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高麗詩話中“蘇詩”品評的幾個維度

        吳文善 영남중국어문학회 2023 중국어문학 Vol.- No.93

        When evaluating domestic poets, Goryeo Poetry talks(高麗詩話)often compares them with the poetry of ancient Chinese poets. It’s not only preserving the essence of domestic poetics, but also evaluating many famous ancient Chinese poets and poems. In the context of the rise of the “Dongpo fever” in Goryeo Dynasty, the evaluation of Su -Shi’s poetry was particularly important. Goryeo critics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Su's poetry as “The spirit of bold and generous, the style of rich and luxuriant”, and provided theoretical explanations from the dimensions of spirit(氣), way(法), and mind(意). These distinctive reviews not only showcase the literary trends and poetic characteristics of the Goryeo dynasty, but also provide an “exotic eyes” to understand Su’s poetry from another dimension.

      • KCI등재
      • KCI등재

        도시개발과 도시역사박물관의 조사연구에 대하여

        오문선 한국박물관학회 2008 博物館學報 Vol.- No.14·15

        민속학에서 도시나 현대에 대한 조사나 연구의 문제가 제기된 것은 1970년대 초반의 일이었 다 그러나 도시민속이란 무엇이고 어떤 것을 대상으로 하는 것 등에 대한 방향설정은 구체화 되지 않은 수준이다 도시역사박물관을 표방하는 서울역사박물관의 조사연구에 있어서 서울의 문화를 제한적으로 보는 이러한 시선들과 더불어 그 규모나 대상에 있어 그 유례가 드문 대규모의 역사(投事)인 개발사업은 서울민속 조사와 연구의 현실적인 출발점이다. 도시역사박물관을 표방한 이래 서울역사박물관은 조사연구과에 도시역사팀을 설치하여 서울 민속에 대한 조사를 추진해왔다. 수도이자 동시에 전국을 상권으로 하는 상업도시로서의 서울 의 특성을 기록하는 『서울 시장(市場)의 소리 』기록영화 제작을 필두로, 서울지역의 동제(洞察) 사례에 대한 조사보고와 기록영화의 제작하였다. 또한 서울시 한강르네상스 프로젝트와 관련해 한강변을 중심으로 한 동제(洞察)의 전승 등에 대한 기록영화 등을 제작한 바 있다. 이러한 일련의 조사활동은 2003년부터 뉴타운 개발로 인해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되었다 대 규모의 철거와 인구이동에 의한 변화가 예상되는 지역에 대한 일종의 구제조사로서 뉴타운 민 속지의 제작이 시급하게 이루어 졌다. 사례에 따라 다르지만 하나의 뉴타운 지역은 인구나 개발 규모로 볼 때 한 개의 군(那)이나 소규모 도시와 비교할 수 있을 정도로 방대한 규모이다. 2007 년부터 시작한 뉴타운 민속조사는 한남 뉴타운에 속한 용산구 보광동의 사례를 첫 조사대 상으로 삼았다 2008년에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대규모의 개발이 이루어졌던 서울 강남 구 - 서초구 지역의 원주민을 대상으로 한 생애사와 사진자료 수집을 중심으로 민속조사를 실시 하였다. 이후 2008년 하반기에는 서대문구 남가좌동과 북가좌동 일원의 가재울 뉴타운 지역을 대상으로 문헌조사와 생활풍습과 생애사 연구, 건축물의 실측과 도변 작성, 사진기록과 수집, 기록영화 제작 등을 내용으로 하는 도시민속 조사를 완료하였다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민속지의 본질적 의미 자체는 변함이 없으나 민속지의 활용범위는 크게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런 변화된 상황속에서 민속조사의 기초자료인 민속지는 민속전승 그 자 체나 전승환경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민속지가 연구의 기초자료 의 수준을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참고

      • KCI등재

        용산 둔지미의 공간적 역사와 삶의 지속

        오문선 서울역사편찬원 2014 서울과 역사 Vol.- No.87

        2017년으로 다가온 용산기지의 이전은 용산기지의 활용에서부터 문화유산으로서의 보존에 이르기까지 여러 관심들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이러한 관심들은 용산이 갖고 있는 역사성을 발견하여 반영하고자 하는 입장을 가지고 있지만, 군기지라는 공간적 특성과 그곳에 남아있는 물리적 실체들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용산기지의 미래를 위한 역사적 인식은 군기지로 표상화된 공간과 시간에 주목하는 것을 벗어나 그곳에 살았던 사람들에 주목함으로써 용산의 역사적 실체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용산기지가 본래 마을을 꾸리며 살아가던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었음과 쫒겨간 그들의 삶이 새로운 곳에서 지속되고 있음에 주목하여, 용산기지에 있었던 둔지미에 대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둔지미가 있었던 둔지방은 신설된 방으로, 둔지방과 같은 새로운 방의 신설은 조선 후기 한양으로의 인구집중에 의한 것이었다. 둔지미 마을의 중심가계는 충순위 김극제를 시조로 한 김해 김씨 충순위공파로, 훈련도감과 같은 도성삼군문의 군직에 종사했던 무관가계였다. 이들은 양인신분에서 점차 신분상승을 이루어, 둔지미에서 지도자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둔지미 일대는 논보다는 밭이 우세한 지역이었으나, 토지에만 의존한 생업을 꾸려갔을 가능성은 낮은 편이다. 조선 후기 서울로 유입된 농촌 이주민들은 도성 밖 한강지역에 정착하여 주로 노동을 중심으로 생업을 꾸려갔던 서울의 하층민이었다. 이러한 생업적 양상은 농촌인구의 대량유입으로 인해 이미 조선 후기부터 지속된 것으로, 둔지미 사람들의 생업 또한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에 용산일대가 군사용지로 수용되면서 둔지미는 두 차례의 강제수용과 이전을 겪어야 했다. 1908년 군용철도의 건설과 1916년 신설사단의 설치로, 두 차례의 강제수용과 이전이 이루어졌다. 1916년의 두 번째 강제수용과 이전을 겪어야 했던 둔지미 사람들은 보광동 위쪽에 정착하였고, 둔지미 사람들이 정착한 일대에는 ‘新普光里’라는 새로운 지명이 생겨났다. 강제수용과 이전을 당하게 된 둔지미는 마을 전체가 같은 지역으로 이주함으로써 일정한 부분에서는 마을문화의 지속이 가능했다. 1960년대 이후 서울이 압축성장시기에 거치며 유입된 인구와 도시화속에서 둔지미의 마을문화는 상당부분 약화되었다. 그러나 둔지미 마을공동체신앙으로서의 부군당제와 둔지미 원주민의 후손인 ‘신보광동 세대’를 중심으로 한 비공식 사회조직은 오늘날까지 둔지미의 정체성과 둔지미 마을문화가 지속되어 오고 있음을 보여준다. 용산기지는 한국근현대사의 비극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곳으로서, 일종의 負의 遺産)에 속한다. 용산기지가 용산공원으로서의 미래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폐쇄적인 공간으로서의 용산기지와 그 안에 남겨져 있는 군사기지로서의 물리적 실체에 집중되는 관심을 넘어서야 한다. 그리고 그 시작은 그곳이 본래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었다는 사실과 그것이 어떻게 박탈되어 군기지화되었는에서부터 출발하여야 한다. 그럼으로써 용산기지가 가진 문화유산으로서의 의미와 용산기지의 미래를 온전히 밝혀갈 수 있을 것이다. Yongsan base relocation which will be made in 2017 is increasing multiple interests ranging from the use of Yongsan base to the conservation as cultural heritage. These interests have the perspectives to discover and reflect the historicity of Yongsan, but are focused on spatial characteristics as the military base and physical reality remaining in it. However, historical awareness for the future of Yongsan base can come to the historical reality of Yongsan closer by paying attention to those who have lived rather than space and time as the military base. In this paper, we attempt the approach for Dunjimi located in Yongsan base because we pay attention to the fact in which Yongsan base is the living foundation of those who have originally formed the village and those who have been kicked out continue to live in a new place. Dunjimi is located in Dunjibang which is a newly made bang. Construction of a new bang like Dunjubang is caused by population concentration in Hanya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Central family line of Dunjimi village is the sub-lineage of Chungsunwi in the Kim family from Gimhae whose founder is Chungsunwi, Kim, Geuk Je. They work in military work of Doseongsamgunmu like Hunryeondogam. They are gradually upwardly mobile from ordinary people and serve as leaders in Dunjimi. Field is more dominant in the Dunjimi area rather than rice paddy, but it is unlikely to manage occupation relying on only lands. Those who migrate from rural area to Seoul settle down in areas around Han River and manage occupation mainly focusing on the labor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y belong to the underclass in Seoul. Such aspect of occupations is continued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due to the massive influx of the rural population. Occupation of people in Dunjumi is also believed to be the same. As Yongsan area is used as military land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Dunjimi has experienced compulsory acquisition and relocation twice. With construction of military railway in 1908 and foundation of new division in 1916, compulsory acquisition and relocation are made twice. Those who experience the second compulsory acquisition and relocation in 1916 settle down in the area next to Bogwang-dong. It has a new name of area like ShinBogwang-ri. Dunjimi keeps village culture in certain parts, because the entire village migrates to the same area even if it experiences compulsory acquisition and relocation. Since the 1960s, village culture of Dunjimi is significantly weakened due to migrated population and urbanization as Seoul goes through the compression growth period. However, Bugundangje as a faith of Dunjimi community and informal social organization based on the generation of Shinbogwang-dong that is descents of native people in Dunjimi show that identity and village culture of Dunjimi is being continued. Yongsan base is a place which retains the tragedy of modern history of Korea and belongs to a sort of heritage of bu. We have to get over the interests in a closed space and physical reality as the military base remaining in Yongsan base in order to make the future as Yongsan park. In addition, it should start on the basis of the fact in which it is the foundation of those who lived before and the process of compulsory acquisition for military base. Through this study, we can fully reveal the meaning and future of Yongsan base as the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근현대시기 용산 둔지미와 둔지미 부군당의 추이

        오문선 국립민속박물관 2015 민속학연구 Vol.0 No.37

        According to the article 4 of Korea-Japan Treaty of 1904, Japanese military base was built in Yongsan. Dunjimi was forcibly relocated to the area of existing Yongsan Family Park in 1916. It was expropriated again as the Japanese empire organized the 20th division of their army in 1916 and then, it was relocated in group to Bogwang-ri, Hanji-myeon, Goyang-gun, Gyeonggido (Bogwang-dong, Yongsan-gu at present). In October, 1919, 2 years after forced migration, Dunjimi people moved Muhumyo and Bugundang which were situated in Dunjimi to the newly settled village for enshrining together. The fact that Dunjimi Bugundang and Muhumyo were moved in 1919 in the course of immigration twice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ism and were rebuilt in the newly settled village in 1964 clearly shows recognition of Dunjimi people on Bugundang as a pivot of the village in modern period. Dunjimi Bugundang still keeps relatively sufficient records and one can specifically investigate history of Dunjimi and Dunjimi Bugundang, overall process of Bugundang rebuilding, and various situations thereof. In the rebuilding process of Bugundang in 1964, attention is drawn to formation of organization, role sharing, and preparation of rebuilding expenses. Besides that, there appeared public opinion and process of collecting the opinion of additional enshrining of admiral Yi Sun-shin as well as the fallen soldiers from Dunjimi. Formation of organization to rebuild Bugundang was made in a way to expand existing ritual ceremony and specific role sharing was made. Expansion of organization for rebuilding and role sharing also included strategic aspect to operate the organization efficiently and to prepare expenses necessary for the rebuilding . In the process, urbanization of Bogwang-dong area in Yongsan-gu during the compressed growth was reflected, and it is known that basis of victory was expanded from Dunjimi natives to local residents from the fact that people from other regions also participated in the rebuilding of Bugundang and Bugundang-je. During the process of Bugundang rebuildingin 1964, external efforts were considerably made in order for Bugundang, an unlicensed and unregistered building, to become a licensed building. External activities done the in the process of Bugundang rebuilding were much relied upon individual recognition or competence. During the process of Dunjimi Bugundang rebuilding, there appeared public opinion of additional enshrining of admiral Yi Sun-shin and the fallen soldiers from Dunjimi. Such opinion was made from patriotic discourse in the national level and personal spontaneity in the individual level, which attracts our attention as recreation of tradition. Through this, we can see reinventing momentum of tradition is promoted by role of leading public opinion. 1904년 한일의정서 제 4조에 의해 용산에는 1906년부터 일본군의 기지가 건설되었다. 용산기지에 수용된 마을 가운데 둔지미는 1908년에 현재의 용산가족공원 일대로 강제 이전(移轉)되었다. 1916년 일제가 일본군 20사단을 편성하면서 둔지미는 또 다시 수용되었으며, 1917년에 경기도 고양군 한지면 보광리(오늘날 용산구 보광동)에 집단이주하였다. 둔지미 사람들은 강제 이주 2년 뒤인 1919년 10월에 둔지미에 있던 무후묘와 부군당을 새롭게 정착한 마을에 이전하여 합사(合祀)하였다. 일제강점기 둔지미가 두 차례나 이주당하는 과정에서 1919년 둔지미 부군당과 무후묘가 이전(移轉)되고 새롭게 정착한 마을에서 1964년 중수(重修)되었던 사실은 근현대시기 마을의 구심점으로서의 부군당과 이에 대한 둔지미 사람들의 인식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둔지미 부군당에는 둔지미 부군당의 연혁과 중수의 진행과정에 대한 기록자료들이 드물게 잘 남아 있어서, 둔지미와 둔지미 부군당의 연혁과 부군당 중수의 전체적인 진행과정, 그 과정에서 전개된 여러 상황들을 구체적으로 살펴 볼 수 있다. 1964년 부군당의 중수과정에서는 부군당을 중수하기 위해 조직의 구성과 역할분담, 중수 경비의 마련 등이 주목된다. 그 밖에 이순신 장군과 둔지미 출신의 전몰장병 등을 추가로 봉안하고자 하는 여론과 이에 대한 의견의 수렴과정 등이 나타났다. 부군당의 중수를 위한 조직구성은 기존의 제의조직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구체적인 역할의 분담이 이루어졌다, 중수를 위한 조직의 확대와 역할 분담은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중수에 필요한 경비를 마련하기 위한 전략적 측면도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는 압축 성장 시기의 용산구 보광동 일대의 도시화가 반영되었는데, 원주민 외에 보광동에 정착한 외지인들 또한 부군당의 중수와 부군당제에 참여하게 됨으로써 전승의 기반이 둔지미 원주민 중심에서 지역민으로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64년의 부군당 중수 과정에는 미등기 상태의 무허가 건물이었던 부군당을 합법적인 건물로 만들기 위한 대외적인 노력도 상당히 전개되었다. 둔지미 부군당의 중수과정에서 이루어진 대외적인 활동은 개인의 인지도나 역량에 상당히 의존하였다. 둔지미 부군당의 중수 과정에서는 이순신 장군과 둔지미 출신의 전몰장병을 추가로 봉안하고자 했던 여론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여론의 발생은 국가적 차원의 애국적 담론과 이에 부응하는 개인적 차원의 자발성에 의한 것으로, 전통이 재창조되는 계기로서 주목된다. 이를 통해서 전통이 재창조되는 계기가 몇몇의 여론을 선도하는 역할에 의해 추동될 수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