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위성정당에 관한 헌법적 고찰

        음선필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홍익법학 Vol.25 No.2

        위성정당의 등장으로 말미암아 현행 준연동형 선거체계는 사실상 병립형 선거체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거대정당에게 일종의 「합리적 선택」으로 간주된 위성정당은 선거과정이나 원내활동에서 기존 정당을 위한 외곽세력이라 할 수 있다. 그래서 이에 대한 위법성·위헌성 문제가 계속 제기되고 있다. 현행 정당 관련 규범체계에서 볼 때, 위성정당은 정당설립 자유와 정당의 헌법상 임무 수행의무 간 충돌 문제를 야기한다. 위성정당은 정당설립 자유의 보호영역의 경계(주변부)에 자리하는바, 일종의 규범적 사각지대에 처해 있다고 볼 수 있다. 위성정당 여부에 대한 판단은 자칫 정당설립의 자유 및 복수정당제의 제도적 보장을 훼손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헌법상 정당제도와 비례대표선거제의 요체를 중시한다면, 위성정당의 개념에 명백히 부합하는 경우 그 정당등록을 거부할 수 있다고 본다. 위성정당의 출현을 억제하는 직·간접적인 규제 수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일정한 규모의 정당에게 지역구후보자와 비례대표후보자를 반드시 추천하게 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정당 기호를 부여하지 않거나 선거보조금 지급을 제한하는 방안 등이 있다. 나아가 정당정치의 발전 차원에서, 정당의 비례대표국회의원후보자 명부 제출의 요건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정당이 비례대표국회의원후보자를 추천하는 때 중앙선관위에 선거일 전 1년까지 제출한 당헌 또는 당규로 정한 민주적인 절차에 따라야 하는 요건을 둠으로써 사실상 정당으로서의 활동을 1년 이상 지속할 것을 요구하는 것이다. 또한 정당 간 선거연합이 필요한 경우, 위성정당 대신에 명부연합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아예 위성정당이 필요하지 않은 국회의원선거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선거민주주의 및 정당정치 발전의 차원에서, 비례대표의석수 내지 전체 의석수의 증가를 전제로, 명실상부한 연동형 비례대표제(혼합형 비례대표제) 또는 전면적인(순수) 비례대표제로 나아가든지 아니면 종전의 병립형 선거체계(혼합형 다수대표제)로 복귀하는 것이다. With the emergence of satellite parties, the current electoral system named quasi mixed-membe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is in effect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a parallel electoral system. Satellite parties, which are considered a kind of "rational choice" by large parties, can be said to be an external force for existing parties in the election process and parliamentary activities. As a result, questions of illegality and unconstitutionality against them continue to be raised. In the current legal system related to political parties, satellite parties cause a conflict between the freedom to establish political parties and the constitutional obligation of political parties. Satellite parties are located on the border (periphery) of the protected area of ​​the freedom to establish political parties, but can be seen as being in a kind of normative blind spot. The judgment on the existence of satellite parties seems to be somewhat damaging to the freedom to establish political parties and the institutional guarantee of the plural party system. However, if we place importance on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party system and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oral system, it is considered that if a party clearly matches the concept of a satellite party, it can be refused registr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rect and indirect regulatory measures to suppress the emergence of satellite parties. One possible measure is to require political parties of a certain size to recommend district candidates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candidates as well, and if they do not, not to give them a nationally unified party symbol or to limit the payment of election subsidies. Furthermore, for the development of party politic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requirements for parties to submit list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candidates for the National Assembly. By making it a requirement that when a party recommends proportional representation candidates for the National Assembly, it must follow the democratic procedures set out in the party constitution or rules, which must be submitted to the Central Election Commission one year before the election, this will effectively require the party to continue its activities as a political party for more than one year. Instead of satellite parties, list alliances (apparentment) can be an alternative when an electoral alliance between parties is necessary. More fundamentally, the current electoral system for the National Assembly should be changed into a new system that does not require satellite parties. For the development of electoral democracy and party politics, it is necessary to move into such alternatives as mixed-membe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or a full (pur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or return to the previous parallel electoral system (mixed-member majoritarian system), assuming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eat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and the total number of the Assembly seats.

      • KCI등재

        민주적 원칙과 당파적 이익: 2020년 국회의원선거에서 위성정당에 대한 태도와 투표선택

        길정아,하상응 한국정당학회 2023 한국정당학회보 Vol.22 No.4

        For the 21st parliamentary election in South Korea, modifications were made to the electoral law, introducing a quasi-mix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form was to prevent the two major political parties from securing a greater number of seats than their respective vote shares. However, in practice, both major parties created “satellite parties” (also known as satellite offshoots or bloc parties). The formation of these satellite parties drew widespread criticism from the public, as it clearly undermined the primary goals of the electoral reform. Despite facing strong public opposition, it is noteworthy that two satellite parties managed to secure approximately 33% of the party votes, respectively. This outcome suggests that, counterintuitively, voters may exhibit partisan behavior not necessarily in line with the overall public sentiment. The paper implies that, given the current highly polarized political environment in South Korea, voters are more inclined to align more with partisan considerations rather than the broader public opinion. 대한민국 국회는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선거를 앞두고 준연동형 선거제도를 도입하였다. 거대 양당을 제외한 소수정당의 정당 지지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소선거구제를 채택한 지역구가 전체 300석인 의석 중 253석이나 되기 때문에 소수정당의 원내 진출이 어렵다는 문제의식을 반영한 제도 개편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제도 변화로 인한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해 양대 정당들은 지역구 후보는 공천하지 않으면서 비례대표 후보만을 공천하는 위성정당을 만들었다. 이는 비례성을 높이고자 한 제도 개혁의 취지에 어긋나는 행위였기 때문에 전반적인 여론은 매우 부정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표에 참여한 유권자의 2/3가 양대 정당이 만든 위성정당을 선택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위성정당에 대한 태도와 투표선택 양상을 응답자의 지지 정당별로 살펴본다. 유권자들은 위성정당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지만 정작 자신의 지지 정당이 설립한 위성정당에 표를 던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유권자들이 당파적으로 양극화 되어 있는 상황에서 (준)연동형 선거제도가 유지된다면 양대 정당이 위성정당을 만들 유인 요인이 충분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 KCI등재

        선거제도의 기본원칙과 공직선거법의 개혁방안

        고문현(Koh, Moon-Hy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0 No.-

        Despite the COVID-19 emergency that hit the world,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 was completed without a hitch, and the world is paying attention to the achievements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ruling party, the winner of the general elections, has gained momentum to push ahead with its reform agenda based on public support, while the defeated Future United Party and others are in a panic, and the party should be reorganized by analyzing the cause of the election defeat quickly.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should fully analyze the public s intentions in the upcoming general elections and make political reforms based on them to pave the way for a balanced Korea. Reform of the electoral system, which has been in trouble in the 21st general election, is very important and urgent. Here, the political reform tasks under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to be accomplished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are as follows. At the heart of the reform debate are reform of the current majority-representative system in favor of the majority party, the direction of future reform on the current quasi-link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improvement of the fixed-list party list system and relaxation of quorum requirements of a parliamentary negotiation body. First of all, the current majority representation system of the elected district system should be reformed and changed to a minority representation system of the mid- and large-scale constituencies. In the 21st general elections, the Yeongnam-based Future United Party and the Honam-based Democratic Party swept the region, deepening regional leanings compared to the 20th general elections. The current system of majority representation in the two major parties based in Yeongnam and Honam should be reformed to reduce the number of wasted votes and change to a minority representation system in which minorities can be elected as representatives. To this end,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should be revised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to prepare for an institutional framework to represent the interests of minorities. Second, the direction of future reform on the current quasi-link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needs to be focused on curbing the emergence of satellite political parties in the semi-linked system. As a way to block the emergence of satellite parties, the proposed state election model in Germany can be adopted as an example. The Bavarian state election system, which is being linked, adopts a method of determining the seats of a political party as a result of the sum of regional and party votes. The introduction of this method will reduce the chances of the emergence of satellite political parties because it will be difficult to secure seats as expected by the parent political party that established the satellite party or the satellite political party. Third,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parliamentary elections based on the current fixed-list party list system should be revised to a variable-list party registry system. The fixed-list party list system allows voters to vote only in favor of the party list set by the leaders of each party when preparing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list in each party, and it cannot affect the order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lists at all. Therefore, by exploiting these blind spots, when ranking proportional representation candidates at the head of each political party, candidates who paid more illegal contribution to the party than candidates abilities or qualities have been placed in the top ranks of the party list. Now, the government should boldly correct such abuses and adopt a variable list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that allows voters to change all the ranking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lists presented by political parties. If this happens, even if a candidate is placed at the top of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list drawn up by each party, voters can push him or her to the bo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 비상상황 속에서도 제21대 국회의원선거가 대과없이 마무리 되어 전세계가 대한민국의 성과에 주목하고 있다. 이번 총선의 승자인 여당은 국민의 지지를 바탕으로 개혁과제를 추진할 동력을 얻게 되었고, 패자인 미래통합당 등은 패닉상태에 휩싸여 있는데 빨리 패인을 냉철히 분석하여 당을 재정비하여 하여야 할 것이다. 여야는 이번 총선에서 나타난 민의를 충분히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정치개혁을 이루어 반듯한 대한민국의 초석을 다져주기 바란다. 이번 제21대 총선에서 문제점이 노정된 선거제도의 개혁, 특히 국회의원 선거제도의 개혁이 매우 중요하고 절실하다. 여기에서 제21대 국회에서 이루어야 할 공직선거법상의 정치개혁과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혁 논의의 핵심은 다수당에 유리한 현행 소선구제 다수대표제의 개혁과 현행준연동형 비례제의 향후 개혁논의의 방향, 고정명부식 정당명부제의 개선방안, 원내교섭단체의 정족수 요건 완화 등이다. 먼저, 현행 소선구제 다수대표제를 개혁하여 중 대선거구제 소수대표제로 바꾸어야 한다. 이번 21대 총선에서 영남을 기반으로 하는 미래통합당과 호남을 기반으로 한 더불어민주당이 휩쓸어 20대 총선에 비하여 지역 쏠림현상이 심화되었다. 현재 영호남을 각각 기반으로 하는 양대 다수당에 유리한 현행 소선구제 다수대표제를 개혁하여 사표(死票)를 줄이고 소수자도 대표로 선출될 수 있는 중 대선거구제 소수대표제로 전환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21대 국회에서 공직선거법을 개정하여 소수자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이른바 준연동비례대표제 관련 ‘공직선거법’ 일부개정법률안의 경우는 원안과 수정안의 차이가 더욱 심각하다. 원안의 취지와 내용을 벗어나지 않은 정도의 개정에 대한 주요내용은 선거권 연령의 18세 하향과 비례대표후보자 후보자 추천의 ‘민주적 절차’뿐이다. 또한, 비례대표 의석의 연동의 경우도 2020년 4월 15일 실시하는 제21대 국회의원 총선거만 특별히 모든 의석의 연동이 아닌 일부 의석의 연동으로 수정하였다. 이 또한 원안의 연동형비례대표제 도입의 취지를 명백히 위반하는 것이다. 현행 준연동형 비례제의 향후 개혁논의의 방향은 준연동형에서 위성정당의 출현을 억제하는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위성정당 출현을 차단하는 방안으로는 독일에서 제안된 ‘바이에른 주의회선거 모델’을 검토해볼 수 있다. 연동형을 실시하고 있는 바이에른 주의회선거제도는 지역구득표와 정당득표를 합산한 결과로 정당의 의석을 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 방식을 도입하면 위성정당을 설립한 모(母)정당이나 위성정당이 기대한 만큼 의석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위성정당의 출현 가능성이 낮아진다. 셋째, 현행 고정명부식 정당명부제에 기초한 비례대표 국회의원선거를 가변명부식 정당명부제로 개정하여야 한다. 고정명부식 정당명부제란 각 정당에서 비례대표명부를 작성할 때 각 정당의 수뇌부에서 정한 정당명부에 유권자가 단지 찬성표만 행사할 수 있는 것으로 비례대표명부의 순서에는 전혀 영향을 미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맹점을 악용하여 각 정당의 수뇌부에서 비례대표 후보의 순위를 정할 때 후보의 능력이나 자질보다는 당에 공천헌금을 많이 납부한 후보나 당수뇌부의 측근 등을 정당명부의 상위순위에 배치하여 왔다. 이제는 이러한 폐단을 과감히 시정하여 유권자가 정당에서 제시한 비례대표명부의 순위를 전부 바꿀 수 있는 가변명부식 비례대표제를 채택하여야 한다. 이렇게 된다면 각 정당이 작성한 비례대표명부에서 설령 1순위에 배치된 후보라 하더라도 유권자들이 보기에는 공천헌금을 많이 납부하거나 능력도 없이 단지 정당수뇌부의 최측근이어서 상위순위에 배치된 후보라는 이유로 비례대표명부의 최하위로 밀어낼 수가 있다. 그 결과 처음 정당 명부상에서 상위순위에 배치된 후보이더라도 최종 선거결과 동일한 순위로 남아 있을 것이라고 확신할 수가 없게 되어 공천 헌금 납부를 거부하거나 정당수뇌부에 맹목적으로 충성하는 일이 없게 될 것이다. 이렇게 되면 공천 헌금의 폐해와 측근정치의 폐해를 청산하여 선거혁명을 이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넷째, 다원화된 이익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도록 현재 동일정당 소속 국회의원 20인을 요건으로 하고 있는 원내교섭단체의 정족수 요건을 대폭 완화하여 5인으로 완화하여야 한다. 현행 국회의원 20인 요건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제3의 소수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정당의 출현이 용이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민의를 충분히 반영하는 정치체제가 되기 어렵다. 이상에서 살펴본 개선사항을 중심으로 여야 정치권은 시대정신과 헌법 가치에 부합되는 선거제도의 개혁을 이루어 코로나19에 지혜롭게 대처하여 위상을 드높인

      • KCI등재

        위성정당의 재현 가능성에 담긴 함의: 실천의 학습 효과에 주목하여

        박동천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23 현대정치연구 Vol.16 No.2

        For general elections of Korean National Assembly in 2020, a partial MMP was adopted by law. But proportional seats were allocated in the same distribution as they would have been under the parallel system operating until 2016, due to the emergence of the satellite parties. Since such satellite parties were completely new to Korean society, responses to them by political parties, the Electoral Commission, an administrativ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were less than well-organized and coherent. In the event the law of 2020 applies to theelections in 2024, those players will have to go through more serious considerations before finding what path to take regarding satellite parties. This is a form of deliberation by practice which will lead the political society of South Korea to making up her mind about what electoral system she really wants. 한국의 2020년 선거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법으로 정했지만, 위성정당의 출현으로 말미암아 비례대표 의석의 배분은 병립형으로 계산했을 때와 같은 결과를 낳았다. 위성정당은 초유의현상이었던 만큼, 정당들과 선거관리위원회와 서울행정법원과 헌법재판소 등의 대응은 다소 서툰 면이 있었다. 만약 2020년의 선거법이 2024년 선거에서도 적용된다면, 위성정당의 지위와 의미에 대해 이 행위자들이 각기 실천적으로 더욱 진지한 고려를 거친 다음 행동 경로를 선택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실천을 통한 숙고를 통해서, 한국 사회는 어떤 선거제를 진실로원하는지 의사를 정립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다.

      • KCI등재

        空間活動保險法律問題及中國狀況:基於空間商業化最新發展的分析

        섭명암 ( Mingyan Nie )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구 한국항공우주법학회) 2017 한국항공우주정책·법학회지 Vol.32 No.1

        空間活動保險可以簡單的總結爲衛星保險、宇航員保險以及空間活動第三方責任險三種類型。在空間商業化尤其是空間私營化快速發展的大背景下,現有的有關空間活動保險的國際和國內法律制度面臨著挑戰。作爲一個正在加大力度發展本國空間商業活動的空間大國,中國的有關空間保險的法律規定値得討論。 現階段,有關衛星保險的制度發展良好,相關保險公司有能力爲衛星提供“發射前保險”,“發射階段保險”以及“衛星在軌保險”。中國於1997年成立的“中國航天保險聯合體”則致力於爲中國衛星發射提供保險。但是,隨著越來越多的私營實體參與到空間以及衛星工業活動之中,有必要對在“中國航天保險聯合體”?架下建立的諸多制度進行相應的調整。同時,應該進一步加强保險經紀人在私人空間及衛星活動中的作用。 宇航員被視爲人類派往外空的使者,幷且相關的國際法律規範中已經明確確定了宇航員的法律地位幷且要求各締約國對於處在緊急狀況下的宇航員予以必要的協助。從國內法的角度看,相關政府會爲宇航員購買全額保險。中國人壽保險公司爲宇航員創設了特種類型的“宇航員團體保險”,在不同時段爲宇航員提供階梯式保額。但是,値得注意的是,一旦外空旅遊發展爲一個産業,則有必要關注專門針對外空遊客的保險制度。爲了促進中國國內外空旅遊業的發展,建議將中國人壽保險公司創制的“宇航員團體保險”作爲一個可選模式提供給外空遊客。尤其是如果這些遊客是政府擁有的外空旅遊公司的客戶的情形下。而當私人實體開始參與提供軌道包括亞軌道旅遊服務,則需要重新考慮制定相應的有關外空遊客的保險制度。 一般而言,獲得一分第三方責任保險是申請人獲得空間物體發射許可證的必要條件。國內法中也會規定空間物體發射許可證申請人購買第三方責任險的義務。 中國2002年“民用航天發射項目許可證管理暫行辦法”意識到了第三方責任險的重要意義,規定許可證持有人在相應空間發射項目進入發射場之前購買第三方責任保險。這一規定與許多國家的做法存在差異。考慮到中國是亞洲地區唯一一個政府間空間合作組織,卽亞太空間合作組織的東道國,爲了促進未來的商業空間合作,有必要考慮對不同國家國內空間法進行協調的問題。 Insurances of space activities are divided into satellite insurance, astronaut insurance and third party liability insurance.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rapid development of space commercialization, especially the increasing participation of private entities in space affairs, the present international and domestic mechanisms of space insurance are challenged. As a space-faring state which i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pace businesses, the regulations of space insurance in China are deserved to be discussed. Satellites insurance is at present well-developed, the “pre-launch”, “launch” and “in-orbit” phases of satellites are all possible to be insured by related companies. China created the CAIA in 1997 to provide insurance for Chinese satellites. However, with more private entities start to involve in space as well as satellite industry, the regime established under the framework of CAIA is necessary to be modified, and the mechanism relating to space insurance brokers should be promoted. The astronauts are recognized as the envoy of humankind, and relevant international regulations are made to provide assistance to them in emergency circumstances. From the domestic perspective, astronauts will be fully insured. China creates a particular type of insurance for astronauts. However, once space tourism becomes a business, the insurance of the tourist will be demanded to be created. In order to promote China`s space tourism, it is recommended to take the “Astronaut Group Insurance” as an optional model to space tourists, if the tourists are customers of a governmental-owned space company. Once private involvement of providing orbital/suborbital tourism service becomes a reality, new rules are required. Getting a third party liability insurance is deemed as an indispensable precondition for an applicant to get a launch permission. Domestic space laws will include Insurances of space activities are divided into satellite insurance, astronaut insurance and third party liability insurance.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rapid development of space commercialization, especially the increasing participation of private entities in space affairs, the present international and domestic mechanisms of space insurance are challenged. As a space-faring state which i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space businesses, the regulations of space insurance in China are deserved to be discussed. Satellites insurance is at present well-developed, the “pre-launch”, “launch” and “in-orbit” phases of satellites are all possible to be insured by related companies. China created the CAIA in 1997 to provide insurance for Chinese satellites. However, with more private entities start to involve in space as well as satellite industry, the regime established under the framework of CAIA is necessary to be modified, and the mechanism relating to space insurance brokers should be promoted. The astronauts are recognized as the envoy of humankind, and relevant international regulations are made to provide assistance to them in emergency circumstances. From the domestic perspective, astronauts will be fully insured. China creates a particular type of insurance for astronauts. However, once space tourism becomes a business, the insurance of the tourist will be demanded to be created. In order to promote China`s space tourism, it is recommended to take the “Astronaut Group Insurance” as an optional model to space tourists, if the tourists are customers of a governmental-owned space company. Once private involvement of providing orbital/suborbital tourism service becomes a reality, new rules are required. Getting a third party liability insurance is deemed as an indispensable precondition for an applicant to get a launch permission. Domestic space laws will include provisions for the third party liability insurance. China`s “Interim Measures” of 2002 realizes the importance of third party liability insurance and requires the permit holder to get it before entering the launching site. This regulation is different from the practices of other states. Concerning that China is the sponsor of APSCO,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commercial space cooperation, a harmonized approach to domestic law is recommended to be found.provisions for the third party liability insurance. China`s “Interim Measures” of 2002 realizes the importance of third party liability insurance and requires the permit holder to get it before entering the launching site. This regulation is different from the practices of other states. Concerning that China is the sponsor of APSCO,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commercial space cooperation, a harmonized approach to domestic law is recommended to be found.

      • KCI등재

        한국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적용과 한계 21대 국회의원선거의 시뮬레이션 분석

        홍은주(Hong, Eun-Ju),박영환(Park, Young-Hwan),정준표(Jung, Joon-Pyo)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21 현대정치연구 Vol.14 No.1

        이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21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실시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가 과연 그 목적대로 소수정당의 원내진출을 용이하게 하여 다당제 형성에 도움을 주었는지, 그리고 기존의 병립형 선거제도와 비교하여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한국의 정당정치 변화에 얼마나 유용한 선거제도인지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21대 국회의원선거와 그 비교대상으로 7개의 가상 선거모델을 설정하여 정당별 득표의 분포가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시뮬레이션 분석을 실시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군소정당의 의회진출에 유리한 조건은 위성정당이 부재하고, 연동형 적용 의석수가 많고, 비례대표의석의 규모가 클 때이다. 그러나 정당의 전략적 선택으로 이런 조건들과 반대되는 선거상황이 펼쳐졌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거대 양대 정당의 전략적 선택을 막지 못함으로 인해 다당제 형성에 실패하였고, 나아가 지역주의 정당체계의 완화도 달성하지 못하였다. 21대 총선결과의 원인에 대한 체계적 설명을 위해 위성정당 설립 외에 지역구 차원에서 정당지지 패턴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whether the semi-linked electoral system used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South Korea is meant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multi-party system that allows minor parties to enter the parliament, and how helpful the semi-linked electoral system would change the Korean party system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parallel system. To this end, the paper compares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 with 7 different hypothetical election scenarios assuming in each scenario the vote share of each party is the same as that in the 21st election. The simulation results display that no satellite party, more seats allocated by the linked method, and increasing the seats in the proportional tier are favorable conditions for minor parties to have seat in the parliament. However, the opposite happened in the above conditions in the 21st election because of the two major parties’ strategic behavior. The linked electoral system failed to form a multi-party system by not stopping the major parties from behaving strategically, and improve the region-based party system. Finally, the paper argues that the analysis of the 21st election results needs more study of the voting patterns of party support at district level besides the satellite party factor.

      • KCI등재후보

        1989-1990년 격변기 동독의 정치지형 - 정당을 중심으로

        김경래 ( Kyung-rae Kim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4 No.1

        동서독이 통일된지 30년이 지났다. 통일이후 동독의 경제적 상황은 전반적으로 개선되어 구동독지역과 서독지역의 삶의 격차는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구조적 차이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동독 지역 주민들의 정치적 불만은 높아지고 있다. 2017년을 전후로 극우포퓰리즘 정당인 독일대안당(AfD)의 등장은 이러한 상황을 대변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메르켈 총리는 보다 강력한 동서독의 사회적 결속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사회적 결속이 경제적 결속보다 지지부진한 원인과 관련해 다양한 요인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의 원인을 통일 당시 동독 정당이 서독에 흡수되는 과정에서 찾고자 한다. 서독의 정당 특히 콜 수상을 중심으로 한 기민-기사당이 동독의 선거에 직접적으로 개입함으로써 동독 주민들의 통일 열기를 더욱 부추겼으며 이로 인해 동독의 정당, 자생적 정치집단들은 서독으로 흡수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동독지역의 이해를 대변할 수 있는 정치세력의 부재라는 결과로 연결될 수밖에 없었다. 비록 좌파당이 동독 지역주민들의 이해를 대변하였지만 동서독의 구조적 격차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구동독지역주민들의 정치적 불만은 극우포퓰리즘 정당에 대한 지지로 연결되었다. It has been 30 years since East and West Germany were unified. The economic situation in East Germany has improved overall since reunification, showing a sharp decline in living conditions in East Germany and West Germany. However, with structural differences continuing, political dissatisfaction among East German residents is rising. The emergence of the German Alternative Party (AfD), a far-right populist party around 2017, represents this situation. For this reason, Chancellor Merkel emphasized the need for stronger social cohesion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Various factors have been suggested as to the cause of the sluggishness of social cohesion than economic cohesion. This paper seeks to find the cause of this in the process of East German political parties being absorbed by West Germany at the time of reunification. West Germany's political parties, especially the CDU-CSU, led by Chancellor Kohl, directly intervened in the elections in East Germany, further fueling the enthusiasm of East German residents for unification. This eventually led to the absence of a political force that could represent the interests of the East German region. Although the left-wing part - Dei Linke - represented the interests of the people of East Germany, the ongoing political dissatisfaction caused by 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led to support for the far-right populist party.

      • KCI등재

        국회의원 준연동형 비례대표 선거제도 개선방안

        박범종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2 한국과 국제사회 Vol.6 No.2

        This study is improve the election system in the future by evaluating the quasi-mix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in the 21st general election. In the 21st general election, it is evaluated that the quasi-mix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led to the emergence of satellite proportional parties and the spread of proportional parties for the purpose of proportional seats. However, this study analyzes the quasi-mix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small political parties entering the National Assembly. So, we propose an improvement the election system and amendment to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100% link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Second,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locking proportional elec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ratio of constituencies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to 2:1 or 3:1. Third, we propose an amendments to the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n order to suppress the emergence of proportional satellite parties. 본 연구는 21대 총선에서 처음 적용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도에 대한 평가를 통해 선거제도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21대 총선에는 준연동형 비례선거제도는 비례 위성정당의 출현과 비례의석을 목적으로 한 비례정당의 무분별한 확산을 초래했지만, 본 연구에서는 준연동형 비례선거제도가 군소정당의 국회 진입 가능성은 높였다고 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선거제도 개선과 공직선거법 법률안 개정안을 제안한다. 첫째, 100% 연동형 비례선거제도의 도입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연동형 비례선거제도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결국 국회의원 수를 증원해야 하지만, 현 국회의원 총 의석수(300석)를 토대로 지역구와 비례대표의 비율을 2:1 또는 3:1비율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거대 여야 정당의 비례 위성정당의 출현을 억제하고, 비례의원만을 목적으로 한 비례정당의 난립을 막기 위해 두 가지 공직선거법 개정안(신설)을 제안한다.

      • 제21대 총선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개선에 관한 연구

        오성택 ( Oh Sungtaek ) 한국행정학회 2020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최초로 제21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시행한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위성정당 출현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출시켰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제안한다. 전국을 지리적 여건과 생활문화권 등을 고려하여 6개 권역으로 구분하고 각 권역별 비례대표 국회의원 수는 인구비례에 따라 배분한다. 1. 국회의원 정수는 현재와 같이 300석으로 하며,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석 비율을 2:1로 하고, 비례대표 의석은 권역별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적용하며, 석패율제를 도입하는 방안이다. 2. 국회의원 정수는 현재와 같이 300석으로 하며, 지역구 의석수는 현행 253석으로 하고, 권역별 비례대표의석을 현행 47석에 맞추되 전부 연동형비례대표제로 하는 방안이다. 3. 국회 전체 의석배분은 현재와 같은 지역구 국회의원 253석과 비례대표국회의원 47석의 병립제로 하며, 전체 국회 의원정수는 현재 국회의원 정수 300명을 그대로 유지한다. 둘째, 대통령제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채택한 나라는 드물다. 강한 대통령에는 강한 야당이 필요한데 구조적으로 특정 정당이 과반을 점할 수 없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대한민국 정치현실에 맞지 않는다. 직선 대통령 중심제에서의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견제와 균형이라는 헌법적 대원리에 반할 뿐만 아니라 여권 심판 기능의 무력화, 집권당과 군소 정당 사이의 더러운 거래를 통한 사익 추구, 입법권 장악의 부작용만 크므로 제21대 국회에서 바로 폐지하여 새로운 대안을 모색해야 한다. The semi-interactiv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which was first implemented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s, caused a number of problems including the emergence of satellite parties. Suggesting political alternatives to improve this is as follows: First, Propose a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by region. The whole country is divided into six regions, taking into account geographical features and living and cultural areas, and the number of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of each region is allocated according to population proportions. 1. Plan is to maintain the number of seats in the National Assembly 300 as it is now, while setting the ratio of seats in constituencies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to 2:1. In addition, link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by region shall be applied to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eats while introducing narrow loss ratio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2. Plan is to use a link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and adjust the number of seats as follows. The fixed number of national assembly members shall be 300 as of now, while the number of local constituency members shall be maintained at the current 253 and proportional representative seats by region shall be adjusted to the current 47. 3. Seats in the National Assembly shall consist of 253 local constituencies and 47 proportional representatives with the parallel proportional representative system and it shall maintain total number of members in the National Assembly at 300. Second, few countries have adopted a link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under the presidential system. The interlink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does not fit the political reality of the Republic of Korea since structurally certain parties cannot dominate in Korea while strong presidents need strong opposition parties. The link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in the straight presidential system must be abolished immediately at the 21st national assembly and find new alternatives because the system not only goes against constitutional principle of checks and balances but also disables the function of ruling party’s judgement function, causes the pursuit of private interest through dirty transactions between the ruling party and the minority party and side effects of domination of legislative power.

      • KCI등재

        4.10 총선에서 비례대표제와 공천 과정

        정태일 ( Chung Tae-il ),연정례 ( Yeon Jeong-lye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4 한국과 국제사회 Vol.8 No.3

        본 연구는 한국 비례대표제의 변화 과정을 통해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검토하면서 제22대 비례대표 국회의원선거에서 나타나는 정당의 공천 과정과 선거 결과를 분석하였다. 한국의 비례대표제는 지역구에 기반한 제1당 우선적 배분 방식에서 시작해 지역구에 기반한 병립형 비례대표제, 1인 2표 정당명부식 병립형 비례대표제, 1인 2표 정당명부식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로 변화하였다. 제22대 비례대표 국회의원선거를 위한 후보의 공천 과정은 절차적으로는 정당성과 투명성에 기반한 것으로 보이지만 현실적으로는 각 정당이 영입한 인사를 공천하는 한계를 보였다. 제22대 비례대표 국회의원선거 결과는 유력한 여야의 위성정당이 전체의석의 69.57%를 차지하였고, 지역구 후보를 공천하지 않은 더불어민주연합과 국민의미래, 조국혁신당이 전체의석의 95.65%를 차지하였다.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정당의 이해관계에 따라 제도적으로 오용됨으로 비례대표 정당의 지역구 공천 하한선을 도입하고, 대표성을 위해 연령별로 최소할당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in Korea started from the first party priority allocation method based on the district, and changed into a parallel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based on the district, a one-person two-vote party-corrosion-parallel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and a one-person two-vote party-corrosion-quasi-link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The process of nominating candidates for the 22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ion can be seen as being based on procedural legitimacy, but in reality, it showed limitations in nominating personnel recruited by each political party. The results of the 22n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election showed that the satellite parties of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took 69.57% of the total seats. As the quasi-linked proportional representation system is prone to institutional abuse according to the interests of political parti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lower limit for local district nominations for proportional representation political parties and introduce a minimum quota system by age for representation and proportion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