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ase report: secondary infertility after pulmonary tuberculosis treatment

        ( Sunsuk Kim ),( Jongkil Joo ),( Sieun Han ),( Hyekyung Noh ),( Kyusup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6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대회 Vol.102 No.-

        The association between pulmonary tuberculosis (TB) and female reproductive health problems is not well addressed. This case show the need to estimate the effect of pulmonary TB on menstrual patterns and fertility of women in childbearing age. The reasons for menstrual abnormalities after TB treatment can be associated with possible antigonadotropic effect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and increased enzymatic catabolism of estrogen caused by antitubercular drug-rifampicin affecting luteinizing hormone surge. A 32 years old multiparous woman presented to our infertility clinic in April 2015 with two year history of secondary infertility. She had a history of therapeutic termination of pregnancy at 13 weeks gestation by dilatation and evacuation due to multi drug resistance tuberculosis in 2012. And she had induced abortion due to severe hyperemesis gravidarum at 8 weeks gestation in 2010. After tuberculosis medication, she tried for a natural pregnancy for a period of 1 yr with no success. She had been investigated extensively for infertility. Noting had been found except showing polycystic ovary, and two timed intercourses with clomiphene citrates and three intrauterine insemination treatment failed. After this she underwent one cycle of in vitro fertilization (IVF), which resulted in the full-term, normal delivery of a healthy baby at 39 weeks. Any disease which is associated with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can change menstral patterns. However, hypomenorrhea, amenorrhea and irregular menstration has been described in a substantial number of patients with pulmonary TB. Acccording to one study, very high (90.9%) incidence of menstrual dysfunction was observed in TB patients which was similar in pulmonary (90.5%) and extrapulmonary (91.7%) TB cases. But the reason for this is poorly understood. TB is still an important cause of mortality and morbidity all over the world. We need to study the association with menstrual dysfunction and pulmonary TB.

      • KCI등재

        유아의 숲체험 활동이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

        김선숙 ( Sunsuk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본 연구는 유아의 숲체험 활동 경험의 정도에 따라 감성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J시에 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16명씩을 대상으로 숲 체험을 주 1회와 월 1회로 나누어 총 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김경애(2011)의 교사용 감성지능척도를 사용하여 t-검정, 비모수적 방법을 SPSS 2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숲체험 활동은 유아들의 감성지능이 향상되었고, 둘째, 매주 1회 실시할 경우가 월 1회 실시할 때보다 유아의 자기조절과 감정이입능력에 효과가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숲 체험 활동을 자주한 집단이 자기조절과 감정이 입능력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숲에서는 스트레스 요인을 극복하고서 느끼는 성취감과 자아존중감이 증가되어 감성지능이 발달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children’s forest experience activity experience. To this end, the forest experience for 16 children’s aged 5 years old in J city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32 children’s by dividing them into one weekly and one monthly. T-test and Mann-Whitney method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using Kyung-ae Kim(2011)’s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for teachers. Research result, First,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have improv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s. Second, once a week, the self-regulation and empathy skills of children were more effective than when performed once a mon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oups frequently engaged in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have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self-control and empathy skills, and that in forests, emotional intelligence is developed by increasing the sense of achievement and self-esteem by overcoming stress factors.

      • KCI등재

        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행복요인 차이

        김선숙 ( Kim Sunsuk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7 사회복지연구 Vol.48 No.3

        본 연구는 양육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아동(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가정에서 거주하고 있는 아동(일반아동)과 주관적 행복감을 비교하여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반아동 자료는 한국아동의 삶의 질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2,597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시설아동의 자료는 전국의 236개의 아동양육시설 중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참여방법에 대한 설명을 듣고 조사참여에 동의한 총 141개 기관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교 1학년 아동 246명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문제, 아동의 주관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두 집단에서 서로 다른 수준을 보일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잠재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 자기자신에 대한 만족, 가족에 대한 만족, 학교에 대한 만족,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 시설아동과 일반아동의 두 집단에서 차이를 보일 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다집단 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과 자신에 대한 만족, 학교에 대한 만족은 시설아동이나 일반아동의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가정에 대한 만족은 일반아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은 시설아동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경로가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 이르는 경로 중 자신과 학교에 대한 만족이 주관적 행복감에 이르는 경로와 자기자신에 대한 만족에 이르는 2개의 경로 즉, 학교와 지역사회에 대한 만족이 자신에 대한 만족에 이르는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d on differences in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between children who are raised at their own homes and those raised at the residential institutions. This study used two kinds of data sets, one from survey on subjective well-being of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support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other from survey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 Korea conducted by Social welfare research center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Save the Children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children raised at their own homes and children raised at residential institutions i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satisfaction with him/herself,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However, there is higher satisfaction with family in children raised at their own hom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higher satisfaction with community in children raised at residential institutions. There are difference factors effect on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between the two groups. Most of all, satisfaction with him/herself is very important factor to improve children`s subjective well-being in residential care.

      • Thiolactic acid를 활용한 퍼머넌트 웨이브제의 역학적 특성

        정선숙(SunSuk Jung),김한식(HanShik Kim) 한국뷰티산업학회 2006 뷰티산업연구 Vol.1 No.1

        환원제인 티오젖산을 퍼머넌트 웨이브제로서의 유용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모노에탄올아민 티오젖산염을 제조하고 모발에 대한 역학적․형태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정제수에 모노에탄올아민을 알칼리제로 사용하여 pH 9.0 용액을 제조하여, 모노에탄올아민 티오젖산염(MTL), 모노에탄올아민 티오글리콜산염(MTG), 엘 시스테인 염산염 일수화물(L-C)을 환원제로 하여 pH 9.0의 퍼머넌트 웨이브 제1제를 제조하였다. 환 원제 함량과 처리온도에서의 역학적 특성은 함량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인장강도는 감소하였고, 신장율은 증가하였다. 각 환원제의 환원력을 비교한 결과 25℃, 35℃, 45℃에서 모노에탄올아민 티오젖산염과 엘시스테인 염산염 일수화물과 거의 유사하였으며, 55℃에서는 모노에탄올아민 티오젖산염과 모노에탄올아민 티오글리콜산염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utility of a reducing agent by thiolactic acid on morphology and dynamics properties of human hair. Permanent wave lotions were utilized which were manufatured with monoethanolamine of alkali agent, water, reducing agents of MTL(monoethanolamine thiolactate), MTG(monoethanolamine thioglycolate), L-C(L-cysteine monohydrochloride). The methods were applied permanent wave to manufactured reducing agents, formation of wave, images of the hair surface by SEM, measurement of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by Rheome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roperties of content of reducing agents and temperature were decreased tensile strength in much content increased elongation. The rate of reduction was indicated to MTL ≒ LC in 25℃, 35℃, 45℃, MTL ≒ MTG in 55℃.

      • KCI등재
      • KCI등재

        보호대상아동 패널 구축을 위한 델파이 조사연구

        이정애(Lee, JungAe),조소연(Cho, SoYeon),김수경(Kim, SooKyung),김선숙(Kim, SunSuk)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2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아동에 대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위해 보호대상아동 패널구축을 모색하기 위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계 · 현장전문가를 대상으로 진행된 델파이 조사에서는 총 26명의 전문가가 참여하였으며, 통합패널 구축에 대한 필요성과 방안에 대한 내용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아동 관련 패널의 전반적인 역할과 기능, 통합패널 구축 필요성, 통합패널의 우려점, 통합패널 구축 설계방향, 통합패널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내용, 한국 아동복지 정책 및 실천에서 통합패널의 역할, 통합패널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한 내용이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복지 실천현장과 정책수립에서의 통합패널 필요성과 구축방안 등에 대한 내용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 effective method to establish integrated panel to systematically support vulnerable children . A delphi-survey was conducted with 26 experts in the academia and the field. The participants responded on the needs, integration method, and significance of establishing an integrated panel. The participants emphasized the general function of a panel study in relation to the child, as well as the integrated panel’s needs and concerns, direction and detailed construction, role within the Korean child welfare policy and filed area, and activation plan.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ed the needs of an integrated panel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on its establishment.

      • KCI등재

        주거빈곤기간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임세희(Lim Se Hee),김선숙(Kim Sunsuk) 한국아동복지학회 201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6

        본 연구는 아동기의 주거빈곤기간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기존연구를 통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의 주요 영향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가족관계나 또래관계,그리고 학교적응이 주거빈곤기간과 청소년의 행복감 사이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동 · 청소년이 행복한 사회가 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의 일환으로써 주거복지정책은 어떠한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하는지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제1,4,7차년도 자료를 이용 하였으며, 7차년도 아동부가조사에 최종 조사 완료한 512명의 고등학교 연령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주거빈곤기간은 최저주거기준미달기간과 주거비과부담기간을 통해 측정하였다. 매개변수로 사용한 가족관계는 부모의 교육참여, 부모의 지도 감독,가족갈등을 통해 측정하였으며,학교적응은 학교환경과 학교유대감, 그리고 또래관계는 친구애착과 친한 친구의 또래애착으로 측정하였다. 종속 변수는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청소년의 성별과 가구소득의 영향을 통제하였다. 분석 결과,최저주거기준미달 기간이 길수록 가족관계와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저주거기준미달로 인한 부정적 가족관계는 청소년의 학교 적응과 또래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주거비과부담기간의 경우 주거비과부담기간이 길어질수록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이 직접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 요컨대 최저주거기준미달기간의 경우 가족관계를 통한 간접적 효과가 있는 반면에 주거비과부담기간의 경우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직접적으로 부정적 효과가 확인되었다. 주거빈곤기간이 길수록 아동권리보장의 최종상태라 할 수 있는 주관적 행복감에 부정적이라는 본 연구결과는 아동 · 청소년 가구의 주거빈곤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적 노력을 요구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housing poverty in childhood on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major factors that have been known to affect adolescents` well-being (i.e., family relationships, peer relationships, school adjustment etc.)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ing poverty and adolescents` well-being. And then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n empirical evidence for establishing policies against housing poverty in order to enhance adolescent`s subjective happiness. Data were derived from the 1,4,and 7 surveys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KOWEPS)s and the sample included. 512 high school children in the 7fe survey. This study util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Housing poverty was measured by the sub-minimum standard housing condition and the household`s burden of housing expenditure. Family relationship, as a mediator, was measured by parental involvement in education, parental monitoring, and family conflicts. Another mediator, school adjustment was measured by school environment and school bonding, and the last mediator, peer relationship was measured by friend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The results showed that housing poverty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The sub-minimum standard housing condition with inadequate size and facilities negatively affected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family directly and subjective well-being indirectly. In addition, the negative family relationships due to the sub-minimum standard housing condition negatively affected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school adjustment and peer relationships. The greater the proportion of income a household spends on housing expenditure, the less likely for adolescents to report positive well-being. The sub-minimum standard housing condition had indirect effects through family relationships, whereas the household`s housing expenditure directly affected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s to alleviate housing poverty for adolescents` families and lays the groundwork for housing poverty polici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