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자 이해를 위한 ‘공감의 플롯’ 읽기

        류동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1

        Recently, cultural diversity and heterogeneity have been increasing in our society as various social boundaries such as jendars, races and generations have been established. As a result, ethical issues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others have been newly raised in the education of literature. The 2015 literature curriculum specified ‘understanding others’ and set up the sections of ‘understanding others’ in literature textbooks. The editor of the literature textbooks include a number of works with ‘plots of empathy’ in the ‘understanding others’ section. ‘Plots of empathy’ consists of a process in which the main character first feels alienated from others, but finds common ground in others after some sort of incident and becomes empathetic to them. First, this paper analyzed the 'plots of empathy' contained in the literary textbook 'understanding others' section. These works are intended to be read compassionately to the reader by standardizing and presenting ‘plots of empathy’. However, while reading these works, it is difficult for readers to properly empathize with the characters and reach a desirable ‘understanding others’. Next, this paper identified the process of empathy and understanding others as the cycle between ‘familiarity’ and ‘unfamiliarity’. And following this circularity model, we tried a new interpretation of plots of empathy. Through this interpretation, the ‘understanding others’ revealed within the fictional world of text can be converted into the realm of the reader's life. 최근 우리 사회는 젠더, 인종, 세대 등 여러 사회적 경계들이 설정되면서 문화적 다양성 및 이질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문학교육에서도 타자 이해와 관련된 윤리 문제가 새롭게 제기되고 있다. 2015년에 고시된 문학 교육과정은 ‘타자 이해’를 명시하고 있으며,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에서도 타자 이해와 관련된 단원을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사회 변화에 부응하여 문학교육의 공적 역할을 강조하고자 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문학 교과서의 타자 이해 단원은 ‘공감의 플롯’으로 범주화할 만한 작품을 다수 수록하고 있다. ‘공감의 플롯’이란 주요 인물이 처음에는 타인에게서 이질감을 느끼다가 어떤 사건을 계기로 타인에게서 공통점을 발견하게 되면서 그를 공감하게 되는 과정을 그린 이야기이다. 공감의 플롯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1) 주요 등장인물이 계급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타인에게 이질감을 느끼고, (2) 그를 타자화하지만, (3) 어떤 사건을 계기로 이런 이질감이 근거 없는 것이었음이 드러나게 되고, (4) 타인에게 공감과 연민을 느끼게 된다. 이 논문은 막스 셸러의 공감 개념을 적용하여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공감의 플롯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역동적이고 순환적인 타자 이해의 읽기 모형을 제안하였다. 우선 이 논문은 문학 교과서 타자 이해 관련 단원에 수록된 작품 중 공감의 플롯으로 구성된 작품인,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 「명랑한 밤길」, 「씬짜오, 씬짜오」을 분석하였다. 문학 교과서는 이들 작품을 공감의 플롯으로 정형화하여 제시하고, 독자의 공감적 읽기를 규범적으로 의도하고 있어, 독자의 바람직한 공감 및 적절한 타자 이해를 이끌어내기 어렵다. 다음으로 이러한 비판을 바탕으로 공감적 읽기 및 타자 이해의 과정을 낯섦과 익숙함 사이의 순환 과정으로 파악하고, 이러한 순환 모형에 따라 문학 교과서가 수록한 공감의 플롯을 새롭게 해석하였다. 이 논문이 시도한 텍스트 읽기는 텍스트와 독자 사이의 순환을 이끌어냄으로써 텍스트의 허구 세계 내에 드러난 타자 이해의 양상을 독자의 삶의 영역으로 전환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해 줄 것으로 본다.

      • 조선족 학습자를 위한 한국 현대시 교육 연구 - 성찰적 이해를 중심으로 -

        김미선 ( Jin Meisha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2022 先淸語文 Vol.50 No.-

        This study aims to educate ethnic Korean learners to facilitate inner change and development by understanding the other and exploring the inner side of themselves. Reading poetry is to face a different kind of the other, and to discover oneself in a relationship with the other. Learners can shape their own experience in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and facilitate new self-understanding by comparing and evaluating themselves with others. At this moment, not only the meaning of the object will be different depending on how the learners experience and recognize the object, but also the value and direction of the learners’ life will be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sign reflective understanding education in Korean modern poetry based on the concept of ‘reflective understanding’ of learners who grasp the object in the course of poetry comprehension, realize the true meaning of it, understand themselves, and facilitate inner growth. In this study, ‘Self-reflection poetry’ is selected as a specific medium to communicate with learners. “Self-reflection poetry” is a work representing the inner story of a poet, which well embodies the poet’s life and reflective attitude toward life. In particular, the fact that reflections in the “self-reflection poetry” text and learners’ reflections through the poetry text are homology. is effective at drawing the learners’ reflective understanding.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categorized aspects of the reflective understanding of ethnic Korean learners about self-reflection poetry, and suggested principles of the reflective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poetry as ‘recognition of the other as an object of comprehension,’ ‘reorganization of multiple experiences through engagement’ and ‘self-identification through communication.’ The aspect of reflective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poetry was categorized as follows through the analysis of ethnic Korean learners’ poetry report. First of all, in the course of ‘recognition of the other as an object of comprehension,’ learners used the inner information of poetry text or their own background knowledge to recognize the other. Next, in the course of ‘redefinition multiple experiences through negotiation,’ learners actively sought to explore factors within their experience range that could be common denominators with others, and showed themselves redefinding their multiple experiences by awareness of a problem or sociocultural factors of poetry text. Finally, in ‘meta self-reflection through communication,’ it was possible to identify aspects as learners objectify themselves by comparing with other, or reflection in poetry text was transferred to learners and reorganize their identity by self-referral. Based on these aspects of ethnic Korean learners, deterrent factors and facilitating factors revealed in reflective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poetry was analyzed. The deterrent factors of reflective understanding are the fixation of thought, limitation of experience, and conventionalized reflection. Then, the facilitating factor is self-referral through interaction with fellow learn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which it sought to facilitate the growth of learners as active reading subjects and to expand the learners’ vision toward the world by experiencing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the poetry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justice such as arousing the interest of learners, and triggering creative thinking, and so on. Furthermore, it has a significance of devising poetry education to enhance self-understanding ability of ethnic Korean learners.

      • KCI등재후보

        타자의 마음의 이해, 타문화의 이해

        하홍규 계명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19 국제학논총 Vol.30 No.-

        This essay resolves the problem of other minds through the perspicuous understanding of ‘understanding,’ on the basis of which it goes on to resolve the problem of other cultures. First of all, the problem of other minds derives from taking the self-understanding as the prototype of other types of understanding based on the Cartesian dualism. Wittgenstein’s grammatical investigation illuminates that the mystified use of language generates the problem of other minds, and stresses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others’ actions we do not need to look into the minds of others but to observe the intersubjective rules and the contexts that surround others’ actions. The problem of other cultures as well does not occur because we cannot have a direct access to the minds of people we try to understand. The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is a difficult task but it is not the logical impossibility. The difficulty originates from the fact that “we cannot find our feet with them.” But if we can learn their forms of life we can understand their cultural rules considerably(the importance of teaching link). The problem of other cultures is not the kind of problem that should be presumed before attempting to understand. 이 글은 이해에 대한 명료한 이해를 통해 타자의 마음의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토대로 타문화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타자의 마음의 문제는 심신(心身) 이원론적 인간 개념의 바탕 위에 자기-이해를 다른 유형의 이해의 원형으로 삼는데서 비롯된다. 비트겐슈타인의 문법적 탐구는 타자의 마음의 문제가 언어의 신비화된 사용에서 비롯됨을 밝혀주며, 타자의 행위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타자의 마음을 들여다 보는 것이 아니라, 상호주관적 규칙과 맥락을 보아야 함을 강조한다. 타문화의 문제 역시도 우리가 타문화에 참여자로서 직접적인 접근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타문화의 이해는 어려운 작업이기는 하나, 그 어려움은 타문화가 우리에게 숨겨진 것이어서가 아니라, 그들의 삶의 형식을 공유하고 있지 않는데서 비롯된다. 그러나 그 삶의 형식을 배울 수 있다면 우리는 그들 문화의 규칙을 상당히 이해할 수 있다. 타문화의 문제는 이해의 시도전에 전제될 수 있는 본질적인 것이 아니다

      • 자문화중심주의와 해석학적 타자 이해 : 가다머의 해석학에 기초한 테일러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정연 ( Jung Hyun Kim ) 한국해석학회 2014 해석학연구 Vol.34 No.-

        To understand, or have a right relationship with other cultures has been an important matter especially since the era of colonialism. It is generally acknowledged that the first step to understand other cultures is to overcome ethnocentrism. Some people think the best way to accomplish this task is to accept the thesis of incorrigibility which means that it is impossible to criticize other cultures with one`s own conceptual scheme. Some versions of multiculturalism show this kind of understanding. This position, however, indicates only the lack of willingness to have a genuine relationship with other cultures. So, the standpoint is needed for us which encourages to have relations with other cultures guiding us beyond the dilemma: either being ethnocentric, or accepting incorrigibility thesis. This paper, following Charles Taylor, claims that the model of hermeneutical understanding suggested by Gadamer can contribute to approach other cultures properly. In Gadamer`s hermeneutics, the event of understanding occurs when the horizon of interpreter is fused with that of the text. After fusion, early horizons are transformed into another horizon. This one is different from previous horizons. The concept of ‘fusion of horizons’ implies that both horizons are transformable. So, from this we can derive that ‘fusion of horizons’ says that it is possible to question other cultures without being ethnocentric. From analyzing Taylor`s interpretation of Gadamerian hermeneutics concerning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the most precious insight we can acquire seems to be as follows: “If understanding the other is to be construed as fusion of horizons and not as possessing a science of the object, then the slogan might be: no understanding the other without a changed understanding of self.”

      • 행복을 위한 공감적 이해의 역할에 관한 고찰

        홍종관(Hong, Jong Kwan) 행복한부자학회 2019 행복한부자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행복을 위한 공감적 이해의 역할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공감적 이해의 의미, 공감적 이해의 필요성, 공감적 이해와 행복의 관계, 공감적 이해 능력 증진 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적으로 이해한다는 의미는 상대방을 이해한다는 것이고, 공감한다는 것이고, 이를 전달한다는 것이다. 둘째, 대인관계에서 서로 공감적 이해를 해야 하는 이유는 현상학적 이해와 실존적 개입과 좋은 감정, 자기탐색 촉진, 주관적 왜곡으로 부터의 보호 등과 같은 공감적 이해의 효과들 때문이다. 셋째, 공감적으로 이해하는 부부, 부모-자녀, 직장 구성원은 행복하다. 넷째, 공감적 이해 능력을 증진하는 방안은 공감적 이해를 위한 제언과 교육 훈련 프로그램이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상담의 이론과 실제에서 입증된 공감적 이해의 긍정적 효과를 인간의 행복 신장을 위해 적용해 보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상담분야에서 연구된 공감적 이해에 관한 국내외 연구결과들을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행복 신장 방안을 모색한 문헌연구이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role of empathic understanding for happ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empathic understanding, the necessity of empathic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happiness, and the ways of promoting empathic understan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pathic understanding means understanding the other person, empathizing, and conveying it. Second, sympathetic understanding of each other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due to the effects of sympathetic understanding such as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existential intervention, good feelings, self-search, and protection from subjective distortions. Third, sympathetic understanding couples, parents-children, and employees are happy. Fourth, there are suggestions for improving empathic understanding and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positive effect of empathic understanding proved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is applied for the enhancement of human happ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increase human happines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results on empathic understanding.

      • KCI우수등재

        타자 이해를 중심으로 한 동화 읽기 연구 : 『마당을 나온 암탉』에 대한 전문독자의 비평텍스트를 중심으로

        홍인영(Hong, In-Young) 인문콘텐츠학회 2020 인문콘텐츠 Vol.0 No.56

        『마당을 나온 암탉』은 출간된 이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은 콘텐츠이다.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동화이지만 성인이 읽기에도 충분히 감동받을 만한 요소가 많으며 문학적 성과의 측면에서도 호평을 받았는데, 이 연구에서는 그 가치를 인간 보편이 추구하는 타자 이해와 사랑의 덕목에서 찾는다. 이 연구는 동화 읽기에서 드러나는 타자 이해의 양상을 확인하여 작품이 지닌 의미가 독자에게 어떻게 해석되고 소통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전문독자의 비평텍스트로서 실제 독자의 반응을 살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연구방법으로 가다머의 타자 이해 이론을 검토하였으며 논의의 범주는 ‘지평융합의 실패에 대한 인식’, ‘반성적 상호 대화를 통한 정체성 실현에의 주목’, ‘이해를 넘어선 책임 윤리의 가능성 발견’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지평융합의 실패와 관련하여 잎싹과 초록머리에 대한 배제와 차별이 발생한 것에 주목하는 독자, 그리고 이러한 타자 이해의 부재를 동시대 다문화 현실에서의 문제로 확장한 독자를 살펴보았다. 반성적 상호 대화를 통한 정체성 실현에 주목하는 해석에서는 초록머리를 지키려는 잎싹의 모성과 자기 새끼를 지키려는 족제비의 모성이 맞물리는 장면에서 잎싹의 자기 이해 실현을 발견한 경우, 초록머리와 잎싹의 상호 대화에 초점을 두고 초록머리를 통해 하늘을 날고 싶은 욕구를 인식하는 잎싹에 대해 의미화한 경우를 확인했다. 이해를 넘어선 책임 윤리의 가능성을 발견한 비평텍스트로는 작품의 결말에서 잎싹이 선택한 죽음에 대한 해석, 그리고 그에 앞서 등장한 나그네의 희생을 레비나스의 초월성으로 바라본 사례를 다루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타자 이해의 문제를 심화 및 확장할 수 있는 또 다른 작품을 모색하거나, 독자층을 다변화하여 타자 이해의 수용 및 해석 양상을 살필 것을 기약한다. “The Hen Who Dreamed She Could Fly” has been loved by many people since its publication. Although this work is a fairy tale targeting children, there are many elements that adults can be impressed with enough to read, and it has been well received in terms of literary achievements. In this study, its value is found in the virtues of understanding others and love pursued by human universal. This study aims to uncover how the meaning of the work is interpreted and communicated to the reader by confirming the aspect of understanding others revealed in reading children’s story. The subject of study is the critique by professional reader, which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actual reader’s response. The research method was based on Gadamer’s theory of understanding others, and the scope of the discussion was set to recognize the failure of the fusion of horizon, pay attention to the realization of identity through reflective dialogue, and discover the possibility of responsible ethics beyond understanding.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aders noticed the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of ‘Ipssak’ and ‘Green hair’ in connection with the failure of the fusion of horizon, and the reader’s expansion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others into problems in contemporary multicultural phenomena. In the interpretation that focuses on the realization of identity through reflective dialogue, the discovery of self-understanding of ‘Ipssak’ is found in the scene where the maternity of her to protect ‘Green hair’ and the maternity of the ‘weasel’ to protect her young are found interconnect, and the signifying aspects about ‘Ipssak’ who recognizes the desire to fly in the sky through ‘Green hair’ are found focusing interactive dialogue between ‘Green hair’ and ‘Ipssak’. The critique that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responsible ethics beyond understanding included the interpretation of the death chosen by ‘Ipssak’ at the end of the work, and the case of the sacrifice of ‘stranger’ in view of Levinas’s transcende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uture research will discuss other works that can deal more with the issues of understanding others, and analyze the acceptance and interpretation of others’ understanding through diversifying the reader.

      • KCI등재

        근대 이행기 타자 이해와 소통구조

        이행훈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9 개념과 소통 Vol.2 No.1

        19, 20세기 동아시아는 문명과 야만의 야누스적 얼굴을 한 서구의 충격으로 전근대적 질서가 해체되고 근대적 세계 질서에 편입하게 된다. 급격한 사회·역사적 변동으로 요청된 이질적 타자에 대한 이해는 동시에 주체에 대한 새로운 자각을 야기하였다. 주체의 자각과 타자 이해는 소통의 전제가 된다. 그러나 타자에 대한 이해는 욕망하는 주체에 의해 이미지화될 뿐, 타자 그 자체가 될 수 없는 본질적 한계를 내재하고 있다. 특히 한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각 주체들은 자신의 문화·역사적 맥락에 따라 타자를 수용하는 방식을 달리하게 되고, 그 결과 한·중·일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각 주체들은 식민/반식민/제국의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다. 소통의 측면에서 볼 때 개체의 욕망은 일종의 자기 재현과 자기를 중심으로 한 타자의 위계화로 구체화된다. 주체는 자신을 끊임없이 확장하고 타자를 통해서 이를 확인하려고 하는데, 만약 스스로 만들어 낸 위계 속에서 자신이 낮은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자신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분투한다. 주체는 이 과정에서 타자를 내재화하기도 하고, 타자에 무의식적으로 포획되거나 의식적인 동일시를 꿈꾸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욕망에 가로막힌 주체와 타자는 종종 스스로의 정체성을 고정·강화하면서 대립하고 길항하게 된다. 조선이 중화문명의 담지자로 자처한 것은 타자의 내재화로, 압도적인 서구 문명에 시선을 빼앗긴 주체들의 자기 부정과 타자와의 동일시 욕망은 타자에 포획된 주체로, 제국과 식민의 지배와 저항은 주체와 타자의 길항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동일시될 수 없는 타자에 포획된 주체와 타자를 통해 주체를 동일화하려는 욕망은 근대계몽 이성에 대한 신념과 서구 산업문명의 작동방식과 궤를 같이하며 전 세계로 확장되었다. 이 시기 '문명개화'와 '근대화'는 사회·역사적 당위규범으로 여겨졌으며, 이에 반하는 것들을 부정하고 폐기의 대상으로 간주하였다. 타자를 통해서만 자기를 증명할 수 있는 주체는 늘 불안할 수밖에 없다. 그 근원적 불안감과 자기 확장의 욕망은 일세계적 역사를 보편으로 강제했고, 문명의 진보라는 신화를 만들어 냈다. 자연적·지리적 경계는 근대 국민국가체제에 의해 영토로 선분화되었고, 역사적·문화적 공유 지점들은 단일성과 순수성을 이념으로 하는 민족으로 발명되었다. 근대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근대 국가형성과 민족 발명에 견인차 역할을 하며, 제국과 식민, 지배와 종속을 고착화하였다. 역설적이게도 민족 담론은 제국과 식민 모두에게 동일화의 기제로 작동하였다. 개념과 소통에 대한 탐색은 현실의 질서를 합리화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 함몰되어 황폐하고 불모화된 의식에 새로운 상상력을 불어넣는 것이어야 한다. 주체와 타자 사이에 경쟁과 힘의 원리가 우선시되는 한 진정한 소통은 불가능하다. 동일성의 원리로 환원될 수 없는 각 개체가 지닌 그 자체의 가치로서 '상호 동등함'을 인정하고, 서로의 차이가 접속을 통해 창조적인 역동성으로 전환될 때 진정한 소통의 장이 열리며, 주체와 타자 모두 공존과 상생의 길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nineteenth and the twentieth century, marked by the dismantling of traditional socio-cultural system, East Asia came under the modem -world system represented by the West. The rapid transition required East Asian nations to newly understand their others, and this simultaneously caused a new self-consciousness on the part of East Asians themselves. To communicate with others, one should understand others 'while being awake to one's own subjectivity. However, understanding of others has its innate limitation since others are always perceived as an image by the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understanding, the image of others is reflected in the subject's interiority, linked to the subject's desire. Generally, the reflected images are shaped by the subject's self-representation, which often results in making grades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Perceived as inferior, or vice-versa from the subject's perspective. In this process, a subject can appropriate others or itself become their prize, illustrating the centrality of the subject-object relationship in this process. For example, the Chosŏn claim of being the keeper of Sinocentrism could be interpreted as an example of an appropriation of others, whereas the fact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enlightenment period regretted being Korean could be seen as an example of becoming the prize of others. In the East-Asian enlightenment period, westernization was regarded as a historical necessity and other possibilities were ignored. It was necessary for the subject to experience anxiety when it tried to prove itself through others. It was this very anxiety, and the desire for self-extension, that made the linear history universal. According to the nation-state system, the natural geographic peripheries became national borders, so that many marginal territories contrived to be national, being supposed to have a pure and singular culture in common. Playing the role of the locomotive of nation-state,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 fixed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ire and the colony. Ironically, the discourse of nationhood functioned, simultaneously, as the mediator for identifying both empire and colony. Searching the right way to communicate should not be a rationalization of the present order but an imagination for better subject-object relationship. Mutual understanding is possible only when each subject understands the values of the other (or others), which cannot be reduced to an identical principle, and when the differences are regarded as normal and, thus, turn into creative dynamics. Only at that time can the subject and the object move along together and establish a real coexistence.

      •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자기성찰 연구

        최경숙(Choi Kuyng Suk),김상인(Sang In Kim) 한국교원대학교 융합교육연구소 2019 융합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의 자기성찰 연구이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필요성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자기성찰은 자신과 타인의 감정, 생각, 욕구 등을 자각하고, 탐색하여 자신과 타인의 감정, 생각, 욕구를 이해하고 변화를 주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교사의 자기성찰은 경험학습이론, 어니언 모델(Onion Model), 자기성찰의 구성요인으로 접근하였다. 교사의 자기성찰은 유아교육의 효과성과 정서적 안정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자기성찰의 구성요소를 논의하였다. 자기성찰의 구성요소는 자기탐색, 자기이해, 타인탐색, 타인이해로 연구하였다. 자기탐색은 자신의 경험, 감정, 사고, 행동 성격의 호기심을 가지고 분석하여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하려는 과정이다. 자기이해는 자신의 정서와 행동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과 반성적인 성찰과정을 통해서 자기의 정서와 행동을 객관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타인탐색은 타인과의 관계에 관심을 두고 그 관계에서 발생하는 것에 대해 타인이 관점에서 타인의 내적 상태를 인식하는 것이다. 타인이해는 자신과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이해와 배려로 하여 문제해결을 모색하는 것이다. 또한, 타인이해는 타인의 감정과 생각에 대한 의미를 깨닫고 이해하여 행동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는 자기탐색, 자기이해, 타인이해 타인탐색을 통한 자기성찰이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self-reflection of teachers in the institution of infant education. The study began with the need for self-reflection of teachers in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Self-reflection was defined as self-awareness and exploration of feelings, thoughts and desire of oneself and others to understand and change them. The teacher s introspection was approached as an empirical learning theory, an Onion Model, and a component of introspection. The teacher s introspection was approach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it wa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effectiveness and emotional stability of infant education. Therefore, the components of introspection were discussed. The components of introspection were studied by self-exploration, self-understanding, other people s search, and others understanding. Self-exploration is the process of analyzing with curiosity of one s own experiences, feelings, thoughts, and behavior personality to develop in a better direction. Self-interest means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one s emotions and actions through subjective awareness and reflection processes. Searching for others is to pay attention to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to recognize the inner state of others from the perspective of what happens in those relationships. Another person s harm is to seek a solution to the problem by understanding and caring for conflicts arising from his or her relationship with others. Also, another person s year is to realize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other people s feelings and thoughts and act. As a result, self-reflection, self-interest, and self-examination are important for teachers at child education institutions.

      • KCI등재

        리쾨르의 “미메시스(Mimesis) 이론”에 함의된 자기 지식의 개념 연구

        홍윤경(Hong, Yun-Kyu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7 敎育思想硏究 Vol.31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리쾨르의 ‘미메시스론’에 의거하여 이야기의 학습을 통하여 획득하는 자기지식의 성격을 고찰하는 것에 있다. 리쾨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미메시스의 개념을 계승하면서도 그것을 창작의 이론에 국한시키지 않고, 이야기 속에 들어있는 타인의 행동을 이해함으로써 자기 지식을 획득하는 과정으로 재개념화한다. 리쾨르가 전개하는 ‘삼중의 미메시스론’에 의 하면 미메시스 Ⅰ은 타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갖추는 과정이며, 미메시스 Ⅱ는 이야기 속에 들어 있는 사고, 즉 ‘가지적 전체’가 무엇인지를 질문하는 일을 가능케 한다. 마지막으로 미메시스 Ⅲ은 ‘가지적 전체’에 관한 질문에 대한 답을 스스로 발견하는 과정이다. 리쾨르에 의하면 타인의 행동을 이해하는 것은 그것을 규범에 비추어 평가하는 것이며, 이 과정 에서 타인의 행동에 관한 이해는 추상성을 띤 규범을 구체적인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이야기 학습을 통하여 타인의 행동을 이해함으로써 독자는 자신이 따르는 현실의 규범에 관한 지식을 보다 구체화할 수 있다. 그리고 규범과 관련하여 독자가 갖게 된 구체적 지식은 다시 독자 자신의 행동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규범에 관한 구체적인 지식 은 독자 자신의 행동에 관한 자기 지식으로 연결된다. 자기 지식은 소크라테스 식의 검토를 통하여 획득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타인의 행동을 구체적인 수준에서 이해함으로써 규범에 관한 지식을 확장시키고, 그것에 비추어 자신의 행동을 이해할 때도 획득될 수 있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n the concept of self-knolwedge acquired by story learning. Ricoeur, succeeding to Aristotle’s theory of Mimesis, does not confine Aristotle’s to the theory of story creating, but reconceptualize it as the process of acquiring self-knowledge by understanding of other’s action in the story. According to Ricoeur’s theory on “triple Mimesis”, the first Mimesis, that is, MimesisⅠ is to have the pre-understanding which is necessary to understand other’s action. Secondly, MimesisⅡ makes possible for the reader to have the question on “the intelligible whole”, which is the “thought” in the story. Lastly, Mimesis Ⅲ is the process of discovering the answer to the question on “the intelligible whole” for oneself. Understanding of other’s action is to evaluate it in the light of the norms. As the understanding of other’s action expands, the knolwedge of norms is to be concretized. The concretized knowledge of norms makes the reader understand his or her action better than before. The concrete knowledge of norms leads to self-knowledge on reader’s own action. Self-knowledge is to be acquired not only by Socrates’ examination on ones’ beliefs and opinions, but also by understanding of other’s action by story learning. Understanding of other’s action facilitates to develop the knowledge of norms, which makes possible to reflect on one’s own action.

      • 근대 이행기 타자 이해와 소통 구조

        이행훈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9 개념과 소통 Vol.0 No.3

        19, 20세기 동아시아는 문명과 야만의 야누스적 얼굴을 한 서구의 충격으로 전근대적질서가 해체되고 근대적 세계 질서에 편입하게 된다. 급격한 사회·역사적 변동으로 요청된 이질적 타자에 대한 이해는 동시에 주체에 대한 새로운 자각을 야기하였다. 주체의자각과 타자 이해는 소통의 전제가 된다. 그러나 타자에 대한 이해는 욕망하는 주체에 의해 이미지화될 뿐, 타자 그 자체가 될 수 없는 본질적 한계를 내재하고 있다. 특히 한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각 주체들은 자신의 문화·역사적 맥락에 따라 타자를 수용하는 방식을 달리하게 되고, 그 결과 한·중·일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각 주체들은 식민/반식민/제국의 서로 다른 길을 걷게 된다. 소통의 측면에서 볼 때 개체의 욕망은 일종의 자기 재현과 자기를 중심으로 한 타자의위계화로 구체화된다. 주체는 자신을 끊임없이 확장하고 타자를 통해서 이를 확인하려고하는데, 만약 스스로 만들어 낸 위계 속에서 자신이 낮은 위치에 있다고 판단되면 자신의위상을 높이기 위해 분투한다. 주체는 이 과정에서 타자를 내재화하기도 하고, 타자에 무의식적으로 포획되거나 의식적인 동일시를 꿈꾸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욕망에 가로막힌 주체와 타자는 종종 스스로의 정체성을 고정·강화하면서 대립하고 길항하게 된다. 조선이 중화문명의 담지자로 자처한 것은 타자의 내재화로, 압도적인 서구 문명에 시선을 빼앗긴 주체들의 자기 부정과 타자와의 동일시 욕망은 타자에 포획된 주체로, 제국과식민의 지배와 저항은 주체와 타자의 길항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동일시될 수 없는 타자에 포획된 주체와 타자를 통해 주체를 동일화하려는 욕망은 근대계몽 이성에 대한 신념과 서구 산업문명의 작동방식과 궤를 같이하며 전 세계로 확장되었다. 이 시기‘문명개화’와‘근대화’는 사회·역사적 당위규범으로 여겨졌으며, 이에 반하는 것들을 부정하고 폐기의 대상으로 간주하였다. 타자를 통해서만 자기를 증명할 수있는 주체는 늘 불안할 수밖에 없다. 그 근원적 불안감과 자기 확장의 욕망은 일세계적역사를 보편으로 강제했고, 문명의 진보라는 신화를 만들어 냈다. 자연적·지리적 경계는근대 국민국가체제에 의해 영토로 선분화되었고, 역사적·문화적 공유 지점들은 단일성과 순수성을 이념으로 하는 민족으로 발명되었다. 근대 자본주의 시장경제는 근대 국가형성과 민족 발명에 견인차 역할을 하며, 제국과 식민, 지배와 종속을 고착화하였다. 역설적이게도 민족 담론은 제국과 식민 모두에게 동일화의 기제로 작동하였다. 개념과 소통에 대한 탐색은 현실의 질서를 합리화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에 함몰되어 황폐하고 불모화된 의식에 새로운 상상력을 불어넣는 것이어야 한다. 주체와 타자 사이에경쟁과 힘의 원리가 우선시되는 한 진정한 소통은 불가능하다. 동일성의 원리로 환원될수 없는 각 개체가 지닌 그 자체의 가치로서‘상호 동등함’을 인정하고, 서로의 차이가접속을 통해 창조적인 역동성으로 전환될 때 진정한 소통의 장이 열리며, 주체와 타자 모두 공존과 상생의 길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nineteenth and the twentieth century, marked by the dismantling oftraditional socio-cultural system, East Asia came under the modern world systemrepresented by the West. The rapid transition required East Asian nations tonewly understand their others, and this simultaneously caused a new selfconsciousnesson the part of East Asians themselves. To communicate withothers, one should understand others while being awake to one’s ownsubjectivity. However, understanding of others has its innate limitation sinceothers are always perceived as an image by the su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mutual understanding, the image of others is reflectedin the subject’s interiority, linked to the subject’s desire. Generally, the reflectedimages are shaped by the subject’s self-representation, which often results inmaking grades between the self and the other, perceived as inferior, or vice-versa from the subject’s perspective. In this process, a subject can appropriateothers, or itself become their prize, illustrating the centrality of the subject-objectrelationship in this process. For example, the Choson claim of being the keeperof Sinocentrism could be interpreted as an example of an appropriation ofothers, whereas the fact that the intellectuals of the enlightenment periodregretted being Korean could be seen as an example of becoming the prize ofothers. In the East-Asian enlightenment period, westernization was regarded as ahistorical necessity and other possibilities were ignored. It was necessary for thesubject to experience anxiety when it tried to prove itself through others. It wasthis very anxiety, and the desire for self-extension, that made the linear historyuniversal. According to the nation-state system, the natural geographicperipheries became national borders, so that many marginal territories contrivedto be national, being supposed to have a pure and singular culture in common. Playing the role of the locomotive of nation-state, the capitalist market economyfixed the subordi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ire and the colony. Ironically,the discourse of nationhood functioned, simultaneously, as the mediator foridentifying both empire and colony. Searching the right way to communicate should not be a rationalization of thepresent order but an imagination for better subject-object relationship. Mutualunderstanding is possible only when each subject understands the values of theother (or others), which cannot be reduced to an identical principle, and whenthe differences are regarded as normal and, thus, turn into creative dynamics. Only at that time can the subject and the object move along together andestablish a real coex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