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Way to Teach Student-led Inquiry Activity of ‘Science Inquiry-Experiment’ Subject in High School

        ( Bongwoo Lee ),( Kew-cheol Shim ),( Jeongwoo Son ),( Jongseok Park ),( Kiyoung Lee ) 한국생물교육학회 2018 생물교육 Vol.46 No.2

        The subject ‘Science Inquiry-Experiment’ was newly introduced in the 2015 revision of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South Korea. Korean high school students should learn the ‘Science Inquiry-Experiment’, which was developed to activate the student-led inquiry activity in high school science. In this paper, we are to suggest the types to teach scientific inquiry for ‘Science Inquiry- Experiment’. The contents of it should have various inquiry activities including investigation, experiments and projects. We suggested three types of module to teach the student-led inquiry activity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level and school conditions. Type I was the module for inquiry activity of 1 theme per 1 school hour. Type II was the module for inquiry activity of 1 theme per 2 school hours. Type III was the module for project-based inquiry activity. They can be useful for teaching experiment-based scientific inquiry to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 KCI등재

        기후변화 소양 측정을 위한 검사 도구 개발Ⅰ:기후변화 관련 과학 개념

        이세연(Lee, Seyeon),조헌국(Jho, Hunkoog),이봉우(Lee, Bongwoo)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1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기후변화 소양 검사를 위한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그 첫 번째 검사 도구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후변화 관련 과학 개념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서 36편의 국제학술지에 수록된 논문과 보고서의 개념 검사 도구를 분석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기후변화 관련 개념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검사 도구는 전문가 5인의 내용타당도 검사와 70명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예비 검사를 바탕으로 수정되었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검사 도구는 22개 질문의 본 문항과 59개 질문의 하위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I-CVI 지수는 0.95이고, 평균 난이도는 63.7%였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 도구가 기후변화 소양 중 과학 관련 개념을 검사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국제연구에서 검증된 검사 도구를 바탕으로 개발된 질문을 통해 교사와 학생들의 기후변화 관련 개념을 평가하는 도구를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개발된 검사 도구를 통해 한국 학생들의 기후변화 소양을 측정하여 기후변화 교육에의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nceptual inventory of climate change literacy for students. The researchers designed the questionnaire to assess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secondary students about the scientific concepts related to the climate change.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27 items based on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about the survey of climate change and the analysi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A total of 70 secondary student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to examine its reliability and 5 expert took part in the evaluating its content validity. The final version of the inventory was composed of 22 questions with 59 subsequent items. The result showed that I-CVI index was 0.95 and the percentage of the correct answers was 63.7%. This research can be fruitful for teaching/learning climate change in the classroom by examining students’ literacy of climate change.

      • KCI등재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성과분석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발전방안 탐색

        이봉우 ( Bongwoo Lee ),손정우 ( Jeongwoo Son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제2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의 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제3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제2차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과학영재교육의 진흥을 위하여 계획된 것으로 잠재력을 갖춘 과학영재의 체계적 발굴, 창의·융합형 과학영재교육 활성화, 최적화된 과학영재교육 지원 기반 조성 등의 세 가지 전략 하에 총 25개 세부 추진과제로 구성되었다. 각 세부 추진과제의 성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첫째, 직접 지원이 가능한 과제로 구성된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이 필요하다. 둘째, 양적 팽창에서 질적 팽창으로의 과학영재교육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고도영재에 대한 특별한 교육지원이 필요하다. 넷째, 과학영재교육기관의 특성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캠프형 또는 정주형(residential) 과학영재교육 기관의 도입이 필요하다. 여섯째,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질 관리와 과학영재교육의 온라인 공개수업(MOOC)의 도입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utcome of ‘The second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 and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for the third plan. ‘The second plan for identifying and nurturing of science-gifted student’ was made for the promotion of science-gifted education from 2013 to 2017. This plan is composed of three strategies with 25 sub-projects: a systematic identification of science-gifted students with potential, an activation of creative and integrated science-gifted education and an establishment of optimized science education supporting system. We supposed six implication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performance analysis of each sub-project. First, the third plan should be composed of projects to be able to be supported directly. Second, the paradigm shift is needed from quantitative expansion to qualitative expansion. Third, third plan should include a special support for profoundly gifted students. Fourth, a specialization plan for science-gifted institute is required. Fif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amp or residential type gifted institute. Sixth, it is needed to have a quality management of science-gifted programs and MOOC (massive open online course) on science-gifted programs are needed.

      • KCI등재

        기후변화 소양 측정을 위한 기후변화 교육 관련 국제 연구 문헌 분석

        이봉우(Lee, Bongwoo),이세연(Lee, Seyeon),조헌국(Jho, Hunkoog)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1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1 No.1

        이 연구는 교사와 학생들의 기후변화 관련 이해 및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국제 학술지에 출판된 기후변화 관련 과학적 개념 이해 및 인식 등에 대한 조사 연구들을 추출․분석하여 문항유형이나 응답 대상, 내용 요소별로 어떤 특징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기후변화에 대한 과학적 개념 이해,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기후변화 교육에 대한 인식의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는 학생 수준별로 다양한 유형에 따라 개발되어 있었고, 기본 개념에 대한 문항이 원인이나 메커니즘, 효과를 묻는 문항에 비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의 경우, 개념 이해에 비해 비교적 상급학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는 일부였으며, 중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중에 관심, 인간에 의한 발생, 문제해결을 위한 행동은 많은 반면, 기후변화 해소 가능성에 대한 믿음 및 관련 정책에 대한 문항은 적어 지속가능 발전 등의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문항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 교육에 대한 관점 설문은 주로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그 내용은 필요성, 실행 수준, 효과, 실행 시 어려움 및 교육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교육에 대한 평가나 환류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검사 문항의 유형과 특성에 대한 분석은 기후변화 교육의 성과를 측정하고, 학습자의 지식이나 태도 등의 변화 과정을 추적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제이다.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studies on the investigation of literacy of climate change (hereafter CC) and giving som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he diagnosis instrument of CC literacy. Thus, this study selected studies relevant to CC from the international journals and they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grade of participants, the type of questionnaire, and content to be asked. The content was mainly identified with the scientific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C, attitude towards CC, and perspectives on CC education. In regard to the scientific conceptual understanding, there were various items across the school grade and contents, and the conceptual questions were much more than the cause and effect of CC. As for the attitude, more studies focused on students with higher grades and concentrated more on interest, anthro- pogenic cause, and behavior whilst policies against CC and sustainable development pertaining to CC were peripheral. The perspectives on the education of CC were designed to give some feedback to teachers and were categorized into the need, practice, effect, difficulty an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rucial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to analyze and reflect teaching strategies and learning outcome related to CC.

      • KCI등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운영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도출

        이봉우(Lee, Bongwoo),조헌국(Jho, Hunkoog),이세연(Lee, Seyeon),지영래(Ji, Youngrae),하상우(Ha, Sangwoo),김희경(Kim, Heekyong)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1 과학영재교육 Vol.1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현황을 분석하고 관련 쟁점의 논의를 통해 영재원의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영재원의 교육목표 및 운영, 선발, 교육과정 및 교육프로그램, 질관리 등의 4개 영역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원의 교육목표에서 과학, 영재 등에 가장 인접한 단어는 탐구, 지역 등으로 영재원 교육이 탐구 중심의 지역인재 양성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선발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심화과정에서는 교사추천서와 자기소개서를 1차 심사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2차 심사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다. 사사과정에서는 재원생 진급 평가에 영재원 교육의 이수과정(출석, 평가결과)과 학업계획서를 많이 활용하고 있다. 셋째, 영재원 교육과정은 특정 영역에 편중되어 구성된 경향이 강했고, 영재원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교사용 자료가 부족하였다. 넷째, 영재원의 질관리를 위한 연차평가 지표는 보고서 기반의 결과중심의 평가로 영재원 교육의 질향상에 기여도가 낮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블렌디드 교육을 포함한 영재원 교육 운영의 유연화, 관찰 추천 개선과 무학년제 시스템, 교육 프로그램 틀의 표준화, 질관리에서의 과정 평가 및 평가방식의 개선 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science education center for gifted affiliated with university and to examin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gifted center through discussion on related issues. For this purpose, four areas such as educational goals and operation, selection, curriculum and education programs, and quality management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ords closest to science and gifted in the educational goals of gifted center are inquiry, region, etc., suggesting that gifted education in gifted center is related to inquiry-centered nurturing of local talent. Second, for the selection process, in the intensive course, teacher recommendations and self-introduction letters were most used in the first screening, and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est was used the most in the second screening. In the mentorship course, the completion process (attendance and evaluation results) of gifted center and the study plan are widely used to evaluate the promotion of current students. Third, the curriculum for the gifted centers tended to be structured in a specific area, and the programs developed at the gifted center lacked data for teachers. Fourth, the annual evaluation index for quality management of gifted center was a report-based, result-oriented evaluation, and had a low contribution to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gifted center.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flexibility in the operation of education for gifted center including blended learning, improvement of observation recommendation and no-grade system, standardization of educational program framework, and improvement of evaluation process and evaluation methods in quality control were discussed.

      • KCI등재

        상세 서지분석을 이용한 기후변화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이봉우(Lee, Bongwoo),조헌국(Jho, Hunkoog)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20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10 No.2

        이 연구는 기후변화 교육과 관련된 국제 연구 동향을 서지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이를 통해 국내 기후변화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SCI급 학술지 데이터베이스인 Web of Science를 통해 기후변화와 관련된 교육 분야 연구 논문 194건을 추출하였다. 해당 논문의 상세 서지정보를 토대로 R-Studio를 활용해 서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기후변화 교육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중반 이후 실시되었고,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 교육은 환경교육 및 과학교육 연구의 특정 학술지에서 대부분 출판되고 있으며, Lombardi, Sinatra 등 특정 저자에 의한 인용지수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키워드를 중심으로 한 공동 출현 네트워크 분석 결과, 크게 4가지로 범주화할 수 있는데, 과학교육에서의 기후변화에 대한 지식,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에 대한 맥락과 의사결정,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이나 태도, 기후변화에 대한 오개념과 관점으로 구분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공동 인용 네트워크를 살펴보면 2개의 연구 집단으로 구분되는데, 이는 과학교육과 같은 교과교육에서 각 연구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 그룹이 형성된 것과 달리 아직 전문화된 연구 집단으로 분화되지 않았음을 뜻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교육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ave an overview of international trends on climate change education and to provide pedagogical implications through the quantitativ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gathered a total of 194 papers and their bibliometric information, which were published in SSCI-indexed journals, through the web database powered by Clarivate Analytics,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using open-source software, R-Studio. The research findings showed that studies on climate change education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 mid of 2000’s and the number of studies were gradually increasing. The papers were mostly published in specific journals in environmental and science education and, as for the productivity, only a few of scholars such as Lombardi and Sinatra outnumbered rest of them. According to the co-occurrence network using keyword plus, the researches could be categorized into four topics: knowledge about climate change, decision-mak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 perceptions and attitude of students toward climate change, and belief and values about climate change. On the contrary, co-citation network revealed that the researchers were divided into two and this indicated that research groups in climate change were not highly specialized ye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gave some implications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왜 과학교사가 되려하는가?-우리나라 예비과학교사들의 교직 선택 동기-

        이봉우 ( Bongwoo Lee ),김희경 ( Heeky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예비 과학 교사들의 교직 선택 동기 요인과 만족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11개 대학의 예비과학교사 81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 된 교직 선택 동기 설문지는 Richardson과 Watt(2006)의 연구에서 개발된 FIT(Factors Influencing Teaching Choice)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예비 과학 교사들의 교직 선택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것은 내재적 직업 가치였으며, 그 다음은 과거의 교수학습 경험과 사회적 기여에 대한 동기에 대한 응답 비율이 높아 외재적 가치보다는 내재적 동기와 이타적 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존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다른 나라들의 평균보다 낮았다. 한편, 자신이 교직에 적합한 능력을 갖고 있다는 응답 비율이 낮거나, 교직은 전문성이 요구되며 어려움이 요구된다는 응답비율이 높아 교직에 대한 자신감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직선택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면, 평균 5.36으로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보이나, 호주, 미국 등의 응답 평균에 비해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에 따른 차이로는 교직 선택에 대해 남자 예비 교사들은 자신이 교직에 적합한 능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택하였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반면 여자 예비 교사들은 타인의 영향이 더 컸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여자 예비 교사들은 남자들보다 교사직무의 행정적, 감정적 어려움 등의 직무부담을 크게 느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직 선택에 대한 만족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동기는 내재적 직업 가치였다. 따라서 예비교사들의 내재적/이타적 동기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며 성별 차이에 따른 차별화된 접근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tivation factor and satisfaction of teaching choice in Korea.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815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11 universities in Korea.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was the FIT-Choice scale (Factors Influencing Teaching-Choice) developed by Richardson and Watt (2006).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 choosing teaching science as a profession was ‘intrinsic value,’ followed by ‘social utility value,’ but lower than the average of other countries i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confidence in teaching professions was low because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about ‘ability’ was low and ‘task demand’ was high. Satisfaction with teaching choice was 5.36, and it is lower than the average of responses in Australia and USA. As for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male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chose teaching because they have the proper ability to teach, while female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at the influence of others was greater. Also, female pre-service teachers felt the burden of job such as hard work and emotional demands more than men. Finally, the motivation which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satisfaction of choosing to teach was the intrinsic value. Therefore, finding ways to increase the intrinsic/social utility motivation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differentiated approach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s are needed.

      • SCOPUSKCI등재

        예비 과학교사의 탐구 계획 수립에서 동료 지도 활동 분석

        이봉우(Bongwoo Lee) 한국물리학회 2022 새물리 Vol.72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과학교사의 탐구계획수립에서 동료 지도 활동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탐구 계획을 작성하였고 다른 모둠의 탐구 계획에 대한 수정 의견을 제시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다른 예비 과학교사가 제시한 의견을 고려하여 자신의 탐구를 수정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과학교사들이 동료 지도에서 가장 많이 제시한 의견은 ‘가설 설정 및 실험설계’ 단계와 관련되어 있었다. 그중에서 변인과 관련된 의견이 많았는데, 특히 조작 변인을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방법을 제안한 의견이 많았다. 둘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다른 것을 제안하는’ 의견을 많이 사용하였다. 다른 실험 대상이나 재료를 제안하거나, 다른 실험 장치를 제안하는 의견을 많이 제시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은 다른 예비 과학교사가 제안한 의견에 대한 반영 여부를 정함에 있어 논리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과학적 의사소통의 모습을 보였으며, 다른 모둠의 탐구 개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상호협력의 긍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추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예비 과학교사 양성과 중등학생의 탐구교육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b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peer instruction activities in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quiry planning. The preservice teachers formulated their inquiry plans and presented opinions regarding the improvement of the inquiry plans of other groups. Later, they modified their own inquiries considering of these opinion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offered opinions from the preservice teachers in terms of peer instruction were related to the ‘hypothesis generation and experiment design’ phase. Among them, several opinions were related to variables, especially those proposing ways to add or modify independent variables. Second, they offered numerous opinions ‘suggesting something else’. They offered multiple opinions suggesting different subjects or materials and different experimental devices. Preservice teachers used scientific communication that provided a logical basis for determining whether to reflect upon the opinions proposed by others. They also showed a positive side of mutual cooperation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improvement of other groups’ inquiries.<b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