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유교사상의 환경윤리학적 해석

        최일범 ( Il Beom Choi ) 東洋哲學硏究會 2008 東洋哲學硏究 Vol.53 No.-

        이 논문의 목표는 환경윤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할 때 유교사상이 어떤 특성을 갖는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환경윤리학은 근대의 인간중심 적 세계관을 비판하고 자연에 내재적 가치가 존재한다는 비인간중심주의적 가치관을 수립하는데 관심을 집중하였다. 유교사상을 환경윤리학적 관점에서 해석한 연구 성과 역시 예외가 아니다. 주역과 중용으로부터 유기적 전체주의(organic holism)와 유사한 내용을 열거하고 유교사상에도 환경윤리의 전체론과 같은 세계관, 가치관이 있음을 주장하는데서 그친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동양철학과 환경 윤리학은 단순히 유기적 전체론의 차원에서 벗어나 유교가 갖고 있는 인본주의적 특성을 드러내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필자는 유교의 인본주의적 태도를 환경윤리학적으로 해석하는데 머레이 북친의 사회생태론이 제기한 문제를 상기하고 싶다. 머레이 북친의 사회생태론이 비록 유교적 인본주의와 같은 형태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가 제기한 자연과 인간 및 사회의 상호 관계에 대한 문제는 분명히 전통사회에서 유교가 제기한 문제와 유사한 성격을 갖는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필자는 논문을 통해서 유교의 인본주의가 내포하는 자연과 인간, 그리고 사회가 갖는 관계가 오늘날 환경윤리학에서 어떻게 해석되어야 할 것인가의 해답을 북친의 사회생태론과 비교하여 제기할 것이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about the peculiarity of Confucianism from Environmental ethics of view. Environmental ethics criticizes anthropocentric weltanschauung of modern times and it will primarily focus on formulating anti-anthropocentric values which assert immanent worth of nature. The fruit of research that analyzes Confucianism from Environmental ethics of view is no exception to this rule. It is nothing but enumerating similarity contents to the organic holism from I Ching and Doctrine of the Mean, and holding Confucianism has weltanschauung compatible with environmental ethics` holism. Contrary to theses tandpoint, however, I think that Confucianism will have to display its humane characteristic break simple organic holism. In this place, I recollect critical minds of Murray Bookchin`s social ecology. It is not to say his social ecology and Confucian humanism are alike. Nevertheless, his thinking about the reciprocal relation between nature, human, and society which is often compared to the similar Confucianism in our traditional society. So, I investigate how Confucian humanism is comprehended by Environmental ethics of the day through make a comparative study with Murray Bookchin`s social ecology.

      • KCI등재

        유가 심성론의 분석심리학적 해석을 위한 시론

        최일범(Choi, Il-Beom) 한국양명학회 2014 陽明學 Vol.0 No.39

        이 논문의 목표는, 유학(儒學)의 심성론(心性論)을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유학의 심성론의 본의(本意) 및 그 현대적 해석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분석심리학이란 Freud의 정신분석학의 기반위에 Jung이 구축한 현대 심리학의 한 체계를 가리킨다. 지금까지 유가의 심성론은 주로 철학의 한 분야인 인식론의 범주에서 해석되어 왔다. 다 아는 바와 같이, 인식론이란 앎이 무엇인지, 앎을 가능하게 하는 것과 앎의 조건이 어떤 것인지, 보편타당한 앎이 어떤 것인지를 연구한다. 즉 인식론이란 앎의 문제를 대상으로 하는 철학적 탐구인 것이다. 철학과 달리 분석심리학은 원래 hysteria를 치료하기 위해 만들어진 심리치료법으로서 인지적 기능(사고의 장애), 감정적 기능(정서적 고통), 또는 행동적 기능(행동의 부적절성)에서 생기는 심리적, 신체적 고통을 개선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유가의 심성론을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해석하자는 필자의 제의는 유가의 심성론을 현실적, 구체적, 경험적으로 인간의 심리문제를 분석하고 치료하는 학문으로 이해하자는 뜻이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유학의 심성론과 공부론이 단순히 철학적 인식론이 아니라 심리치료의 의미를 의외로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음을 설명하겠다. 그리고 유학의 심성론의 이론과 공부론, 수양론의 실천이 심리학 특히 분석심리학의 이론 및 실천과 깊은 유사성이 있음을 밝힐 것이다. 불교의 止觀공부나 禪수행은 이미 승단이라는 특수한 종교전문가 집단의 전유물이 아니라 인간의 정신 병리현상을 치유하고 뇌와 정신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새로운 과학으로 알려져 있다. 유학의 심성론, 敬공부 역시 이와 같이 현대과학에 의해 재해석될 수 있고, 그뿐 아니라 어떤 의미에서는 불교보다 현대 과학에 더 깊은 영향을 주고 새로운 길을 밝혀줄 수도 있을 것이다. This study try to interpret the Confucian theory of disposition in the point of analytic psychology and clarify the modern significance of it. It is the system of modern psychology developed by Freud and Jung that the analytic psychology in this paper mentioned. Until now, Confucian theory of disposition is a part of epistemology in philosophy. But Confucianism seek realistic, concrete, and empirical world. Therefore, we have to interpret this theory for an practical aim. It is why this report assert to interpret Confucian theory of disposition as a method of psychotherapy, especially in the point of the analytic psychology. Buddhistic Zen asceticism has been a new science healing human pathological phenomenon, like hysteria, and analysing the relation of human brain and mind. Why Confucian Piety asceticism should not be a new level fusion of Confucianism and modern science?

      • KCI등재

        조선성리학에서 양생(養生)과 수양(修養)

        최일범(Choi, Il-beom) 한국도교문화학회 2015 道敎文化硏究 Vol.42 No.-

        동아시아 사상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인간의 삶을 소우주와 대우주의 합일의 과정으로 인식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합일의 과정은 크게 두 가지 흐름으로 발전해 왔다. 하나는 수양(修養), 수도(修道) 등으로 표현되는 정신적, 내면적 측면의 흐름이고, 다른 하나는 양생(養生), 양기(養氣) 등으로 표현되는 신체적, 외면적 측면의 흐름이다. 중국사상사를 보면, 선진 시대의 유가(儒家)가 덕성(德性)을 중심으로 수양(修養), 수신(修身)의 문화를 발전시켰다면, 진한 이후에는 기(氣)의 철학을 중심으로 한 도교(道敎)는 양생(養生)의 문화를 발전시켰다. 즉 수양과 양생은 각각 유교와 도교를 대표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맹자는 선(善)한 본성(本性)이라는 개념을 제출하여 인간의 심(心)에 내재하는 도덕성을 형이상적 실체로 규정하였다면, 도교에서는 단(丹)이라는 개념을 통해 기(氣)를 형이상적 실체로 승화시켜 몸과 우주의 근원이라고 정의하였다. 송대 성리학은 이(理)와 기(氣)의 두 범주로써 세계를 설명하는데, 전자는 도덕적 · 정신적 가치를, 후자는 물질적 · 신체적 가치를 상징한다. 그리고 양자의 관계가 불리성(不離性)과 부잡성(不雜性)으로 규정되는 것은 성리학이 정신적 가치와 신체적 가치 사이에서 충돌과 소통이라는 이중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설명한다. 이 두 가지 가치의 문제는 송대 성리학을 수용한 조선의 성리학자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문제였다. 그들은 한편으로 도교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배척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기(氣)의 세계와 신체적 가치를 이(理)의 세계와 정신적 가치와의 관계 속에서 유기적으로 해석하고자 노력하였다. 본고에서는 조선 성리학을 대표하는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의 성리학 이론에서 이런 문제를 찾아서 소개하고 그 철학적 의미를 모색하고자 한다. The keynote of the East-Asian thoughts is to look the human life as a process of the unity of macrocosm and microcosm. And this process has been developed bidirectionally, for one thing is innate or spiritual tendency which emerge as self-cultivating, for another thing is external or physical tendency which emerge as preserving of one’s health. Pre-Chin period Confucian scholar developed the self-cultivating culture focused on Human Virtue, and Taoist, especially focused on Qi(氣) philosopher, developed the preservation culture. So self-cultivation and preservation were the typical conceptions which represent Confucianism and Taoism. Mencius asserted the good pure human nature, which defined the human innate morality as a metaphysical being itself. On the other hand, Taoists, who accented candongqi(參同契) and huangtingj?ng(黃庭經), were proposed Dan(丹) as a metaphysical thing itself, defined the source of body and universe from Qi. The Neo-Confucianism in Sung Dynasty explained universe with two categories Li(理) and Qi. Li symbolize the moral and spiritual value and Qi symbolize the material and physical value. These two metaphysical categories cannot separate nor integrate. It means that The Neo-Confucianism in Sung Dynasty has dualism of collision and coexistence between the spiritual value and the physical value. Chosun Neo-Confucian scholars, who inherited the Neo-Confucianism of Sung Dynasty, had tried to solve this problem. How can we analyse the relations between the spiritual value and the physical value, or in other words the universe of Li and Qi, organically. Toegye Yi-Hwang and Yulgok Yi-Yi may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I will introduce their Neo-Confucian theories in this point of view.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철학 : 율곡(栗穀) 이이(李珥)의 사생관(死生觀)에 관한 연구

        최일범 ( Il Beom Choi ) 동양철학연구회 2010 東洋哲學硏究 Vol.64 No.-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죽음의 문제는 중요한 사회적 화두로 등장한다. 자살율은 OECD 국가의 평균 2배에 달하고, 평균수명은 80세를 넘어 세계 최고 수준이다. 따라서 한국의 학계에도 사생학은 중요한 연구 과제로 등장한 것이다. 한국인에 적합한 사생학을 구축하기 위해서 우리는 한국인의 전통적 사생관을 보다 깊이 있게 탐구할 당위성을 발견한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조선조의 유학자인 율곡 이이의 사생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율곡은 조선을 대표하는 유학자로서 그의 사상이 한국인의 전통적 사유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 그는 「사생과 귀신에 대한 책문(死生鬼神策)」, 「신선에 대한 책문(神仙策)」, 「기도에 대한 책문(祈禱策)」, 「수요에 대한 책문(壽夭策)」, 「의약에 대한 책문(醫藥策)」 등의 글에서 사생(死生)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그것은 유교적, 특히 성리학적 관점에서 불교의 윤회설과 도교의 신선설에 나타난 사생관(死生觀)을 비판하는 논리로 구성되어 있어서, 16세기 당시 유학자들의 성리학적 사생관은 물론 불교와 도교의 사생관에 대한 이해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율곡의 사생관은, 비록 영혼의 불멸과 행복한 사후의 세계에 대한 종교적 희망의 메세지를 전하지는 않지만, 생명의 현실과 미래, 그리고 그 가치를 합리적으로 사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Today the problem of death appeal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 in Korea. Korea is first in international suicide statistics, the average length of life is more than 80 year.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view of death and life in Korea is urgently required to establish the proper mental attitude about death and life. In this sense I will do a paper on Yul-Gok`s thought about death and life, who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cholar in Chosun Dynasty. His thoughts had strong influence on the Korean`s view of death and life. He remained several good schemes for death and life, phantom, Taoist hermit, pray, medicine. We can see the Confucian thoughts about death and life of Chosun Dynasty as well as the critical view on the Buddhism and Taoism. Yul-Gok`s thoughts about death and life gives us the reasonable way to think about death and life, though it is not the fantasy, eternal life in Heaven.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예학(禮學)과 변례(變禮) 논의(論議)에 대한 연구 -<사의(士儀)>에 보이는 변례(變禮) 변의(辨疑)를 중심으로-

        최일범 ( Il Beom Choi ),김병현 ( Byoung Hyun Kim ),이상성 ( Sang Seong Lee ) 온지학회 2012 溫知論叢 Vol.0 No.32

        조선시대 禮學思想의 연구는 최근의 禮學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고는 예학에 대한 철학적 접근으로 개별 학자들의 학문경향이 드러나는 變禮를 초점으로 잡았다. 變禮란 현실의 특수한 상황에 대한 도덕관념으로서의 禮의 意義에 부합하는 적절한 儀節이 상정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후 經學的으로 정식화되면 常禮로 기능하게 된다. 禮經인 『周禮』, 『儀禮』, 『禮記』 등도 애초에는 다양한 인간관계와 상황에 대하여 본래적 禮義 즉 도덕관념으로서의 禮에 부합하는 儀節과 法度에 대한 규정이라는 점에서 禮의 常·變的 구조에서 예외는 아니다. 정식화된 과거의 禮儀를 연구하는 것도 예학이지만, 常禮의 이면에 내재된 變禮의 時宜性을 두고 치열하게 전개된 學者들의 학문적 문제의식이 어떠한가를 살펴보는 것이 禮學에 접근하는 철학적 방법론이 될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變禮를 중심으로 하되 조선시대 禮學을 사상사적으로 이해하는 단초로서 중국의 明末·淸初 당시 禮學의 특징적 전개양상에 주목하여 18세기 대표적인 禮學者 가운데 한 사람인 許傳의 變禮 논의를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明代의 家禮學的 경향이 淸代의 儀禮學的 경향으로 전환된 점, 그리고 淸代 考證學的 방법론에 입각한 당시 禮學의 경향이 議禮와 考禮라는 두 가지 특징으로 조망된다는 점이 18세기 조선시대 학자들의 禮說에서도 적용가능한지 여부를 타진하는 것이다. 許傳은 18세기의 학자로서 許穆과 李瀷 등을 계승한 畿湖 南人學者이며 星湖學派의 계승자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16·17세기의 주요 變禮였던 喪服 變禮에 대하여 『士儀』의 「喪服辨疑」와 「論禮篇」에서 논의하였다. 이들을 중심으로 淸代 禮學의 방법론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議禮와 考據의 小學的 방법론이 당시 주요 變禮들의 핵심적인 禮律이었던 ``爲人後``, ``父爲長子``, ``代服`` 조목에 대한 논의에서 드러나는 양상, 그리고 나아가 이것이 前時代 禮學의 특징과 일정한 차별성을 가지고 있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Recently, study and research on Chosun Dynasty`s Rites tend to increase more. Rites are what assign moral meaning to particular situation of reality; especially, this is called ``Change of Rites.`` If this changing Rites become fixed after long years, it becomes ``Unchanging Rites.`` The scriptures about Rites such as 『Rites of Zhu』, 『Yili (The Ceremonies and Rites)』, and 『Book of Rites』 are those created through such process.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ories of Sung Jae Heo Jeon, one of the representative Rites scholars of 18th Century in order to study Change of Rites. He inherited Heo Mok and Yi Ik`s thoughts, among the previous scholars. Especially, major controversy of Changes of Rites in 16th and 17th Century has been on mourning clothes and he discussed this issue in detail in several chapters of his book 『Sa Yui (Rites of Classical Scholars)』. This discussion also shows how Chinese Qing Dynasty`s Rites has been changed in Chosun. Its major contents are to determine Rites` substance and fundamental reason. Heo Jeon earnestly studied on several major issues of the time such as ``discussion about becoming the first son of other house,`` ``discussion about what father should do if the house``s first son is bereaved,`` and ``discussion who should wear mourning clothes if the first son cannot wear it in funeral.`` His such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shows how those days`` Rites have been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time.

      • KCI등재

        조선성리학의 미발체인공부(未發體認工夫) 연구

        최일범 ( Choi Il Beom ) 퇴계학연구원 2013 退溪學報 Vol.134 No.-

        이 논문의 목표는 소위 도남학맥의 相傳指訣인 未發體認에 대한조선 성리학자들의 해석을 분석하고 그 현대적 의미를 고찰하는데 있다. 조선성리학에서 미발체인이 문제가 된 것은 주자가 자신의 스승인 李延平이 전해준 미발체인공부에 대해 이중적 태도를 보였기 때문이다. 주자는 스승인 이연평의 가르침에 대해 깊이 호응하지 못하고 방황하던 중 張南獻을 만나 湖湘學에 깊이 몰입하여 中和舊說을 발표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주자는 오래지 않아 다시 호상학에 회의를 품고 中和新說로 전향하였다. 주자의 공부법은 정명도에서 분화한 두계통, 호상학과 도남학을 경과하되, 양자의 공부법을 각각 動 일변과 靜 일변에 치우친 것으로 批判ㆍ止揚하고, 정이천의 관점을 수용하면서 성립되었다. 따라서 주자가 스승인 이연평의 체인공부에 대해 두가지 상반된 태도, 즉 일면 긍정적이면서도 결국은 부정적인 태도를 보인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연평의 미발체인에 대한 주자의 이중적 태도에 민감하였다. 조선 성리학자들의 미발체인에 대한 관점은 두 가지로 구분되는 바, 하나는 미발체인을 함양공부의 일종으로서 수용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수용의 여지를 보이되 결국은 비판적으로 귀착하는 것이다. 조선 성리학을 대표하는 李滉은 연평의 求中을“以不求求之”로 해석한 주자의 관점을 받아들이고, 李珥는 體認을“輕輕照顧”라는 새로운 개념으로 해석함으로써 미발체인에 대해 비교적 수용적인 관점을 보인다. 특히 田愚가 강조한“反身體勘”의 방법은 미발체인 공부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주목된다. 그러나 韓元震과 李震相는 상대적으로 미발체인 공부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인다. 한편 우리가 도남학맥의 미발체인을 연구할 때 주목해야 할 것은 현대 중국학자들이 제기한 새로운 해석이다. 이연평은 종래 주자의 啓蒙師 정도로 인식되어 별로 주목받지 못했지만, 牟宗三이”體認”을”本體論的超越體證”으로 해석한 후 劉述先이『朱子哲學思想的發展與完成』에서 모종삼의 관점을 수용하여 연평 사상의 특수성을 드러내었다. 이밖에 陳來가『朱熹哲學硏究』에서 주자의 중화설이 도남학맥으로부터 떨어져 程伊川으로 전향했다고 주장하고, 이어서 미발체인을 神秘主義 관점에서 해석한 것도 흥미롭다. 현대학자들의 연구 성과와 조선성리학자들의 미발체인공부를 비교, 연구함으로써 양자의 차이점과 공통점 및 그 철학적 의미를 발견하는 것은, 비단 전통 철학의 내용을 풍부하게 하는데 기여할 뿐 아니라 현대의 도덕심리학, 정신분석 혹은 정신치료 등의 영역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oncept of “realizing the state of mind before expressing(未發體認)” had been interpreted by Neo-Confucianists of Joseon Dynasty and to investigate its modern significance. Zhu-xi was not convinced himself of his teacher Li-Dong`s teaching, “realizing the state of mind before expressing”, inherited from the DaoNan school(道南學脈), and he was immersed in Zhang-Shi`s HuXiang Study(湖湘學). “The Old Theory of ZhongHe(中和舊說)” was presented that time. Before long, however, Zhu-xi became sceptical about “HuXiang Study” and changed his position to “The New Theory of ZhongHe(中和新說)” which sublate both “HuXiang Study” and the teaching of Li-Dong. According to Zhu-xi`s view, both ways of study were inclined to either “mental activity(動)” or “inner tranquillity(靜).” This is why Zhu-xi accepted Li-Dong`s way of “realizing the state of mind before expressing” and concurrently with skeptical to that. Zhu-xi`s ambivalent attitude, like this, was the reason why the “realizing the state of mind before expressing” became an issue in Joseon Neo-Confucianism. Joseon Neo-Confucianists, also gave ambivalent reponses toward the way of study, “realizing the state of mind before expressing”. Some embraced it as a way of practicing “the Piety(敬)” while others showed critical attitude to it. For example, Yi-Yi accepted it positively and presented the new methodology of “giving a consideration lightly(輕輕照顧)”, whereas Han-WonJin and Yi-JinSang maintained a critical stance to this concept. New interpretations of “realizing the state of mind before expressing” by modern Chinese scholars are worthy of notice, too. Mou-ZongSan interprets it as ontological transcendence, while Chen-Lai views it as religious mysticism. These approaches imply that it is possible to compare this concept with prototheory of analytic psychology and subconscious theory.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research of “realizing the state of mind before expressing” holds enormous potential to yield fruitful findings through comparative researches with fields including moral psychology, psychoanalysis, psychotherapy, and ethics of virtue.

      • KCI등재

        권극중 『참동계주해』의 환단(還丹) 원리에 관한 고찰

        최일범(Choi Il-Beom) 한국동양철학회 2007 동양철학 Vol.0 No.28

        본 논문의 목표는 권극중이 『주해』에서 설명한 독특한 환단(還丹)의 원리와 실천 과정을 구명하는데 있다. 환단이란 도교 내단 사상에서 단을 완성하는 실천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학파에 따라 서로 다른 이론을 수립하였다. 권극중의 내단 사상은 내단학파 중에서도 성명쌍수(性命雙修)를 주장하고, 그 중에서도 ‘선수명(先修命), 후수성(後修性)’, 즉 육체적인 수련을 먼저 이룬 후에 정신적인 수련을 완성함으로써 궁극적인 선인(仙人)의 경계를 추구하는 남종(南宗)의 종지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다. 권극중의 환단 원리의 독특함은 그가 단순히 기존 남종 내단학의 환단 사상을 답습하지 않고 태극, 선천일기, 음양, 오행 등 성리학적 세계관을 내단학과 결합하여 독특한 환단의 원리를 수립한데에 있다. 그의 환단의 이론 구조는 후천의 음양 형기(形氣)가 선천일기로 환원되어 태극에 화합하는 것으로 정리될 수 있다. 본 논문은 그 이론 구조를 분석하여 권극중이 성리학적 세계관과 도교 내단 사상을 어떻게 결합하였는지 살펴 볼 것이다. 먼저 오행생극의 중정과 과일의 문제를 다룬다. 즉 환단이란 곧 오행생극의 과일을 피해 중정을 추구하는 것임을 밝히고, 이어서 음양오행의 중정은 음양의 상반(相反)과 상제(相制)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짐을 밝힐 것이다. 다음에는 정기신(精氣神)을 일기삼원(一氣三元)의 구조로 해석하고, 끝으로 동류상감론과 채취론을 살펴볼 것이다. This paper aimed to make an investigation into the theory of Hwandan 還丹 by means of study JuyeokChamdongGyeJuhae周易參同契註解(written by Kwon Geuk-jung). JuyeokChamdongGyeJuhae is the annotation book of JuyeokChamdongGye周易參同契, Kwon presented a remarkable theory through it. Although Kwon"s thought was influenced by Namjong南宗(a school that assume a attitude toward physical training first, perfection of spiritual training later), he didn"t follow in it"s footsteps. He united Sung Confucianism to Naedan(內丹), and formed a unique theory of Hwandan. According to Kwon, EumyangHyeonggi陰陽形氣 of HuCheon後天 was restored to SeoncheonIlgi先天一氣, and it harmonized Taegeuk太極. Anything else, another special feature is bind up Naedan and Seonjong(禪宗).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