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平叙文の文末形式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 : 意味論的意味と語用論的意味の観点から

        文彰鶴 韓國外國語大學校 外國學綜合硏究센터 日本硏究所 2013 日本硏究 Vol.0 No.56

        本稿では、会話体における日韓の平叙文の文末形式を対象にし、その対応関係について分析を行った。会話体における日韓の平叙文の文末形式に関する用例を見ていると、次のような対応関係が見られる。 ·韓国語の해(요)体の終結語尾と日本語の終助詞の対応関係 ·韓国語の해(요)体の終結語尾と日本語の確言形の対応関係 会話体における平叙文の文末形式に関する日韓の対応関係を正しく捉えるためには、以上の対応関係を双方とも分析する必要があると考えられる。 このような問題を解決するために、言語形式の分析において意味論的意味と語用論的意味を区別するという考え方に基づいて、様々な言語現象や日韓翻訳本を検討した結果、本稿では次のような点を述べた。 ·日韓の会話体における平叙文の文末形式の対応関係は、韓国語の해(요)体の終結語尾の意味論的意味と日本語の確言形の意味論的意味が「知覚表明」と「知識表明」という命題めあて的な意味機能を表すという点において一次的に対応しており、韓国語の해(요)体の終結語尾の語用論的意味と日本語の終助詞の意味論的意味が「確認内容伝達」や「注意喚起」といった聞き手めあて的な意味機能を表すという点において二次的に対応していると理解される。

      • KCI등재

        評価のモダリティ形式の形態的特徴に関する 日韓対照研究 - 複合形式の構成要素の分析を中心に -

        문창학 한국일어일문학회 2022 日語日文學硏究 Vol.120 No.-

        본고에서는 한일양언어의 ‘조건표현+평가형식’에 의한 복합형식의 평가모달리티형식을 대상으로 하여서 그 구성요소의 형태적인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구성요소의 긍정과 부정의 조합에 의한 성립여부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한일양언어의 평가모달리티의 복합형식에 관여하는 ‘조건표현’은 형태면이나 의미면에 있어서 모두 ‘중립적인 순접조건’, ‘소극적인 순접조건’, ‘필수적인 순접조건’, 그리고 ‘역접조건’을 가지고 있으면서 대응하고 있으며, ‘평가형식’도 모두 ‘긍정평가’와 ‘부정평가’의 형식을 가지고 있으면서 대응하고 있다. ‘중립적인 순접조건’을 포함한 형식의 경우에 <긍정평가>와 <필요의무>에서는 한일양언어가 대응하나, <비허용(금지)>에서는 대응하지 않는다. ‘소극적인 순접조건’을 포함한 형식의 경우에 ‘긍정평가형식’이 후접할 때는 양언어 모두 성립하지 않고, <비허용(금지)>에서는 대응하나, <필요의무>에서는 대응하지 않는다. ‘필수적인 순접조건’을 포함한 형식의 경우에 ‘부정평가형식’이 후접할 때는 양언어 모두 성립하지 않고, ‘긍정평가형식’이 후접할 때는 한국어에서는 <필요의무>와 <비허용>이 성립하나, 일본어에서는 성립하지 않는다. ‘역접조건’을 포함한 형식의 경우에 ‘부정평가형식’이 후접할 때는 양언어 모두성립하지 않고, ‘긍정평가형식’이 후접할 때는 양언어 모두 <허용>과 <불필요>가 성립하고 대응한다. 이상과 같이 한일양언어의 복합적인 평가모달리형식을 대상으로 하여 ‘긍정’과‘부정’의 조합에 초점을 맞추어 그 대응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응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複合形容詞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名詞+形容詞]型を中心に―

        문창학,Noda Takahiro 한국일본문화학회 2023 日本文化學報 Vol.- No.99

        This paper compared and contrasted compound adjectives of the "noun+adjective" type in Japanese and Korean, classifying them in terms of the parts of speech of constituents, their features as word, case relations, degree of semantic coupling, and morphology in terms of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yielding the following results. (ⅰ) In terms of the parts of speech of constituents, there are types common to Japanese and Korean as well as different types. (ⅱ) Both Japanese and Korean exhibit lexical integrity. (ⅲ) In both Japanese and Korean, the most common case relation is the nominative case relationship. (ⅳ) When classified by degree of semantic coupling, both Japanese and Korean have a "simple type," "fusion type," and "intermediate type" of compound adjectives. (ⅴ) In Japanese, there are cases of morphological changes and cases of conversions of parts of speech.

      • KCI등재

        「てもいい」と「-어도 되-」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文法化のクラインの観点から-

        문창학 한국일어일문학회 2022 日語日文學硏究 Vol.122 No.-

        본고에서는 「てもいい」와 「-어도 되-」를 대상으로 하여 문법화 클라인의 관점에서 확인하기 위해서 다양한 언어현상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해당 형식은 문법화가 진행되지 않은 경우(‘역접조건절에서의 부정구 공기’, ‘부사 삽입’, ‘역접조건절의 도치’, ‘긍정평가형식의 독립사용’)와 문법화가 진행된 경우(‘복수의 역접조건절 반복’, ‘역접조건절에서의 부정구 반복’, ‘연문에서의 주절 생략’, ‘동일한 역접조건절 반복’, ‘역접조건절에서의 양보부사 공기’, ‘긍정평가형식의 긍정·부정 대립’)가 공존하고 있으므로, 문법화가 진행되고 있는 중간단계의 형식임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그 구성요소의 의미, 즉 「역접조건」의 ‘예외성’과 「긍정평가」의 ‘인정하다’의 의미를 살려서 해당 형식의 기본 의미를 ‘해당 내용을 예외적으로 인정하다’로 잠정적으로 규정하기로 한다.

      • KCI등재

        否定疑問文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 - 活用型の否定疑問文を中心に -

        文彰鶴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일본학연구 Vol.42 No.-

        본고에서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활용형 부정의문문’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밝혔다. (1) 일본어와 한국어의 ‘활용형 부정의문문’을 「전제」의 관점에서 우선 「중립적인 활용형 부정의문문」과 「전제 를 가지는 활용형 부정의문 문」으로 나누고, 나아가 후자를 「전제를 가지는 분석적인 부정의문문」과 「전제를 가지는 비분석적인 부정의문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전제를 가지는 분석적인 부정의문문」과 「전제를 가지는 비분석적인 부정의 문문」는 「화자의 판단상태」의 면에서 뉘앙스의 차이가 있어, 전자에서는 ‘해당사태에 대해서 진위 판단을 보류하’는 상태인데 반해, 후자에 서는 ‘해당사태에 대해서 불확실하지만 진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상태이다. This paper studies the meaning and function of "inflection-type" negative questions in Japanes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ias’, "inflection-type" negative questions are subdivided into ‘neutral "inflection-type" negative questions’ and ‘biased "inflection-type" negative questions’. and the latter type are subdivided into ‘biased analytic negative questions’ and ‘biased unanalytic negative questions’. (2) ‘biased analytic negative questions’ and ‘biased unanalytic negative questions’ are different in the judgement state of the speaker. The former is in the judgement state that the speaker suspend judgement of the proposition and the latter is in the judgement state that the speaker give a judgement of truth about proposition, though the result of the judgement is uncertain.

      • KCI등재

        日本語の推量のダロウに対応する韓国語の文末形式 -겠지との対応を中心に-

        문창학 한국일어일문학회 2010 日語日文學硏究 Vol.74 No.1

        本稿では、文末形式に限定して、日本語の推量のダロウに対応する韓国語の文末形式を明らかに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そのためには、겠/ㄹ것이と対照比較するだけでは不十分で、겠/ㄹ것+終結語尾の複合形式を対照比較する必要があり、終結語尾の接続関係によって、겠·ㄹ것이グループ(겠네、겠군、겠지以外)と겠グループ(겠네、겠군、겠지)とに分けられる。このような二つのグループの分類に基づいて、日韓対訳本を調査した結果、日本語のダロウは、前者のグループにおいては全ての形式と対応するが、後者のグループにおいて겠네·겠군とは対応しにくく、겠지とは対応しやすいことが確認できる。その理由は、意味用法において、ダロウと겠지は共通して「知識内容」を根拠にした推論を表す「推量」形式であるのに対して、ヨウダ(ミタイダ)·ラシイと겠네·겠군は共通して「知覚内容」を根拠にした推論を表す「推定」形式であるからである。このような意味用法は、日韓の叙法副詞との共起関係からも裏付けられる。最後に、韓国語を基準にして対応関係を考える際、겠·ㄹ것이グループの形式は必ずしも日本語のダロウに対応できるとは限らないという点に注意すべきである。

      • KCI등재

        현대 한국어 종결어미 –네(요)와 –군(요)

        문창학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4 언어와 언어학 Vol.0 No.64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meaning and function between ney and kwun in Korea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unctionally both ney and kwun have the usage of the declarative sentence and the usage of interrogative sentence in common. ·Basically all of the usages in ney and kwun indicate the present preception which means what the speaker percepts at the time of speech and in the place of speech. ·Based on the observation of co-occurrence relation with exclamination, we can assume ‘Input Information Processing’. This paper, therefore, proposes that ney refers to ‘encountering unknown information’ and kwun refers to ‘linking unknown information to the related information’

      • KCI등재

        文の類型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形態論的レベルを中心に-

        文彰鶴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6 일본언어문화 Vol.37 No.-

        This paper has anylyzed a way of classification and system of Japanese and Korean sentence typ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Sentence type can be understood from the perspective of not only morphological level but also the functional and semantic level. ▪It is more clear to understand the classification of sentence typ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rphological level than the functional and semantic level.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orphological level; In japanese Declarative and Imperative, Volitional constitute the paradigm of sentence type. On the other hand in Korean Declarative and Imperative, Interrogative, Hotartive constitute the paradigm of sentence type.

      • KCI등재

        認識的モダリティの中核形式に関する日韓対照研究 -証拠的モダリティ(evidential modality)の観点を加えて-

        文彰鶴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5 일본언어문화 Vol.30 No.-

        This paper aims to compare and contrast the systems of epistemic modality in Japanese and Korean, focusing on core forms, and to compare with Palmer(2001)’s system of propositional modality.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1) Unmarked forms in Japanese and Korean express the direct judgment of knowledge and the direct judgment of perception, which is indicated with ru/ta in Japanese, whereas with –ci/-ney/-kwun/-e in Korean. (2) Marked forms in Japanese and Korean express the indirect judgment of inference and the indirect judgment of hearsay, which is indicated with darou/youda/rasii/(suru)souda in Japanese, whereas with –keyssci/-keyssney /-keysskwun/-keysse in Korean. (3) From the perspective of semantic factor, we can establish the axis of ‘the way of judgment’ such as ‘direct judgment’ or ‘indirect judgment’ and the axis of ‘the source of information’ such as ‘knowledge’, or ‘perception’, or ‘inference’ or ‘hearsay’. (4) With the system of epistemic modality in Japanese, the division of forms related to ‘the way of judgment’ is salient, whereas the division of forms related to ‘the source of information’ is not salient. On the other hand, with the system of epistemic modality in Korean, the divisions of forms related to ‘the source of information’ as well as ‘the way of judgment’ are salient. (5) The morphological category related to ‘the way of judgment’ corresponds to the epistemic modality of Palmer(2001), and the morphological category related to ‘the source of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evidential modality of Palmer(2001).

      • KCI등재

        일한 ‘이중 주어 구문’에 대한 대조 연구 - 일본어의 ‘주어유무 논쟁’과 한국어의‘서술절구 논쟁’을 중심으로 -

        문창학,목정수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5 일본학연구 Vol.45 No.-

        일본어와 한국어에는 소위 ‘이중 주어 구문’이라고 하여 주어가 두 개 이상존재하는 특수한 구문이 있다고 지 적되어 왔다. 하지만 그 문장의 구조를 어떻게파악할 것인가 하는 점에 대해서는 일찍부터 일본어학계에서는 ‘주어유무 논쟁’ 그리고 한국어학계에서는 ‘서술절구 논쟁’이라 하여 이견이 있었다. 본고에서는 우선 소위 ‘이중 주어 구문’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의 ‘주어유무논쟁’과 한국어의 ‘서술절구 논쟁’이 서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ⅰ)대용언을 통한 진단법, (ⅱ)복문 구성을 통한 진짜주어 찾기 진 단법, (ⅲ)주어존대를 통한 진단법, (ⅳ)결합가 이론(=논항구조)을 통한 진단법과 같은 네 가지진단법을 이용 해, 소위 ‘이중 주어 구문’에 대해서 ‘서술절’ 설정의 부당성, 즉‘Yが’나 ‘Y이/가’를 ‘주어’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서술구’ 설정의필요성과 당위성, 즉 ‘Yが’나 ‘Y이/가’를 ‘보어’로 보아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소위 ‘이중 주어 구문’은 ‘기술동사(형용사)’와 관련된 유형과‘심리술어’와 관련된 유형으로 나 눌 수 있음을 보였다. This paper aims to compare the controversy about the presence and absence of subject in Japanese ‘double suject constructions’ with the controversy about ‘predicate clause’ or ‘predicate phrase’ in Korea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This paper uses four diagnoses to verify above problem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ⅰ) There is only one subject in Japanese/Korea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ⅱ) The subject of Japanese/Korea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is not the ‘Yga’ or ‘Yi/ga’ but the ‘Xun/nun’ or ‘Xwa’. (ⅲ) The Japanese/Korea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have the ‘predicate phrase’, but not ‘predicate clause’. (ⅳ) There are two types of Japanese/Korean ‘double subject constructions’. One is concerned with the ‘descriptive verbs’ and the other type is associated with the ‘psych-verb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