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 전기를 번역하다 -식민지 시기 조선예수교서회의 번역 전기 출판

        김성연 ( Sung Yeun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8 No.-

        식민지 시기 문서 선교에 복무한 선교사들은 번역 활동, 특히 일반 독자들이 읽을수 있는 전기물 번역을 촉구했다. 그 결과 식민지 시기 전반에 걸쳐, 종교인과 영미권 인물을 중심으로 한 전기 및 자서전이 집중 발간되었다. 이들은 번역 원본을 밝히고, 사진 및 삽화를 대거 삽입했으며, 역자 서문에 그 발간 정황을 기술하고, 목차는 성경 식의 ‘장’ 구성을취하고 있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들을 통해 본격 소개된 대표적인 인물은 링컨, 헬렌켈러, 부커 티 워싱턴 등이다. 이들은 미국 대통령을 세계의 자유와 평화의 상징으로 정착시키고, 여성 장애인의 서사가 식민지민의 기억 속에 각인되게 하고, 교육을 통해 백인 사회로의 편입을 시도한 흑인 노예의 사례가 식민지 조선의 실력양성론과 결합되게 하는 데 결정적인역할을 하였다. 서회 번역 전기물은 크게 선교사나 목회자, 신앙인에게 종교적 도움이 되는 것, 일반인에게자본주의와 기독교 신앙을 결합한 성공수기로 제시되는 것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들이밝힌 전기 번역의 목표들은 기본적으로 독자에게 이상적인 기독교인의 삶을 보여줌으로써신앙심을 공고히 하고 일상적 실천을 유도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성직자나 신앙인을 대상으로 성경 이해를 돕거나 교파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교육시키는 역할을 하는 전기물도 다수 있었다. 그런데 비서구지역에 파견된 선교사들의 전기 및 자서전을 통해서는 소위 ‘기독교 문명국’으로 거듭나기 위해 척결해야 할 야만적 풍습들, 예컨대 축첩제도나 무속에 의존한 의료 문화, 노예제도 등이 부각되면서 조선인 독자들에게는 이를 내면화하는 부수적 효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종교인이 아닌 인물 전기들은 청년 독자들을 상대로 하여 자본주의근대 사회에서 자조론에 입각해 성공한 성공 수기로 제시되기도 했는데, 이는 바로 막스 베버가 언급한 ‘프로테스탄티즘 윤리의식’이 전면화된 서사였다. 이러한 번역 전기물이 출판되기 위해서는 영어 원문에 친숙한 서양인 선교사와 조선어를능숙하게 구사하는 조선인이 콤비를 이루어 작업해야 했다. 조선인의 역할과 기여도는 편차가 있지만, 단순 번역 작업 이상의 출판 제반 업무들에도 관여했다. 이들 조선인은 크게출판사에서 고용한 전일제 번역가와 외부 번역가, 그리고 목회자들로 이루어져있었는데 이들은 문학, 사회과학 서적 번역뿐 아니라 저술 활동도 하고, 교육이나 언론계에서 주요 직책에 복무했다. 조선예수교서회의 번역 전기 출판 정황을 살펴본 바를 토대로, 한국의 전기 출판과 독서 문화에 기독교가 미친 영향과 식민지 시기 서양인 선교사와 조선인 번역자의 만남이 빚어낸 결과, 그리고 식민지 시기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반한 삶의 서사가 정착되며 한국인의 가치관을 구조화한 방식에 관해 심층적으로 고찰할 필요가 있다. The 1900s saw the apex of translations of biographies of heroes who had saved countries, particularly of the national heroes of the Western world. These heroic biographies were later replaced by those of other figures, as the former often incited nationalistic fervor and were prohibited from publication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from 1910. It was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that demonstrated the keenest interest in biographies and translations and published the largest number of biograph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hile Hansung Press, Ltd, a local publishing company, mainly focused on publishing translated biographies with reference to publications from Japanese counterparts in the early 1920s, the Society on the other hand continued to bring Western publications into Korea. Literature missionaries actively engaged in their translation work, putting great emphasis on translations of biographies that could be easily absorbed by ordinary readers. Accordingly, many biographies and autobiographies of figures from the religious sphere and the Western world were published throughout the colonial period. These publications generally enclosed the original works, inserted a horde of pictures and illustrations, described how they were published in a foreword by the translator, and consisted of chapters listed in tables of contents emulating the Bible. Lincoln, Helen Keller, and Booker T. Washington were among the most representative figures introduced at that time. They played a decisive role in establishing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as a symbol of world peace and freedom, inscribing the story of a woman with disability in the memory of the colonized people, and connecting the story of black slaves who tried to integrate into white society with the challenge and need to enhance the capability of Chosun. The translation works of the Society were largely divided into those beneficial to ministers and believers, and those introduced as success stories to illustrate the integration of capitalism and the Christian faith. The translations aimed to strengthen the readers` faith and to help them apply it in their daily lives by showing them an ideal Christian life. There were also numerous biographies designed to help members of the clergy as well as devotees understand the Bible,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the sect, and to educate followers. However, for Chosun readers, the biographies and autobiographies of missionaries in third-world countries had an additional effect. The locals internalized them as works that emphasized the need to eradicate barbaric customs such as concubinage, the shamanistic medical system, and slavery to transform a nation into a so-called “civilized Christian country.” The biographies of non-religious figures were introduced to the youth as examples of success stories based on the self-deprecation of the modern capitalistic society. They were narratives that underlined the ‘Protestant ethic’ theorized by Marx Weber. Western missionaries and locals who spoke fluent Chosun had to work as a pair to translate and publish these biographies. Although the locals` roles and degrees of contribution varied, they were nevertheless engaged in the overall publication process, beyond simple translation. These locals, who were comprised of full-time translators hired by the publishing company, external translators, or ministers, not only translated literature and social science books, but also wrote their own books and occupied important functions in education and the media. Based on the study of how translated biographies were published by th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of Korea, further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Christianity on the Korean publication of biographies and the local reading culture, the outcomes of the encounters between Western missionaries and Chosun translator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he ways narratives based on the Christian world view took root and structured the values of Koreans during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해방 전후 한국 기독교의 칼 바르트 신학 수용 과정과 인식 변화 : 한・일 출판 동향을 중심으로

        홍승표 한국교회사학회 2016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4 No.-

        1930년대에 접어들어 일본기독교계엔 바르트에 대한 열풍에 가까운 관 심으로 다수의 바르트 신학 관련 번역서들이 출판되었다. 그와 비교할 때, 한국의 기독교 출판계는 선교사들의 통제 하에 기초적인 단계의 신학 및 신앙서적들의 번역소개에만 머물고 있었다. 따라서 일본에 비해 당시의 최 근 신학 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중요 신학 서적들의 번역 소개는 충실히 이 루어지지 못했다. 한국교회에 본격적으로 칼 바르트에 대한 사상이 소개되는 것은 1930년대 초반부터이며, 주로 신문과 잡지에 바르트 신학의 기초 적 내용들이 소개되고 있다. 해방 전후 한국교회에서 활동한 대부분의 신 학자들은 ‘바르티안’(Barthian)들이었으며, 대부분 1930-40년대에 유학한 일본의 여러 신학교 출신들이었다. 해방 직후 신진 학자들의 칼 바르트 대 표 저작의 번역출판 시도가 있었지만, 6.25전쟁의 발발로 지체되었고, 이후 1950년대까지는 바르트 등의 최근 신학 저술들이 번역 소개되어도 대부분 이미 출판된 일본어 번역서를 모본으로 삼아 한글 번역을 시도한 결과였 다. 그러나 1960년 전후부터는 일본어 번역문의 피동적 수용 자세를 탈피 하기 위해 독일어 원문과 영문 텍스트를 직접 한글로 옮기는 등의 주체적 수용 노력을 보인다. 비록 일제강점기의 한국교회와 기독교 출판은 일본의 신학계와 기독교 출판계의 성과들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지만, 해방 이후부터는 구미의 신학을 직접 배우고 익혀, 한국인의 정신사와 종교문화에 걸 맞는 번역과 연구 성과들을 출판물로 산출하기 시작했다. In the 1930s, the immense popularity of Karl Barth among Japanese Christians led to the publication of the translations of many books on Barth’s theology.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Christian publishing industry did little except introduce the basic tenets of Christian theology and the translations of religious books under the direction of missionaries. Therefore, compared with their Japanese counterparts, Korean theologians could not commit themselves to introducing important theological books that were needed to understand current theological trends. It was not until the early 1930s that the ideas of Karl Barth were introduced to Korean Christianity. Newspapers and magazines played a central role in introducing the basic ideas of Barthian theology. Most theologians who were actively involved in Korean churches before and after the independence were “Barthians,” and the majority of them had attended religious schools in Japan in the 1930s to ‘40s. Though emerging scholars attempted to publish the translations of Barth’s famous books immediately after the independence, such attempts were interrupted by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 Korean translations of current theological writings, including those by Barth, introduced until the 1950s were mostly reliant on the Japanese translations. In the 1960s, however, Korean theologians took more proactive measures, such as translating German sources and English texts to Korean, to break away from the practice of passively receiving Japanese translations. While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 publishing under Japanese rule had no choice but to depend on the achievements of Japanese theologians and Christian publishing industry, Korean theologians embarked on the American and European religious studies following the independence and began to publish translations and research outputs that were more aligned with Korean spiritual history and religious culture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ᄉᆞ민필지≫와 ≪덕혜입문≫의 한자음 표기 연구

        임다영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2

        본 연구에서는 최초의 한글 교과서인 ≪ᄉᆞ민필지≫와 언더우드가 번역한 ≪덕혜입문≫의 한자음을 대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헌의 간행에 관여한 이들의 한자음 표기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네 판본 가운데 ≪덕혜입문≫ 1927년 판이 가장 정제된 표기 양상을 나타내고, 1915년 판과 ≪ᄉᆞ민필지≫ 초판이 일부 예외는 있으나 일정한 규칙에 따라 한자음을 표기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ᄉᆞ민필지≫의 제2·3판은 매우 혼란한 표기 양상을 띠었는데, 이러한 혼란은 한자음 표기에 대한 확고한 원칙이 없었기 때문에 생긴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반대로 정제된 표기 양상을 보일수록 그 당시 실제 말소리를 반영한 비율은 낮았다. 이 사실로부터 각 문헌의 간행에 참여한 이들의 한자음 표기에 대한 인식을 유추할 수 있었는데, 즉 ≪ᄉᆞ민필지≫ 제2·3판의 간행을 도운 이들은 실제 한자음을 표기에 반영하려는 경향이 있었고, ≪덕혜입문≫ 1927년 판의 편찬에 참여한 이들은 실제 말소리보다 규범음으로 표기하는 것이 옳다고 여겼던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