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열망의 정치: 마키아벨리와 고전적 공화주의

        곽준혁 ( Jun Hyeok Kwak ) 대한정치학회 2010 大韓政治學會報 Vol.17 No.2

        이 논문은 계몽주의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근대 이전의 사상적 전통으로 돌아가고자 했던 시도들을 ``고전적 공화주의``(classical republicanism)의 부활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러한 고전적 전통으로의 회귀들이 간과했던 고전적 공화주의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를 ``열망의 정치``로 정의한 후, 르네상스 정치철학자 마키아벨리(Niccolo Machiavelli)의 ``고전적`` 공화주의의 재구성을 통해 이를 보완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두 가지 과제를 수행한다. 첫째, 계몽주의에 대한 비판의 근거들을 근대 이전의 정치철학적 전통에서 찾고자 했던 맥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와 스트라우스(Leo Strauss)의 사상들을 고전적 공화주의라는 범주에서 분석한다. 전자의 경우는 계몽주의가 극복하고자 했던 고전적 전통의 전체주의적 경향성을 극복하지 못했다는 점이, 후자의 경우는 계몽주의가 벗어나고자 했던 고전적 전통의 귀족주의적 요소들을 그대로 상속했다는 점이 지적된다. 둘째, 고전적 전통으로의 회귀가 갖는 단점을 극복하면서도 동시에 고전적 공화주의에서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접근방법의 하나로 ``열망의 정치``를 제안한다. 여기에서 필자는 고전적 공화주의에서 ``정치변동`` 또는 ``변화``에 대한 생각으로부터 계몽주의의 ``진보``와 구별되는 정치적 ``열망``을 찾고, 앞선 두 가지 고전적 공화주의에 대한 접근들이 갖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 마키아벨리의 공화주의를 제시한다.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the theoretical attempts to find a way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the Enlightenment within the classical traditions of political thought. By identifying the essence of classical republicanism with the "politics of aspiration," I tend to supplement the contemporary returns to classical republicanism under the banner of counter-enlightenment with Niccol? Machiavelli`s republicanism. Specifically I conduct the following two tasks: First, I critically analyze the counter-enlightenment projects of Alasdair MacIntyre and Leo Strauss respectively, which traced the sources of their criticisms of the Enlightenment back to the traditions of pre-modern political philosophy. Here I claim that, though they successfully redirects our attention to the failures of the Enlightenment within the pre-modern intellectual inheritances, MacIntyre`s reconfiguration of civic republicanism and Strauss`s reinterpretation of classical republicanism are not sufficient to clear themselves of the charge of totalitarianism or aristocratism endemic to the traditions of classical philosophy. Second, I suggest the "politics of aspiration" as an alternative way of understanding classical republicanism, by redressing the flaws involved with the contemporary articulation of classical republicanism and the possible contributions of classical republicanism. At this juncture, juxtaposing the teleological conception of progress in the Enlightenment with the aspiration for change in the classical philosophy, I argue that Machiavelli`s conception of political transformation can provide us with an alternative view of classical republicanism through which the revival of classical republicanism helps us keep a condition in which both totalitarian inclination and aristocratic disposition can be checked not only politically but also socially.

      • KCI등재

        상월(上月)의 불성개현사상

        황상준(Hwang, Sang J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2

        불교는 깨달음을 추구하는 종교이다. 불교의 시작은 석존의 깨달음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그 목표도 석존이 깨달은 진리의 구현에 있기 때문이다. 근현대 한국불교 속에서 천태종 중창을 이뤄낸 박상월(朴上月, 1911-1974)에 의하여 전개된 불성개현사상(佛性開顯思想)은 한국불교의 유구한 흐름 위에서 펼쳐진 또 하나의 깨달음 운동이며 진리구현의 모습이다. 본 논고의 목적은 상월의 불성개현사상과 대한불교천태종의 그 실천에 대한 고찰이다. 더불어 근현대 한국불교계의 상황 속에서 그 의의를 조망함으로써 상월이 주창한 불성개현 사상의 가치를 드러내고자 한다. 스스로 깨달은 정법에 의한 법력과 원력으로 상월은 당시의 암울한 불교계의 상황 속에서도 민중을 위해 불성개현운동을 펼치고자 했다. 상월의 불성개현사상의 중심은 법화천태교관(法華天台敎觀)과 관음신앙(觀音信仰)을 중심으로 한신대승불교의 일환으로 기존의 불교에서 대중불교와 생활불교로의 전환이다. 상월의 실천수행과 교화행을 통한 천태종의 불성개현운동은 신행 중심축 이동에 의한 운동으로 한국불교 신행사(信行史)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승려와 일부 수행자의 전유물로만 인식되던 수행과 성불의 실천본원(實踐本願)의 중요성을 일깨웠으며, 실생활과 유리된 채 홀로 지향하던 승원불교(僧院佛敎)를 생활불교로 회귀시켰다. 상월은 천태종 중창이후 열반에 들 때까지 출 ․ 재가를 막론하고 구인사를 찾는 모든 대중들에게 불성(佛性)의 자각과 개현에 관한 교화를 펼쳤으며, 유훈(遺訓)으로 발보리심(發菩提心)할 것을 천태종도들에게 당부하였다. 그리고 법회의식(法會儀式)을 통한 출 ․ 재가불자의 불성개현에 대한 자각과 관음주송(觀音呪誦)을 통한 실천수행법의 제시는 기존 전통의 불교와는 차별화된 것이다. 상월의 불성개현사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스스로 깨달은 정법에 바탕을 둔 실천수행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천태종도의 불성개현을 위한 천태종의 신행체제의 확립이다. 셋째, 불교신행활동과 생활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생활불교의 정착이다. 끝으로 불교의 근본목적인 불자들의 깨달음 추구를 위한 실제적인 방편을 제시한 것이다. 상월의 중생구제 서원과 깨달음은 불교의 근본정신으로 돌아가 석존이 깨달은 진리를 오늘의 현대사회에 되살리기 위한 종교 구원사적 의미를 지닌다고 말할 수 있다. 상월의 불성 개현사상은 불교의 본래 모습과 달리 왜곡되었던 이 시대의 불교를 새롭게 혁신한 신대승불교운동의 시작이자 현재 한국불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Buddhism is a religion that pursues enlightenment. This is because the beginning of Buddhism comes from the truth that the Buddha realized, and the goal is the realization of the Buddha.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is invaluable, and it is said that Sangwols thought is another movement for the Buddhists enlightenment in contemporary Korean Buddhist society. This present study focuses on both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and its practice of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press the value of Sangwols thought by looking at its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the modern Korean Buddhist system. Sangwol does not rely on the Korean traditional Buddhist Sangha, but rather, he built a new Buddhist order, which is based on his own enlightenment and Dharma power to guide all sentient beings in finding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even though Korean Buddhism looked away and pretended not have noticed their aspiration for the enlightenment in the situation of the gloomy Buddhist period of that time.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is the conversion from the existing Buddhism to the Popular Buddhism and the Daily Life Buddhism as a part of the New Mahayana Buddhism centered on both Cheontae Buddhism and the Avalokitesvara cult. This paradigm shift in the Buddhist faith system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t is a quite different featur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Korean Buddhist order. Sangwol theory of the awareness of the Buddha nature is that all sentient beings have it, and he revealed the Buddha nature to all Buddhists in the Cheontae Order since he reestablished the Order and left instructions as a great inspiration of the earnest aspiration to attain enlightenment. They faithfully followed their dharma teachers instruction by the Dharma ceremony, Daily Life Buddhism, and invoking the nam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e awareness of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through Buddhist rituals and the presentation of Buddhist practice through the practice of Buddhism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Korean Buddhism.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Buddha natu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angwol suggested a practice method based on his own enlightenment and Dharma power. Second, he established the Cheontae Orders new mechanism for enlightenment as the practice of faith. Third, it is in the settlement of Daily Life Buddhism that Buddhist new activity and life can be achieved together. Finally, it is a practical way to pursue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which is a fundamental Buddhist goal. Sangwols thought,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is the beginning of the new Buddhist movement because of the gloomy Buddhist period of Modern Korean Buddhism and presently his thought reveals the direction that Korean Buddhism should take in the future.

      • KCI등재

        반야중관경론에서 무상정등각과 열반의 성취

        남수영 한국선학회 2013 한국선학 Vol.35 No.-

        논자는 본고에서 『금강경』이 불교의 궁극 목적인 열반 대신에 무상정등각을성취하고자 보리심을 일 으킨 보살의 삶을 주제로 삼은 이유, 용수가 『근본중송』에서 무상정등각과 열반의 존재를 부정하는 이유, 그리고 반야중관경론에서설하는 무상정등각과 열반의 성취에 대하여 의문을 제기하고, 반야중 관경론을중심으로 그 세 가지 문제들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지금까지 고찰한 내용을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수가 『근본중송』에서 무상정등각과 열반의 존재를 부정하는 이유는다음과 같다. 즉 용수의 『근본중송』에 의하면 일체법은 연기이며, 연기인 일체법은무자성, 공, 가명, 중도이다. 그런데 일체 법에는 무상정등각과 열반이 포함되며,중도란 비유비무(非有非無), 즉 존재도 아니고 비존재도 아니라 는 의미이다. 따라서 『근본중송』에서 무상정등각과 열반은 그 존재성이 부정된다. 다시 말하면무상정등각은 불타 에 의존해서 성립하는 연기적인 사물이기 때문에 그 존재성이부정되며, 열반은 중도의 진실 그 자체이 기 때문에 그 존재성이 부정되는 것이다. 『금강경』이 불교의 궁극 목적인 열반 대신에 무상정등각을 성취하고자 보리심을일으킨 보살의 삶을 주제로 삼은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대지도론』에 따르면삼삼매(三三昧)는 열반을 성취하는 가장 직접적인 수행법이고, 수행자는 삼삼매를통하여 열반을 성취할 수 있지만, 그는 삼삼매 속에서 열반을 성취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대지도론』에서 언급하는 수행자란 무상정등각을 성취한 후 스스로불타가 되어 일체의 중 생을 열반으로 인도하겠다고 보리심을 일으킨 대승의 보살(菩薩)이고, 그는 아직 무상정등각을 성취하 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금강경』은초기 대승경전으로서 『대지도론』과 마찬가지로 보살사상을 바 탕으로 하기 때문에,열반을 성취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의 성취를 보류하고, 무상정등각을성취 하여 일체의 중생을 열반으로 인도하고자 보리심을 일으킨 보살의 삶을주제로 삼았던 것이다. 반야중관경론에서 설하는 무상정등각과 열반의 성취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즉 『대지도론』과 『대품반야경』 등에 의하면 보살은 반야바라밀을 바탕으로 하는 6바라밀의 실천 을 통해서 무상정등각과 열반을 성취하게 된다. 그러나 보살은무상정등각과 열반이라는 법이 존재한 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따라서 그것들에대해서도 집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무상정등각과 열반을 성 취하였음에도불구하고 일체제법의 실상인 필경공(畢竟空)에 따라 그것들도 공이라고 관하여,일체법에 대한 희론과 분별, 갈애와 집착이 모두 소멸된 상태, 그것이 곧반야중관경론에서 설하는 진정한 무상 정등각과 열반의 성취인 것이다 Present writer examined the three problems in this article as follows. 1) Why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sūtra(『金剛經』) choosed the life of bodhisattva(菩薩) for its subject instead of nirvāṇa, the final goal of Buddhism? 2) Why Nāgārjuna denied the existence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 a, the basis of three jewels in Buddhism, in his Mūlamadhyamaka-kārikā(『 根本中頌』)? 3) How Prajñāpāramitā and Madhyamaka literature explain the achievement of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āṇa. And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they are as follows. The reason why Nāgārjuna denied the existence of the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āṇa in Mūlamadhyamaka-kārikā is as follows. All dharmas are products of dependent origination(緣起), and all dependent originated dharmas are no self nature(無自性), emptiness(空性), assumed name( 假名), and middle way(中道) in Mūlamadhyamaka-kārikā. But the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āṇa are included in all dharma, and the meaning of middle way is non being and non not-being(非有非無 ). So the existence of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āṇa cannot help denying in Mūlamadhyamaka -kārikā. In other words, the existence of perfect enlightenment is denied because it is established dependent on Buddha, and the existence of nirvāṇa is denied because it is the very truth of middle way. The reason why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 choosed the life of bodhisattva for its subject instead of nirvāṇa, the final goal of Buddhism, is as follows. According to Mahaprajñāpāramitā- śāstra(『大智度論』), the three samadhies(三三昧) are the best way to achieve nirvāṇa, and the disciplinant can achieve nirvāṇa by the three samadhies. But he does not achieves nirvāṇa in the three samadhies because he is bodhisattva, who made aspiration for perfect enlightenment to lead all living beings to nirvāṇa after becoming Buddha as himself, and he does not yet attains to the perfect enlightenment,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Buddha. The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sūtra is early mahāyāna sūtra, and its philosophical background is the bodhisattva thought equally to Mahaprajñāpāramitā-śāstra, therefore it chooses the life of bodhisattva for its subject instead of nirvāṇa. In prajñāpāramitā and Madhyamaka literature, the acchievement of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āṇa is explained as follows. The bodhisattva can acchieve the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āṇa by practicing of six pāramitā(六波羅蜜) basing on prajñāpāramitā(般若波羅蜜) in Mahāprajñāpāramitā-śāstra and Larger Mahāprajñāpāramitā-sūtra(『大品般若經』). But the bodhisattva does not think of that the dharmas of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āṇa are existent, so he does not cling to that two dharmas too. Like this, even though the bodhisattva attained to the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āṇa by practicing of six pāramitā, he observes the dharmas of perfect enlightenment and nirvāṇa as śūnyatā according to the absolute śūnyatā(畢竟空), the true picture of all dharma. In this way, the state of mind, in which all defilements like as amplification(戱 論), discrimination(分別), craving(渴愛), and attachment(執着) are completely extincted by such observation, is the very perfect enlightnment and nirvāṇa, prajñāpāramitā and Madhyamaka literature preaching.

      • KCI등재

        신문 소재(所載) 개화기 시조의 음운현상 고찰 -『대한매일신보』와 『대한민보(大韓民報)』를 중심으로-

        송미영 ( Song Mi-young ) 우리어문학회 2018 우리어문연구 Vol.61 No.-

        개화기 시조는 1909년에서 1910년 사이에 다양한 작자층에 의해 창작되었고, 신문에 게재(揭載)된다. 개화기 시조는 당시 언중들의 언어를 살필 수 있으면서도 시조가 가지는 장르적 특징도 함께 보일 것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대한매일신보』와 『大韓民報』에 실린 개화기 시조의 음운 현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개음화는 한자어에 비해 고유어에서 대체로 적용되며 과도교정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어중의 경음화는 어휘 내부뿐만 아니라 형태소 경계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것은 시조가 가창(歌唱)을 전제로 하였기 때문에 현실 발음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축약에 의한 유기음화가 두드러지는데, 이는 시조의 글자수를 맞추기 위함이다. 원순모음화와 전설모음화의 경우 적용형과 비적용형이 공존하며 주로 『大韓民報』에 실린 시조들에서 전설모음화가 나타난다. 모음 상승, 모음 하강과 관련된 예가 나타나는데, 이는 다양한 작자층의 언어가 혼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모음조화는 용언의 활용에서 주로 나타나며, 모음조화를 지키지 않은 예가 보다 많은 편이다. 또한 용언의 활용에서 반모음 y를 첨가하는 유형이 대부분을 이룬다. 이는 작가가 현실음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이 밖에 ㄹ탈락은 ‘ㄴ, ㄷ, ㅈ’ 앞에서 나타나며, ‘ㅈ’ 앞에서는 탈락되지 않기도 하며 합성어 형성 시에는 사잇소리 현상이 반영되었다. 개화기 시조는 장르의 특징을 고수하기 위한 글자수 맞추기, 가창을 고려한 현실 음의 반영, 주제 의식 표출을 위한 의도적 첨가 등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이는 개화기 다른 문헌들과 변별되는 개화기 시조의 특징이 음운 현상으로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개화기 시조의 다양한 작자층의 언어를 토대로 개화기 음운 현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Sijo(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in the enlightenment period was written by various writer classes from 1909 to 1910, and appeared in the newspapers. That is, Sijo in the enlightenment period shows the language of people of those days, and also has genre characteristics of Sijo. Therefore, the study attempts to examine phonological phenomena of Sijo in the enlightenment period reported in 『Daehanmaeilsinbo』 and 『Daehanminbo』. Palatalization is generally applied to native tongue rather than Sino- Korean word, but there are some cases that show hypercorrection. Glottali zation of middle of a word is clearly showed not only in the inside of a word but also in a boundary of morpheme. This reflects real pronunciation because Sijo is based on singing. In addition, an aspirate by abbreviation is remarkable because it should set number of characters of Sijo. In case of vowel rounding and vowel fronting, there are application type and non-application type, and vowel fronting is remarkable in Sijoes that were put in 『Daehanminbo』. There are many examples related to vowel raising(high vowel) and vowel falling because languages of various writer classes are mixed. Vowel harmony is mostly showed in the use of predicate, and there are more examples that break vowel harmony. Rieul(ㄹ) omission is showed in from of ‘Niwn(ㄴ), Digeut(ㄷ), and Jieut(ㅈ)', and this is not sometimes omitted in front of ‘Siot (ㅅ) and Jieut(ㅈ)'. Most types are to add Siot(ㅅ) between words or to add a semivowel y in the use of predicate. This is because a writer recognizes real pronunciation. Sijo in the enlightenment period has characteristics such as setting number of characters to stick to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reflecting real pro nunciation that considers singing, and emphasizing specific parts. These characteristics appear as phonological phenomena. Through this, the language of various writer classes is exam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