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확률적 투표 모형을 이용한 소득재분배 및 가격정책의 정치적 수용성 연구

        박상원 ( Sang Won Park ) 한국재정학회 2012 재정학연구 Vol.5 No.3

        본 논문은 확률적 투표 모형을 이용하여 소득재분배와 가격보조의 이중 관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정치 주체가 경쟁적으로 정책을 제시하고 국민들이 이에 대해 투표하여 현금을 통한 소득재분배 정책과 정부 공급 재화의 가격 정책이 결정되는 상황을 상정하고 있다. 본 모형은, 만약 순수한 소득재분배정책이 먼저 결정되고 이 후 특정 재화의 공급 가격 정책이 결정되는 경우, 소득재분배가 이미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교차 보조를 통해 특정 계층을 지원하는 현상이 균형으로 도출됨을 증명하였다. 소득재분배적 고려가 현금과 가격보조를 통해 이중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특정 재화의 공급에 대한 정치적 지지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며, 이 와중에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사실도 보였다. This paper studies income redistribution and political acceptance of new public project, using a probabilistic voting model. Under this model, two competing parties suggest their polices and people vote on them to determine policies of interest. Specifically, on the first stage, income redistribution policy through tax and government transfer among different groups is conducted. On the second stage, government provides a goods and price to each group is determined. This paper shows that in spite of the first stage, extra redistribution through cross price subsidy occurs on the equilibrium of the second stage. Being driven by each party`s concern to increase political acceptance of government provided goods, the cross price subsidy generates social inefficiency.

      • KCI등재

        서울특별시 교육경비보조금 배분기준 및 수혜학교 특성 분석

        이호준(Lee Ho Jun),이현국(Lee Hyun Kook),양민석(Yang Min Seok),정동욱(Jeong Dong Wook)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ㆍ중ㆍ고 전수데이터 자료인 에듀데이터(EDSS) 2010-12년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특별시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의 교육경비보조금을 수혜 받는 학교들의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내 교육경비보조금 관련 조례들을 분석하여 교육경비보조금 배분기준의 지역 간 차이를 비교하였고, 교육경비보조금을 수혜 받는 학교들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25개 기초자치단체의 조례를 분석한 결과 교육경비보조금 지급률(당해 연도 본예산 세입 중 보통세의 5~10%)과 대상학교 선정에 있어서 우선순위결정시 고려항목의 명시 유무(관악구 등 7개 기초자치단체의 경우 기준 명시) 등에 있어서 지역 간 차이가 명확하게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육경비보조금을 수혜 받는 학교들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단위학교의 사회경제적 배경, 설립연한 등이 단위학교의 교육경비보조금 수혜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런 결과는 확률적 투표이론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장이 기대득표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회경제적 배경이 우수한 학교 및 설립연한이 오래된 학교에 교육경비보조금을 더 지원함을 보여준다. 또한 설립연한과 관련하여 자원의존이론은 시설이 노후화된 학교의 장이 교육경비보조금 확보에 더욱 적극적일 수 있음을 말해준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간 교육경비보조금 배분의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며, 사회경제적 여건이 열악한 학교에 대한 지원 대책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한다는 제언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allocation criteria and ‘benefit schools’ characteristics on local governments’ education subsidies located in Seoul by utilizing School Inform Data(2010-2012).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inter-districts’ allocation criteria of the local governments’ education subsidies by reviewing related ordinance and analyzed school characteristics which received local governments’ education subsidie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analysing ordinance, the differences were apparent in the payment rate of education subsidies and whether priority decision provisions exist or not. In addition, this research showed social-economic background and establishment term as major factors in decision to receive local government’s education subsidies. By probabilistic voting theory,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as the local government head supporting the schools whose social-economic background are high and the establishment term is older in order to optimize its expected voting. Furthermore, resource dependence theory shows that the principal who works at an older school is more activate in ensuring education subsidi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not only governments draw up a plan of equal education subsidies distribution but come up with a way of financially supporting the poor schools.

      • KCI등재

        Political Economy of Capital City Relocation in Korea

        Do-Chull Shin(신도철) 한국법경제학회 2008 법경제학연구 Vol.5 No.2

        2002년 노무현 대통령 후보의 선거캠프는 수도이전을 공약했고, 노무현 정부 출범 후 국회는 이를 위한 법을 통과시켰다. 2004년 헌법재판소는 서울이 수도라는 사실은 관습헌법에 해당한다면서 이 법이 위헌이라고 결정하였다. 그러나 2005년 국회는 다시 충청권에 행정도시를 건설하기 위한 법을 통과시켰다. 이러한 수도이전과 행정도시 건설과 관련한 정치적 결정은 주로 선거에서의 득표를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이 논문에서는 우선 수도이전 내지 행정도시 건설과 관련한 정치적 결정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확률적 투표모형을 제시한다. 이 모형은 선거경쟁이 후보자 내지 정당으로 하여금 부동표가 더 많은 지역에 보다 많은 공공재를 공급할 것을 약속하도록 한다는 점을 잘 보여 준다. 선거에 이기기 위해 정당들은 고정표보다 부동표를 공략하는 것이 중요하고 따라서 부동표가 더 많은 지역에 더 많은 이익을 공약한다.이 논문은 또한 선거경쟁에 따른 비효율적 자원배분을 방지 내지 완화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제도적 장치에 대해 논의한다. 각 지역이 자기 지역의 세수로 공공재 공급량을 결정하도록 하는 지방분권, 지역 간의 차별적 대우를 불허하는 일반성 제약, 국가적 사업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 개별 시안에 대한 국민투표, 단순 과반수와 다른 의결정족수의 채택, 사법적 내지 헌법적 심사 등이 그것이다.수도이전의 공약은 노무현 후보 선거캠프의 입장에서 보면 대단히 창의적이고 성공적인 공약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수도이전의 후속 프로젝트라 할 신행정도시 건설이 가져올 국가자원의 낭비와 국민, 기업, 공무원들의 불편을 감안하면, 신행정도시 건설을 취소하는 정치적 기획자는 더 많은 유권자들의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나아가 우리는 선거경쟁과 관련한 국가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제도적 장치를 구축할 큰 정치력이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The political decision to relocate the capital city or construct a new administrative city in Korea seems to have guided mainly by the politicians' consideration for winning elections.This paper presents a theoretical model of voting to capture important features of the political decision-making on the capital city relocation or new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A model of probabilistic voting shows that more powerful are groups including a larger number of swing voters who are mobile across parties. To win the elections, parties direct economic benefits toward these non-ideological voters.The paper also suggests institutional arrangements to prevent or mitigate efficiency losses resulting from electoral competitions: decentralization, generality constraints, project evaluation, referendum, qualified majority, judicial review, and so on.The campaign promise of capital city relocation must have been raised by very clever political entrepreneurs. Now, however, a political entrepreneurship might emerge to repeal the project of new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given that the project seems to involve vast waste of national resources and needless inconveniences to many people. And we hope that a greater political entrepreneurship shows itself to establish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rotational exploitations and resulting inefficiencies.

      • KCI등재후보

        Political Economy of Capital City Relocation in Korea

        신도철 한국법경제학회 2008 법경제학연구 Vol.5 No.2

        The political decision to relocate the capital city or construct a new administrative city in Korea seems to have been guided mainly by the politicians' consideration for winning elections. This paper presents a theoretical model of voting to capture important features of the political decision-making on the capital city relocation or new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A model of probabilistic voting shows that more powerful are groups including a larger number of swing voters who are mobile across parties. To win the elections, parties direct economic benefits toward these non-ideological voters. The paper also suggests institutional arrangements to prevent or mitigate efficiency losses resulting from electoral competitions: decentralization, generality constraints, project evaluation, referendum, qualified majority, judicial review, and so on. The campaign promise of capital city relocation must have been raised by very clever political entrepreneurs. Now, however, a political entrepreneurship might emerge to repeal the project of new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given that the project seems to involve vast waste of national resources and needless inconveniences to many people. And we hope that a greater political entrepreneurship shows itself to establish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rotational exploitations and resulting inefficiencies.

      • SSCISCOPUSKCI등재
      • KCI우수등재

        차별적 무역정책의 정치경제학

        김상기(Sang-Kee Kim),이유환(Yoo-Hwan Lee) 한국무역학회 2023 貿易學會誌 Vol.48 No.6

        This study explores the political economy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the discriminatory foreign trade policie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decision-making process, firms can participate through lobbying, voters can participate through voting, and each political party selects the trade policy to maximize the partys probability of winning in the elec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political philosophy of the political parties is the same, the trade policy of the political parties converges, but when the political philosophy of the political parties is different, they do not converge. Second, each political party proposes an extreme level of the trade policy. Third, the level of social welfare in the case of political economy is always lower than the social welfare in the case of benevolent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