국시대 古碑라 할지라도 건립 당시에 새겨진 銘文의 刻劃 內部에 주로 붉은 안료를 칠[書丹]하는등 刻字 後 과정이 있었음을 기술하였다.

      • 三國末~統一初期 新羅佛像과 三道에 대한 檢討

        朴洪國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3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

        6世紀前半 불교를 공인한 신라에서는 수많은 불상들이 造成되었고, 이는 한국미술사의 중요한 연구과제로 자리하고 있다. 三道는 佛ㆍ菩薩像의 목에 조각된 橫三線인데, 本稿에서는 삼국말~통일초기의 불상에 三道가 유행하기 시작한 것은 대략 680년경이라고 추정하였다. 그러므로 三道는 이 시기의 佛像編年에 한 기준이 될 수 있음을 力說하였다. 따라서 현재까지 삼국말~통일초기의 佛像으로 編年되고 있는 것 중에서 三道가 있어야 할 불상에 그것이 없거나, 아니면 그 반대가 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불상의 편년에 대해서는 진지한 再論議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in which Silla adopted Buddhism as the state religion, many Buddha Images were created and it is very important subject for research work in the history of Korean art. Samdo(三道) means three horizontal lines on the neck of Buddha and Bodhisattva Images. The period in which Samdo from the end of the Three Kingdoms to the beginning of the Unified Shilla came into fashion is supposed to be about 680. So Samdo is to be an evidence as a standard of estimating the sculpture period of Buddha Images. Therefore, we have to reestimate the sculpture period of Buddha Images from the end of the Three Kingdoms to the beginning of the Unified Shilla according as they have Samdo or not.

      • KCI등재
      • KCI등재

        昌寧 仁陽寺碑文의 塔 關聯記事에 대한 검토

        박홍국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8 新羅文化 Vol.32 No.-

        In Changyeoung, there is a special monument which has a respective inscription on its front, left and right side, and an embossed monk standing statue on its back side. Many epigraph scholars have studied this monument. Many Buddhist rituals which had been held at Inyangsa and other temples for 40 years from 771 to 810 were recorded on the monument, Tapgeumdangchiseonggibi at Inyangsa. The monument is a very important source for studying the management of the temple at that time, the epigraph, Korean notation borrowed from Chinese character and Buddhist arts and so on. We insist the points as follows from a Buddhist archeological view. 1. The man who held the Buddhist rituals is "Monk Sunpyo" recorded on the first article of the monument. 2. Inyangsa pagoda which was recorded on the monument 3 times, but not existed in the temple site is supposed to be a wooden pagoda or a tile one. 3. In view of that Daegoksa stone pagoda recorded on the monument is supposed to be near Inyangsa, it is supposed to be East three-storied stone pagoda(National Treasure No. 34) which remains at Suljeong-ri, Changyeou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