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황순원 초기 단편소설의 서정적 특질 -단편집 『늪』을 중심으로-

        이익성 개신어문학회 2012 개신어문연구 Vol.0 No.36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rgue the lyricality of the early short-stories of the author Hwang Sun-won, focusing his first book of the short-stories <Neup(늪)>. The author Hwang Sun-won had apeared as a poet at first, but he wrote the short-stories. As a poet he was influenced by the modernistic tendencies. So in his first book of the short-stories <Neup(늪)>this tendencies apeared. And in his first book of the short-stories <Neup(늪)> we classified two categories by the setting in arguing the lyricality of his works: the urban short-stories, and the rural short-stories. In the urban short-stories Hwang Sun-won presented the urban lyricality and described the inner consciousness of the young men. And the rural short-stories Hwang Sun-won presented the rural lyricality and reported the romantic and symbolic aspcts of the peasntry's poor lives.

      • KCI등재

        일제 암흑기 황순원의 창작 단편소설 연구

        이익성 ( Ick Seong Le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61 No.-

        본 논문의 목적은 일제 암흑기 황순원 소설의 특징을 살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한국 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에 발간된 소설작품집 『기러기』에 수록된 황순원의 일제 암흑기에 창작된 15편의 단편 소설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일제 암흑기에 고향에서 창작된 황순원의 단편 소설에서는 그 등장인물의 특징에 따라 (1)노인, (2)소년 소녀와 같은 어린 아이, (3)여성과 젊은이로 나눌 수 있었고, 노인을 주인공으로 하는 작품에서는 인생의 황혼에 대한 삶의 애환을 서정적으로 형상화하고 있었고, 어린 아이를 주인공으로 하는 작품에서는 미성숙한 등장인물의 특징을 순수와 미성숙의 문제로 그려내고 있었다. 그리고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는 작품에서는 비참한 삶의 여정을, 젊은이를 주인공으로 하는 작품에서는 일제 말기의 쓸쓸함을 그려내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이 작품집 『기러기』에서 황순원이 그려내고 있는 것은 일제 말기의 암울한 분위기 속에서의 전통을 기반으로 서정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ort-stories of “Hwang Sun-won” at the period of the last Japanese Imperialism. In the Korean War Hwang Sun-won published the book of the short-stories 『Ki-Reo-Gi(기러기)』. In this book he compiled the fifteen work of short-stories. They were created at the period of the last Japanese Imperialism in Korea. The main characters of the short-stories work 『Ki-Reo-Gi(기러기)』 are classified three types: (1) the old men, (2) the boys and girls, (3) the women or the young men. The short-stories whose main character is the old man showed the twilight of life and the hardship of the daily life. The short-stories whose main character is the boys and the girls revealed the innocence and the immaturity. The short-stories whose main characters are the women displayed the miserable life, the short-stories whose main characters are the young men demonstrated the weariness of the daily life at the last Japanese colonial imperialism. So in the short-stories work 『Ki-Reo-Gi(기러기)』 the author Hwang-Sunwon showed the traditionality and the lyricism at that period.

      • KCI등재

        김소진 엽편소설 연구

        최재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5 No.-

        In this theses,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mes and the methods of describing them in the collection of short-short stories, Love of Snail, which was consisted of 34 Short-short stories of Kim, So-Jin, who died of cancer in 1997. I categorized short-short stories as “Yuppyun-Sosul (a leaf-size length story, which means extremely short story) according by the type of story, and summarized the concept and features. Especially I classified Kim, So-Jin’s Short-short stories as four categories on the basis of themes and novel technic which give concrete shape to themes. Firstly, he usually described the agonies and sufferings of ordinary lives of common people, middle and low class in our society with the novel technic of humors and wits. He didn’t lose the positive attitude of lives even though the life was very hard and painful for the present. Secondly, his short-short stories were perfect pictures of our private and social life. He recognized the life conditions of human beings as vulgar reality. So he used irony and dramatic reversal in his short-short stories to describe the absurd and illogical circumstances of modern society. Thirdly, Kim, So-Jin used beast fables to give persons wisdom and moral lessons in his Short-short stories. This novel technic was very useful and specific method to describe various situations of human beings in the limited space and to give a strong impact by dint of the dialogues and actions of beast to sneer at the stupidity of man. Fourthly, in general, he wrote his novels with positive mind. Though the reality of human beings was very severe and harsh, the characters in his novels solved various problems with the empathetic understandings each other. So they recovered love and reconciled with world which gave them conflict. Kim, So-Jin used such novel technic of short-short stories effectively to express his consciousness as a writer, and to describe themes of novels. As these characteristics of novel technic in his short-short stories are related to those of his full-length novel and short stories, it is necessary to study all his short-short stories for more deep understanding of Kim, So-Jin’s literary world. 이 글에서는 김소진 사후에 출간된 짧은 소설집 『달팽이 사랑』에 실린 34편의 소설을 대상으로 소설의 주제와 그것을 형상화하는 표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짧은 소설은 소설 분류 방식에 따라 ‘엽편소설’이란 명칭으로 정의하고,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 김소진이 창작한 엽편소설의 특징은 유머와 위트, 아이러니와 극적 반전을 사용하여, 삶을 긍정하고 인간관계를 회복하기도 하며, 냉혹하고 부조리한 현실과 인정세태를 비판한다. 또한 우화적 구성과 긍정적 결말 구조를 사용하여 인간에게 필요한 가치와 덕목을 교훈하고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소설 속 인물들이 사랑을 회복하고 세상과 화해하게 한다. 김소진은 엽편소설을 통해 아무도 시선을 주지 않는 평범한 삶 속에 담긴 이야기나 사소한 갈등, 작은 담론들을 예리하게 포착해 낸다. 엽편소설의 형식이 아니라면 작은 모티프에 그쳤을 소설의 주제는 작가의 관심과 의식을 통해 선명하게 부각되고 작가 특유의 유머와 긍정적 시선을 통해 생동감 있게 살아난다. 결국 다양한 인간 군상과 세상에 대한 작가의 따뜻한 시선은 그의 엽편소설을 재미있고 감동있는 서사물로 만드는 원천이 된다. 김소진은 소설 플롯 구성이 자유롭고 간결하며 압축적으로 제시되어야 하는 엽편소설의 특징에 맞게 주제를 선명하게 드러낼 수 있는 소설적 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김소진이 엽편소설을 통해 보여준 작가의식과 소설 주제를 형상화하는 방식은 김소진 문학의 일반적 특징과도 긴밀하게 연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의 문학세계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엽편소설 전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기생 「康春紅小傳」 연구

        신현규(Shin, Hyun-gyu)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1 No.-

        일제강점기 구활자본 소설 李海朝의 『女의 鬼 康明花實記 下(1925)』에는 부록으로 기생이야기 ?康春紅小傳?, ?李花蓮小傳? 등 2편이 함께 게재되어 있다. 왜 부록에 ‘小傳’ 형식이 있을까? 또한 이 작품의 존재는 어떻게 파악해야 하는가? 이에 대한 문제 제기를 하고자 하는데 이 글의 목적을 둔다. ?강춘홍소전?의 주인공, 기생 康春紅은 실존 인물이다. 여의 귀 강명화실기 하 부록에 수록되어 있는 ?강춘홍소전?은 ‘小傳’ 형식으로 일제 강점기 권번 기생의 이야기이다. ?康春紅小傳?은 강명화실기만큼 스토리텔링으로 삼기에는 많이 부족한 이야기이다. 이 때문에 이해조는 이를 ‘小傳’으로 명명한 이유가 아닐까 한다. ‘小傳’의 형식은 인물의 일대기 중심으로 짧은 스토리, 즉 딱지본 소설만큼 짧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이해조의 ?강춘홍소전? 작품은 강명화 실화를 권선징악이라는 교훈적 틀에 맞추어 재구성한 작품이다. 그는 강명화 이야기의 교훈적, 계몽적 측면을 부각하기 위한 수단으로 허구적 정황을 첨부하여 독자들의 직접적인 각성을 유도한다. 귀신 이야기를 제목과 서두에 배치하여 독자들의 경각심을 불러 일으키는 것은 결국 악행을 경계하라는 고유한 목적을 염두에 둔 구성이다. 이때의 재구성이란 실화가 지닌 골격과 주제를 기본 틀로 하고, 여기에 작가의 상상력을 가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나, 후자의 역할이나 영향력은 극히 미미하다고 할 수 있다. 그만큼 이해조는 실화가 지닌 고유한 이야기 구조를 그대로 차용하여 문학의 계몽적 기능을 최대치로 끌어올리는 데 강명화 이야기를 이용하고 있다 이는 최찬식의 강명화전을 비롯한 딱지본 소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 되는 특징이다. 많은 실화 가운데 신소설 작가들이 유독 강명화 이야기에 집중한 이유 또한 그것이 당대 대중들의 기대에 부응할 만한 계몽적 요소를 지녔기 때문이다. In the appendix of Lee Hai-jo’s novel, The 『Ghosts of Women, Gangmyunghwa’s non fiction story』(last volume, 1925), writte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there are two works about Gisaeng‘s story, or ?Gangchunhong’s short story?, ?Leehwayun’s short story?. We wondered that why there’re style of ‘short story’ in appendix and how we understand the exist of this work. This study aimed at presentation of problem about this theme. Gangchunhong, the Gisaeng, main character of ?Gangchunhong’s short story? is a non fiction person. The work involves the ?Gangchunhong’s short story? that is contained in appendix of Ghosts of women, Gangmyunghwa’s non fiction story(last volume) have a type of ‘short story’ and story of Gwonbun Gisaeng’s story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Gangchunhong’s short story? is estimated somewhat deficient compared with Gangmyunghwa’s non fiction story. Probably because of this reason Lee Hai-jo named it ‘short story’. ‘Short story’ means short story in and around of character’s life story, and short as well as novel of ‘Ddakjibon’. In conclusion, ?Gangchunhong’s short story? written by Lee Hai-jo is a reorganized work of Gangmyunghwa’s non fiction story that is fitted mold at lesson like ‘the good triumphing over the evil’. As a way of to highlight the aspect of moral or enlightening of Gangmyunghwa’s non fiction story, he wanted to superadd fictional situation and induce direct awakening of readers. By setting ghost story at the beginning and title intended to arose readers attention, finally aimed at classical theme that is ‘take warning evil deed’. At this point, reorganization is based on frame and theme that have non fiction story, and can add writer’s imagination, but its role or influences are imperceptible. Like that, Lee Hai-jo by borrowing story structure that have non fiction stories wanted to use Gangmyunghwa’s non fiction story for maximize enlightening function of literature. This is a common feature that appeared in novel of ‘Ddakjibon’ including ‘Gangmyunghwa’s story’ by Choichansik. The reason of why especially focused on ‘Gangmyunghwa’s story’ during many non fiction stories is that have enlightening element that can come up to expectation of the public at that time.

      • KCI등재

        김승옥의 짧은 단편소설 연구

        홍성식 ( Hong Sung-si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9

        이 논문에서는 여전히 논란이 많고 또 현재 활발하게 진행 중인 짧은 단편소설의 세계를 김승옥의 작품을 통해 조망하려 한다. 큰 틀의 목적은 최근의 초단편소설의 전 시대적 풍경을 살펴봄으로써 소설적 관련성을 규명하는 것이고, 본격적인 의도는 우리 소설사가 갖는 김승옥의 무게나 의미에 비해 그의 짧은 단편소설이 거의 논의되고 있지 않아 본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에 있다. 연구대상이 될 김승옥의 짧은 단편소설은 60년대 이후부터 창작된 38편의 작품들이다. 그의 짧은 단편소설에 주목하는 이유는 그가 소설창작의 세계에서 다소 이격(離隔)되어 있었던 지점에서도 그의 서사를 엿볼 수 있는 단초가 된다는 점과 그의 짧은 단편까지를 살펴봐야 그의 소설 전체를 관통하는 줄기를 잡아낼 수 있으리라는 점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김승옥의 짧은 단편소설의 내용과 형식적 특징을 분석한 후에 그것이 그의 기존 소설과 어떻게 연결되고 또 축소·확장되는지 살펴보았다. 그의 짧은 단편소설이 서 있는 자리는 크게 세 가지 지점으로 구분되고 있다. 현실세계와 밀착된 지점에서 자기 체험을 기반으로 상황을 직설적으로 풀어낸 것과 당대 세태문제를 중심으로 우회적으로 비판·풍자하고 있는 것이 첫 번째이다. 두 번째는 과부 등을 등장시켜 무기력하거나 희화화된 타자로서의 여성을 그린 것이다. 어떤 부류의 남성들도 대체로 이해하고 수용하는 반면 여성들에게는 왜곡되거나 일천한 인식을 드러낸다. 셋째는 도시의 일상성에서 정체성이나 자의식을 찾고자 하는 작품들과 일상의 소소한 욕망을 드러낸 작품들이었다. 그리고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짧은 단편소설의 명칭과 장르적 특성, 그리고 최근 연구동향을 면밀히 검토하고자 했다. 그래야 김승옥의 짧은 단편소설이 가지는 다른 지점 혹은 특이점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study, I studied Kim Seung-Ok's short short-stories. Kim Seung-Ok's weight and meaning are very large in history of Korean novels. However, his short short-stories are rarely discussed, so full-scale research is needed. The subject of the study is 38 short short-stories published since the 60's. The reason why Kim Seung-ok's short short-stories is focused is as follows. First, even when Kim Seung-ok does not perform his creative activities, his narrative can be seen. Second, it is necessary to look at short short-stories to understand the entire novel. In this paper, I analyze the content and formal characteristics of short short-stories by Kim Seung-ok. I also looked at how it relates to his entire novel. And the names and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short short-story were studied in detail. His short short-stories are rough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they are criticizing and satirizing the reality directly and indirectly. The second is to depict a woman as a helpless or comedian. The third is works that seek identity and self-consciousness in the daily life of the city.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문학)(韓國史思想)(文學) : 김소진 엽편소설 연구

        최재선 ( Jae Sun Cho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4 韓國思想과 文化 Vol.75 No.-

        이 글에서는 김소진 사후에 출간된 짧은 소설집 『달팽이 사랑』에 실린 34편의 소설을 대상으로 소설의 주제와 그것을 형상화하는 표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짧은 소설은 소설 분류 방식에 따라 ‘엽편소설’이란 명칭으로 정의하고, 그 특징을 정리하였다. 김소진이 창작한 엽편소설의 특징은 유머와 위트, 아이러니와 극적 반전을 사용하여, 삶을 긍정하고 인간관계를 회복하기도 하며, 냉혹하고 부조리한 현실과 인정세태를 비판한다. 또한 우화적 구성과 긍정적 결말 구조를 사용하여 인간에게 필요한 가치와 덕목을 교훈하고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소설 속 인물들이 사랑을 회복하고 세상과 화해하게 한다. 김소진은 엽편소설을 통해 아무도 시선을 주지 않는 평범한 삶 속에 담긴 이야기나 사소한 갈등, 작은 담론들을 예리하게 포착해 낸다. 엽편소설의 형식이 아니라면 작은 모티프에 그쳤을 소설의 주제는 작가의 관심과 의식을 통해 선명하게 부각되고 작가 특유의 유머와 긍정적 시선을 통해 생동감 있게 살아난다. 결국 다양한 인간 군상과 세상에 대한 작가의 따뜻한 시선은 그의 엽편소설을 재미있고 감동있는 서사물로 만드는 원천이 된다. 김소진은 소설 플롯 구성이 자유롭고 간결하며 압축적으로 제시되어야 하는 엽편소설의 특징에 맞게 주제를 선명하게 드러낼 수 있는 소설적 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김소진이 엽편소설을 통해 보여준 작가의식과 소설 주제를 형상화하는 방식은 김소진 문학의 일반적 특징과도 긴밀하게 연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의 문학세계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엽편소설 전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In this theses, I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mes and the methods of describing them in the collection of short-short stories, Love of Snail, which was consisted of 34 Short-short stories of Kim, So-Jin, who died of cancer in 1997. I categorized short-short stories as “Yuppyun-Sosul (a leaf-size length story, which means extremely short story) according by the type of story, and summarized the concept and features. Especially I classified Kim, So-Jin`s Short-short stories as four categories on the basis of themes and novel technic which give concrete shape to themes. Firstly, he usually described the agonies and sufferings of ordinary lives of common people, middle and low class in our society with the novel technic of humors and wits. He didn`t lose the positive attitude of lives even though the life was very hard and painful for the present. Secondly, his short-short stories were perfect pictures of our private and social life. He recognized the life conditions of human beings as vulgar reality. So he used irony and dramatic reversal in his short-short stories to describe the absurd and illogical circumstances of modern society. Thirdly, Kim, So-Jin used beast fables to give persons wisdom and moral lessons in his Short-short stories. This novel technic was very useful and specific method to describe various situations of human beings in the limited space and to give a strong impact by dint of the dialogues and actions of beast to sneer at the stupidity of man. Fourthly, in general, he wrote his novels with positive mind. Though the reality of human beings was very severe and harsh, the characters in his novels solved various problems with the empathetic understandings each other. So they recovered love and reconciled with world which gave them conflict. Kim, So-Jin used such novel technic of short-short stories effectively to express his consciousness as a writer, and to describe themes of novels. As these characteristics of novel technic in his short-short stories are related to those of his full-length novel and short stories, it is necessary to study all his short-short stories for more deep understanding of Kim, So-Jin`s literary world.

      • KCI등재후보

        김요섭 단편동화의 양상과 특질 연구

        서향숙(Seo, hyang-suk) 한국아동문학학회 2012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22

        김요섭은 시인이자 동화작가이다. 그는 처음부터 동화를 문학예술로 인식하고 동화의 문학적 특성에 부합하면서도 예술성을 잃지 않는 작품을 창작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을 모색해왔다. 그는 특히 단편동화에서 예술적 경지를 뛰어넘는 독특한 문학 세계를 확립한 작가이다. 본 논문은 예술성이 뛰어난 그의 단편 동화를 대상으로, 그 양상과 특질을 규명해 보았다. 김요섭 단편동화의 양상은 시대 상황과 문학적 면모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한국전쟁 이전에 창작 된 작품으로, 주로 그리움의 세계를 담은 이야기들이고, 둘째는 한국전쟁 이후 창작된 작품으로, 절망과 암울함을 담은 현실적 이야기들이다. 셋째는 1968년 이후 창작된 작품으로, 그 절망을 극복하고자 한 환상적 이야기들이다. 김요섭 단편동화의 특질은 크게 네 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첫째는 원형적 이미지와 아동문학에 적합한 주제를 결합시킨 점, 둘째는 현실인식과 역사인식에 뿌리를 두고 시적 환상을 추구하며 인간의 본질적인 문제를 다룬 점, 셋째는 전쟁의 참혹함 과 암울한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끊임없이 작품으로 구현하고자 한 점, 넷째는 시적인 문장과 다양한 이미지, 반복과 나열 기법, 독특한 플롯 등을 도입하여 동화의 문학성을 확립하고자 한 점이다. 이와 같은 김요섭 단편동화의 양상과 특질은 한 국동화문학사에서 작가로서 그의 위상을 재확인시켜주는 일이기도 하다. Kim Yo-seop is a poet and writer of childrens stories. He, who recognized childrens stories as a literary art, attempted various experiments to create stories which have artistic nature while meeting their literary qualities. He developed his own literary style in childrens stories beyond the realm of art.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the aspects and qualities of his short childrens stories, targeting his stories with excellence as an art. The aspects of his short childrens stories are categorized into three according to historical backgrounds and literary trends: First, the stories which were written before the Korean War, describe the world of longings. Second, those which were written after the Korean War, describe depression and despair of the society. Third, those which were written after 1968 are fantastic stories to overcome despair. The qualities of Kim Yo-seops short fairy tales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First, he combined archetypal images with subjects for childrens literature; Second, he dealt with human nature while seeking for poetic fantasy along with awareness on reality and history. Third, he continuously tried to realize his intention to overcome depressed reality due to the war ; and fourth, he introduced poetic sentences, various images, repetition, and distinctive plots to establish literary qualities of childrens stories. As above, such aspects and qualities of his childrens stories reconfirmed his status as a writer in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stories.

      • KCI등재후보

        토마스 하디의 단편 소설 연구의 타당성

        박정화 ( Park¸ Jung Hwa ) 동국대학교 영어권문화연구소 2012 영어권문화연구 Vol.5 No.2

        Thomas Hardy(1840-1928) has received great acclaim as a novelist and poet, but his short stories have been largely ignored as “pot boilers” and “not worth salvaging” by both readers and critics, despite the fact that he wrote 47 short stories equivalent in length to four or five of the novels. However, if he had been a short-story writer manqué as a pot boiler, he would not have spent more than 25 years writing short stories that were the exact equal length as novels, taking care to focus on the processes of composition and revision. The surviving manuscripts of his short stories reveal numerous and scrupulous revisions; indeed, Hardy continued to take a close interest in the texts of his short stories as they passed through various volume-editions. In addition, the careful organization of the short-story volumes demonstrates unity and coherence to the collections. This paper aims to examine Hardy's short stories in isolation as works of literature distinct from his other massive achievements, although in many ways the novels and poems should be mentioned in order to illuminate aspects of his short stories or collections. This approach offers an opportunity to study the unique quality of Hardy's short stories while provid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m as well as the volumes in which they were collected. The focus herein is primarily on the stories collected in Wessex Tales, A Group of Noble Dames, and Life's Little Ironies, which are those that Hardy not only chose and arranged to reprint, but also took good care in collecting in volume-editions intended to possess the internal unity in regard to theme and technique. Hardy's state as a short-story writer can be evaluated based on the quality of his entire collection as a whole as well as the quality and artistic technique in each story. His short stories deserve to take their place beside his novels and poems, enabling readers and critics to consider him as a master of the short story.

      • KCI등재

        김소진 엽편소설의 변모 양상 연구

        최재선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8 No.-

        김소진(1963-1997)은 1991년 29세의 나이에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쥐잡기」로 등단하여 6년 동안 작품을 발표한 후, 소설가로서 자신의 문학세계를 펼쳐가던 시기에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작가다. 김소진은 전업작가로서 생전에 엽편소설을 많이 썼다. 그에게 있어 엽편소설을 쓴다는 것은 단지 일회적으로 쉽게 읽고 잊혀지는 소설 창작을 넘어서는, 새로운 창작을 위한 밑그림으로서의 구상이면서, 촌철살인 같은 느낌을 담은 하나의 완결된 작품을 창작한다는 의미가 함께 하는 것이었다. 그는 자신이 쓴 엽편소설의 장르를 확장해 인물을 추가하고 사건을 재구하여, 주제를 강화하거나 새롭게 전개하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발전시켜 나가는 창작 방법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지면의 제약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거나 주제를 확장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작가가 애착을 가지고 선택한 엽편소설의 제재나 소재들을 버리지 않고 문학적 완결성이 높은 작품으로 재구해 나갔다는 것은 김소진의 독특한 소설 창작의 한 방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작가는 사소한 이야기 하나도 소홀히 하지 않고 생명을 불어넣고자 했으며, 엽편소설의 경구나 교훈, 아이러니나 풍자, 해학을 넘어서는 어떤 웅숭깊은 이야기를 만들어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김소진의 엽편소설 「지붕 위의 남자」와 단편소설 「지붕 위의 남자 1」의 비교, 엽편소설 「하루에 네 번 죽은 남자」와 미완의 유고 소설 「내 마음의 세렌게티」를 비교하여 그가 엽편소설을 단편소설로 재구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김소진은 단편소설 속에 대조적인 등장인물을 창조하여 인물들 사이의 갈등을 조성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 있게 제시하고 있다. 세태를 반영하고 쓴 웃음 속에 현실을 잊게 하는 엽편소설의 평면적 주제가 단편소설에서는 인간이란 얼마나 변화무쌍한 존재인지, 인간의 다면적 모습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심화된다. 엽편소설과 제재는 동일하나 밀도 있는 사건의 전개와 인물의 구성, 새로운 사건의 발생과 위기를 예상하게 하는 긴장과 암시 등이 확장된 소설 형식 속에 나타난다. 「하루에 네 번 죽은 남자」가 치열한 경쟁의 세계를 희화적으로 그리며, 유머러스한 결말을 통해 긴장을 해소하고, 웃음을 통해 상황을 낙관적으로 보게 한다면, 「내 마음의 세렌게티」의 주제는 보다 심도 있게 작가가 의도한 메시지를 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주 인물인 최기석의 유서를 통해 보여주는‘나는 똥이다’는 글은 김소진 문학에서 중요한 모티프로 등장하는‘똥’에 대한 작가의식, 작가의 소설 쓰기의 의미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김소진은 엽편소설에 사용된 인물, 배경, 소재와 제재 등을 단편소설 혹은 중․ 장편 소설에 사용하면서 자신이 의도한 주제의식을 심화, 확장시키는 소설 창작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In this article, the aspects of the change and the spread in the sense of subject that the author tries to address are covered by looking through the extension process of Kim, So-Jin’s Yuppyun-Sosul (a leaf-size length story, which means extremely short story) to a short story. It is also examined how significant this kind of writing method means to Kim, So-Jin’s literature. Kim So-Jin shows his writing method by enlarging his Yuppyun-Sosul; he adds more characters and reconstruct the incidents of the story to strengthen the theme or to develop a new storyline. He became a prolific writer of Yuppyun-Sosul due to economic reasons. Nevertheless, for him, Yuppyun-Sosul meant more than a mere short-short story. It was a completion of a creation, as well as a firm footing for further creations. Kim, So-Jin’s writing method is very unique in a way that he does not forsake the topics and materials of his Yuppyun-Sosul, where he could not expand the topics nor could develop the story due to page restriction, and uses those materials to reconstruct a more highly-integrated literature. In other words, he strives to bring the story to life by caring about every single thing and to create something deep that is far beyond Yuppyun-Sosul’s message, irony, satire, and humor. Hence, looking at the new story creation process of Kim, So-Jin’s Yuppyun-Sosul is to discover a clue of the author’s innermost method of creation. Comparing Kim, So-Jin’s Yuppyun-Sosul 「The man on the roof」 and the short story 「The man on the roof 1」, Yuppyun-Sosul 「The man who died four times a day」 and the unfinished posthumous work 「Serengeti in my heart」, it is analyzed that Kim So-Jin creates contrasting characters in his short stories to build the conflicts. By doing so, he thoroughly presents his ideas. The banal themes of Yuppyun-Sosul (reflections and satires of the social conditions) no longer exist in his short stories due to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lthough the topics of Kim, So-Jin’s short stories are from his Yuppyun-Sosul, short stories contain more organized storyline and character compositions, along with tension and foreshadowing of outbreak and crisis of incidents. For instance, 「The man who died four times a day」 burlesquely expresses the world of fierce competition and humorously conclude to relieve the tension and to leave the optimistic feeling. Compared to that, 「Serengeti in my heart」 embodies the author’s intended purpose more profoundly. Above all things, it is very important how Kim So-Jin reveals the meaning of writing as an author by showing the will of the main character, Choi, Kee- Suk. Likewise, it is apparent that Kim So-Jin uses unique techniques or formats to capture a slice of life in her Yuppyun-Sosul, and reuses the topics and materials in his short stories to intensify and enlarge the themes and lessons that he wants to express.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문학(文學) : 김소진 엽편소설의 변모 양상 연구

        최재선 ( Jae Sun Choi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78 No.-

        김소진(1963-1997)은 1991년 29세의 나이에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쥐잡기」로 등단하여 6년 동안 작품을 발표한 후, 소설가로서 자신의 문학세계를 펼쳐가던 시기에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작가다. 김소진은 전업작가로서 생전에 엽편소설을 많이 썼다. 그에게 있어 엽편소설을 쓴다는 것은 단지 일회적으로 쉽게 읽고 잊혀지는 소설 창작을 넘어서는, 새로운 창작을 위한 밑그림으로서의 구상이면서, 촌철살인 같은 느낌을 담은 하나의 완결된 작품을 창작한다는 의미가 함께 하는 것이었다. 그는 자신이 쓴 엽편소설의 장르를 확장해 인물을 추가하고 사건을 재구하여, 주제를 강화하거나 새롭게 전개하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발전시켜 나가는 창작 방법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 지면의 제약으로 이야기를 전개하거나 주제를 확장할 수 없는 상황에서 작가가 애착을 가지고 선택한 엽편소설의 제재나 소재들을 버리지 않고 문학적 완결성이 높은 작품으로 재구해 나갔다는 것은 김소진의 독특한 소설 창작의 한 방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작가는 사소한 이야기 하나도 소홀히 하지 않고 생명을 불어넣고자 했으며, 엽편소설의 경구나 교훈, 아이러니나 풍자, 해학을 넘어서는 어떤 웅숭깊은 이야기를 만들어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김소진의 엽편소설 「지붕 위의 남자」와 단편소설 「지붕위의 남자 1」의 비교, 엽편소설 「하루에 네 번 죽은 남자」와 미완의 유고 소설 「내 마음의 세렌게티」를 비교하여 그가 엽편소설을 단편소설로 재구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김소진은 단편소설 속에 대조적인 등장인 물을 창조하여 인물들 사이의 갈등을 조성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의미 있게 제시하고 있다. 세태를 반영하고 쓴웃음 속에 현실을 잊게 하는 엽편소설의 평면적 주제가 단편소설에서는 인간이란 얼마나 변화무쌍한 존재인지, 인간의 다면적 모습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심화된다. 엽편소설과 제재는 동일하나 밀도 있는 사건의 전개와 인물의 구성, 새로운 사건의 발생과 위기를 예상하게 하는 긴장과 암시 등이 확장된 소설 형식 속에 나타난다. 「하루에 네 번 죽은 남자」가 치열한 경쟁의 세계를 희화적으로 그리며, 유머러스한 결말을 통해 긴장을 해소하고, 웃음을 통해 상황을 낙관 적으로 보게 한다면, 「내 마음의 세렌게티」의 주제는 보다 심도 있게 작가가 의도한 메시지를 담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무엇보다 주 인물인 최기석의 유서를 통해 보여주는‘나는 똥이다’는 글은 김소진 문학에서 중요한 모티프로 등장하는‘똥’에 대한 작가의식, 작가의 소설 쓰기의 의 미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김소진은 엽편소설에 사용된 인물, 배경, 소재와 제재 등을 단편소설 혹은 중ㆍ장편 소설에 사용하면서 자신이 의도한 주제의식을 심화, 확장시키는 소설 창작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In this article, the aspects of the change and the spread in the sense of subject that the author tries to address are covered by looking through the extension process of Kim, So-Jin`s Yuppyun-Sosul (a leaf-size length story, which means extremely short story) to a short story. It is also examined how significant this kind of writing method means to Kim, So-Jin’s literature. Kim So-Jin shows his writing method by enlarging his Yuppyun-Sosul; he adds more characters and reconstruct the incidents of the story to strengthen the theme or to develop a new storyline. He became a prolific writer of Yuppyun-Sosul due to economic reasons. Nevertheless, for him, Yuppyun-Sosul meant more than a mere short-short story. It was a completion of a creation, as well as a firm footing for further creations. Kim, So-Jin`s writing method is very unique in a way that he does not forsake the topics and materials of his Yuppyun-Sosul, where he could not expand the topics nor could develop the story due to page restriction, and uses those materials to reconstruct a more highly-integrated literature. In other words, he strives to bring the story to life by caring about every single thing and to create something deep that is far beyond Yuppyun-Sosul’s message, irony, satire, and humor. Hence, looking at the new story creation process of Kim, So-Jin`s Yuppyun-Sosul is to discover a clue of the author’s innermost method of creation. Comparing Kim, So-Jin`s Yuppyun-Sosul 「The man on the roof」 and the short story 「The man on the roof 1」, Yuppyun-Sosul 「The man who died four times a day」 and the unfinished posthumous work 「Serengeti in my heart」, it is analyzed that Kim So-Jin creates contrasting characters in his short stories to build the conflicts. By doing so, he thoroughly presents his ideas. The banal themes of Yuppyun-Sosul (reflections and satires of the social conditions) no longer exist in his short stories due to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Although the topics of Kim, So-Jin`s short stories are from his Yuppyun-Sosul, short stories contain more organized storyline and character compositions, along with tension and foreshadowing of outbreak and crisis of incidents. For instance, 「The man who died four times a day」 burlesquely expresses the world of fierce competition and humorously conclude to relieve the tension and to leave the optimistic feeling. Compared to that, 「Serengeti in my heart」 embodies the author`s intended purpose more profoundly. Above all things, it is very important how Kim So-Jin reveals the meaning of writing as an author by showing the will of the main character, Choi, Kee- Suk. Likewise, it is apparent that Kim So-Jin uses unique techniques or formats to capture a slice of life in her Yuppyun-Sosul, and reuses the topics and materials in his short stories to intensify and enlarge the themes and lessons that he wants to expr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