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DA를 활용한 한국 철강 산업의 성장기여요인 분석

        정도영 ( Do Young Jung ),박재운 ( Jae Un Park ) 한국응용경제학회 2010 응용경제 Vol.12 No.3

        본 연구는 SDA(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를 활용하여 1995-2008년까지 철강 산업의 성장기여요인의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철강 산업은 제조업의 기초소재를 제공하는 산업으로 국내 제조업 뿐 아니라 오랫동안 한국의 주력 수출 산업으로 산업상의 지위가 높았으나 최근 글로벌 경제의 확대로 성장 요인별 변화추이가 크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1995-2008년 기간 중 철강 산업의 성장은 최종수요(54.38%)와 수출수요(51.64%)에 의한 것으로, 최종재수입대체(-0.25%), 중간재수입대체(-2.95%), 기술변화(-2.83%)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그리고 변화추이는 최종수요 성장기여율의 경우 외환위기로 인해 제조업에 비해 크게 낮아졌으며, 외환위기 이후 경기회복기에는 제조업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반면, 수출수요 성장기여율은 외환위기로 인해 제조업에 비해 크게 높아졌다. 그리고 수출수요 성장기여율의 시기별 등락폭이 매우 심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한국 철강 산업이 안정적인 수출수요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향후 개선방안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rowth contributing factors of the Korean steel industry by the SDA. The results are listed below. During 1995-2005, domestic final demand and export demand played roles on the growth. The changes in the contribution factors of the growth was that during the Asia crisis, the rate of growth contributing by final demand was shrinking and after the Asia crisis, was increasing than the manufacturing sector. But the rate of growth contributing by export demand was increasing than the manufacturing sector during the Asia crisis. In conclusion, the main contributing factors on the growth of the Korean steel industry is dependent on prices of raw materials and business cycle. Therefore,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Korean steel industry, the stabilized grantee of export markets was required.

      • KCI등재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의 성장요인 분석

        임상수 ( Sangsoo Lim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6 질서경제저널 Vol.19 No.1

        본 연구는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의 성장과 성장 원인을 분석대상으로 한다. 성장과 관련된 지표로 산업별 경제 성장률과 잠재 성장률이 사용되었다. 또한 성장 원인을 분석하기 위해 생산 요소별 성장 기여도와 함께 산업별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했다.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산업연관표를 활용하며, 사회복지서비스업의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 유발계수, 취업유발계수와 타 산업과 비교한다. 분석 결과,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잠재 성장률 역시 빠르게 상승했다. 이처럼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양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은 주로 노동에 의한 것이었고, 이와 함께 정부지출 증가와 함께 정부지출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역시 컸기 때문이다. 또한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발전하면 이로 인해 타산업의 생산을 크게 유발시키고 취업자 수 역시 크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낮았으며 이는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주로 비영리 경제 주체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종합하면,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의 생산유발계수와 취업유발계수는 모두 서비스업 평균보다 크지만 부가가치유발계수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산 요소별 성장 기여도 측면에서 노동 기여도가 높은 점과 부가가치유발계수가 작은 것은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저부가가치 산업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직면한 저효율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T 융합, 기계화 등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의 산업화를 위한 전략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다. 특히,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의 정부지출에 의한 경제적 파급효과는 크다. 이와 같이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은 국민 복지 증진이라는 공익적 측면과 함께 경제 성장 기여라는 산업적 측면을 모두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정부 지출을 확대할 필요성이 있다. This paper is trying to analyze the reason why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y is growing. The growth rate and the potential growth rate by industry are used to analyze it. And the contribution of production factors to the growth rate and the economic effects by industry are analyzed. The input-output table provided by the BOK (Bank of Korea) is used to analyze it. And production inducement, value-added inducement and labor inducement by industry are computed with the input-output table. The results show that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y is growing very fast and the contribution of labor to the growth rate is greater than them of other production factors. And the government expenditure for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y is increasing and the economic effects by that are greater than other industries. In addition, the coefficients of the production inducement and the labor inducement are greater than other industries. But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y consists of non-profit organizations so the value added inducement coefficient of it is lower than other industries. In summary, the production inducement and the labor inducement of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y are greater than service industry but the value added inducement of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y is smaller than service industry. And in the aspect of the contribution of production factors to the growth rate, the contribution of labor to the growth rate is small. So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y seems to be a low value-added industry. Nonetheless, measures related to the mechanization of labor-consuming process and IT (Information Technology) fusion are needed to solve the problem of low efficiency in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y. In addition, the economic effects of government spending in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service industry are great. So, the government has to increase the expenditure for the health and social welfare industry because it contributes to the welfare improvement and the economic growth.

      • KCI등재

        우리나라 지식서비스 산업의 성장요인 분석

        김방룡(Pang-Ryong Kim),홍재표(Jae-Pyo Ho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투입산출구조분해분석(IO-SDA)을 통해 1995년부터 2009년의 기간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지식서비스 산업의 성장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지식서비스 산업은 우리나라 경제성장에 20~30% 내외의 기여도를 보이고 있으며, 최근 들어 여타 산업에 비하여 가장 빠른 속도로 기여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요인을 최종수요, 수출, 최종재 수입대체, 중간재 수입대체, 기술변화의 다섯 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지식서비스 산업의 성장은 최종수요 증대가 주도하였으며, 이어서 수출증대, 기술변화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최종재 및 중간재 수입대체는 지식서비스 산업의 성장에 마이너스의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서비스 산업을 구성하고 있는 대다수의 부문에서는 성장요인 중 최종수요 요인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외적으로 수출 요인 또는 기술변화 요인이 가장 큰 부문도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사실은 향후 지식서비스 산업의 육성전략 수립 시 부문별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growth factors of the Korean knowledge service industry from 1995 to 2009 by using the I-O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influences Korean economic growth with 20 to 30% of contribution and the level of contribution is increasing the faster than any other industry. We have classified growth factors into five factors, which are final domestic demand, export, import substitution for final goods, import substitution for intermediate goods, and technology change and have analyzed their contribution to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As a result, the growth of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appears to be mostly derived from increase in final domestic demand, and subsequently followed by increase in export and technology change. On the other hand, import substitution for final and intermediate goods appears to hamper the industrial growth. The final domestic demand factor plays prominent part in the most sectors comprising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but exceptionally export and technology change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some sectors. This implies, when setting promotion strategy of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unique characteristics by each sector are to be considered.

      • KCI등재

        투입산출 구조분해를 통해 본 자동차산업의 성장기여율 분석

        원희연,박재운 한국산업경제학회 2009 산업경제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투입산출 구조분해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를 통해 자동차산업의 요인별 성장기여율을 분석하는 것이다. 구조분해 분석결과 요인별 성장기여율은 2003-2005년 기간 중 수출수요(38.2%), 기술변화(38.2%), 최종수요(24.5%)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소비와 투자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최종수요 성장기여율이 최근 들어 급격히 낮아졌는데, 동 기간 중 국내소비 및 투자액 감소에 기인한다. 이는 자동차산업에 있어서 국내소비나 투자가 활성화 되지 않을 경우 최종수요의 성장기여율은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동차산업에 대한 소비활성화 및 중기적 관점의 투자활성화가 필요하다. 또한 수출수요 성장기여율 역시 최근 들어 이전기간의 성장 폭을 훨씬 밑돌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체상태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완성차의 수출확대뿐만 아니라 자동차용엔진 및 부분품에 대한 수출활로를 보다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다. 최종재수입대체 성장기여율의 경우 가장 최근의 두 분석기간 모두 마이너스를 보여 수입최종재로의 대체가 나타났다. 이는 국산최종재로의 대체비율이 낮아져 최종재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아졌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국산자동차에 대한 인지도 제고 및 품질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또한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contribution to the main growth factors on the Korean motor vehicles industry by the input-output structural decomposition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motor vehicles industry's demand for export (38.2%), technological change(38.2%), and final demand(24.5%) play key roles among the growth factors. In conclusion, a growth contribution to the final demand has decreased sharply during the Year 2003-2005. This is due to the decreasing of domestic consumption and investment. Thu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the Korean motor vehicles industry, it is required to Promote the motor vehicles industry-related domestic consumption and to enlarge the midterm-based relating R&D investment. It is required not only to expand the motor vehicles-related export, but also to enlarge the motor vehicles-related parts and components aggressively, because the growth contribution to the demand for export has decreased or stagnated since the Year 2000-2003

      • Study on Contribution Rate of Essential Factor Market of Insurance Development to Economic Growth : Demonstration Analysis based on Chongqing in China

        Haicheng Shen 한국유통과학회 2012 KODISA ICB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Business Vol.2012 No.-

        The article studies on the contribution role of essential factor market of insurance in financial industry development to economic growth in Chongqing in both aspects of direct and indirect contribution by the way of demonstration analysis. The conclusion shows that essential factor market of insurance development falls behind of economic growth in direct aspect; BBD, BLD and FIR could pull economic growth, but ID just restrain economic growth in Chongqing. At last, the article put forward some relevant policy suggestion on how to make essential factor market of insurance development smoothl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IT투자가 기업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영수,홍효진 국제e-비즈니스학회 2011 e-비즈니스 연구 Vol.12 No.5

        For seven years from 2003 to 2009,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of 498 enterprises that each have annual domestic revenues of over 100 billion won, empirically analyzing the 'impacts of IT investment on enterprises' produc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production of surveyed enterprises increased 2.51% on an annual average for the period from 2004 to 2009, and the contribution rate of IT investment was 47.01%(1.18%p). While the direct contribution rate of IT investment was 45.02%(1.13%p), the indirect rate was just 1.99%(0.05%p). Looking at the results by industry sector revealed that the annual average production growth rate was highest in the service industry, and the contribution rate of IT investment was highest at 115.22%(0.53%p) in the low-technology manufacturing industry. The electricity/gas and construction industries showed a low contribution rate of IT investment at 18.86%(0.56%p), and an even lower indirect contribution rate at -4.04%(-0.12%p). Finally, the service industry recorded high annual average production growth rate and contribution rate of IT investment,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producer service sector marked the highest annual average IT investment(272.7 billion won) and contribution rate of IT investment(83.64%) in the whole service industry. 본 연구는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총 7년간 국내 매출액 1,000억 원 이상 498개 기업을 대상으로 ‘IT가 기업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2004년부터 2009년까지 분석 대상 기업의 생산물 증가율은 연평균 2.51%이며, IT투자 전체 기여율은 47.01%(1.18%)로 도출되었다. 그 중 IT투자의 직접효과는 45.02%(1.13%p)인 반면, IT투자의 간접효과는 1.99%(0.05%p)에 불과했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연평균 생산물 증가율은 서비스업이 가장 높으나, IT투자 기여율은 低기술 제조업이 115.22%(0.53%p)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력/가스 및 건설업은 IT투자 기여율이 18.86%(0.56%p)로 낮으며, 특히 IT의 간접효과가 -4.04%(-0.12%p)로 낮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서비스업의 연평균 생산물 증가율과 IT투자 기여율 모두 他산업 대비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비스업 중 생산자서비스업은 연평균 IT투자액(2,727억 원)과 IT투자 기여율(83.64%)이 가장 높은 산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