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한국산 살구씨앗의 단백질 및 아미노산 조성

        남궁석(Sok Nam Kung),이정윤(Jeong-Yu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8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16 No.4

        廢棄種實을 食糧資源에 利用하기 위한 硏究의 一環으로서 살구씨의 蛋白質 成分을 分析한 結果는 다음과 같다.<br/> 1. 살구씨의 一般成分 中 粗蛋白質은 23.34%였다.<br/> 2. 鹽溶解性 蛋白質의 抽出率은 35%, 아미노산 組成은 glutamic acid가 가장 높은 含量이었고, 다음이 aspartic acid, arginine의 순이었다.<br/> 3. 살구씨 蛋白質의 電氣泳動 結果 9개의 band를 나타내었고, 分劃된 主蛋白質의 收率은 약 40.1%였다.<br/> 4. Sephadex 200 gel 여과법에 의한 정제단백질의 분자량은 110,000이었으며, 1% SDS-polyacrylamide gel 전기영동에 의한 subunit 主蛋白質 分子量은 49,000이었다. Th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apricot seed as resources of food protein. The apricot seed contained 23.3% of crude protein. The salt soluble protein of apricot seed was highly dispersible in 0.2M sodium phosphate buffer containing about 0.3M MgSO₄, and the extractability of seed protein was about 35%. Major amino acid composition of apricot protein were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The electrophoretic analysis showed 9 bands in apricot seed protein. Molecular weight for the main protein of the apricot seed separated by 1% SDS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as 49,000. Molecular weights of salt soluble protein measured by Sephadex G-200 was 110,000.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김치類 貯藏中 pH 및 窒酸鹽과 亞窒酸鹽 含量의 變化

        남궁석 서울保健大學 1982 論文集 Vol.2 No.1

        깍두기, 배추김치, 열무김치의 冷藏 및 室溫貯藏중 pH와 窒醒根 및 亞窒酸根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H의 변화는 담근직후 깍두기 6.5, 배추김치 6.2, 열무김치 6.1이었으나 5℃冷藏 貯藏중 pH변화는 상당히 완만하게 떨어져 28일에 각각 6.25, 5.60, 5.60에 달하였다. 2) 25℃室溫 貯藏중에는 1일 경과후 각각 4.65, 4.90, 5.10으로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H의 증감경향이 달라져, 깍두기는 계속 떨어졌으나 배추김치와 열무김치는 각각 5일에 4.2, 4일 4.1까지 달하였다가 다시 13일째에 각각 6.5, 6.7로 상승하였다. 3) 窒酸根함량은 담근직후에 깍두기 409.5ppm, 배추김치 1174.6ppm, 열무김치 1056ppm이었으나 5℃貯藏의 경우 깍두기는 20일에 최고로 상승하여 743.5ppm에 달하였다가 그후 감소하여 24일에 최저 161.6ppm 까지 떨어지다가 24일째 다시 상승하는 경향이었고, 배추김치는 4일째 최고 1191.6ppm으로 약간 상승하다가 계속 떨어져 24일에 최저 528.0ppm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상승하는 경향이었으며, 열무김치는 6일째 최고 1180.3ppm까지 달하였다가 계속 떨어져 24일에 최저 452.6ppm이 되었다가 다시 상승하였다. 그리고 25℃ 貯藏 경우는 전반적으로 서서히 감소하여 13일에 각각 344.8ppm, 400.0ppm, 350.0ppm으로 계속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4) 亞窒醒根함량은 담근직후 깍두기 7.24ppm, 배추김치 2.60ppm, 열무김치 5.40ppm 이었으 나, 5℃ 貯藏의 경우 2일째 급격히 감소한 후 아주 낮은 상태로 지속되다가 20일을 전후하여 깍두기 3.9ppm, 배추김치 3.7ppm, 열무김치4.1ppm으로 다시 상승하다가 그후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25℃ 財藏의 경우는 전반적으로 서서히 감소하여 13일에 각각 344.8ppm, 400.0ppm, 350.0ppm으로 계속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Nitrate accumulated in vegetables can, via NO_(2) during storage and after their ingestion, cause the formation of methemoglobin and many of which are carcinogenic in human body. Especially such vegetables with the highest consumption in Korea as chinese cabbage and raddish frequently showed that high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could accumulate. Therefore, pH and the content of nitrate and nitrite of Korean pickles made of upper vegetables, viz, Baichu Kimchi, Yulmookimchi and Kakdooki were estimated during storage at the conditions of 5℃ and 25℃ Storage at 25℃ generally led to the more rapidly than that at 5℃ But changes of nitrite level showed very low variation in all tested Kimchi.

      • 글루타민산나트륨-글루코스 Maillard 반응생성물이 E. coli WP2 uvrA에서의 돌연변이원성에 미치는 효과

        유영식,남궁석,양철영 서울보건대학 1995 서울보건대학 부설 한국보건과학연구소 논문집 Vol.2 No.1

        과거에서부터 식생활에 이용되어온 MSG를, 조리시를 가정하여 1M농도로 glucose와 가열하여 반응 생성된 MRP에 대하여, E. coli WP2 uvrA에서의 돌연변이원성을 검색한 결과, 그 자체에 돌연변이원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한편 전형적인 돌연변이원/발암원으로 알려진 MNNG 및 AF-2의 돌연변이원성을, MRP 투여 0.1~0.4ml/plate 범위에서 70%정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MRP가 MNNG 및 AF-2의 돌연변이원성을 화학적 또는 효소적으로 반응하여 파괴하는 demutagen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For the vast majority of all known protein, glutamic acid is the major amino acid. and also largely present in its free form in animal and plant tissues. Monosodium glutamate(MSG) is widely used as a flavoring agent in cooking, presumably as a taste stimulant and a flavor enhancer. Accordingly,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on the physiological, biochemical, and toxicological properties of MSG. Although extensive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MSG, there is still room for argument on its safety. It is well known that heated food systems contained hundreds of chemical compounds; some being mutagenic and others being antimutagenic. MSG-glucose Maillard reaction product(MRP) was prepared by boiling of 1M-MSG and equimolar glucose solutions for 10hr in a water bath. Mutagenicity was measured in tryptophan requiring strains of Escherichia coli WP2 uvrA by the pre-incubation method. MRP was not found to be mutagenic and did not exhibit spontaneous mutation at the dose range of 0.1~0.4ml/plate. It did, however, inhibit the mutagenicities of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 and 2-(2-furyI)-3-(5-nitro-2-furyl)acrylamide(AF-2) without any decrease of cell survivals. MRP exerted a desmutagenic effect on mutagens directly before they acted on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