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라운의 주제분류법 연구

        곽철완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 정보관리학회지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irst edition of Brown’s Subject Classification and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s of today’s library classification. For this purpose, the first edition of the Subject Classification published in 1906 was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divided into three main areas. First, SC is divided into eleven main classes and each class is subdivided into enumerated subdivisions from 000 to 999. Second, As a method of synthesizing the classification numbers, there were three methods of synthesis. There was a flexibility to insert a new classification number at the appropriate location when a new topic that does not appear in the main table appeared. Implications for classification studies can be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First, SC proposed a method of classification number synthesis for composite topics, which is an innovative method that was not available in previous library classification. Second, the subject matter was explained in various aspects through the operation of auxiliary tables supporting the facets. Third, it is possible to easily insert a new topic into the classification system by using the SC that can have a flexible classification system for each library, or to use a short classification num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ibrary collection. Fourth, it provided a directory that can be considered as access points for digital materials. 이 연구의 목적은 브라운의 주제분류법 초판을 분석하여 오늘의 분류법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06년에 발표한 주제분류법 초판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류체계의 구성에서 주제분류법의 주류는 크게 11가지로 구분되며, 각 주류는 000에서 999로 세분되어 열거식으로 나열되었다. 둘째, 분류기호 합성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다. 셋째, 새로운 주제 처리 방법으로 본표에 없는 새로운 주제가 나타나면 적절한 위치에 새로운 분류기호를 삽입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었다. 분류법 연구에 대한 시사점은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이전의 분류법에는 없었던 혁신적인 방법인 복합 주제에 대한 분류기호 합성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패싯을 지원하는 보조표 운영을 통하여 주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설명하였다. 셋째, 자관별로 유연한 분류체계를 가질 수 있도록 한 분류법으로 분류체계에 새로운 주제를 쉽게 삽입할 수 있거나 도서관 장서 규모에 따라 간략한 분류기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디지털 자료에 대한 접근점으로 고려할 수 있는 디렉토리를 제공하였다.

      • KCI등재후보

        환자의 주관적 증상 텍스트에 대한 진료과목 분류 모델 구축

        이서희 ( Seohee Lee ),강주영 ( Juyoung Kang ) (사)한국빅데이터학회 2021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Vol.6 No.1

        의료 인공지능 분야에서 의사의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질환 예측 및 분류 알고리즘에 대해선 많은 연구가 이뤄져왔지만, 의료 소비자의 정보 획득과 판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인공지능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다. 네이버 지식인에 지난 1년 간 자신의 증상엔 어떤 병원을 가야할 지 질문하는 질문 건수만 해도 15만 건이 넘는다는 사실은 의료소비자들에게 적합한 의료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선 의료소비자들이 자신의 증상에 대한 진료과목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네이버 지식인에서 환자들이 직접 서술한 증상 텍스트를 수집하여 8개 진료과목을 분류하는 분류모델을 구축했다. 우선 환자의 주관이 개입된 데이터의 타당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객관적 증상 텍스트(서울응급의료정보센터에서 정리한 진료과목 별 주요 질환 증상)와 주관적 증상 텍스트(지식인 데이터) 간 유사도 측정을 수행하였다. 유사도 측정 결과, 두 텍스트가 동일한 진료과목의 증상일 경우 상이한 진료과목의 증상 텍스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유사성을 가진다는 것을 입증했다. 상기 절차를 따라 타당성을 확보한 주관적 증상 텍스트를 대상으로 릿지회귀모델을 사용하여 분류모델을 구축한 결과 0.73의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In the field of medical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 have been a lot of researches on disease prediction and classification algorithms that can help doctors judge, but relatively less interested in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can help medical consumers acquire and judge information. The fact that more than 150,000 questions have been asked about which hospital to go over the past year in NAVER portal will be a testament to the need to provide medical information suitable for medical consumer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anted to establish a classification model that classifies 8 medical subjects for symptom text directly described by patients which was collected from NAVER portal to help consumers choose appropriate medical subjects for their symptoms. In order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data involving patients’ subject matter, we conducted similarity measurements between objective symptom text (typical symptoms by medical subjects organized by the Seoul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and subjective symptoms (NAVER data). Similarity measurements demonstrated that if the two texts were symptoms of the same medical subject, they had relatively higher similarity than symptomatic texts from different medical subjects. Following the above procedure, the classification model was constructed using a ridge regression model for subjective symptom text that obtained validity, resulting in an accuracy of 0.73.

      • KCI등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공주대학교·한국교원대학교 미술교육과 전공기초과목 중심 -

        박남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3 No.1

        The present circle of art education occupies a thin layer of expert researchers in art education. Besides, it does not have enough foundational studies conducted for its qualitative growth compared with other academic circles. As a matter of fact,holistic and macroscopic research on overall art education has not been actively carried out. The goal of education is to cultivate desirable social beings, and nowadays, it has far more interest in fostering cultural social beings. The expertise of art teachers mirrors simultaneously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time as well as educational philosophy that is consistent regardless of tim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tise of art teachers and the curricula of universities for fostering teachers and also examined the problems of basic major subjects presently operated in the department of art education. This was initiated from the idea that the art education curricula of art education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main institutes of fostering secondary art teachers in Korea, were not well-structured enough to cultivate art teachers with expertise. The current curricula of Korean universities are organized with subjects divided into pedagogics, subject content education,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Generally,this theoretical classification of pedagogy is mostly agreed, but it is also an obvious fact that the classification is too broad for each department to use when it opens its major subjects. Therefore, it is urgent to establish criteria to divide subjects in order to improve the substance and quality of major subjects, and the criteria should be the standards to prepare the major subjects. The long absence of criteria for opening major subjects has been the obstructive factor in establishing major subjects with quality and even has produced a serious situation to tacitly accept the intervention of rights and interests from sectors other than education. Accordingly, in order to structuralize substantial basic major subjects for cultivating art teachers, this paper suggested six criteria for opening basic major subjects: ‘subjects to improve subject matter-related expertise’, ‘subjects to enhance practical skills’, ‘subjects to acquire art teaching methods’, ‘subjects to accept the contemporary demand’, ‘subjects to cultivate field adaptation’, and ‘sciences related with subject matters’. Moreover, based on the criteria, this study also analyzed subject matter education and subject content education, the basic major subjects of art education at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2009. The results gained from the analysis process are suggested here as methods to foster future teachers with substance in art education afterwards. This article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subject to the concrete and sensitive issue that has not been discussed in art education for a while and lays the foundation for follow-up researches. 현재 우리나라는 국가수준 교원양성 교육과정 기준의 부재로 예비교사 양성과정에서 질적 수월성이 저하되고 있으며, 미술교육 내부적으로는 사회·문화적 변화를 능동적으로 반영하지 못하는교육내용과 새로운 모색에 소극적인 교수방법 등으로 예비교사의 전문성이 저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결국 미술교사의 교육력을 저하시켜 학교미술교육에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현재 우리나라 양성대학의 전공기초과목은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이라는 분류체계에 의해 편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통적인 분류체계는 교육계에서 논의되는 일반적인 개념으로 과목을 개설하기 위한 기준으로 삼기에는 광범위한 범주이다. 따라서 미술교육의 전문성을 살린 과목을 개설하기 위해서는 학과의 특성이 반영된 구체적인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교육현장의 변화된 패러다임을 조망하는 과정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미술교사 양성에 필요한 전공기초과목 분류기준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그 분류기준에 따라 미국의3개 대학과 우리나라 공주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 미술교육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해봄으로써예비 미술교사의 교육력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내실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교 지리과 교육과정 편제의 변천과 과목 구성 방향 탐색

        강창숙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2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flect on the trends of changes of classification of subjects in the high school geography curriculum and explore a direction for organizing geography subjec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eography was organized into two types of subjects—compulsory and elective subjects—during the period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5th curriculum. Beginning in the 7th curriculum, geography is an elective subject, while subjects of special course are replaced by elective subjects in general high schools. Second, subjects of social studies were expediently organized for each curriculum period regardless of the nature of subjects in different areas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ntent system. In the three areas of social studies, there were changes in the organization of subjects and the subject names in each period. In contrast, the organization of geography into two subjects—Korean Geography and World Geography—has been fixed. Finally, from the perspective of powerful disciplinary knowledge theory, the case of China’s geography curriculum, which constitutes various subjects based on the research field of geography, was examined. And based on this, a direction and a plan (draft) for organizing geography subjects encompassing general and special course subjects were presented. 본연구는고등학교교육과정에서지리과과목편제의변천양상을반성적으로고찰하고, 과목구성방향을탐색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다음과같다. 먼저, 교수요목기부터5차교육과정까지지리는필수와선택과목으로편제되었다. 7차시기부터선택과목으로이수되었으며, 최근에는전문계과목이일반계고등학교선택과목으로이수되고있다. 둘째, 사회과의교과편제는영역별과목의성격이나내용체계특성과관계없이교육과정시기별로편의적으로이루어졌다. 사회과3개영역에서는시기별로과목과과목명구성을달리하는변화가이루어졌지만, 지리는한국지리와세계지리로계속되었다. 마지막으로, 강력한학문적지식론의관점에서, 지리학연구분야를바탕으로다양한과목을구성하고있는중국의사례를살펴보았고, 이를바탕으로일반계보통교과와 전문계 전문교과를 포괄하는 지리 과목 구성 방향과 구성(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북한 문헌분류표 <분류-검색어사전>의 특징 분석

        최재황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3 No.4

        In 2000, North Korea developed and published a two-volume, <Classification-Search Term Dictionary> and is currently used throughout North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lassification schemes of the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and to understand the contents, composition, and principles of the <Classification-Search Term Dictionary> published in 2000 and revised in 2014. Until now, all the studies of the North Korean classification schemes were studies on the <Book Classification Scheme> published in North Korea in 1964, and there has been no discussion on North Korea’s classification schemes since then. The first volume of the <Classification-Search Term Dictionary> consists of ‘classification symbols—search terms’, and the second volume consists of ‘search terms—classification symbols’. Volume 1 is based on the <Books and Bibliography Classification Scheme (1996)>, and there are a total of 41 main classes in five categories. Volume 1 allocates 1 main class (11/19) to ‘revolutionary ideas and theories’, 8 main classes (20~27) to ‘natural sciences’, 19 main classes (30~69) to ‘engineering technology and applied sciences’, 12 main classes (70~85) to ‘social sciences’, and 1 main class (90) to ‘total sciences’. Volume 2 is similar to subject-headings. North Korea’s <Classification-Search Term Dictionary> is the first classification scheme introduced in South Korea and is expected to be the starting point for future studie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unification classification schemes. 북한은 2000년 2권 8책의 <분류-검색어사전>을 개발하여 발표하였고, 이 문헌분류표는 북한 전역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 북한도서관의 문헌분류표 발전과정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고 2000년에 발표되고 2014년에 개정된 <분류-검색어사전>의 내용, 구성, 원리를 파악해 보는 데 있다. 지금까지 북한의 문헌분류표에 대한 연구는 1964년 북한에서 발표된 <도서분류표>에 대한 논의가 전부이며, 이후 북한의 문헌분류표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분류-검색어사전(2000)>의 제1권은 ‘분류기호—검색어’, 제2권은 ‘검색어—분류기호’로 구성된다. 제1권은 1996년에 발표된 <도서 및 서지 분류표>에 기초하고 있으며 다섯 부문에 걸쳐 총 41개의 류문으로 전개된다. 혁명사상과 이론’에 1개(11/19) 류문, ‘자연과학’에 8개(20~27), ‘공학기술 및 응용과학’에 가장 많은 19개(30~60/69), ‘사회과학’ 부문에 12개(70~85), 그리고 ‘총류’에 1개(90)의 류문을 배정하고 있다. 제2권은 주제명표목표와 유사하다. 북한의 <분류-검색어사전>은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문헌분류표이며, 본 연구는 향후 남북간 표준 통일분류표 제정 연구를 위한 기초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관련 항목명 확장전개에 관한 연구

        정옥경 한국문헌정보학회 201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expansion of headings for digital trends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change process of classification items related to digital resources in DDC and KDC. Second, subject names related to digital in LCSH and Korean National Library Subject Heading were analyzed. Third, comparisons between the items related to digital of DDC 23rd with LCSH and KDC with Korean National Library Subject Heading were conducted. The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was identified that KDC 6th edition faces with difficulties in reasonable classification because item names related to digital of KDC 6th edition have 11 items. Therefore, the item related to digital has to be expanded to new classification item name and has to add include notes and class here notes in KDC.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관련 항목명의 확장 전개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첫째, 듀이십진분류법과 한국십진분류법의 디지털 관련 항목명이 전개되어 온 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와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의 디지털 관련 주제를 분석하였다. 셋째, 듀이십진분류법 제23판과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에 전개된 디지털 관련 분류 항목명을 비교 분석하고,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 본표에 전개된 분류항목명과 국립중앙도서관 주제명표목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에 전개된 디지털 관련 항목명이 12개 항목으로 디지털 관련 자료의 합리적인 분류가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KDC의 디지털과 관련된 항목명을 포함주기와 분류지시주기에 추가하거나 새로운 분류항목으로 확장 전개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문화 분류를 위한 <주제·양태 결합 분류체계> 연구

        김문용,이정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003 民族文化硏究 Vol.38 No.-

        본 논문은 조선시대의 문화 현상을 논리적으로 범주화하고 그 개념적 거리와 계층을 정의함으로써, 원하는 정보에 대해 정확하고 빠른 접근을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의 산물이다. 기존의 문화분류체계들은 문화의 주제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식과 문화 요소의 양태를 기준으로 분류하는 방식, 그리고 이 두 방식을 혼용하는 방식의 세 종류로 나누어볼 수 있다. 문화의 주제에 따른 분류는 그동안의 학문적인 관용에 기초하는 바가 많아 연구자들이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반면 양태 분류는 항목의 논리적인 분할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통시대적, 범세계적 보편성에로의 가능성을 많이 함축하고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는 새로운 분류체계를 설계하면서, 이 두 방식의 장점을 모두 수용하였다. 그러면서 종래와 같은 무원칙, 무규칙적인 혼용을 피하기 위하여 주제 영역별 분류와 문화요소의 양태별 분류를 병행하고, 이를 각각 분류체계의 XY축에 매치하였다. 즉 하나의 문화현상을 영역과 양태에 따라 각각 분류하고, 이 두 분류값을 결합하여 최종 분류값으로 정하는 방식의 분류체계인 것이다. 이러한 원칙에 의하여 조선시대의 문화현상을 12개의 양태 항목과 75개의 주제 항목으로 구분하여, 종합 899개의 분류항으로 구성된 분류체계를 설계할 수 있었다. 이 새로운 분류체계는 앞으로 여러 차례의 시험 운용 과정을 거쳐 계속 확대, 보완해 갈 예정이다. This proposal aims at creating of a new classification system, which logically classifics cultural phenomena of Chosun Dynasty and defines the conceptual distances among and the stratum of the phenomena. This new system will help scholars to access to the necessary informations casily and swiftly. There have been existed three styles of classification systems: the stile based on the difference of the cultural subject, the style based on the ontological mode of cultural elements, and the mixture of the two. The first one has strength in convenience. Therefore many scholars, relying on the academic habit, used this system. The second, however, has other strengths. Since it is based on the logical classification among the items, it has potentials to be utilized synchronically and in the end world widely. The new system suggested in this proposal utilized the strengths from both systems explained above. Nevertheless, this system separates the result from the two systems and allocated each of them to the axis X and Y respectively in order to avoid the disorder caused by the lacks of principle and regulation in combining the two systems. As it were, certain cultural phenomena are classified base on their values in their subjects as well as modes, and combined into the final values. In this way the cultural phenomena of Chosun dynasty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12 mode items and 75 subject items, and 899 items are created in this system. This new system will be expanded and amended through the experimental uses.

      • KCI등재

        이용자 중심의 주제어 기반 분류를 위한 주제명 개발에 관한 연구: 지식조직체계 분석을 바탕으로

        백지원 한국정보관리학회 2011 정보관리학회지 Vol.28 No.1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necessity of the subject heading construction for the word based classification and to suggest a methodology that uses various knowledge organization systems(KOS). For this purpose, six kinds of KOS were collected for the 20 selected works in each subject. The collected subjects were analysed in terms of constructing a subject heading for the word based classificati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re is a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library oriented KOS and commercial oriented KOS. In addition, user oriented tags are more similar to the commercial sector's concerning subject categorization than the library oriented ones. However, there is no noticeable difference among the library oriented KOS, commercial sector oriented KOS, and user oriented tags regarding the subject vocabulary. Some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the application to the Korean librar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본 연구는 도서관 장서의 분류를 위하여 기존의 문헌 분류체계 대신 주제어 기반의 분류를 적용하고자 할 때 필수적인 주제명 개발의 필요성을 논하고, 개발 방법론의 하나로 기존의 다양한 지식조직체계의 주제어를 활용하는 방법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분석 대상 저작을 선정하고 이에 대하여 부여된 문헌분류, 주제명표목, 국내외 대형 서점의 분류, 서가명 및 주제어, 이용자 태그 등 다양한 지식조직체계의 주제어를 수집하여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전통적인 도서관 중심의 지식조직체계와 상업성이 중심이 되는 지식조직체계의 성격과 범주화의 방식이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용자 태그는 최상위 빈도수의 태그인 경우 전통적인 지식조직체계 및 상업적 영역의 지식조직체계와 어휘의 측면에서 거의 차이가 없는 결과를 나타냈으나, 이용자 중심의 주제어로서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분류를 대체하는 주제명 작성을 위해 기존의 지식조직체계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각각의 특성 및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고, 국내에서의 적용을 위한 실질적인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주제어기반 분류의 특성 분석 - 범주화 및 분류체계의 측면을 중심으로 -

        백지원 한국문헌정보학회 201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는 전통적인 문헌분류와 주제어기반 분류(Subject-Based Classification: SBC)의 상대적인 비교를 통하여 SBC 체계가 범주화 및 분류체계의 측면에서 갖는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SBC의 정체성을 명확히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하여 12종의 실제 SBC 체계를 수집하여 그 체계의 전반 및 특성을 개괄하고, 범주화의 관점과 내용, 그리고 분류의 이론적 측면에서 DDC와 상대적인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SBC 체계는 분류의 관점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범주화의 내용과 구조적인 측면에서 DDC와 큰 차이가 있으며, 분류체계로서의 요건이 적용되는 정도와 방식에 있어서도 기존의 문헌분류체계와 상반된 특성이 명확하게 드러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이러한 SBC의 특성을 고려한 분류론적 논의와 이론 개발이 필요함을 밝혔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ategorizational and classificatory features of the subject-based classification (SBC) as a subject organization system. For this purpose, 12 SBC schemes of public libraries were selected and a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between the traditional classification system, such as DDC and SBC in terms of the categorizational aspects, and canons for the classification.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and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ypes of classifications. This study concluded that SBC cannot be clearly explained and understood without a consideration of its essential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s a classification scheme.

      • KCI등재

        은퇴 노인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은퇴전 직종에 따른 종단 연구

        박군석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act of psycho-social factors (social relationship and personal) as well as illness history and economic status on physic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the retired Koreans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1,315 elders (mean age = 72.70yrs) residing in Seoul and Chuncheon regional area via interviews(Time 1), and them were re-interviewed two year later(Time 2).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retired elders’ illness history, economic status, marital satisfaction, fulfillment of self-esteem need, drinking behavior, positive affectivity, negative affectivity and physical health to predict their subjective well-being at Time 1(R2=.705). The retired elders’ economic status, marital satisfaction, positive affectivity, negative affectivity and physical health to predict their subjective well-being at Time 2(R2=.418). The retired elders’ illness history, economic status, expectations for one’s offspring, drinking behavior and subjective well-being to predict their physical health at Time 1(R2=.364). And the retired elders’ illness history, economic status, marital satisfaction, positive affectivity and negative affectivity to predict their physical health at Time 2(R2=.265). In case of retired elderly, suggested for the psycho-social determenant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physical health by occupational classific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ure study were discussed. 은퇴한 한국 노인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과거 경험한 질병 수, 경제상태 수준, 사회관계 요인들로는 배우자에 대한 만족, 자녀에 대한 만족, 자녀에 대한 기대, 사회적 지원 그리고 개인경험 요인으로는 자존심 욕구의 충족, 종교신앙, 정적정서, 부적정서, 건강행동으로는 음주행동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은퇴 전에 종사하였던 직종의 유형에 따라 현재(T1)의 주관안녕 및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해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2년 후(T2)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도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인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3년(T1)과 2005년(T2)의 조사에 모두 참여한 서울과 춘천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31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은퇴노인들(n=735)이 현재 재직 중인 노인들(n=374)에 비하여 2003년과 2005년 모두에서 과거질병 및 종교신앙 수준이 높았으며, 경제상태, 사회지원, 자존욕구충족, 음주행동, 정적정서, 주관안녕 및 신체건강 지각 수준이 낮았다. 한편 재직 중인 노인 집단과 은퇴한 노인 집단의 2003년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을 각각 설명해 보고자 12개 요인들을 단계별로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은퇴노인들의 주관안녕은 재직노인들(63.0%)과 달리 결혼만족과 음주행동 요인이 추가되어 8개 요인이 유의하게 설명하였다(70.5%). 은퇴노인들의 신체건강은 재직노인들(33.7%)과 달리 자녀기대와 음주행동 요인이 추가되어 5개 요인이 유의하게 설명하였다(36.4%). 은퇴노인들의 2년 후 주관안녕은 재직노인들(44.7%)과 달리 결혼만족과 신체건강 요인이 추가되어 5개 요인이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41.8%), 신체건강은 결혼만족,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요인이 추가되어 5개 요인이 26.5%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은퇴노인 집단들의 경우, 직종별로 세분한 중다회귀 분석 결과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고 장래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