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지역 복지회관의 결식아동의 영양적 건강상태

        최윤정;박유신;장유경 한양대학교 2004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 No.24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the growth development and nutritional health of poorly-fed children in Seoul Welfare Center. All subjects underwent a structured interview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nutritional statu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e subjects were 30(male : 14, female : 16), among 7 to 12 years old. In higher grade boy, physical growth and development were decreased. Among the subjects, 37.7% were skipped the breakfast. In food group frequencies, subjects had animal protein such as meats(82.1%), fish(58.6%), and vegetable protein such as legumes(73.3%) 2 times and less a week. The average intakes of energy, vitamin B2, calcium were below 75% of the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were under-nutrition (deficient of RDA, below 75%) in energy, vitamin A, vitamin B2, niacin, calcium and iron. Consequently, for balanced growth and development, it is necessary for school or community based nutritional support to supply dairy products that are major source of vitamin B2 and calcium for poorly-fed children.

      • KCI등재

        결식아동이 이용하는 도시락의 미생물 검사를 통한 위생 상태 비교·분석

        유옥경,김현숙,변문선,김민아,차연수 한국영양학회 2014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7 No.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hygiene status of meals for poorly-fed children through microbiolo-gical quality. Methods: Meals were provided by two social enterprises, one franchise, and one convenience store. There were a total of six meal samples; two samples (social enterprise meal 1; SEM 1, social enterprise meal 2; SEM 2) from two social enterprises, respectively, two samples (franchise meal 1; FM 1, franchise meal 2; FM 2) from one franchise, and two samples (convenience store meal 1; CSM 1, convenience store meal 2; CSM 2) from one convenience store. Microbiologi-cal analysis and assessment were performed by Korean food standards codex (KFSC). Results: General bacteria and E. coli in SEM 1 were detected, but the levels were not over KFSC, and Coliform less than 9.2 × 10 CFU/g was also de-tected in seasoned bean sprouts of SEM 1. General bacteria was detected at 1.6 × 106 CFU/g in cabbage kimchi of SEM 2. Coliform was detected in cabbage kimchi, squid cutlet, stir-fried pork, and fried chicken of FM1 and 2, but the levels were not over KFSC. In addition, S. aureus was detected in cabbage kimchi and seasoned dried white radish of FM 1 and 2 (9.8 × 102 CFU/g, 9.4 × 103 CFU/g respectively), thus was over KFSC. B. cereus was detected in stir-fried pork and fried chicken (1.2 × 103 CFU/g, 1.5 × 103 CFU/g respectively) of FM 1 and 2, thus was over KFSC. Finally, S. aureus was detected in stir-fried dried squid, seasoned spicy chicken, and stir-fried kimchi of CSM 1 and 2, and was over KFSC too (9.5 × 104 CFU/g, 2.4 × 102 CFU/g, 1.3 × 103 CFU/g respectively).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ystemic management of hygiene is necessary to safely providing meals to poorly-fed children. 본 연구는 결식아동 대상의 도시락을 생산하는 사회적기업도시락 2종류와 상업용 도시락 중 프랜차이즈 업체 도시락 2 종류, 편의점 도시락 2종류의 미생물검사를 통한 위생 상태를비교·분석하여 평가하였고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일반세균수 및 오염지표군 분석 결과 E. coli는 모든 시료에서 불검출 되었다. SEM 1의 콩나물무침에서 대장균군이< 9.2 × 10 CFU/g 검출되어 식품공전 검사규격에 부적합한수준이었으며, SEM 2의 경우 비가열 식품인 호박샐러드와 김치에서 각각 대장균군과 일반세균이 < 1.2 × 102 CFU/g와 1.6 × 106 CFU/g으로 검사규격보다 초과되는 양이 검출되었다. FM 1과 2에서도 오징어가스 (1.4 × 10 CFU/g)와 돈까스 (1.4 × 104 CFU/g), 후라이드치킨 (6 × 103 CFU/g), 김치 (< 4 × 10 CFU/g)에서 식품공전 검사규격 초과량의 대장균군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후라이드치킨에서는 일반세균수 또한 6.2 × 105 CFU/g으로 검사규격을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CSM 1과2에서는 가열·비가열조리식품 모두에서 대장균군이 검출되지않았으나 가열조리식품 중 돼지갈비와 오징어채, 양념치킨, 김치에서는 일반세균이 검출되었으나 검사규격에는 미만인 수치였다. 2) 6개 도시락 시료의 식중독균을 분석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Salmonella spp.와 V. parahaemolyticus는 검출되지 않았다. SEM 1의 경우 비가열조리식품 중 콩나물무침에서 B. cereus가< 9.2 CFU/g 검출되었으나 검사규격에 위반되지 않았고, SEM 2에서는 비가열조리식품 중 김치에서 S. aureus가4.8 × 10 CFU/g 검출되었으나 검사규격에는 미만인 수치였다. FM 1과 2의 경우 비가열조리식품 중 김치와 무말랭이에서S. aureus가 각각 9.8 × 102 CFU/g, 9.4 × 103 CFU/g로 검출되어 검사규격에 위반되었고, B. cereus도 가열조리식품 중 돼지불고기와 후라이드치킨에서 각각 1.2 × 103 CFU/g, 1.5 × 103 CFU/g으로 다량 검출되어 부적합한 수치였다. CSM 1과2에서는 오징어채와 양념치킨, 볶은 김치에서 S. aureus가 각각 9.5 × 104 CFU/g, 2.4 × 102 CFU/g, 1.3 × 103 CFU/g로 다량 검출되어 검사규격에 위반되었다. 3) 본 연구는 결식아동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사회적기업의도시락과 결식아동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 도시락, 편의점 도시락에 대한 미생물 검사를 실시하여 각 도시락의 위생 상태를 비교·평가하고자 수행 되었으며, 연구 결과를 통해 결식아동들에게 제공되는 도시락의 미생물 안전성을 확인하고 도시락의 위생관리 및 유통기간 설정 등에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4) 미생물 검사 결과 식중독균에 대해서는 사회적기업 도시락이 상업용 도시락보다 양호한 것으로 사료되나 일반세균 및대장균군에서 부적합한 수준의 식품이 존재한 것으로 조사되어 이에 대한 체계적인 위생관리 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결식아동들을 위한 도시락은 제조 완료와 섭취가 동시에 이루어지기 힘든 부분이 있어 추후 실질적으로 아동들에게 도시락이 전달된 직후의 도시락 위생 상태와 실제섭취 전의 도시락 미생물 안전성 등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문전 걸치기 기법의 단계 및 목표 요청 제시 유형의 효과에 관한 연구 결식아동용 도시락 배달 서비스를 위한 기부금 모금에의 적용

        차동필 ( Dong-pil Cha ) 한국PR학회 2016 PR연구 Vol.20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the influences of stages and presentation style of FITD technique in raising the contribution for the delivery of lunch for the poorly-fed children. After proceeding the field experiment among college students, it was revealed that the main effect of presentation style of target request and also the interaction effect of two variables. To put it concretely,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rates of compliance between single and two FITD. On the other h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xplicit demand style of target request was better than the implicit one in promoting compliance rate.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st effective combination for maximizing the donation for certain cause was two FITD plus explicit demand styl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