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아동과 청소년의 인격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조현주,류형선 한국인격교육학회 2020 인격교육 Vol.14 No.2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ctual direction of saramdaum education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by examining the social perception of saramdaum edu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o this purpose, onlin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big data analysis solution textom site, using search words such as ‘children + saramdaum education’ and ‘adolescents + saramdaum education.’ Data collection has collected 13.82MB over the past three years, targeting Naver, Google and Daum portals. The collected data were selected after examining the frequency of words after the first and second refining processes. For social network analysis, the data were converted and used as matrix data.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social perception of children saramdaum education, "saramdaum” ranked first in both frequency and visualization analysis, followed by education, children, children and child abuse. The results of the network centrality analysis showed that the keyword of a child, used as a child's meaning in the home, was the most connected. Second, among the related key-words ranked at the top of the collected data to find out the social perception of adolescents saramdaum education, adolescents had the highest frequency, and appeared simultaneously in the order of society, research, saramdaum, education and people. In addition to youth and saramdaum education, growth, research, human, and education were presented as highly influential codes within the youth saramdaum education network due to their high centricity. Third, children saramdaum education were represented by four topics: emotional control, character research, degeneracy of saramdaum education, family education, whereas adolescents' personality education were represented by value research, growth-oriented, visible education programs and social impact research.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implication,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saramdaum edu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아동과 청소년의 인격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 인격교육 실제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인 textom 사이트를 통해서 아동+인격교육, 청소년+인격교육을 검색어로 하여 온라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최근 3년간 네이버, 구글, 다음 포털을 대상으로 하여, 13.82MB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2번의 정제과정 이후에 단어빈도를 살펴 본 후 상위 50개를 선정하였다. 사회연결망 분석을 위해서 매트릭스 데이터로 변환하여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아동 인격교육에 대한 사회적인식을 알아본 결과, 시각화 분석이나 빈도 분석 모두에서 ‘인격’이 1순위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육, 아동, 아이, 아동학대 순이었다.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는 가정 내에서 자녀의 의미로 사용되는 아이의 키워드가 가장 연결성이 높았다. 둘째, 소년 인격교육에 관한 사회적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집된 데이터의 상위에 오른 관련 키워드 중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청소년이었고, 사회, 연구, 인격, 교육, 사람 순으로 동시 출현하는 빈도가 높았다. 청소년과 인격교육 이외에 성장, 연구, 인간, 교육은 연결 중심성이 높아서 청소년 인격교육 네트워크 내에서 높은 영향력을 가진 코드로 제시되었다. 셋째, 아동 인격교육은 정서조절, 성품연구, 인격교육의 퇴보현상, 가정교육으로, 청소년 인격교육은 가치연구, 성장 중심, 가시적인 교육프로그램, 사회영향 연구의 4가지 토픽으로 대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과 청소년의 인격교육을 위한 시사점과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인격교육론과 영성교육론의 비교

        이재일 한국인격교육학회 2017 인격교육 Vol.11 No.3

        This study compares the concepts and core theor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heory of saramdaum education and the theory of spiritual education. Today's education is focused on fostering talented people who meet social demands, but it is not moving in the direction of cultivating human nature. Thus, the issue of dehumanization in school education has been raised for a long time, and claims for deschooling have also appeared.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aramdaum education and spiritual education to try to restore the original position of education. This is because saramdaum education and spiritual education are activities to realize the ideal human be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The article tries to find an understanding of the two educational theories by comparing and communicating the theories of the saramdaum education of Keay-Hark Lee and secular spiritual education. First, the meaning of saramdaum and spirituality was explored. Second, key theories of saramdaum education and spiritual education were examine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ory of saramdaum education and the theory of spiritual education were compared, finding implications for both. The results are as follows. Saramdaum and spirituality are concepts to express understanding and qualitative aspects of human nature, and saramdaum education and spirituality education are education to promote human maturity and perfection. Both educational theories attempt to reach ideal humanity through transcendental transformation of 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of awakening or awareness of totality and self-transcendental experienc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ories remain a possibility of mutual complement. 이 연구는 인격교육론과 영성교육론이 지니는 개념과 핵심이론 및 특성을 비교한 것이다. 오늘의 교육은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인재 양성에 힘쓸 뿐 본연의 인간성을 함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그리하여 학교교육에서의 비인간화 문제가 제기된 지 오래되었고 탈학교를 주장하는 외침도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육의 본령을 회복하려고 한다면 인격교육과 영성교육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인격교육과 영성교육은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이상적 인간상을 실현하려는 교육활동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이계학의 인격교육론과 세속적인 영성교육론을 비교하고 소통시켜 두 교육론을 더 깊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먼저, 인격과 영성의 의미를 탐구하였다. 둘째, 인격교육론과 영성교육론의 핵심이론을 살펴보았다. 셋째, 인격교육론과 영성교육론이 지니는 특성을 중심으로 비교하여 두 교육론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격과 영성은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질적 측면을 표현하려는 개념이고, 인격교육과 영성교육은 인간의 성숙과 완성을 도모하는 교육이었다. 두 교육론은 의식의 초월적 전환과 각성 또는 전일성의 자각과 자기초월적 경험으로 이상적 인간성에 도달하려고 한다. 두 이론이 지닌 유사성과 차이점은 상호보완의 가능성으로 남아있다.

      • KCI등재후보

        인격의 실천을 위한 경제적 여건 고찰: 인격교육의 실효성을 중심으로

        조정호 한국인격교육학회 2012 인격교육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conomic condition doing Saramdaum (人格) with focus on the effectiveness of Saramdaum education (人格敎育). There has been research trends in Korean Saramdaum education focusing on non-economic factors like endurance, loving others, and so on. In the contemporary society, however, the economic factor as fundamental part is the most crucial determinant of school education. It also plays a major role in Saramdaum education. The economic factor threatens the effectiveness of Saramdaum education in the absence of economic safety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According to data from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minimum cost of living for a four-person family is about 1.5 million Korean won, which is the lowest income standard. This is the standard of social support to poor persons including students. Considering it, we have to aid poor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to meet the educational requirements for conducting Saramdaum. The educational welfare for Saramdaum education should largely be provided by the government in order to develop Saramdaum education in terms of Saramdaum education. 이 글은 학생이 가정의 생활고에 시달리는 상태에서 높은 인격의 자발적 실천은 어렵고, 인격교육결과의 산출도 힘들다는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한다. 오늘날 우리 학생들 가정의 경제상황은 어렵고, 경제여건이 교육과 삶에 미치는 영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그러나 욕망을 조절하자는 식의 인격교육 기성이론을 지지하는 연구가 활성화되어 있을 뿐, 인격교육의 실효성을 경제여건 측면에서 탐구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인격교육의 실효성을 중심으로 바람직한 인격의 실천을 위한 경제적 여건을 고찰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선행연구에서는 경제안정이 위협받는 상태에서 교육결과의 산출이 어렵고 학교적응과 학생의 심리 및 정서 안정도 이루기 어려운 것으로 밝혀져 왔다. 또한 2012년 4인 가구 기준으로 최소 월 150만원 내외의 소득 조건이 충족되어야 최저 생계가 보장된 상태에서 인격의 자발적 실천을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근거하면, 우리나라 학교에서 인격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고 바람직한 인격의 자발적 실천을 이끌어내기 위해선 위의 소득 조건을 충족하도록 학생에 대한 교육복지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이 소득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가정의 학생들에 대한 입학금과 수업료 감면, 무상급식, 학용품비와 각종 학비의 지원 등이 요청된다. 이러한 경제요인에 좌우되지 않고 인격을 높게 성취한 사례가 간혹 있지만, 이것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예외적 사례일 뿐이다. 대다수 학습자의 교육과 삶은 경제여건에 의해 큰 영향을 받고 있는 사실에 주목하여, 취약 계층 학생들에 대한 복지를 강화해나갈 때 인격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고 바람직한 인격의 형성과 그 자발적 실천을 기대할 수 있겠다.

      • KCI등재후보

        사람됨 교육 관점에서 통합교과교육에 대한 비판적 논의

        박상현 한국인격교육학회 2013 인격교육 Vol.7 No.3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essence of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and to critically discuss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Saramdaum Education. As the ideals of education in Korea suggest, education in Korea obviously prioritizes ‘Saramdaum’. Accordingly,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also aims to – partially - achieve a ‘quality-oriented’ improvement of children’s Saramdaum. However, given the essence of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there is obviously a gap between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and Saramdaum Education; they have different horizons when it comes to the contexts of the East and the West. Thus, it would be hard to expect the thorough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to help children build Saramdaum. The underlying idea of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is to integrate subject matters or subjects into various types and teach them. After all, this means that they are not different from the discourses concerned with ‘knowledge’ or ‘intelligence’. On the contrary, Saramdaum Education involves discourses related to the ‘heart’ and ‘mind’. Thus, recognition of discourse-related differences between integrated subject education and Saramdaum Education should be prioritized. And if the purposes of the former are not confined to the development of rationality or acquisition and accumulation of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explore various ways for the two discourses to have a harmonious relationship (Contraria Sunt Complementa). 이 글은 통합교과교육의 본질을 밝히고, 사람됨 교육의 관점에서 통합교과교육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교육이념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한국의 교육은 ‘사람됨’을 최우선의 화두로 삼고 있음이 자명하다. 이에 따라 통합교과교육 역시 일부분 아이들 ‘인-격(사람답도록 기름)’의 질적 고양을 목표로 삼고 있다. 그러나 통합교과교육의 본질을 따져보면 통합교과교육과 사람됨 교육 간의 거리감이 분명 존재해 보인다. 왜냐하면 통합교과교육과 사람됨 교육은 동․서양적 맥락에 있어 그 지평을 달리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통합교과교육이 충실히 개발되어 운영된다고 해서 아이들의 사람됨을 기대한다는 것은 무리가 있다. 통합교과교육은 교과(subject matter) 혹은 주제(subject)를 다양한 유형으로 통합하여 가르치고자 하는 아이디어를 담고 있다. 결국 이것은 ‘지식’ 내지 ‘지성’ 담론에 다름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사람됨 교육은 사람의 ‘몸’ 그리고 ‘마음’과 관련한 담론이다. 따라서 통합교과교육과 사람됨 교육 간의 담론적 차이를 인식해야 하는 일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한다. 그리고 정작 통합교과교육이 이성의 계발 내지 지식의 습득․축적만을 목적으로 삼고 있지 않는다면, 그 두 개의 담론이 이율대대의 길을 걷도록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교수활동이 지닌 평생교육 및 인격교육적 속성: 수영교수의 학교, 가정, 사회에서의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안성환 한국인격교육학회 2010 인격교육 Vol.4 No.2

        Education is made up of teaching and learning. Educational achievement depends largely on teaching activities. In order to gain educational achievement, teaching activities should be educational. However, there have been upward trends for teachers to perform their teaching activities like employers at a company do work. In this regard, we say that there have disappeared true educ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With Korean schools facing this educational situation, this paper analyzes ‘swimming teaching’ as a practical case and discusses the attributes of its lifelong education and saramdaum education. The results tell that teaching activities are not limited just to the domain of regular teaching time and the contents of official curriculum. Also, teaching activities are not limited to teaching class; in addition to the teaching class, they are desirable to be performed in a lifelong-educational way, at home and school, and in society. Also the contents should not be limited to regular subjects. They are desirable to be expanded to other contents rather than those of regular subjects and even to saramdaum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casts light on the fact that teaching activities involve the attitudes of lifelong education and saramdaum education, and that these attitudes should be actively realized and reflected in teaching activities so as to attain more educational achievement. The teaching activities themselves should be performed in a lifelong-educational manner, and at the same time they need to go side by side with saramdaum education. 교육은 교수와 학습으로 이루어지고, 교육의 성과는 교수 활동에 의존하는 바가 크다. 교육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선 교수 활동이 교육답게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지만 교사들이 교수활동을 사기업의 회사원처럼 교직 환경에서 부과된 직무에만 한정하려는 경향이 늘고 있다. 이러한 교육현실에 직면하여, 본고에서는 교수활동의 실천 사례로서 현직 수영교수의 교육활동을 분석하여, 그 평생교육 및 인격교육적 속성을 논의하였다. 본고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교수활동은 한정된 수업 시간과 교과목 내용에 국한된 것이라 할 수 없다. 교수활동은 학교의 정규수업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정규수업 이외의 학교 활동과 가정 및 사회에서도 평생교육적으로 일어나는 것이다. 또한 그 내용은 정규 교과목 내용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학생들을 올바르게 가르치기 위해선 필요에 따라 정규 교과목 이외의 내용은 물론이거니와 인격교육 내용으로도 전개되어야 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교수활동이 평생교육 및 인격교육적 속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평생교육 및 인격교육적 속성이 교수활동에서 적극적으로 잘 발휘되어야 교육이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교과목에서 가르치는 내용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지만, 모든 교수활동은 그 자체가 평생교육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이와 동시에 인격교육을 병행할 필요가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영성교육과 평암 이계학의 인격교육 비교고찰

        이충범 한국인격교육학회 2016 인격교육 Vol.10 No.2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많은 문제점들의 하나의 해결방안으로서 전인교육, 인성교육, 도덕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교육들이 내포하고 있지 못한 점의 보완으로서, 영성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독교 영성교육과 평암 이계학(1937-2005)의 인격교육을 비교고찰하였다. 우선 개념의 혼란이 심각한 영성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한 저자는 영성의 개념에 대한 이해에 따라 영성교육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영성교육을 A, B, C 세 유형으로 분류한 저자는 A형 영성교육이 갖고 있는 특징 중 하나인 신비적 차원으로 도약하는 문턱을 평암선생의 질적인 도약을 가져오는 깨달음과 비교하였다. 저자는 영성교육과 인격교육이 공히 이러한 깨달음의 유도를 교육의 중요한 기능으로 보고 있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B형 영성교육과 인격교육은 공히 몸과 의식의 참여를 강조하는 바, 두 번째 장에서는 이러한 공통점을 다루었다. 영성교육이 단순한 훈련에서 벗어나 그 외연을 확대한 바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영성교육은 직접적인 체험과 참여를 매우 강조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평암선생의 인격교육은 교육이 단순한 교수학습의 장에서 벗어나 몸과 마음을 닦는 기술이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기독교의 전례적인 영성을 평암교육사상에서는 가정 내 실천적 예에서 찾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마지막으로 C유형의 영성교육과 인격교육은 종교성을 탈피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서로 만난다. 그러나 타자와의 감응을 강조하는 C유형의 영성교육과 인격교육의 대화는 쉽지 않다. 왜냐하면 이러한 C유형 영성교육의 특징을 인격교육에서는 찾기 쉽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면에 대한 연구는 차세대의 몫으로 보인다. To combat the diverse drawbacks that are present in contemporary society, there is great emphasis on the education of the human being as a whole, with character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as a solution. Furthermore, spiritual education emerged into the forefront of importance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type of education stated previously. The following thesis is a comparative study over the character (saramdaum) education of Dr. Keay-Hark Lee and the spiritual education as influenced by Christianity. Above all, the author has categorized spiritu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spiritual concepts, due to his contemplation over the severe confusions over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The author, who has categorized spiritual education into three models, A, B, and C, compared model A’s characteristic, which is the threshold of the leap through mystical dimensions, with that of Dr. Lee’s “great awakening,” which on the other hand, brings a qualitative leap. He also emphasizes that both spiritual and character education have a major function in education by nominally inducing these “awakenings.” Both Model B of spiritual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emphasize the participation of the consciousness and the body, where the second chapter cover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se two entities. Although spiritual education has exaggerated the denotation far from basic practices, contemporary spiritual education highly emphasizes firsthand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Likewise, Dr. Lee’s character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breaks the borders of simple teaching and learning and emphasizes the techniques to train the body and mind. Moreover, the preceding divine nature of the liturgy from Christianity according to Dr. Lee’s philosophy can be found within the traditional ceremonies of households. Lastly, model C’s spiritual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convene together when they attempt to depart from religion. However, because model C emphasizes the effect from others, communication between spiritual and character education is not simple. This type of feature from model C is not easily found in character education. As a result, research in this respect seems to be a role for succeeding generations.

      • KCI등재

        전후 복구 시기 북한 사회주의교육의 인격교육적 함의: 경험집을 중심으로

        오덕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20 인격교육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socialist education in North Korea is constructed during the post-Korean War reconstruction period. The purpose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saramdaum education. Education in North Korea at this time is often assessed in the form of people's mobilization to stabilize the system. However,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education from the people's perspective. For the study, the literature was analyzed based on primary data published at that time. It examines the educational policy and how it is understood by the people who accept i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eachers' and parents' aspirations, along with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plan to overhaul the educational system, have become an important element in building the educational foundation. In addition, continuous re-education of teachers were carried out through correspondence education, and monotechnical education was implemented, which is the basis of the 'learning system at work.' This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personality development, in which charity and autonomy are increased, changing from self-centered to others-centered. It is also a philosophy of saramdaum education to cultivate human beings who can get out of competition. The saramdaum education is a major educational philosophical background for the comparative review and reflection on inter-Korean education. Therefore,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이 연구는 전후 복구 시기 북한의 사회주의교육이 어떻게 건설되는가를 확인하고 그 특징을 규명한 후 인격교육적 함의를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시기의 북한 교육은 체제 안정을 위한 인민 동원의 형태로 평가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와는 다르게 인민의 시각에서 교육을 바라보고자 했다. 연구 목적을 위해 당시에 출간된 1차 자료를 중심으로 문헌을 분석하는 데, 교육 정책과 그것을 받아들이는 인민이 어떻게 만남을 가졌는가에 중점을 둔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 시스템을 재건하려는 북한 당국의 계획과 더불어 교원과 학부모의 열망은 교육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또한 통신교육을 통해 끊임없는 교원 재교육을 실시했고, 일하면서 배우는 교육 체계의 기반이 되는 단과적 기술교육이 시행되었다. 이는 애타성과 자율성이 함양되고, 자기 중심적에서 타인 중심적으로 변화되어 가는 인격발달의 과정과 맞닿아 있다. 또한 경쟁에서 벗어날 줄 아는 인간을 길러내고자 하는 인격교육의 철학과도 그 맥을 같이 한다. ‘사람다움’에 관심을 두는 인격교육적 논의는 남북 교육을 비교 검토하고 성찰하는 주요한 교육철학적 배경이 될 수 있기에, 이에 따른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 KCI등재

        기술 패러다임 시대의 기독교 인성 교육의 방향성 수립을 위한 연구

        김형희 한국효학회 2023 효학연구 Vol.- No.38

        Background: In the flow of the technological paradigm, while emphasizing technical education that requires creativity, character education is relatively neglected, and the crisis of loss of humanity is aggravating.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and find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while focusing on the technological paradigm. Methodology/Approach: Four tasks of practical theology were carried out based on Richard Osmer's ‘Consensus model’, which has the strength of presenting alternatives through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Based on this, descriptive-empirical task, interpretive task, normative task, and pragmatic task were performed. Results/Conclusion: The direction of Christian character education in the era of technological paradigm is an education that is directed towards ‘Saramdaum’. This means three changes: First, it aims to Saramdaum b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character. Second, it is to establish a Christian self-identity that can realize Saramdaum. Third, it is an understanding of creativity that restores Saramdaum. Implicat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restores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era of the technological paradigm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character education that realizes saramdaum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인격교육 연구방법 소고: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조정호 한국인격교육학회 2010 인격교육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the methodology of Saramdaum Education (人格敎育) with being focused on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this paper, therefore, the variety of contemporary methodologies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methods, including the paradigmatic differences between quantitative (theory-centered) and qualitative (phenomenon-centered) research method. Then the contents of Saramdaum Education are examined to grasp its feature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as contrasted with philosophical approaches, Saramdaum is connected with living in daily lives rather than metaphysical scope. Saramdaum Education is in one's moral and community life rather than through imaginary speculation, and is what is real and actual rather than abstract. Accordingly, in this paper, it is explained that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s very useful for the study of Saramdaum and its education. Also, the tips and comments for qualitative research on Saramdaum and its education, such as data collection, data analysis, and writing paper. 본고의 목적은 인격교육 연구방법의 발전 방향을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이 논의를 전개하기 위하여 먼저, 오늘날 학계에서 통용되는 다양한 연구방법들의 차이점을 연구 자료, 방법, 초점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특히 양적 연구방법 및 이론적 연구방법과 현저하게 다른 질적 연구방법 및 현상 중심 연구방법에 주목하여, 이들 사이에 어떠한 패러다임적 차이가 있는가를 항목별로 비교하였다. 이어서 인격교육을 탐구하기에 적합한 연구방법이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인격교육 관련 선행 연구물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검토결과, 인격교육은 사람다움을 가르치거나 배우는 것과 관련된 말로서 삶에서 일어나는 인격교육 현상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교육 현상과 유리된 철학적 접근과는 다르게 교육 현장과 연관된 고유한 연구 영역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격은 형이상학적 범주에 한정되어 있지 않고 일상의 구체적 삶과 관련이 깊기 때문에, 인격교육은 가상의 추론이나 사색을 통하여 연구되기보다는 사람들 사이의 실제 삶에서 일어나는 교육 현상을 중심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인격교육 연구자들에게 교육 현장과 인격교육 현상 중심의 연구방법을 안내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에서의 자료 수집 방법, 자료 분석 방법, 연구보고서 작성 방법 등을 어떻게 하는 것인가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미래사회 핵심역량으로서의 영성지능 개념화

        박숙희,이충범 한국인격교육학회 2018 인격교육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the meaning of spiritual intelligence as core competency of future society to liv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search spiritual education plan as a key element of saramdaum education.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various concepts of spirituality proposed by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ers, and conceptualizes spiritual intelligence based on them. In addition, we analyzed the opinions of related scholars about how spirituality education can be done for the development of spiritual intelligence,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of happiness, self-actualization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saramdaum education, holistic education, and spirituality education. And suggest the basic direction of spiritu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practice of saramdaum education by presenting the education plan of spiritual intelligence that can function as core competency of future society. 본 연구의 목적은 4차산업혁명시대를 살아갈 미래사회 핵심역량으로서의 영성지능의 의미를 개념화하고 인격교육의 핵심요소로서의 영성교육 방안을 탐색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외 연구자들이 제안하고 있는 영성 및 영성지능에 대한 다양한 개념들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영성지능을 개념화하였다. 또한 영성교육과 인격교육 및 홀리스틱교육, 행복교육, 자아실현교육 등에 관한 관련 학자들의 견해를 분석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고, 인간의 행복과 자아실현을 궁극적인 지향점으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사회 핵심역량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는 영성지능을 개념화하고 영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인격교육 실천에 의미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