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남 청년 임금격차 실태

        강수현 ( Suhyeon Kang ) 충남연구원 2022 충남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2010~2020년 통계청 지역별고용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충남도 청년층의 임금격차 기초실태를 분석한다. 개별청년의 구분을 통한 다양한 집단의 임금격차를 비교할 수 있도록 타일지수 분해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충남청년은 2010년과 비교하여 2020년 시간에 따라 임금격차 수준이 완화된 것으로 나타난다. 평균임금이 더 낮은 집단, 즉 여성, 중졸 이하, 임시직 및 일용직, 단순노무직, 농림어업 및 서비스직에서의 지니계수 및 타일지수 개선 크기가 더 크게 나타남에 따라 임금격차 문제는 긍정적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성별, 교육수준별, 종사상지위별, 직종별, 산업별 등 요인구분을 통해 살펴보면 여전히 집단 간, 집단 내 구조적인 평균 임금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 기초한 전국추세와 달리 충남의 경우 집단 간 임금격차 문제보다 집단 내에서의 임금격차 문제에서의 개선을 더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 최저임금제도 개선, 고용창출 및 고용안정화 등의 제도를 통해 전체집단의 임금격차는 완화되어 온 것으로 나타나지만, 각 집단 내에서의 불평등도 개선에 대한 정책방향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wage disparity among young workers in Chungnam Province by using the Regional Employment Survey for 2010~2020. The Theil-decomposition method is used to compare the wage gap of various groups by classifying individual youths. As the magnitude of improvement of the Gini and Theil coefficients of the group with lower average wages was higher, the wage gap has been progressing in a positive direction. The wage gap between Chungnam youth appears to have eased with time between 2010 and 2020 however, examining factor classifications such as gender,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occupation type, and industry, reveals that a structural average wage gap remains between groups and within groups. In the case of Chungnam, in contrast to the national trend, it is essential to improve the within group wage gap more than between group wage gaps.

      • KCI등재

        기업의 수출과 총요소생산성: 자기선택가설 및 학습효과가설의 산업별 검증

        姜秀賢 ( Suhyeon Kang ) 한국국제경제학회 2020 국제경제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2008~2016년 우리나라 기업활동조사를 활용하여 기업의 수출활동과 생산성의 인과관계에 관련한 자기선택가설 및 학습효과를 검증한다. 한국을 대상으로 자기선택가설 및 학습효과를 검증한 선행연구는 제조업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산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 및 서비스교역의 증가에 따른 중요성을 인지하고 제조업 뿐만 아니라 서비스산업을 포함한다. 기업의 총요소생산성은 OLS로 측정할 시 발생할 수 있는 동시성과 선택편의의 문제를 통제하기 위해 Olley and Pakes(1996)방법을 적용하였다. 무역비용을 감당할 수 있을 정도로 생산성이 높은 일부의 기업만이 수출을 이행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자기선택가설 검증을 위해, 산업고정효과 및 패널 로짓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내수기업보다 수출기업의 생산성이 더 높다는 자기선택가설이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조업 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에서도 자기선택가설이 유효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출의 학습효과가설은 성향점수매칭기법 및 시스템 일반화적률법(system GMM)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수출이 기업의 생산성을 향상하는데 기여한다는 명확한 결론은 얻지 못했으며, 제한적으로 제조업보다는 서비스업에서의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Much of the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ity and export has focused on the manufacturing sector, though services have become the most dynamic sector of global trade and play an increasingly important role in international trade. To fill this gap,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whether the self-selection and learning-by-exporting hypothesis are valid for Korean services firms. Using OLS with industry fixed effects and the fixed-effects logit model, I find that exporters in manufacturing and service sector are more productive than non-exporters, and the more productive firms self-select into export markets. However, the empirical results for the learning-by-exporting hypothesis are mixed. Therefore, I do not find the evidence that exporting improves firm productivity.

      • KCI등재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하위유형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지각된 학교풍토의 조절효과

        강수현(Suhyeon Kang),이동형(Donghyung Lee)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1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하위유형(수줍음형 위축, 비사교형 위축, 절제형 위축)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를 지각된 학교풍토가 조절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광역시와 U광역시, G도에 소재한 6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734명을 대상으로 연구 변인들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단순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수줍음형 위축과 비사교형 위축은 초기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반면 절제형 위축은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으며, 학교풍토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주관적 안녕감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또한 지각된 학교풍토는 수줍음형 및 비사교형 위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교풍토를 긍정적으로 지각할 때 수줍음형 및 비사교형 위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이 줄어들었다. 즉, 수줍음형 및 비사교형 위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지각된 학교풍토가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개인의 사회적 동기를 고려한 하위유형뿐 아니라 학교풍토와 같은 맥락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이해할 수 있으며, 특히 수줍음형 및 비사교형 위축의 특성을 지닌 초기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학교풍토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social withdrawal subtypes (i.e., shyness, unsociability, and regulated withdrawal) and subjective well-being of early adolescents, and to examine whether perceived school climate moderates these relation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elf-report survey that measured research variables with 734 4<SUP>th</SUP> and 5<SUP>th</SUP> graders from 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 and U metropolitan cities and G province. Findings from simple correlational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both shyness and unsociability withdrawal predicted negatively subjective well-being of early adolescents, whereas regulated withdrawal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Moreover, perceived school climate was found to moderate the effects of shyness and unsociability on subjective well-being. Specifically, when school climate was perceived positively, the negative effects of shy and unsociable withdrawal on subjective well-being was reduced.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perceived school climate plays a buffering role in the relations of shyness and unsociability to subjective well-being.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implications of social withdrawal in early adolescence for well-being should be addressed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contexts such as school climate as well as its subtypes. In particular, highe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roles of positive school climate in order to enhance the students’ subjective well-being. Furthe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대학생 전기 포뮬러카 전비 향상을 위한 공력장치 개발

        강수현(Suhyeon Kang),오영식(Young Sik OH),차태호(Taeho Cha) 한국자동차공학회 2023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23 No.11

        The CHALLENGER team of Hoseo University is developing aerodynamic equipment products by manufacturing Eformula vehicles using high-voltage battery systems that use lithium batteries.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pack is important for motorized vehicles, so the proportion of aerodynamic resistance generated by the vehicle is high and needs to be improved. It reduces drag of aerodynamic devices and ensures the distance traveled by motorized vehicles

      • KCI등재

        청소년의 반응적 공격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사회적 고립과 지각된 학교풍토의 조절된 매개효과

        강수현,이동형,최주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5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반응적 공격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사회적 고립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지각된 학교풍토가 조절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광역시와 U광역시, G도에 소재한 4개 일반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822명을 대상으로 연구 변인들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반응적 공격성과 사회적 고립, 외로움 사이에는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었고, 학교풍토는 반응적 공격성, 사회적 고립, 외로움과 각각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반응적 공격성과 외로움의 관계를 사회적 고립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고립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지각된 학교풍토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여 긍정적인 학교풍토를 지각할수록 사회적 고립이 외로움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반응적 공격성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사회적 고립의 매개효과는 학교풍토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높은 반응적 공격성을 보이는 청소년이 사회적 고립을 통해 외로움을 경험하게 되는 심리적 기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러한 과정에서 긍정적인 학교풍토를 제고함으로써 청소년의 외로움을 완화할 수 있는 구조적이고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social isola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reactive aggression and loneliness, and to examine whether perceived school climate moderates such a mediating effect.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elf-report survey that measured research variables from 822 high school students in B and U metropolitan cities and G province in Kore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reactive aggression,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and school climat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reactive aggression,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Second, social isol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ctive aggression and loneliness. Third,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school clima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was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more positively school climate was perceived, the lesser the likelihood that social isolation would lead to loneliness.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active aggression and loneliness,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isolation was found to be less significant as the school climate was positively perceived, which supports the validity of the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chool climate. Our findings not only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a psychological mechanism by which adolescents with high reactive aggression experience loneliness through social isolation, but also suggests that systematic and multifaceted interventions are needed to alleviate loneliness by enhancing a positive school climate.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